KR101406591B1 -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 Google Patents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591B1
KR101406591B1 KR1020120054555A KR20120054555A KR101406591B1 KR 101406591 B1 KR101406591 B1 KR 101406591B1 KR 1020120054555 A KR1020120054555 A KR 1020120054555A KR 20120054555 A KR20120054555 A KR 20120054555A KR 101406591 B1 KR101406591 B1 KR 101406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pedestal
auxiliar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910A (ko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김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국 filed Critical 김종국
Priority to KR102012005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591B1/ko
Publication of KR2013013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병목 상단에는 용액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마개(111)가 결합된 유출구(1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별도의 사용용기(200)를 부분삽입시켜 사용용기(200)에 저장된 잔류 용액을 자중에 의해 주입시키기 위해 덮개(12)가 결합된 본체용기(10a); 및 상기 본체용기(10a)의 유출구(11) 방향으로 뒤집어 삽입한 후 직립시킬 수 있도록 내부공간(21)을 갖는 받침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20)는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로 구성되며, 내부공간(21)에 유입된 물이나 하부에 고이지 않도록 외부와 상통하는 다수 또는 단일의 배수공(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Container Unit For Residua Liquid An Appropriation}
본 발명은 케첩, 마요네즈와 같은 식품류 또는 액상 화장품류 또는 샴푸, 린스 등과 같은 겔(Gel) 상 물질과 같은 잔류 용액을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용기의 잔류 용액을 저장하는 본체용기와, 상기 본체용기를 뒤집어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받침대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본체용기를 받침대에서 분리시켜 사용용기 내의 잔류 용액을 본체용기로부터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병이나 용기의 경우 내용물을 충진한 입구를 출구로 이용하여 내용물을 쏟아내어 사용하고 있으며, 잔량이 남아 있을 경우에는 출구를 하부(아래)로 하게 거꾸로 세워놓고 오랜시간 흘러 내리게 하여 모은 다음 전부를 사용하기도 하고, 잔량과 함께 용기를 버리는 일이 상당히 많다.
특히 기존의 용기는 출구가 작아 구조상 자체적으로 도립시키기 어려운 것이며, 용기의 도립을 안내할 별도의 구조가 알려지지 않음으로써 용기는 타 물품에 기대어 비스듬히 지지시킬 수밖에 없어 작은 진동에도 쉽게 넘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296157호 및 "제0213919호에 등록된 용기는 잔류 용액을 원활히 사용할 수 있으나 다른 사용용기에 저장된 잔류 용액은 도립시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379373호에 등록된 "용기 세우개" 역시 해당 용기에 잔류된 용액을 원활히 배출할 수 있게끔 도와줄 뿐 다른 사용용기에 저장된 잔류 용액은 도립시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사용용기의 잔류 용액을 저장하는 본체용기와, 상기 본체용기를 뒤집어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받침대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본체용기를 받침대에서 분리시켜 사용용기 내의 잔류 용액을 본체용기로부터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본체용기에 보조용기를 결합시켜 서로 다른 사용용기의 잔류 용액을 개별적으로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병목 상단에는 용액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마개(111)가 결합된 유출구(1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별도의 사용용기(200)를 부분삽입시켜 사용용기(200)에 저장된 잔류 용액을 자중에 의해 주입시키기 위해 덮개(12)가 결합된 본체용기(10a); 및 상기 본체용기(10a)의 유출구(11) 방향으로 뒤집어 삽입한 후 직립시킬 수 있도록 내부공간(21)을 갖는 받침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20)는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로 구성되며, 내부공간(21)에 유입된 물이나 하부에 고이지 않도록 외부와 상통하는 다수 또는 단일의 배수공(22)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본체용기(10a)는 서로 다른 용액을 각각 저장할 수 있도록 하부 내측면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보조용기(10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용기(10b)는 병목 상단으로 용액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마개(111)가 결합된 유출구(11)가 형성되고, 중단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용기(10a)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N)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별도의 