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374A -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 Google Patents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374A
KR20120004374A KR1020110136620A KR20110136620A KR20120004374A KR 20120004374 A KR20120004374 A KR 20120004374A KR 1020110136620 A KR1020110136620 A KR 1020110136620A KR 20110136620 A KR20110136620 A KR 20110136620A KR 20120004374 A KR20120004374 A KR 20120004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rrier
storage tank
adhesive
mounting
l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709B1 (ko
Inventor
한성종
김민홍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7Coating heads with several outlets, e.g. aligned transversally to the moving direction of a web to be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8Panellings; Lin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선체 내벽과 1차 방벽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 설치되는 하부 단열 보드, 주 2차 방벽 및 상부 단열 보드 중 이웃하는 상기 상부 단열 보드 사이로 노출되어 서로 이격되는 상기 주 2차 방벽의 노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을 주행시키는 구동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어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 상기 단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단속부를 통과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혼합부, 및 상기 혼합부에 장착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상기 노출부에 도포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APPARATUS FOR COATING ADHESIVE FOR MOUNTING SECONDARY BARRIER OF LNG STORAGE TANK}
본 발명은 이액형 접착제를 시공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섭씨 -163도로 냉각하여 부피를 1/600로 줄인 무색 투명한 액체 상태이다.
액화천연가스를 수송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또는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하여 저장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초저온 상태로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탱크를 구비한다.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는 내부에 단열 및 불투과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면,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는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천연가스에 직접 접촉되는 1차 방벽, 1차 방벽을 단열 지지하는 상부 단열 보드, 1차 방벽에서 누액된(leaked) 액화천연가스에 접촉되는 2차 방벽, 및 2차 방벽을 단열 지지하는 하부 단열 보드를 구비한다.
하부 단열 보드는 단위 면적을 가지고 복수로 내부 선체에 배치되므로 인접하는 하부 단열 보드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다. 이로 인하여, 2차 방벽은 복수의 하부 단열 보드 상의 주 2차 방벽과, 이웃하는 주 2차 방벽을 연결하는 보조 2차 방벽으로 구성된다.
상부 단열 보드는 주 2차 방벽들 각각에 하부 단열 보드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므로 주 2차 방벽에 노출부를 형성한다. 이 노출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보조 2차 방벽을 부착함으로써 2차 방벽이 완성된다.
이를 위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0626486호에서, 2차 방벽의 노출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 상에 스트립을 가압하여 스트립을 접합하는 스트립 접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스트립 접합 장치는 스트립에 접착제를 코팅하는 코팅수단과 스트립의 접착제를 노출부에 부착하는 도포수단을 구비하므로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선행문헌 1 : 한국 등록 특허 제06264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액형 접착제를 주 2차 방벽의 노출부에 도포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내부 선체와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 설치되는 하부 단열 보드, 주 2차 방벽 및 상부 단열 보드 중 이웃하는 상기 상부 단열 보드 사이로 노출되어 서로 이격되는 상기 주 2차 방벽의 노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을 주행시키는 구동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어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 상기 단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단속부를 통과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혼합부, 및 상기 혼합부에 장착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상기 노출부에 도포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설정되는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동홈을 가지는 장착부재, 상기 이동홈에 결합되고 상기 혼합부를 장착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나사 결합되는 리드 스크류, 및 상기 리드 스크류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재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단열 보드의 측면에 구름 마찰로 지지되는 장착부 지지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부는 상기 브래킷에 회전축으로 장착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브래킷 상에서 각도 조절된 후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멈춤 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혼합부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신장되는 스태틱 믹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속부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스태틱 믹서로 공급되는 주제 및 경화제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혼합부의 토출측에 연결되며 상기 혼합부의 반대측에 확장되는 확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확장부의 측방에 구비되는 지지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혼합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스태틱 믹서를 지지하는 누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레임에 구동부 및 장착부를 구비하여 혼합부 및 노즐을 장착함으로써 접착제를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제와 경화제로 구성되는 접착제를 단속부 및 혼합부에서 노즐을 통하여 노출부에 도포함으로써 보조 2차 방벽 설치를 위한 접착제를 균일한 두께로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로 접착제를 시공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공 상태에서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장착부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혼합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혼합부 및 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단차지게 배치되는 노출부에 접착제를 시공하는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볼록하게 배치되는 노출부에 접착제를 시공하는 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오목하게 배치되는 노출부에 접착제를 시공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착제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편의상, 이하에서 "접착제 시공 장치"라 한다)(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접착제 시공 장치(100)는 주 2차 방벽의 노출부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프레임(10), 구동부(20), 장착부(30), 단속부(40), 혼합부(50) 및 노즐(7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100)로 접착제를 시공하는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시공 상태에서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편의상, 노즐(70)과 프레임(10) 및 구동부(20)를 중심으로 도시함).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시공 장치(100) 및 이를 이용하여 접착제의 시공에 대하여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에 구비되는, 초저온 상태의 액화천연가스에 대한 단열 및 불투과 단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는 내부 선체(60)에 순차적으로 적층 설치되는 하부 단열 보드(64), 주 2차 방벽(62), 상부 단열 보드(63) 및 1차 방벽(61)을 포함한다.
