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321B1 - 용접기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기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321B1
KR101735321B1 KR1020150028374A KR20150028374A KR101735321B1 KR 101735321 B1 KR101735321 B1 KR 101735321B1 KR 1020150028374 A KR1020150028374 A KR 1020150028374A KR 20150028374 A KR20150028374 A KR 20150028374A KR 101735321 B1 KR101735321 B1 KR 10173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pecimen
welder
fram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632A (ko
Inventor
이동배
김홍겸
손명섭
조기수
최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5002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3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5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5Testing of complete machines, e.g. washing-machines or mobile 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67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non-consumable electro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기를 테스트 하는 용접기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접기 테스트 장치는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제 1 패널 및 제 1 면 및 제 2 면을 포함하는 제 2 패널, 시편을 제 2 패널에 고정시키는 시편 고정 부재 및 용접기를 제 2 패널에 고정시키는 용접기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제 2 패널은 제 1 면이 제 1 패널과 마주보고 제 1 패널과 인접하도록 제공되고, 제 2 면에는 용접기와 시편이 설치된다. 제 2 패널은 제 2 면에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용접기 테스트 장치는 3차원 적으로 다양한 각도로 용접기를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시편 고정 부재는 상이한 크기의 시편을 고정시킬 수 있고, 시편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용접기 고정 부재는 설치되는 용접기와 시편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접기 테스트 장치{APPARATUS FOR TESTING WELDING MACHINE}
본 발명은 용접기를 테스트하는 용접기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는 공해물질이 거의 없고, 열량이 우수하여 점차 중요한 에너지 자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천연가스의 보관 및 운송은 주로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최근 액화천연가스를 대량으로 운송할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C: LNG Carrier)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cargo tank)은 그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천연가스를 약 -163°이하의 초저온 상태로 유지하고, 또 그로 인한 냉기로부터 선체를 보호하기 위해 특수한 이중 단열 구조로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이중 단열 구조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강과 같이 내저온성이 강한 재질의 멤브레인 구조로 형성되는 1차 방벽, 트리플렉스(triplex)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2차 방벽 및 다양한 단열 패널(insulation panel)을 포함하며, 선체에 단열 패널, 2차 방벽 및 1차 방벽을 순차로 시공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화물창의 코너에 해당하는 부분 중 스틸 코너(Steel Corner)에는 1차 방벽이 작업자에 의한 Tig 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따라서, 스틸 코터 용접에 대해 작업자를 대신하여 Tig 용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용접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스틸 코너에 1차 방벽을 접합시키는 자동 용접기의 개발 시, 개발된 용접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장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용접기를 테스트하기 위한 용접기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기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용접기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이한 크기의 시편을 고정시킬 수 있는 용접기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편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용접기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접기 테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접기 테스트 장치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해 제 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 1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제공되는 제 2 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 1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과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 2 패널; 상기 제 2 패널에 시편을 고정시키는 시편 고정 부재; 및 상기 제 2 패널에 용접기를 고정시키는 용접기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패널은,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제 2 패널은, 상기 제 1 패널과 마주보는 제 1 면; 및 상기 시편 및 상기 용접기가 고정되고, 상기 제 1 면과 상이한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에 수직한 방향과 평행한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시편 고정 부재는, 중앙 영역이 상기 제 2 면과 이격되게 제공되고, 양 끝단이 상기 제 2 면에 고정되게 제공되며, 상기 시편 고정 부재의 상기 중앙 영역 및 상기 제 2 면의 사이에는 시편이 고정된다.
상기 용접기 고정 부재는, 길이 방향이 제 2 패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고, 용접기가 설치되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이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레일 및 상기 제 2 패널을 연결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2 패널의 양 끝단에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각각 제공되고 그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레일은, 양 끝단의 하면이 각각 상기 지지 부재의 끝단에 고정된다.
상기 용접기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화물창의 보온재에 1차 방벽을 용접하여 접합시키는 용접 장치이다.