사용용기(200)를 부분삽입시켜 사용용기(200)에 저장된 잔류 용액을 자중에 의해 주입시키기 위해 힌지 결합되는 덮개(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받침대(20)는 유동 됨을 방지하기 위해 저면에 큐방(23) 또는 고무판(2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본체용기(10a)의 하단에 결합된 덮개(12)는 본체용기(10a)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덮개(12)의 제거시 상기 보조용기(10b)와 외주면과 형성된 나사산(N)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보조용기(10b)는 상기 본체용기(10a)와 유통될 수 있도록 유출구(11)의 마개(111)를 제거시켜 상기 본체용기(10a)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에 따르면, 사용용기의 잔류 용액을 저장하는 본체용기와, 상기 본체용기를 뒤집어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받침대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본체용기를 받침대에서 분리시켜 사용용기 내의 잔류 용액을 본체용기로부터 손쉽게 재사용할 수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용기에 보조용기를 결합시켜 서로 다른 사용용기의 잔류 용액을 개별적으로 저장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대에 배수공을 형성하여 물고임 받침대에 물고임현상이나 세균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구성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구성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첩, 마요네즈와 같은 식품류 또는 액상 화장품류 또는 샴푸, 린스 등과 같은 겔(Gel) 상 물질과 같은 잔류 용액을 손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100)은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본체용기(10a)와, 상기 본체용기(10a)를 뒤집어 삽입한 후 직립시킬 수 있도록 내부공간(21)을 갖는 받침대(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용기(10a)는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병목 상단에는 마개(111)가 결합된 유출구(1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별도의 사용용기(200)를 부분삽입시켜 사용용기(200)에 저장된 잔류 용액을 자중에 의해 주입시키기 위한 덮개(1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덮개(12)는 본체용기(10a)에 나사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 본체용기(10a)에 덮개(12)를 힌지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12)의 구성은 본체용기(10a)를 뒷집을 경우 개방시켜 내부에 잔류 용액이 남아있는 사용용기(2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는 사용용기(200) 내의 잔류 용액이 자중에 의해 본체용기(10a)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용기(10a)는 중간 부분을 파지하기 쉽도록 직경이 작아지는 만곡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20)는 상기 본체용기(10a)의 유출구(11) 방향으로 뒤집어 삽입한 후 직립시킬 수 있도록 내부공간(21)을 갖는 구조이다. 여기서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은 본체용기(10a)가 유동 됨이 없이 삽입되도록 본체용기(10a)의 외부형상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받침대(20)는 무게 중심이 하부로 집중되도록 웨이트발란스(미도시)를 받침대(20)의 저면에 부착시켜 받침대(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20)는 도 2와 같이,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로 구성되는데, 다만 내부공간(21)에 유입된 물이나 용액이 고이지 않도록 외부와 상통하는 다수 또는 단일의 배수공(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일의 배수공(22)을 형성할 경우, 도 2의 (b)와 같이, 상기 배수공(22)의 상부 직경은 본체용기(10a)의 마개(111)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하부 직경은 본체용기(10a)의 마개(111) 직경 보다 작게 구성하여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에 삽입된 본체용기(10a)의 마개(111)가 배수공(22)을 통해 지면과 맞닿는 것을 방지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20)의 저면에는 다수의 배수공(22) 또는 단일의 배수공이 지면에 맞닿아 물이 배수가 안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큐방(23)을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큐방(23)은 배수공(22)을 지면과 이격시켜 물 배수를 원활히 하고, 또한 지면에 압착되어 받침대(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큐방(23) 이외에 도 2의 (b)와 같이, 고무판(24)을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과 같이,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에 본체용기(10a)의 유출구(11)에 마개(111)를 체결한 후 유출구(11) 방향으로 뒤집어 삽입한다.
그리고 본체용기(10a)의 덮개(12)를 개방시키고 잔류 용액이 담긴 사용용기(200)를 본체용기(10a)의 내부공간에 삽입시킨다.