하부 단열 보드(64)는 주 2차 방벽(62)과 내부 선체(60)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 보드로써,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하여 내부 선체(60)에 고정 장착되는 하부 단열 부재 보호판(641)과 하부 단열 부재 보호판(641)에 부착되는 하부 단열 부재(642)를 포함한다.
상부 단열 보드(63)는 1차 방벽(61)과 주 2차 방벽(62)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 보드로써, 주 2차 방벽(62)에 부착되는 상부 단열 부재(632)와 상부 단열 부재(632)에 부착되는 상부 단열 부재 보호판(631)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하, 상부 단열 부재(642, 632)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형성되어 내부 선체(60)와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 사이에 단열성을 부여하고, 하, 상부 단열 부재 보호판(641, 631)은 플라이우드로 형성되어 하, 상부 단열 부재(642, 632)의 기계적 강성을 부여한다. 또한 주 2차 방벽(62)은 금속 복합 재료층(metal composite laminate)로 형성되어 불투과 구조를 형성하고, 1차 방벽(61)은 알루미늄 멤브레인으로 형성되어 불투과 구조를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1차 방벽(81)은 접착제 시공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에서는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저장 탱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단열 보드(64)는 설정된 면적을 가지고 내부 선체(60)에서 x, y축 방향으로 설정된 제2 간격(G2)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간격(G2)의 범위는 하부 단열 보드(64)의 수축 및 팽창을 흡수하는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주 2차 방벽(62)은 하부 단열 보드(64)의 상면에 부착되어 보조 2차 방벽(미도시)과 함께 2차 방벽을 형성하여, 1차 방벽(61)에서 누액된 액화천연가스에 대하여 2차 안전 장치로써, 2차 불투과 구조를 형성한다.
상부 단열 보드(63)는 하부 단열 보드(64) 및 주 2차 방벽(62) 면적보다 좁은 면적으로 설정되어 제1 간격(G1)으로 이격되어 주 2차 방벽(62)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주 2차 방벽(62)은 제2 간격(G2)으로 이격된 부근에서 상부 단열 보드(63)의 외곽을 따라 가면서 노출되는 표면(이하, "노출부(621)"라 한다)을 형성한다. 1차 방벽(61)은 상부 단열 보드(63)의 상면에 부착되어 저장된 액화천연가스에 직접 접촉되고, 1차 불투과 구조를 형성한다.
