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418A - 방염성 충격-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염성 충격-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418A
KR20120004418A KR1020117022160A KR20117022160A KR20120004418A KR 20120004418 A KR20120004418 A KR 20120004418A KR 1020117022160 A KR1020117022160 A KR 1020117022160A KR 20117022160 A KR20117022160 A KR 20117022160A KR 20120004418 A KR20120004418 A KR 20120004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um
components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938B1 (ko
Inventor
아힘 펠더만
토마스 에켈
안드레아스 자이델
디터 비트만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004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L51/085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L69/005Polyester-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2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5/02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containing phosphor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선형 및/또는 분지형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77 내지 90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 B) B.1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의 쉘 5 중량% 내지 30 중량% (각 경우에 그라프트 중합체 B를 기준으로 함), 및 B.2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의 1종 이상의 그라프트 베이스 95 중량% 내지 70 중량% (각 경우에 그라프트 중합체 B를 기준으로 함)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중합체 6 내지 12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 C) 하기 화학식 VIII에 따른 인 화합물 4 내지 10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
<화학식 VIII>
Figure pct00012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로 할로겐-치환된 C1-C8-알킬, 각 경우에 임의로 할로겐- 및/또는 알킬-치환된 C5-C6 시클로알킬, C6-C10 아릴 또는 C7-C12 아르알킬을 나타내고, n은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q는 각 경우에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이고, N은 0.1 내지 10이고,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4-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및/또는 브롬이고, Y는 단일 결합, C1-C7 알킬리덴, C1-C7 알킬렌, C5-C12 시클로알킬렌, C5-C12 시클로알킬리덴, -O-, -S-, -SO-, -SO2- 또는 -CO-를 나타냄), D) 적하방지제 0 내지 3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 E) 열가소성 비닐 (공)중합체 (E.1)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E.2) 0 내지 3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 (특히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비닐 (공)중합체 (E.1)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E.2)를 함유하지 않음), 및 F) 추가의 첨가제 0 내지 20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를 포함하고, 여기서 성분 B 대 성분 D로부터의 인 함량의 중량비는 16 내지 22 : 1,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19 : 1의 범위에 있고, 고무-비함유 폴리알킬 (알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방염성 충격-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및 성형물 제조를 위한 상기 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의 용도, 및 성형물 그 자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염성 충격-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FLAME-RETARDED, IMPACT-MODIFI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본 발명은 비스페놀 A 기재의 올리고포스페이트 및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하고 고무-비함유 폴리알킬 (알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방염성 충격-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및 성형체의 제조에서의 상기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의 용도, 및 성형체 그 자체에 관한 것이다.
WO-A 2004/069914는, 폴리알킬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할로겐-비함유 올리고포스페이트를 포함하며, 합성이 부타디엔, 스티렌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을 수반하는 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내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기술한다. 이 조성물은 우수한 접합 라인 강도, 화학물질에 대한 내성, 열 하의 치수 안정성, 인열 신율 및 유동성에 의해 구별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고무-비함유 폴리알킬 (알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지 않다는 점에서 WO-A 2004/069914에 따른 조성물과 상이하다.
WO-A 2002/046305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충격 개질제, 인-함유 방염제를 포함하는 충격-개질된, 내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기술한다. 이 조성물은 저온 범위에서 개선된 노치 충격 강도에 의해 구별된다. 그러나, WO-A 2002/046305는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의 그라프트 베이스를 갖는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술하지 않는다.
EP-A 635547은 폴리카르보네이트, 공중합체 겔, 아크릴레이트 또는 디엔 고무 기재의 충격 개질제, 방염제, 예컨대, 예를 들어, 올리고포스페이트 및 임의로 디엔 고무, 아크릴레이트 고무 또는 EPDM 고무의 그라프트 베이스를 갖는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는 방염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기술한다. 그러나, EP-A 635547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의 그라프트 베이스를 갖는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술하지 않는다.
US 6423766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의 그라프트 베이스를 갖는 충격 개질제를 갖는 방염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기술하며, 여기서 인산 에스테르로부터의 인에 대한 충격 개질제의 중량비는 2 내지 15이다. 이 조성물은 개선된 기계적 특성 및 우수한 처리 거동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인산 에스테르로부터의 인에 대하여 더 높은 중량비의 충격 개질제를 갖는다는 점에서 US 6423766에 따른 조성물과 상이하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조성물 및 성형 조성물을 그의 방염 거동 및 강도의 균형 면에서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상기 조성물 및 성형 조성물이 높은 노화 안정성 및 열 하에서의 높은 치수 안정성을 가질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 하에서 높은 치수 안정성을 가지면서 방염 거동 및 강도의 개선된 균형에 의해 구별되는 노화-안정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및 성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놀랍게도,
A) 선형 및/또는 분지형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77 내지 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83.5 내지 86.8 중량부 (성분 A + B + C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함),
B) B.1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의 쉘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9 중량% (각 경우에 그라프트 중합체 B를 기준으로 함), 및
B.2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의 1종 이상의 그라프트 베이스 95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7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1 내지 89 중량% (각 경우에 그라프트 중합체 B를 기준으로 함),
를 그라프트 중합체 6 내지 1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 중량부 (성분 A + B + C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함):
C) 하기 화학식 VIII에 따른 인 화합물 4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5.2 내지 6.5 중량부 (성분 A + B + C의 중량의 합을 기준으로 함):
<화학식 VII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로 할로-치환된 C1-C8-알킬, 각 경우에 임의로 할로- 및/또는 알킬-치환된 C5-C6-시클로알킬, C6-C10-아릴 또는 C7-C12-아르알킬을 나타내고,
치환기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내고,
치환기 q는 서로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N은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3, 가장 바람직하게는 1.06 내지 1.15를 나타내고,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4-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및/또는 브롬을 나타내고,
Y는 단일 결합, C1-C7-알킬리덴, C1-C7-알킬렌, C5-C12-시클로알킬렌, C5-C12-시클로알킬리덴, -O-, -S-, -SO-, -SO2- 또는 -CO-를 나타냄),
D) 적하 방지제 0 내지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6 중량부 (성분 A + B + C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함),
E) 열가소성 비닐 (공)중합체 (E.1)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E.2) 0 내지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 중량부 (성분 A + B + C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함); (특히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비닐 (공)중합체 (E.1)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E.2)를 함유하지 않음), 및
F) 추가의 첨가제 0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중량부 (성분 A + B + C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함)
를 포함하며,
여기서 성분 B 대 성분 D로부터의 인 함량의 중량비는 16 내지 22 대 1,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19 대 1의 범위에 있고,
고무-비함유 폴리알킬 (알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에 의해 바람직한 특성 프로파일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고,
여기서 본원의 모든 중량부 데이터는 조성물 내 성분 A+B+C의 중량부의 합이 100이 되도록 표준화되어 있다.