이 후 도 4와 같이, 장시간 경과한 후 자중에 의해 사용용기(200)에 담긴 잔류 용액이 본체용기(10a)의 내부로 주입되면, 사용용기(200)를 이탈시키고 덮개(12)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외부의 공기유입이 차단될 수 있어 잔류 용액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 후 잔류 용액이 소량 남아있을 때에도 잔량이 항상 유출구(11) 주위에 모이도록 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본체용기(10a)를 받침대(20)에서 이탈시켜 간편하게 잔류 용액을 취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만 제 2실시예의 본체용기(10a)는 서로 다른 용액을 각각 저장할 수 있도록 하부 내측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보조용기(10b)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본체용기(10a)에 결합되는 보조용기(10b)를 통해 서로 다른 용액이 섞이지 않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보조용기(10b)는 병목 상단으로 용액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마개(111)가 결합된 유출구(11)가 형성되고, 중단에는 외주면에는 나사산(N)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별도의 사용용기(200)를 부분삽입시켜 사용용기(200)에 저장된 잔류 용액을 자중에 의해 주입시키기 위해 힌지 결합되는 덮개(12)로 구성된다.
즉, 보조용기(10b)는 본체용기(10a)와 달리 중단 외주면에 나사산(N)이 형성되는 구성이며, 이 때 상기 본체용기(10a) 역시 보조용기(10b)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N)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용기(10a)의 덮개(12)는 본체용기(10a)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덮개(12)의 제거시 상기 보조용기(10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보조용기(10b)는 상기 본체용기(10a)와 유통될 수 있도록 유출구(11)의 마개(111)를 제거시켜 상기 본체용기(10a)와 나사결합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본체용기(10a)에 용액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 유출구(11)에 마개(111)를 결합시켜 보조용기(10b)에 용액을 개별적으로 저장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과 같이,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에 본체용기(10a)의 유출구(11)에 마개(111)를 체결한 후 유출구(11) 방향으로 뒤집어 삽입한다.
그리고 본체용기(10a)의 덮개(12)를 개방시키고 본체용기(10a)와 보조용기(10b)가 유통될 수 있도록 보조용기(10b)의 마개(111)를 제거한 후 본체용기(10a)의 내부에 보조용기(10b)를 뒤집어 나사결합시킨다.
이 후 보조용기(10b)의 덮개(12)를 개방시키고 잔류 용액이 담긴 사용용기(200)를 보조용기(10b)의 내부공간(21)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사용용기(200)에 담긴 잔류 용액은 보조용기(10b)를 거쳐 본체용기(10a)에 저장된다.
그리고 본체용기(10a)에 저장된 용액과 성분이 다른 용액을 저장시킬 수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먼저 보조용기(10b)를 본체용기(10a)에서 탈거하고, 보조용기(10b)의 유출구(11)에 마개(111)를 결합시켜 본체용기(10a)에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보조용기(10b)의 덮개(12)를 개방시키고, 잔류 용액이 담긴 사용용기(200)를 보조용기(10b)의 내부공간(21)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사용용기(200)에 담긴 잔류 용액은 마개(111)에 의해 본체용기(10a)로 유출되지 않고 보조용기(10b)에 저장된다.
이 후 사용용기(200)를 제거한 후 보조용기(10b)에 덮개(12)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본체용기(10a) 및 보조용기(10b)에는 서로 다른 용액이 각각 저장된다.
마지막으로 본체용기(10a)의 담긴 용액을 사용할 경우에는 보조용기(10b)를 탈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본체용기(10a)의 마개(111)만 제거하여 사용하고, 보조용기(10b)에 저장된 용액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10과 같이, 보조용기(10b)만을 탈거하여 마개(111)를 제거한 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a: 본체용기 11: 유출구 111: 마개
12: 덮개
10b: 보조용기
20: 받침대 21: 내부공간 22: 배수공
23: 큐방 24: 고무판
100: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200: 사용용기
N: 나사산

Claims (6)

  1. 병목 상단에는 용액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마개(111)가 결합된 유출구(1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별도의 사용용기(200)를 부분삽입시켜 사용용기(200)에 저장된 잔류 용액을 자중에 의해 주입시키기 위해 덮개(12)가 결합된 본체용기(10a); 및