상기 시편은, 제 1 시편 및 제 2 시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시편은, 상기 제 1 시편 및 상기 제 2 프레임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시편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시공되는 단열패널이고, 상기 제 2 시편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시공되는 1차 방벽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용접기 테스트 장치는 용접기를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용접기 테스트 장치는 용접기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용접기 테스트 장치는 상이한 크기의 시편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용접기 테스트 장치는 시편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접기 테스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시편 및 시편 고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시편이 시편 고정 부재에 의해 제 2 패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용접기 고정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과장되어 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테스트 장치는 단열 패널에 1차 방벽을 용접하여 접합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에 대해 설명한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테스트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테스트 장치(도 2의 도면부호 1000)는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0)를 시공하는데 이용되는 용접기를 테스트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는 예를 들어 LNG 운반선, LNG 알브이선(Regasification Vessel), LNG 부유식 생산 저장 하역(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설비 또는 LNG 부유식 저장 및 재기화 설비(FSRU; 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의 화물창이나 저장소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는 예를 들어 액화천연가스를 -163°이하의 초저온 상태로 냉각시켜 액체 상태로 저장하고, 그 냉기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선체(M)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는 이중 단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A) 부분은 선체(M)에 외부 단열패널(14), 2차 방벽(12), 내부 단열패널(13) 및 1차 방벽(11)이 모두 시공된 상태의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를 보여준다. 도 1에서 (B) 부분은 선체(M)에 외부 단열패널(14), 2차 방벽(12) 및 내부 단열패널(13)이 시공된 후 단열재(H2)와 1차 방벽(11)이 시공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준다.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는 도 1의 (A) 부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선체(M)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외부 단열패널(14), 2차 방벽(12), 내부 단열패널(13) 및 1차 방벽(11)을 포함한다.
외부 단열패널(14)은 예를 들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선체(M)에 설치되며,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의 외벽을 형성한다. 외부 단열패널(14)은 2차 방벽(12)과 선체(M)의 사이에서 단열 기능을 수행하며,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외부 단열패널(14)은 제1 단열부재(14a) 및 제1 단열부재(14a)에 부착되는 제1 보호부재(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열부재(14a)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과 같은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단열패널(14)은 제1 보호부재(14b)를 매개로 하여, 예를 들어 스터드 볼트(stud bolt)(미도시)에 의해 선체(M)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보호부재(14b)는 외부 단열패널(14)에 강성을 부여하여 외부 단열패널(14)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예를 들어 플라이우드(plywood)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단열패널(14)의 팽창시 외부 단열패널(1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단열패널(14)들은 서로 간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외부 단열패널(14)들 사이의 이격된 틈새에는 예를 들어 글래스 울(glass wool)과 같은 유리섬유 재질 등의 단열재(H1)가 채워질 수 있다.
2차 방벽(12)은 외부 단열패널(14) 상에 설치될 수 있다. 2차 방벽(12)은 외부 단열패널(14)과, 내부 단열패널(13) 및 단열재(H2)의 사이에 개재되어, 1차 방벽(11)에 이어 이차적으로 액화천연가스를 단열하고 외부 유출을 차단한다. 2차 방벽(12)은 트리플렉스(triplex)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섬유 복합재(glass-fiber composite)의 양면에 금속 포일이 부착된 금속 복합 재료층(metal composite laminate)으로 형성될 수 있다.
2차 방벽(12)은 주 2차 방벽(12b) 및 보조 2차 방벽(12a)을 포함한다. 주 2차 방벽(12b)은 외부 단열패널(14) 상에 설치된다. 주 2차 방벽(12b)은 단열 기능을 가지며, 액화천연가스의 냉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주 2차 방벽(12b)은 예를 들어 리지드 트리플렉스(rigid triplex)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단열패널(14)들과 마찬가지로 주 2차 방벽(12b)들은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주 2차 방벽(12b)의 팽창 시 손상이 방지된다.