성분 A
본 발명에 따라 적절한 성분 A에 따른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문헌에 공지되어 있거나, 문헌에 공지된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관하여, 예를 들어, 문헌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1964] 및 DE-AS 1 495 626, DE-A 2 232 877, DE-A 2 703 376, DE-A 2 714 544, DE-A 3 000 610, DE-A 3 832 396 참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관하여, 예를 들어, DE-A 3 077 934 참조).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는, 예를 들어, 계면 방법에 따라, 임의로는 사슬 종결제, 예를 들어 모노페놀을 사용하여, 또한 임의로는 3개 또는 3개 초과의 관능기를 갖는 분지화제, 예를 들어 트리페놀 또는 테트라페놀을 사용하여, 디페놀과, 탄산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포스겐과의, 및/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디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벤젠디카르복실산 디할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해 수행된다. 디페놀을, 예를 들어 디페닐 카르보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용융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디페놀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I의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A는 단일 결합, C1- 내지 C5-알킬렌, C2- 내지 C5-알킬리덴, C5- 내지 C6-시클로알킬리덴, -O-, -SO-, -CO-, -S-, -SO2-, C6- 내지 C12-아릴렌 (여기에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추가의 방향족 고리가 융합될 수 있음) 또는 하기 화학식 II 또는 화학식 III의 라디칼이고:
<화학식 II>
Figure pct00003
<화학식 III>
Figure pct00004
,
각각의 치환기 B는 C1- 내지 C12-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및/또는 브롬을 나타내고,
치환기 x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p는 1 또는 0을 나타내고,
R7 및 R8은 각각의 X1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6-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X1은 탄소를 나타내고,
m은 4 내지 7,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의 정수를 나타내고, 단, 1개 이상의 원자 상에서 X1, R7 및 R8은 동시에 알킬이다.
바람직한 디페놀은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디히드록시디페놀, 비스-(히드록시페닐)-C1-C5-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C5-C6-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폭시드,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술폰 및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및 고리 상에서 브롬화 및/또는 염소화된 그의 유도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페놀은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페놀 A,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4,4'-디히드록시디페닐 술피드, 4,4'-디히드록시디페닐술폰 및 그의 디- 및 테트라-브롬화 또는 염소화된 유도체, 예컨대, 예를 들어,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이다. 디페놀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페놀은 문헌에 알려져 있거나, 문헌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득가능하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적절한 사슬 종결제는, 예를 들어, 페놀, p-클로로페놀, p-tert-부틸페놀 또는 2,4,6-트리브로모페놀뿐만 아니라 장쇄 알킬페놀, 예컨대 4-[2-(2,4,4-트리메틸펜틸)]-페놀, 4-(1,3-테트라메틸부틸)-페놀 (DE-A 2 842 005에 따른 것) 또는 알킬 치환기에 총 8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모노알킬페놀 또는 디알킬페놀, 예컨대 3,5-디-tert-부틸페놀, p-이소옥틸페놀, p-tert-옥틸페놀, p-도데실페놀 및 2-(3,5-디메틸헵틸)-페놀 및 4-(3,5-디메틸헵틸)-페놀이다. 사용하고자 하는 사슬 종결제의 양은 일반적으로 특정의 경우에서 사용된 디페놀의 몰합을 기준으로 하여 0.5 mol% 내지 10 mol%이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평균 중량-평균 분자량 (Mw, 예컨대 GPC, 초원심분리 또는 광산란 측정법으로 측정)은 10,000 내지 2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80,000 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24,000 내지 32,000 g/mol이다.
상기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공지의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디페놀의 합을 기준으로 하여, 3 또는 3 초과의 관능가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페놀 기를 갖는 화합물을 0.05 내지 2.0 mol%로 혼입시킴으로써 분지쇄를 형성할 수 있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모두 적합하다. 성분 A의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디페놀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5 중량%의 히드록시아릴옥시 말단 기를 갖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은 공지되어 있으며 (US 3 419 634), 문헌을 통해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함유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는 DE-A 3 334 782에 기술되어 있다.
비스페놀 A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외에도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디페놀의 몰 합계를 기준으로 하여, 앞에서 바람직하거나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언급한 것 이외의 디페놀, 특히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15 mol% 이하로 함유하는 비스페놀 A의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디할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디페닐 에테르 4,4'-디카르복실산 및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의 이산 디클로라이드이다.
특히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의 이산 디클로라이드의 1:20 내지 20:1 비율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서는, 탄산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포스겐이 이관능성 산 유도체로서 함께 추가로 사용된다.
앞서 언급한 모노페놀 이외에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사슬 종결제로서, 임의로 C1- 내지 C22-알킬 기 또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산 클로라이드뿐만 아니라 그의 클로로탄산 에스테르, 및 지방족 C2- 내지 C22-모노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도 고려된다.
사슬 종결제의 양은, 페놀계 사슬 종결제의 경우에는 디페놀의 몰을 기준으로, 또한 모노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 사슬 종결제의 경우에는 디카르복실산 디클로라이드의 몰을 기준으로 각 경우에 0.1 내지 10 mol%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또한 여기에 혼입된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함유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공지된 방식으로 선형 및 분지형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DE-A 2 940 024 및 DE-A 3 007 934 참조).