상부 단열 보드(63)의 제1 간격(G1)이 주 2차 방벽(62)의 제2 간격(G2)보다 더 넓게 형성되므로 주 2차 방벽(62)의 노출부(621)는 제1, 제2 간격(G1, G2)의 차이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의 접착제 시공 장치(100)는 디스펜서(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이액형 접착제, 즉 주제와 경화제를 포함하는 접착제(L)를 주 2차 방벽(62)의 노출부(621)에 도포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접착제 시공 장치(100)에서 프레임(10)은 구동부(20), 장착부(30), 단속부(40), 혼합부(50) 및 노즐(70)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동부(20)는 제2 간격(G2)으로 이격되는 주 2차 방벽(62)의 노출부(621)에 대응하여, 프레임(10)을 주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장착부(30)는 단속부(40)와 혼합부(50)를 프레임(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속부(40)는 장착부(30)에 장착되어 디스펜서(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혼합부(50)는 단속부(40)에 연결되어 단속부(40)를 통과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노즐(70)은 혼합부(50)에 장착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주 2차 방벽(62)의 노출부(621)에 도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하부 단열 보드(64) 사이의 제2 간격(G2)으로 설정되는 공간 중 도포 방향(도 2의 x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간은 브릿지 부재(91)에 의하여 밀폐되어, 하부 단열 보드(64)의 상면, 즉 노출부(621)와 동일한 높이의 평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브릿지 부재(91)는 이격된 노출부(621)에서 도포 진행 중이던 이액형 접착제가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도포될 수 있게 함으로써, 노출부(621)의 모퉁이 부분에서 접착제의 미도포 영역을 제거한다.
이상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시공 장치(100)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고,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10)은 접착제 시공 장치(100)의 진행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방향 부재들(11)과, 진행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제1 방향 부재들(11)을 연결하는 제2 방향 부재들(12)을 포함한다.
제1, 제2 방향 부재들(11, 12)은 내부 선체(60), 1차 및 주 2차 방벽(61, 62), 상, 하부 단열 보드(63, 64), 및 제1, 제2 간격(G1, G2)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방향 부재(12)는 구동부(20)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121)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방향 부재들(11)과 제2 방향 부재들(12)이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프레임(10)은 제1 방향 부재들(11)과 제2 방향 부재들(12)을 연결하는 제3 방향 부재(1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부(20)는 상부 단열 보드(63)의 측면에 구름 마찰로 밀착되어 구동되는 복수의 구동롤(21), 구동롤(21)을 구동하는 모터(23), 구동롤(21)을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폭 조절부(22), 및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상부 단열 보드(63) 상에서 구름 작동되는 지지롤(24)(편의상, 도 2에만 도시)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21)은 상부 단열 보드(63)의 상부 단열 부재 보호판(631)의 측면에 구름 마찰로 밀착되어 구동된다. 폭 조절부(22)는 폭 조절 부재(221)와 리드 스크류(222) 및 모터(223)를 포함하여, 제1 간격(G1)에 따라 조절된다.
폭 조절 부재(221)는 제1 방향 부재(11)와 나란하게 1쌍으로 배치되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 방향 부재(12)의 가이드 홈(121)에 가이드 돌기(122)로 결합된다.
리드 스크류(222)는 폭 조절 부재(221)에 나사 결합되어 폭 조절 부재(22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나란히 배치되는 1쌍의 폭 조절 부재(221)가 y축 방향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223)는 프레임(10)에 고정되고, 리드 스크류(222)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면, 모터(223)와 리드 스크류(222)는 벨트와 풀리로 연결될 수 있다.
모터(23)는 폭 조절 부재(221)에 수직 하방에 설치되고 구동롤(21)에 연결되어 구동롤(21)을 구동한다. 구동롤(21)이 상부 단열 부재 보호판(631)의 측면에 일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할 때, 지지롤(24)은 상부 단열 부재 보호판(631) 상에서 접착제 시공 장치(1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구름 작용으로 프레임(10)을 이동시킨다.