보조 2차 방벽(12a)은 주 2차 방벽(12b)들 사이의 틈새를 가리도록 시공된다. 보조 2차 방벽(12a)은 외부로 액화천연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액화천연가스의 냉기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보조 2차 방벽(12a)은 예를 들어 셔플 트리플렉스(supple triplex)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2차 방벽(12a)은 주 2차 방벽(12b)의 상면 중 내부 단열패널(13)들 사이로 노출된 노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보조 2차 방벽(12a)은 주 2차 방벽(12b) 상에 도포된 접착제(G) 위에 시트(T)를 부착하고, 접착제(G)를 경화하여 시공될 수 있다.
내부 단열패널(13)은 주 2차 방벽(12b) 상에 설치되며, 1차 방벽(11)과 주 2차 방벽(12b)의 사이에서 단열 기능을 수행하며,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내부 단열패널(13)들은 서로 간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주 2차 방벽(12b) 상에 보조 2차 방벽(12a)이 시공되면, 도 1의 (A) 부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내부 단열패널(13)들 사이의 공간에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재질의 단열재(H2)가 채워질 수 있다. 내부 단열패널(13)과 단열재(H2)는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져, 상면이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단열재(H2)는 내부 단열패널(13)들 사이의 틈새를 메워 액화천연가스의 유출을 방지하고, 단열성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단열패널(13)은 제2 보호부재(13a) 및 제2 보호부재(13a)에 부착되는 제2 단열부재(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열부재(13b)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보호부재(13a)는 내부 단열패널(13)에 강성을 부여하여 내부 단열패널(13)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보호부재(13a)는 예를 들어 플라이우드(plywood)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1차 방벽(11)은 제2 보호부재(13a)를 매개로 용접기를 이용하여 내부 단열패널(13) 상에 용접되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용접기 테스트 장치(도 2의 도면부호 1000)는 1차 방벽(11)을 단열패널(13)상에 용접하여 접합시키는 용접기를 테스트할 수 있다. 1차 방벽(11)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의 내벽을 형성한다. 1차 방벽(11)은 일차적으로 액화천연가스를 단열하고 그 유출을 차단한다. 도 1의 (A) 부분에서 1차 방벽(11)의 위쪽이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0)의 내부 공간이다. 1차 방벽(11)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천연가스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합금, 인바(Invar), 니켈강 등과 같은 저온 취성에 강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1차 방벽(11)은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10)에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그 온도가 초저온으로 냉각되고,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온도가 상온으로 유지된다. 1차 방벽(11)은 요철(11a)이 형성된 주름형 멤브레인(corrugated membrane)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온도가 초저온으로부터 상온까지 변화함에 따라 1차 방벽(11)에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1차 방벽(11)에 형성된 요철(11a)은 1차 방벽(11)의 열변형 시 버퍼 역할을 하여 1차 방벽(11)의 파손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용접기 테스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용접기 테스트 장치(1000)는 도 1의 1차 방벽을 제2 보호부재(13a)상에 용접하여 접합시키는 용접기를 테스트할 수 있다. 용접기 테스트 장치(1000)는 제 1 프레임(1100), 제 2 프레임(1200), 제 1 패널(1300), 제 2 패널(1400), 시편 고정 부재(1500) 및 용접기 고정 부재(1600)를 포함한다.