분지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사용된 디카르복실산 디클로라이드를 기준으로) 0.01 내지 1.0 mol%의 양의, 3 이상의 관능가를 갖는 카르복실산 클로라이드, 예컨대 트리메스산 트리클로라이드, 시아누르산 트리클로라이드,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테트라클로라이드,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테트라클로라이드 또는 피로멜리트산 테트라클로라이드, 또는 사용된 디페놀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mol%의 양의, 3 이상의 관능가를 갖는 페놀, 예컨대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트-2-엔,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또는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을 사용할 수 있다. 페놀계 분지화제를 디페놀과 함께 반응 용기에 도입할 수 있고; 산 클로라이드 분지화제는 산 디클로라이드와 함께 도입할 수 있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중 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의 비율은 원하는 바 대로 변경할 수 있다. 카르보네이트 기의 함량은 에스테르 기 및 카르보네이트 기의 합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0 mol% 이하, 특히 80 mol%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mol% 이하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에 함유된 에스테르 및 카르보네이트는 모두, 중축합 생성물 중에 블록 형태로 혹은 무작위적 분포 방식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상대 용액 점도 (ηrel)는 1.18 내지 1.4 범위,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32 범위 (25℃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 100 ml 중의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0.5 g의 용액에 대해 측정함)이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그 자체로 또는 임의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B
그라프트 공중합체 B는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예를 들어 유화, 현탁, 용액 또는 괴상 중합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유화 또는 괴상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적합한 단량체 B.1은 비닐 단량체, 예컨대 비닐 방향족 화합물 및/또는 고리 상에 치환된 비닐 방향족 화합물 (예컨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메타크릴산 (C1-C8)-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C1-C8)-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유기 산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또는 비닐 시아나이드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예컨대 무수물과 이미드)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및 N-페닐-말레이미드)이다. 이러한 비닐 단량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단량체 B.1은 단량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단량체 B.1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라프트 베이스 B.2의 유리 전이 온도는 < 10℃, 바람직하게는 < 0℃, 특히 바람직하게는 < -20℃이다. 그라프트 기재 B.2의 평균 입자 크기 (d50 값)는 일반적으로 0.05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5 ㎛, 특히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1 ㎛이다.
평균 입자 크기 d50은 각 경우에 입자의 50 중량%가 그 값 초과 및 미만에 있는 직경이다. 이는 초원심분리 측정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문헌 [W. Scholtan, H. Lange, Kolloid-Z. und Z. Polymere 250 (1972), 782-796]).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는 그라프트 베이스 B.2로서 이용된다. 이러한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중량%의 실리콘 고무 성분 및 90 내지 10 중량%의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고무 성분을 함유하는 그라프트-활성 부위를 갖는 복합 고무이고, 상기 두 고무 성분은 복합 고무 내에서 상호침투되어 실질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없다.
복합 고무중의 실리콘 고무 성분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최종 수지 조성물은 불리한 표면 특성을 지니며, 쉽게 착색될 수 없다. 반대로, 복합 고무중의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고무 성분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최종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가 불리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는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US 5,807,914, EP 430134 및 US 4888388에 기재되어 있다.
B.2에 따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에 대한 적합한 실리콘 고무 성분 B.2.1은 그라프트-활성 부위를 갖는 실리콘 고무이고, 그의 제조 방법이, 예를 들어, US 2891920, US 3294725, DE-OS 3 631 540, EP 249964, EP 430134 및 US 4888388에 기재되어 있다.
B.2.1에 따른 실리콘 고무는 유화 중합에 의하여 제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실록산 단량체 구조 단위, 가교제 또는 분지화제 (IV) 및 임의로 그라프팅제 (V)를 사용한다.
실록산 단량체 구조 단위로서,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실록산 또는 3개 이상의 고리원,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개의 고리원을 갖는 시클릭 오르가노실록산, 예컨대,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트리메틸-트리페닐-시클로트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옥타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을 사용한다.
오르가노실록산 단량체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단량체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오르가노실록산을 5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 함유한다.
가교제 또는 분지화제 (IV)로서, 바람직하게는 관능가가 3 또는 4, 특히 바람직하게는 4인 실란-기재 가교제를 사용한다. 언급할 수 있는 바람직한 예는 트리메톡시메틸실란, 트리에톡시페닐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및 테트라부톡시실란을 포함한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가교제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테트라에톡시실란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교제를 실리콘 고무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4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한다. 가교제의 양은 톨루엔 중에서 측정된 실리콘 고무의 팽윤도가 3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5,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이도록 선택한다. 상기 팽윤도는 25℃에서 톨루엔에 의해 포화되는 경우 실리콘 고무에 의해 흡수된 톨루엔의 양 및 건조 상태의 실리콘 고무의 양의 중량비로 정의된다. 팽윤도의 측정은 EP 249964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팽윤도가 3보다 작을 경우, 즉 가교제의 함량이 너무 클 경우, 실리콘 고무는 적절한 고무 탄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팽윤 지수가 30보다 클 경우, 실리콘 고무는 매트릭스 중합체 내에서 도메인 구조를 형성할 수 없으며, 그리하여 충격 강도를 개선시킬 수 없어서 효과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의 단순 첨가와 유사하게 된다.
사관능성 가교제가 삼관능성 가교제에 비하여 바람직한데, 이는 팽윤도가 상기 한계치 내에서 더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적합한 그라프팅제 (V)는 하기 화학식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V-1>
Figure pct00005
<화학식 V-2>
Figure pct00006
또는
<화학식 V-3>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R9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10은 C1-C4-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또는 페닐을 나타내고,
n은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p는 1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낸다.
아크릴로일- 또는 메타크릴로일-옥시실란은 특히 상기 구조 (V-1)을 형성하는데 적합하고 그들은 높은 그라프팅 효율을 갖는다. 그 결과, 그라프트 쇄의 효과적인 형성이 확보되고 따라서 생성된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가 바람직하게 영향을 받는다. 언급될 수 있는 바람직한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β-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톡시메틸-실란, 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톡시디메틸-실란, 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톡시메틸-실란, 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톡시디에틸-실란, 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에톡시메틸-실란, δ-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에톡시메틸-실란 또는 그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20 중량%의 그라프팅제를 사용한다.