도 4는 장착부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례의 장착부(30)는 단속부(40)와 혼합부(50)를 프레임(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부재(31), 브래킷(32), 리드 스크류(33) 및 모터(34)를 포함하고, 장착부 지지롤(35) 및 누름 부재(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31)는 프레임(1)의 전후 방향으로 설정되는 제1 방향(x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신장되어 배치되어 프레임(1)의 전방에 장착되므로 프레임(1)과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장착부재(31)는 제1 방향 부재(11)의 선단에 체결부재(311)로 장착되며, 체결부재(311)는 볼트와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재(31)는 제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동홈(312)을 가진다. 브래킷(32)은 이동홈(312)에 결합되어, 모터(34) 및 리드 스크류(33)의 구동에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브래킷(32)은 혼합부(50)를 장착하므로 혼합부(50)는 장착부재(31)의 이동홈(3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브래킷(32)은 장착부재(3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혼합부(50)를 장착하고, 또한 장착부재(31)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리드 스크류(33)는 장착부재(31)의 하측에서 브래킷(32)에 나사 결합된다. 모터(34)는 장착부재(31)의 하측에 장착되어 리드 스크류(3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연결된다.
예를 들면, 리드 스크류(33)는 양측 브래킷(32)에 나사 결합되어 브래킷(32)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나란히 배치되는 1쌍의 브래킷(32)이 y축 방향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34)의 구동에 따라 리드 스크류(33)가 회전하고, 리드 스크류(33)의 회전에 따라 양측 브래킷(32)이 장착부재(31)의 이동홈(312)을 따라 이동하며, 이에 따라 혼합부(50)가 이동된다.
도 5는 도 1의 Ⅴ-Ⅴ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혼합부의 측면도이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속부(40)는 혼합부(50)로 공급되는 주제 및 경화제를 단속하도록 구성된다.
혼합부(50)는 브래킷(32)에 회전축(51)으로 장착되는 바디(52), 및 바디(52)에 연결되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스태틱 믹서(53)를 포함한다.
회전축(51)은 상기 브래킷(32) 상에서 각도 조절되고, 브래킷(32)에 결합되는 멈춤 부재(54)에 의하여 고정되어, 스태틱 믹서(53)를 설정된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단속부(40)는 스태틱 믹서(53)의 반대측에서 바디(52)에 장착되어 스태틱 믹서(53)로 공급되는 주제 및 경화제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도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장착부(30)에서 장착부 지지롤(35)은 장착부재(31)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단열 보드(63)의 측면에 구름 마찰로 지지되어 장착부(3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진행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장착부 지지롤(35)은 제1 간격(G1)으로 서로 마주하는 상부 단열 부재 보호판(631)의 측면에 지지된다.
또한, 장착부(30)에서 누름 부재(36)는 바디(52)에 고정되어 스태틱 믹서(5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스태틱 믹서(53)의 단부에 구비되는 노즐(70)이 노출부(621)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혼합부(50) 및 노즐(70)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노즐(70)은 혼합부(50)의 토출측에 연결되며 혼합부(50)의 반대측에 확장되는 확장부(71)와, 확장부(71)의 측방에 구비되는 지지롤(72)을 포함한다.
확장부(71)는 토출되는 접착제를 확장하여 노출부(621)에 설정된 폭으로 접착제(L)를 도포할 수 있게 한다. 지지롤(72)은 노출부(621) 상에서 노즐(70)의 진행을 구름 지지하여 노즐(70)의 주행 저항을 최소화 한다.
노즐(70)은 혼합부(50)의 스태틱 믹서(53) 단부에 형성되는 돌기(73)에 오목 홈(74)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노즐(70)은 확장부(71)가 노출부(621)의 다양한 자세에 대응할 수 있도록 스태틱 믹서(53)의 단부에서 회전한다.
단속부(40), 혼합부(50) 및 노즐(70)은 장착부재(31)의 이동홈(312)의 양측에 대칭 구조로 배치된다. 따라서 모터(34) 및 리드 스크류(33)의 구동에 따라 단속부(40), 혼합부(50) 및 노즐(70)은 제1 간격(G1)에 대응하여 y축 방향으로 간격이 조절되어 노출부(621)에 대응한다.
도 8은 도 1의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단차지게 배치되는 노출부(621)에 접착제를 시공하는 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노즐(70)은 제1 노즐(75)과 제2 노즐(76)을 포함하여, 제1 간격(G1)의 양측에서 노출부(621)에 접착제(L)를 도포한다.