    상기 본체용기(10a)의 유출구(11) 방향으로 뒤집어 삽입한 후 직립시킬 수 있도록 내부공간(21)을 갖는 받침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20)는 바닥면이 밀폐된 상태로 구성되며, 내부공간(21)에 유입된 물이나 하부에 고이지 않도록 외부와 상통하는 다수 또는 단일의 배수공(22)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본체용기(10a)는 서로 다른 용액을 각각 저장할 수 있도록 하부 내측면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보조용기(10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용기(10b)는 병목 상단으로 용액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마개(111)가 결합된 유출구(11)가 형성되고, 중단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용기(10a)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N)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별도의 사용용기(200)를 부분삽입시켜 사용용기(200)에 저장된 잔류 용액을 자중에 의해 주입시키기 위해 힌지 결합되는 덮개(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잔류 용액 사용용기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는 유동 됨을 방지하기 위해 저면에 큐방(23) 또는 고무판(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기(10a)의 하단에 결합된 덮개(12)는 본체용기(10a)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덮개(12)의 제거시 상기 보조용기(10b)와 외주면과 형성된 나사산(N)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10b)는 상기 본체용기(10a)와 유통될 수 있도록 유출구(11)의 마개(111)를 제거시켜 상기 본체용기(10a)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KR1020120054555A 2012-05-23 2012-05-23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KR101406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555A KR101406591B1 (ko) 2012-05-23 2012-05-23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555A KR101406591B1 (ko) 2012-05-23 2012-05-23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910A KR20130130910A (ko) 2013-12-03
KR101406591B1 true KR101406591B1 (ko) 2014-06-11

Family

ID=4998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555A KR101406591B1 (ko) 2012-05-23 2012-05-23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890A (ko) * 2020-02-05 2021-08-13 성창용 용기의 교체형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522B1 (ko) * 2014-01-14 2014-10-01 김윤우 보틀엔드, 혼합용기 및 그것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865A (ja) 2000-06-16 2002-01-09 Kenichiro Hirano 粉ミルクの計量貯蔵容器
KR20020082095A (ko) * 2001-04-23 2002-10-30 김소영 탄산가스 누출 방지용 음료수병 보관통
US20060049127A1 (en) * 2004-09-09 2006-03-09 Liran Katz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2865A (ja) 2000-06-16 2002-01-09 Kenichiro Hirano 粉ミルクの計量貯蔵容器
KR20020082095A (ko) * 2001-04-23 2002-10-30 김소영 탄산가스 누출 방지용 음료수병 보관통
US20060049127A1 (en) * 2004-09-09 2006-03-09 Liran Katz Contai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890A (ko) * 2020-02-05 2021-08-13 성창용 용기의 교체형 캡
KR102322690B1 (ko) 2020-02-05 2021-11-04 성창용 용기의 교체형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910A (ko) 201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4710B2 (en) Container for a plurality of disposable applicators comprising a reservoir for a substance to be applied
KR101406591B1 (ko) 잔류 용액 사용 용기유닛
US20020121454A1 (en) Combined pill and water container
ITTO20120506A1 (it) Cappuccio per un flacone atto alla conservazione di sostanze da mantenersi separate fino alla loro applicazione.
KR101982316B1 (ko) 혼합용 마개장치
KR200462617Y1 (ko) 화장품용기의 토출구
CN201065194Y (zh) 二合一液体容器瓶
JP3874953B2 (ja) 交換用ボトル付き容器
KR20080000223U (ko) 티 캡
KR20100006436U (ko) 액체 저장 용기
SG155881A1 (en) Container, external container for mixing and transporation, and mixing device
KR20180102533A (ko) 페트병용 필터
JP2504309Y2 (ja) 混合液体吐出容器
IT201800003313A1 (it) Dispositivo di tappatura di un falcone atto alla conservazione di sostanze da mantenersi separate fino alla loro applicazione ed atto al prelievo della miscela ottenuta tramite siringa.
KR200452054Y1 (ko) 2종 액체 개별 수납 및 혼합 용기
CN210654563U (zh) 一次性酒囊
KR20180043138A (ko) 분리가 가능한 2중 샴푸통
KR102034949B1 (ko) 일회용 캡슐을 장착한 휴대용 스프레이 용기
CN202897060U (zh) 双提手容器
RU113723U1 (ru) Насадка для бутылки
JP2510834Y2 (ja) 二液混合容器
RU71636U1 (ru) Канистра двуустьевая
CN204750896U (zh) 限位台吸嘴式可扳动吸嘴盖
KR20200074425A (ko) 리필용 분리 가능 다용도 용기
CN202429533U (zh) 一种方便定量倒出的容器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