실리콘 고무를, 예를 들어 US 2891920 및 US 329472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리콘 고무는 수성 라텍스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이를 위해, 오르가노실록산, 가교제 및 임의로는 그라프팅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예를 들어 균질화기에 의해, 전단 하에, 술폰산, 예컨대, 예를 들어 알킬벤젠술폰산 또는 알킬술폰산 기재 유화제의 존재 하에 물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완전히 중합하여 실리콘 고무 라텍스를 형성하였다. 알킬벤젠술폰산은 유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중합 개시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특히 적합하다. 이 경우에, 알킬벤젠술폰산의 금속염 또는 알킬술폰산의 금속염과 술폰산의 배합물이 유리한데, 이는 중합체가 후속 그라프트 중합 동안 안정화되기 때문이다.
중합 후에, 알칼리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수산화칼륨 수용액 또는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반응 혼합물을 중화시켜 반응을 종결한다.
B.2에 따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의 적합한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고무 성분 B.2.2를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또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가교제 (VI) 및 그라프팅제 (VII)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또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예는 C1- 내지 C8-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부틸, tert-부틸, n-프로필, n-헥실, n-옥틸, n-라우릴 및 2-에틸헥실 에스테르; 할로알킬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할로-C1-C8-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클로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단량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n-부틸 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고무의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고무 성분에 대한 가교제 (VI)로서 1개 초과의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가교 단량체의 바람직한 예는 3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및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불포화 1가 알콜, 또는 2 내지 4개의 OH 기 및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폴리올,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1,4-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이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가교제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그라프팅제 (VII)의 예는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알릴 메타크릴레이트는 또한 가교제 (VI)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라프팅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그라프팅제의 혼합물로 이용될 수 있다.
가교제 (VI) 및 그라프팅제 (VII)의 양은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고무의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고무 성분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0 중량%이다.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는 수성 라텍스로서 B.2.1에 따른 실리콘 고무를 우선 생성하여 제조된다. 이어서 상기 라텍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또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가교제 (VI) 및 그라프팅제 (VII)로 풍부하게 하고, 중합을 실시한다. 자유 라디칼, 예를 들어 퍼옥시드, 아조 또는 산화환원 개시제에 의해 개시되는 유화 중합이 바람직하다. 산화환원 개시제 시스템, 특히 황산철, 디나트륨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롱갈리트 및 히드로퍼옥시드의 배합에 의해 제조된 술폭실레이트 개시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실리콘 고무의 제조에 사용되는 그라프팅제 (V)는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고무 성분을 실리콘 고무 성분에 공유 결합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중합에서, 두 고무 성분이 상호침투하여 복합체 고무를 형성하고, 이는 중합 후에 그의 구성성분인 실리콘 고무 성분 및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고무 성분으로 더이상 분리될 수 없다.
성분 B)로서 언급된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그라프트 고무 B의 제조의 경우, 단량체 B.1이 고무 기재 B.2 상으로 그라프팅된다.
예를 들어 EP 249964, EP 430134 및 US 4888388에 기재된 중합 방법을 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프트 중합을 하기 중합 방법에 따라 실시한다: 자유 라디칼에 의해 개시되는 단일- 또는 다-단계 유화 중합에서, 목적하는 비닐 단량체 B.1을 수성 라텍스의 형태인 그라프트 베이스 상에 중합시킨다. 그라프팅 효율은 가능한 한 높아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그라프팅 효율은 사용되는 그라프팅제 (V) 또는 (VII)에 실질적으로 의존한다.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고무로의 중합 후에, 수성 라텍스를 금속 염, 예컨대, 예를 들어 염화칼슘 또는 황산마그네슘이 미리 용해된 고온의 물에 첨가한다. 이로써,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고무가 응고되어 후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성분 B)로서 언급된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그라프트 고무는 시판된다. 언급될 수 있는 예는 메타블렌(Metablen)® SX 005, 메타블렌® S-2030 및 메타블렌® SRK 200 (미쓰비시 레이온 코. 리미티드(Mitsubishi Rayon Co. Ltd)) 포함한다.
성분 C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조성물은 방염제로서 하기 화학식 VIII의 인화합물:
<화학식 VIII>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라디칼은 상기 주어진 의미를 가짐) 및 임의로는 N = 0이고 R1, R2, R4 및 n이 상기 주어진 의미를 갖는 화학식 VIII에 따른 일가인(monophosphorus)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적절한 성분 C의 인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Ullmanns Encyklopaedie der Technischen Chemie, Vol. 18, p. 301 ff. 1979;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 12/1, p. 43; Beistein, Vol. 6, p. 177] 참조)
바람직한 치환기 R1 내지 R4는 메틸, 부틸, 옥틸, 클로로에틸, 2-클로로프로필, 2,3-디브로모프로필, 페닐, 크레실, 쿠밀, 나프틸, 클로로페닐, 브로모페닐, 펜타클로로페닐 및 펜타브로모페닐을 포함한다. 메틸, 에틸, 부틸, 페닐 및 나프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방향족 기 R1, R2, R3 및 R4는 할로겐에 의하고/거나 C1-C4-알킬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아릴 라디칼은 크레실, 페닐, 크실레닐, 프로필페닐 또는 부틸페닐 뿐만 아니라 그의 브롬화 및 염소화 유도체이다.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브롬을 나타낸다.
Y는 바람직하게는 C1-C7-알킬렌, 특히 이소프로필리덴 또는 메틸렌,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리덴을 나타낸다.
화학식 I의 치환기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일 수 있고; n은 바람직하게는 1이다.
q는 0, 1, 2, 3 또는 4일 수 있고; q는 바람직하게는 0, 1 또는 2이고; q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0이다.