이웃하는 1쌍의 노출부(621)가 단차(ΔH)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노즐(75)은 누름 부재(36)에 의하여 높은 노출부(621)(좌측)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가압되어 노출부(621)에 접착제(L)를 도포하고, 제2 노즐(76)은 누름 부재(36)에 의하여 낮은 노출부(621)(우측)에 상응하도록 가압되어 노출부(621)에 접착제(L)를 도포한다.
도 9는 도 1의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볼록하게 배치되는 노출부(621)에 접착제를 시공하는 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웃하는 1쌍의 노출부(621)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노즐(75)은 돌기(73)와 홈(74)에 의하여 경사진 노출부(621)(좌측)의 볼록한 경사도에 상응하도록 선회되어 노출부(621)에 접착제(L)를 도포하고, 제2 노즐(76)은 돌기(73)와 홈(74)에 의하여 경사진 노출부(621)(우측)의 볼록한 경사도에 상응하도록 선회되어 노출부(621)에 접착제(L)를 도포한다.
도 10은 도 1의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를 이용하여, 오목하게 배치되는 노출부에 접착제를 시공하는 상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웃하는 1쌍의 노출부(621)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노즐(75)은 돌기(73)와 홈(74)에 의하여 경사진 노출부(621)(좌측)의 오목한 경사도에 상응하도록 선회되어 노출부(621)에 접착제(L)를 도포하고, 제2 노즐(76)은 돌기(73)와 홈(74)에 의하여 경사진 노출부(621)(우측)의 오목한 경사도에 상응하도록 선회되어 노출부(621)에 접착제(L)를 도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노출부(621)가 단차(ΔH)를 가지거나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제1, 제2 노즐(75, 76)로 노출부(621)에 접착제(L)를 균일한 두께로 자동 도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1, 12, 13 : 제1, 제2, 제3 방향 부재
20 : 구동부 21 : 구동롤
22 : 폭 조절부 23, 34, 223 : 모터
24 : 지지롤 30 : 장착부
31 : 장착부재 32 : 브래킷
33, 222 : 리드 스크류 35 : 장착부 지지롤
36 : 누름 부재 40 : 단속부
50 : 혼합부 51 : 회전축
52 : 바디 53 : 스태틱 믹서
54 : 멈춤 부재 60 : 내부 선체
61 : 1차 방벽 62 : 주 2차 방벽
63 : 상부 단열 보드 64 : 하부 단열 보드
70 : 노즐 71 : 확장부
72 : 지지롤 73 : 돌기
74 : 오목 홈 75, 76 : 제1, 제2 노즐
91 : 브릿지 부재 100 : 접착제 시공 장치
121 : 가이드 홈 122 : 가이드 돌기
221 : 폭 조절 부재 311 : 체결부재
312 : 이동홈 621 : 노출부
631 : 상부 단열 부재 보호판 632 : 상부 단열 부재
641 : 하부 단열 부재 보호판 642 : 하부 단열 부재
G1, G2 : 제1, 제2 간격 L : 접착제

Claims (1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내부 선체와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 설치되는 하부 단열 보드, 주 2차 방벽 및 상부 단열 보드 중 이웃하는 상기 상부 단열 보드 사이로 노출되어 서로 이격되는 상기 주 2차 방벽의 노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을 주행시키는 구동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어 주제와 경화제의 공급을 단속하는 단속부;
    상기 단속부에 연결되어 상기 단속부를 통과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혼합부; 및
    상기 혼합부에 장착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상기 노출부에 도포하는 노즐
    을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설정되는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이동홈을 가지는 장착부재,
    상기 이동홈에 결합되고 상기 혼합부를 장착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에 나사 결합되는 리드 스크류, 및
    상기 리드 스크류에 연결되는 모터
    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재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단열 보드의 측면에 구름 마찰로 지지되는 장착부 지지롤
    을 더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브래킷에 회전축으로 장착되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브래킷 상에서 각도 조절된 후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멈춤 부재로 고정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신장되는 스태틱 믹서로 형성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스태틱 믹서로 공급되는 주제 및 경화제를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혼합부의 토출측에 연결되며 상기 혼합부의 반대측에 확장되는 확장부를 구비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확장부의 측방에 구비되는 지지롤을
    더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혼합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스태틱 믹서를 지지하는 누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KR1020110136620A 2011-12-16 2011-12-16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KR101325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620A KR101325709B1 (ko) 2011-12-16 2011-12-16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620A KR101325709B1 (ko) 2011-12-16 2011-12-16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74A true KR20120004374A (ko) 2012-01-12
KR101325709B1 KR101325709B1 (ko) 2013-11-06

Family