다양한 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분 C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N은 평균 값을 갖는다. 일가인 화합물 (N = 0)이 또한 상기 혼합물에 존재할 수 있다. N의 평균 값으로서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특히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3, 가장 바람직하게는 1.06 내지 1.15의 값을 가정할 수 있다.
평균 N 값은 적합한 방법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GC),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또는 기체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를 이용하여 포스페이트 혼합물의 조성 (분자량 분포)을 측정하고, 그로부터 평균 N 값을 계산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적하방지제 D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하방지제로서 바람직하게는 불소화 폴리올레핀 D를 포함할 수 있다. 불소화 폴리올레핀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EP-A 640 655 참조). 시판 제품은, 예를 들어, 듀폰(DuPont)으로부터의 테플론(Teflon)®30N이다.
불소화 폴리올레핀은 또한 불소화 폴리올레핀의 에멀젼과, 그라프트 중합체 B)의 에멀젼 또는 공중합체 E.1)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기재)의 에멀젼과의 응고된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에멀젼 형태의 불소화 폴리올레핀은 그라프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에멀젼과 혼합된 후에 응고된다.
불소화 폴리올레핀은 또한 그라프트 중합체 B) 또는 공중합체 E.1)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기재)와의 예비-화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불소화 폴리올레핀은 분말의 형태로서 그라프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분말 또는 과립과 혼합되고, 일반적으로 200 내지 330℃의 온도에서 종래 장치, 예컨대 내부 혼련기, 압출기 또는 이축 압출기에서 용용 배합된다.
또한, 불소화 폴리올레핀은 불소화 폴리올레핀의 수성 분산액의 존재 하에 1종 이상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마스터배치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단량체 성분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중합체는 산 침전 및 후속 건조 후에 유동성 분말 형태로 사용된다.
응고물, 예비-화합물 및 마스터배치는 통상적으로 5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60 중량%의 불소화 폴리올레핀의 고체 함량을 갖는다.
성분 E
성분 E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비닐 (공)중합체 E.1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E.2를 포함한다.
적합한 비닐 (공)중합체 E.1은 비닐 방향족 화합물, 비닐 시아나이드 (불포화 니트릴),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예컨대 무수물 및 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의 1종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체이다. 하기의 (공)중합체가 특히 적합하다:
E.1.1 50 내지 9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부의, 비닐 방향족 화합물 및/또는 고리 상에서 치환된 비닐 방향족 화합물 (예컨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
E.1.2 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부의, 비닐 시아나이드 (불포화 니트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예컨대 말레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예컨대 무수물 및 이미드)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및 N-페닐말레이미드).
비닐 (공)중합체 E.1은 수지상이고, 열가소성이며, 고무를 함유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E.1.1 스티렌 및 E.1.2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E.1에 따른 (공)중합체는 공지되어 있으며, 자유-라디칼 중합, 특히 유화, 현탁, 용액 또는 괴상 중합에 의해 제조가능하다. 상기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 Mw (중량-평균, 광산란법 또는 침강법으로 측정)는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200,000이다.
성분 E.2의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컨대 디메틸 에스테르 또는 무수물, 및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아르지방족 디올의 반응 생성물, 및 이들 반응 생성물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기초로 하여 8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의 테레프탈산 라디칼 및, 디올 성분을 기초로 하여 8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mol% 이상의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1,4-부탄디올 라디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라디칼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8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방향족 또는 지환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4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의 라디칼, 예컨대, 예를 들어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시산, 4,4'-디페닐디카르복시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박산, 아젤라산, 시클로헥산디아세트산의 라디칼을 20 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mol% 이하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에틸렌 글리콜 또는 1,4-부탄디올 라디칼 뿐만 아니라,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다른 지방족 디올 또는 6 내지 2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올, 예를 들어, 1,3-프로판디올, 2-에틸-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3-에틸-2,4-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5-헥산디올, 1,4-디-(β-히드록시에톡시)-벤젠,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 2,4-디히드록시-1,1,3,3-테트라메틸-시클로부탄, 2,2-비스-(4-베타-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4-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의 라디칼을 20 mol%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mol%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DE-A 2 407 674, 2 407 776, 2 715 932).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어 DE-A 1 900 270 및 US-PS 3 692 744에 따라 비교적 소량의 트리- 또는 테트라-수소 알콜 또는 트리- 또는 테트라-염기성 카르복시산의 혼입에 의해 분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분지화제의 예로는 트리메스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틸올-에탄 및 -프로판 및 펜타에리트리톨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오로지 테레프탈산 및 그의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어, 그의 디알킬 에스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1,4-부탄디올만으로부터 제조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러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이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혼합물은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50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중량%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페놀/o-디클로로벤젠 (1:1 중량부) 중에서 25℃에서 우베로드 점도계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가 0.4 내지 1.5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 ㎗/g이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Kunststoff-Handbuch, Volume VIII, p. 695 ff, Carl-Hanser-Verlag, Munich 1973] 참조).
추가의 첨가제 F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조성물은 종래 첨가제, 예컨대, 예를 들어, 윤활제 및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화제, 착색제 및 안료뿐만 아니라 충전제 및 보강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성분 F는 또한 2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nm 이하, 특히 1 내지 100 nm의 평균 입자 직경에 의해 구별되는 매우 미분된 무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매우 미분된 무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주기율표의 주족 1 내지 5 또는 부족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주족 2 내지 5 또는 부족 4 내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주족 3 내지 5 또는 부족 4 내지 8의 1종 이상의 금속의 1종 이상의 극성 화합물, 또는 이러한 금속과 산소, 수소, 황, 인, 붕소, 탄소, 질소 또는 규소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와의 화합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옥시드, 히드록시드, 물-함유 옥시드, 술페이트, 술파이트, 술피드, 카르보네이트, 카바이드, 니트레이트, 니트라이트, 니트라이드, 보레이트, 실리케이트, 포스페이트, 히드라이드,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이다. 매우 미분된 무기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옥시드, 포스페이트, 히드록시드, 바람직하게는 TiO2, SiO2, SnO2, ZnO, ZnS, 보에마이트, ZrO2, Al2O3,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산화철, 또한 TiN, WC, AlO(OH), Fe2O3, 산화철, NaSO4, 바나듐 옥시드, 아연 보레이트, 실리케이트, 예컨대 Al 실리케이트, Mg 실리케이트, 1-, 2- 및 3-차 실리케이트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다. 혼합물 및 도핑된 화합물이 마찬가지로 이용될 수 있다. 이들 매우 미분된 무기 화합물은 중합체와의 더 우수한 상용성을 달성하기 위해 유기 분자로 추가로 표면-개질될 수 있다. 소수성 또는 친수성 표면이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화물-함유 산화알루미늄 (예를 들어, 보에마이트) 또는 TiO2이다.