ID=4561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620A KR101325709B1 (ko) 2011-12-16 2011-12-16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0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103B1 (ko) * 2012-07-23 2014-03-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납작노즐을 구비한 트리플렉스 자동접착장치
KR101378896B1 (ko) * 2012-05-25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본딩 장치
KR101378906B1 (ko) * 2012-05-31 2014-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본딩 장치
KR101378902B1 (ko) * 2012-05-25 2014-04-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압 장치
KR20150107306A (ko) * 2014-03-14 2015-09-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본딩 장치
KR20150112261A (ko) * 2014-03-27 2015-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본딩 장치
KR20150146015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단열패널 제작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내지그
FR3126322A1 (fr) * 2021-08-24 2023-03-03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encollage pour système automatisé d’application de bande pour l’étanchéité d’une membrane de cuv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929Y1 (ko) * 2006-01-18 2006-04-12 해림건설 주식회사 시멘트 조성물의 표면 도포장치
KR100830376B1 (ko) 2007-03-20 2008-05-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계열 접착제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차단제시공 및 부착 방법
KR100928316B1 (ko) * 2007-07-06 2009-1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본딩 장치
KR101130641B1 (ko) * 2009-09-11 2012-04-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리플렉스 자동부착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896B1 (ko) * 2012-05-25 2014-03-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본딩 장치
KR101378902B1 (ko) * 2012-05-25 2014-04-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압 장치
KR101378906B1 (ko) * 2012-05-31 2014-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본딩 장치
KR101370103B1 (ko) * 2012-07-23 2014-03-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납작노즐을 구비한 트리플렉스 자동접착장치
KR20150107306A (ko) * 2014-03-14 2015-09-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본딩 장치
KR20150112261A (ko) * 2014-03-27 2015-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자동 본딩 장치
KR20150146015A (ko) * 2014-06-20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단열패널 제작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안내지그
FR3126322A1 (fr) * 2021-08-24 2023-03-03 Gaztransport Et Technigaz Dispositif d’encollage pour système automatisé d’application de bande pour l’étanchéité d’une membrane de cu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709B1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709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KR101325699B1 (ko)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접합 장치 및 접합 방법
KR101411938B1 (ko) 도포 장치
KR20130099907A (ko) 화물창 방벽구조
KR20130099899A (ko) 화물창 방벽구조
AU2010231273B2 (en) Improvement for leaktight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integrated into a carrier structure
KR20120004386A (ko)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접합 장치 및 접합 방법
KR10132569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444384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본딩 장치 및 본딩 방법
KR101327814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570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2차 방벽 설치용 접착제 시공 장치
KR20160097405A (ko) 본딩 장치
KR101378906B1 (ko) 본딩 장치
KR20130116113A (ko) 본딩 장치
JP2019085839A (ja) 可変パッド
KR101702523B1 (ko) 본딩 장치
JP2013028955A (ja) 防水シートの取付金具及びユニット建物の防水構造
KR101580788B1 (ko) 자동 본딩 장치
KR20160113448A (ko) 주행 장치
KR101634999B1 (ko) 자동 본딩 장치
KR101600289B1 (ko) 자동 본딩 장치
KR20130092308A (ko)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접합 장치 및 액화 천연가스 저장 탱크
KR101744634B1 (ko) 본딩 장치
KR101702524B1 (ko) 본딩 장치
KR101735321B1 (ko) 용접기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