입자 크기 및 입자 직경은 항상 문헌 [W. Scholtan et al ., Kolloid-Z. und Z. Polymere 250 (1972), p. 782-796]에 따른 초원심분리기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평균 입자 직경 d50을 의미한다.
무기 화합물은 분말, 페이스트, 졸, 분산액 또는 현탁액 형태로 있을 수 있다. 분말은 분산액, 졸 또는 현탁액으로부터 침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무기 화합물은 종래 과정에 따라, 예를 들어 성형 조성물 및 매우 미분된 무기 화합물의 직접 혼련 또는 압출에 의해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과정은, 예를 들어, 단량체 또는 용매 중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성분 및 방염 첨가제의 마스터배치의 제조, 또는 열가소성 성분 및 매우 미분된 무기 화합물의 공동침전, 예를 들어 수성 에멀젼 및 매우 미분된 무기 화합물 (임의로는 매우 미분된 무기 물질의 분산액, 현탁액, 페이스트 또는 졸의 형태임)의 공동 침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의 구성성분들을 공지된 방식으로 혼합하고, 이를 내부 혼련기, 압출기 및 이축 압출기와 같은 통상의 장치에서 2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용융 압출 또는 용융 배합시킴으로써 제조한다. 개별 구성성분들의 혼합은, 공지된 방식으로, 약 20℃ (실온) 및 보다 고온에서, 연속하여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조성물 및 성형 조성물은, 높은 노화 안정성 및 열 하에서의 높은 치수 안정성을 가짐과 동시에, 내연성 및 강도의 우수한 조화로 인해, 임의의 종류의 성형체의 제조에서 적합하다. 열 하에서의 그의 치수 안정성 및 레올로지 특성에 기인하여, 240℃ 초과의 가공 온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성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성형체의 제조에서의 상기 성형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성형 조성물은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체로 가공될 수 있거나 성형 조성물이 시트 또는 필름으로 압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미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으로부터 열성형에 의해 성형체를 제조하는 것을 추가로 제공한다.
성형체는 다음의 응용에 적합하다: 자동차, 버스, 로리, 모터 카라반, 궤도 차량, 항공기, 선박 또는 기타 차량의 차량 외장 부품 또는 내장 부속품, 건설 분야용 커버 플레이트, 편평 벽 요소, 파티션 벽, 보호 벽 및 모서리를 위한 스트립, 전기 설비 배관을 위한 프로파일, 케이블 가이드, 컨덕터 레일 커버, 창호 프로파일, 가구 부품 및 교통 표지판. 성형체는 다음의 응용에서 특히 적합하다: 승용 차량, 버스, 로리, 모터 카라반, 궤도 차량 및 항공기를 위한 차량 외장 부품 또는 내장 부속품. 성형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버스, 로리 또는 모터 카라반의 측벽, 에어백 및/또는 통풍기용 클래딩 및/또는 커버, 사이드 부품 및 핸들 또는 머리받침대 또는 보관 구역의 부품의 제조에서 적합하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성분 A-1:
용매로서의 CH2Cl2 중에서 25℃에서 0.5 g/100 ml의 농도에서 측정한 상대적 용액 점도 ηrel가 1.28인 비스페놀 A계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A-2:
용매로서의 CH2Cl2 중에서 25℃에서 0.5 g/100 ml의 농도에서 측정한 상대적 용액 점도 ηrel가 1.20인 비스페놀 A계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A-3:
용매로서의 CH2Cl2 중에서 25℃에서 0.5 g/100 ml의 농도에서 측정한 상대적 용액 점도 ηrel가 1.33이며, 비스페놀 A 및 이사틴비스크레졸의 합을 기준으로 하여 0.3 mol%의 이사틴비스크레졸의 첨가로 분지화된 비스페놀 A계 분지형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B-1: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의 그라프트 베이스 85 중량% 상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쉘 15 중량%의 그라프트 중합체.
성분 B-2 (비교):
폴리부타디엔 고무의 그라프트 베이스 75% 상의 SAN (스티렌 대 아크릴로니트릴 중량비 = 72:28)의 쉘 25 중량%의 그라프트 중합체.
성분 B-3 (비교):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그라프트 베이스 80 중량% 상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의 쉘의 20 중량%의 그라프트 중합체.
성분 C:
하기 화학식 VIIIa에 따른 비스페놀-A-계 올리고포스페이트 (레오포스(Reofoss) BAPP)
<화학식 VIIIa>
Figure pct00009
성분 D: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 CFP 6000 N, 듀폰.
성분 F:
F-1: 윤활제/이형제로서의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F-2: 포스파이트 안정화제, 이르가녹스(Irganox)® B 900,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Ciba Speciality Chemicals, 스위스 바젤).
F-3: 퓨랄(Pural)® 200, 사솔(Sasol, 도일 함부르크)의 산화알루미늄 수산화물.
[표]
Figure pct00010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1 내지 3만이 노화-내성 고무와 우수한 난연성과 함께 열 하에서의 높은 강도 및 높은 치수 안정성의 유리한 조합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준다. 비교 실시예 4는 부타디엔-계 그라프트 고무 베이스를 갖는 성분 B를 함유하고 있고, 부적절한 노화 안정성만을 가졌다. 비교 실시예 5는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그라프트 고무 베이스를 갖는 성분 B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 조성물은 저온 강도 및 내연성 면에서의 높은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성분 D로부터의 인 함량에 대한 성분 B (충격 개질제)의 불리한 비율은 부적당한 방염 (비교 실시예 6) 또는 더 불량한 강도 (비교 실시예 7)를 야기하였다.

Claims (14)

  1. A) 선형 및/또는 분지형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77 내지 90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
    B) B.1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의 쉘 5 내지 30 중량% (각 경우에 그라프트 중합체 B를 기준으로 함), 및
    B.2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의 1종 이상의 그라프트 베이스 95 내지 70 중량% (각 경우에 그라프트 중합체 B를 기준으로 함)
    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중합체 6 내지 12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
    C) 하기 화학식 VIII에 따른 인 화합물 4 내지 10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
    <화학식 VIII>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로 할로-치환된 C1-C8-알킬, 각 경우에 임의로 할로- 및/또는 알킬-치환된 C5-C6-시클로알킬, C6-C10-아릴 또는 C7-C12-아르알킬을 나타내고,
    치환기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나타내고,
    치환기 q는 서로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를 나타내고,
    N은 0.1 내지 10을 나타내고,
    R5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C1-C4-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및/또는 브롬을 나타내고,
    Y는 단일 결합, C1-C7-알킬리덴, C1-C7-알킬렌, C5-C12-시클로알킬렌, C5-C12-시클로알킬리덴, -O-, -S-, -SO-, -SO2- 또는 -CO-를 나타냄),
    D) 적하방지제 0 내지 3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
    E) 열가소성 비닐 (공)중합체 (E.1)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E.2) 0 내지 3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 (특히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비닐 (공)중합체 (E.1)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E.2)를 함유하지 않음), 및
    F) 추가의 첨가제 0 내지 20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
    를 포함하고,
    여기서 성분 B 대 성분 D로부터의 인 함량의 중량비는 16 내지 22 대 1,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19 대 1의 범위에 있고,
    고무-비함유 폴리알킬 (알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 8.5 내지 10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단량체 B.1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성분 C 5.2 내지 6.5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를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N의 평균 값이 0.1 내지 10인 화학식 VIII에 따른 모노포스페이트 및 올리고포스페이트의 혼합물을 성분 C로서 포함하는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N이 1.06 내지 1.15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성분 D 0.1 내지 0.6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를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비닐 (공)중합체 (E.1) 및/또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E.2)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성분 F 0.1 내지 10 중량부 (성분 A + B + C의 합을 기준으로 함)를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윤활제 및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화제, 착색제, 안료, 충전제, 보강제 및 매우 미분된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성분 F로서 포함하고, 여기서 매우 미분된 무기 화합물은 200 nm 이하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것인 조성물.
  11. 사출성형 또는 열형성된 성형체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자동차, 버스, 로리, 모터 카라반, 궤도 차량, 선박 또는 다른 차량의 부품이거나, 건설 분야용 커버 플레이트, 편평 벽 요소, 파티션 벽, 보호 벽 및 모서리를 위한 스트립, 전기 설비 배관을 위한 프로파일, 케이블 가이드, 컨덕터 레일 커버, 창호 프로파일, 가구 부품 또는 교통 표지판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자동차, 버스, 로리 또는 모터 카라반의 측벽, 에어백 또는 통풍기의 클래딩 또는 커버, 사이드 부품, 핸들 또는 머리받침대 또는 보관 구역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KR1020117022160A 2009-03-25 2010-03-16 방염성 충격-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KR101757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4878A DE102009014878A1 (de) 2009-03-25 2009-03-25 Flammgeschützte schlagzähmodifizier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DE102009014878.7 2009-03-25
PCT/EP2010/001642 WO2010108618A1 (de) 2009-03-25 2010-03-16 Flammgeschützte schlagzähmodifizier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418A true KR20120004418A (ko) 2012-01-12
KR101757938B1 KR101757938B1 (ko) 2017-07-13

Family

ID=4217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160A KR101757938B1 (ko) 2009-03-25 2010-03-16 방염성 충격-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710127B2 (ko)
EP (1) EP2411461B1 (ko)
JP (1) JP5519768B2 (ko)
KR (1) KR101757938B1 (ko)
CN (1) CN102361923B (ko)
BR (1) BRPI1014195A2 (ko)
CA (1) CA2756235A1 (ko)
DE (1) DE102009014878A1 (ko)
ES (1) ES2542554T3 (ko)
MX (1) MX2011009831A (ko)
TW (1) TWI481662B (ko)
WO (1) WO20101086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084A (ko) * 2014-01-28 2016-10-04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폴리머 인 난연제를 갖는 무할로겐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성형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0927A1 (de) * 2007-08-30 2009-03-05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schlagzähmodifizierter gefüllter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EP2657298A1 (de) * 2012-04-27 2013-10-30 Bayer MaterialScience AG PC/ABS-Zusammensetzungen mit guter thermischer und chemischer Beständigkeit
WO2014062573A1 (en) * 2012-10-17 2014-04-24 Polyone Corporation Flame retardant polylactic acid compounds
CN106700471A (zh) * 2016-12-19 2017-05-24 合肥会通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化学品阻燃聚碳酸酯材料及其制备方法
CN108752901B (zh) * 2018-06-26 2021-02-05 浙江威思康塑胶有限公司 一种芳香族聚碳酸酯材质的封边条及其生产方法
EP3786226A1 (en) 2019-08-27 2021-03-03 Trinseo Europe GmbH Stabilized 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and vinylidene substituted aromatic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1920A (en) 1955-01-26 1959-06-23 Dow Corning Polymerization of organopolysiloxanes in aqueous emulsion
DE1495626B1 (de) 1960-03-30 1971-06-09 Bayer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polyestern
GB1024024A (en) 1963-04-08 1966-03-30 Dow Corni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lymerising or co-polymerising organosilicon compounds
US3419634A (en) 1966-01-03 1968-12-31 Gen Electric Organopolysiloxane polycarbonate block copolymers
FR1580834A (ko) 1968-01-04 1969-09-12
DE2232877B2 (de) 1972-07-05 1980-04-10 Werner & Pfleiderer, 7000 Stuttgar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n
JPS5039599B2 (ko) 1973-03-30 1975-12-18
DE2407776A1 (de) 1974-02-19 1975-09-04 Licentia Gmbh Schaltung zur regelung der betriebsspannung fuer die transistor-zeilenendstufe eines fernsehempfaengers
JPS5292295A (en) 1976-01-29 1977-08-03 Sumitomo Chem Co Ltd Preparation of aromatic polyester
IT1116721B (it) 1976-04-02 1986-02-10 Allied Chem Copolimero bisfenolo a tereftalato carbonato lavorabili in massa fusa
DE2715932A1 (de) 1977-04-09 1978-10-19 Bayer Ag Schnellkristallisierende poly(aethylen/alkylen)-terephthalate
DE2842005A1 (de) 1978-09-27 1980-04-10 Bayer Ag Polycarbonate mit alkylphenyl-endgrupp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S5594930A (en) 1979-01-10 1980-07-18 Sumitomo Chem Co Ltd Preparation of aromatic polyester by improved bulk polymerization process
DE2940024A1 (de) 1979-10-03 1981-04-16 Bayer Ag, 5090 Leverkusen Aromatische poly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spritzgussartikeln, folien und ueberzuegen
DE3007934A1 (de) 1980-03-01 1981-09-17 Bayer Ag, 5090 Leverkusen Aromatische polyestercarbon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spritzgussartikeln, folien und ueberzuegen
DE3334782A1 (de) 1983-04-19 1984-10-25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diorganosiloxanen mit hydroxyaryloxy-endgruppen
CA1302602C (en) 1986-06-17 1992-06-02 Masafumi Hongo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DE3631540A1 (de) 1986-09-17 1988-03-24 Bayer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hoher alterungsbestaendigkeit und guter tieftemperaturzaehigkeit
US4888388A (en) 1987-09-21 1989-12-19 Mitsubishi Rayon Company Limit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DE3832396A1 (de) 1988-08-12 1990-02-15 Bayer Ag Dihydroxydiphenylcycloalkan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n polycarbonaten
DE69027976T2 (de) 1989-11-27 1997-03-06 Mitsubishi Rayon Co Hochschlagfeste Pfropfkopolymere und Harzzusammensetzungen
EP0635547A3 (en) 1993-07-23 1995-05-10 Gen Electric Flame retardant,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reduced gloss.
DE4328656A1 (de) 1993-08-26 1995-03-02 Bayer Ag Flammwidrige, spannungsrißbeständige Polycarbonat-ABS-Formmassen
JP3841312B2 (ja) * 1994-05-27 2006-11-0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
US5807914A (en) 1995-07-05 1998-09-15 Mitsubishi Engineering-Plastics Corporation Glass fiber-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TWI234574B (en) 1997-05-06 2005-06-21 Idemitsu Kosan Co Battery pack obtained from a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H1121441A (ja) * 1997-05-06 1999-01-26 Idemitsu Petrochem Co Ltd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成形してなるハウジング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DE10010941A1 (de) * 2000-03-06 2001-09-13 Bayer Ag Flammwidrige Polycarbonat-Formmassen
DE10061080A1 (de) 2000-12-08 2002-06-13 Bayer Ag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US6492486B1 (en) 2000-12-08 2002-12-1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making polycarbonates
JP3563711B2 (ja) * 2001-05-10 2004-09-08 帝人化成株式会社 反射板
KR100957883B1 (ko) * 2002-07-29 2010-05-13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화합물
DE10304159A1 (de) 2003-02-03 2004-08-05 Bayer Ag Flammwidrige Polycarbonat-Blends
DE102006012990A1 (de) * 2006-03-22 2007-09-27 Bayer Materialscience Ag Flammgeschützte schlagzähmodifizier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DE102006012988A1 (de) * 2006-03-22 2007-09-27 Bayer Materialscience Ag Flammgeschützte schlagzähmodifizier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US8217101B2 (en) * 2007-03-02 2012-07-10 Bayer Materialscience Llc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JP5175493B2 (ja) * 2007-06-28 2013-04-03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成形品および成形品の製造方法
US7799848B2 (en) * 2007-11-30 2010-09-21 Bayer Materialscience Llc Impact resistant,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084A (ko) * 2014-01-28 2016-10-04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폴리머 인 난연제를 갖는 무할로겐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성형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49290A1 (en) 2010-09-30
CA2756235A1 (en) 2010-09-30
US8710127B2 (en) 2014-04-29
JP2012521446A (ja) 2012-09-13
TWI481662B (zh) 2015-04-21
EP2411461A1 (de) 2012-02-01
TW201111441A (en) 2011-04-01
CN102361923B (zh) 2015-07-29
EP2411461B1 (de) 2015-04-22
CN102361923A (zh) 2012-02-22
KR101757938B1 (ko) 2017-07-13
BRPI1014195A2 (pt) 2016-04-26
JP5519768B2 (ja) 2014-06-11
MX2011009831A (es) 2011-10-06
ES2542554T3 (es) 2015-08-06
DE102009014878A1 (de) 2010-09-30
WO2010108618A1 (de)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6725C (en) Flameproofed impact-resistance modifi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CA2748327C (en) Flame-protected impact strength modified polycarbonate compounds
US8178603B2 (en) Flameproofed impact-modifi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KR101407893B1 (ko) 방염성 충격개질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US8530551B2 (en) Flame-retardant impact-modified battery boxes based on polycarbonate I
US8318857B2 (en) Impact-modifi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KR101757938B1 (ko) 방염성 충격-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MXPA04009197A (es) Composicion de policarbonato con resistencia modificada al impacto, que contiene talco calcinado.
KR20110020823A (ko) 내충격-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US8461260B2 (en) Impact-modifi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KR20100096185A (ko) 방염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