제 1 프레임(1100) 및 제 2 프레임(1200)은 각각 제 1 패널(1300)의 양 끝단과 연결되어 제 1 패널(1300)을 지지한다. 제 1 프레임(1100)은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된다. 제 2 프레임(1200)은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된다. 제 2 프레임(1200)은 제 1 프레임(1100)과 마주보도록 제공된다. 제 2 프레임(1200)은 제 1 프레임(1100)에 대해 제 1 방향(100)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된다. 이하 제 1 방향(100)은 제 2 프레임(1200)이 제 1 프레임(1100)에 대해 배열된 방향으로 정의한다. 제 1 프레임(1100)의 상단 및 제 2 프레임(1200)의 상단에는 제 1 패널(1300)의 양 끝단이 각각 연결된다. 제 1 프레임(1100) 및 제 2 프레임(1200)은 제 1 프레임(1100) 및 제 2 프레임(1200)에 연결된 바(BAR) 등에 의해 서로에게 고정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1100)의 하단 및 제 2 프레임(1200)의 하단에는 용접기 테스트 장치(1000)가 지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프레임(1100)의 하단 및 제 2 프레임(1200)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휠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 패널(1300)은 제1 방향(100)에 대해 수직한 평면을 따라 용접기(10) 및 시편(20)이 설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패널(1300)은 길이 방향이 제 1 방향(100)과 평행하도록 제공된다. 제 1 패널(1300)은 일단이 제 1 프레임(110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프레임(1200)의 상단에 연결된다. 제 1 패널(1300)은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 1 프레임(1100) 및 제 2 프레임(1200)의 상단에 연결된다. 제 1 패널(1300)은 제 1 구동기(1330)에 의해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 1 구동기(1330)는 제 1 패널(1300)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패널(1300)은 작업자에 의해 직접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기(10) 및 시편(20)이 제 1 프레임(1100)과 연결된 제 2 프레임(1400)에 설치된 경우, 제 1 패널(1300)은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방향(100)에 대해 수직한 평면을 따라 용접기(10)가 설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 1 패널(1300) 및 제 2 패널(1400)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 2 패널(1400)은 제 1 패널(1300)의 일면을 따라 용접기(10) 및 시편(20) 설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패널(1400)은 제 1 패널(1300)과 마주보며 제 1 패널(1300)과 인접하게 제공된다. 제 2 패널(1400)은 제 1 면(1410) 및 제 2 면(1420)을 가진다. 제 2 패널(1400)은 제 2 면(1420)에 수직한 방향과 평행한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제 2 패널(1400)은 제 2 구동기(1430)에 의해 제 2 면(1420)에 수직한 방향과 평행한 축으로 회전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2 구동기(1430)는 제 1 패널(1300)의 제 2 패널(1400)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고정되도록 제공되고, 구동력을 전달하는 축이 제 1 패널(1300)을 관통하여 제 2 패널(1400)의 제 1 면(14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패널(1400)은 작업자에 의해 직접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 2 패널(1400)에는 용접기 고정 부재(1600)에 의해 용접기(10)가 설치되고, 시편 고정 부재(1500)에 의해 시편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 2 패널(1400)은 제 2 면(1420)에 수직한 방향과 평행한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패널(1300)의 일면을 따라 용접기(10) 및 시편(20) 설치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면(1410)은 제 1 패널(1300)과 마주보는 면이다. 제 2 면(1420)은 제 1 면(1410)과 상이한 면이다. 제 2 면(1420)은 시편(20) 및 용접기(10)가 고정된다.
시편 고정 부재(1500)는 제 2 패널(1400)에 시편(20)을 고정시킨다. 시편 고정 부재(1500)는 크기가 상이한 시편(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시편 고정 부재(1500)는 시편(20)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시편(20) 및 시편 고정 부재(15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시편(20)이 시편 고정 부재(1500)에 의해 제 2 패널(140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예를 들면, 시편 고정 부재(1500)는 길이 방향이 제 2 면(1420)과 평행하고 제 2 패널(14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바 형상으로 제공된다. 시편 고정 부재(1500)는 그 중앙 영역이 제 2 면(1420)과 이격되게 제공되고, 그 양 끝단이 제 2 면(1420)에 고정되게 제공된다. 시편 고정 부재(1500)의 중앙 영역 및 제 2 면(1420)의 사이에는 시편(20)이 제공된다. 시편 고정 부재(1500)가 제공된 시편(20)에 제 2 면(1420)을 향한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시편 고정 부재(1500)의 중앙영역과 제 2 면(1420) 간의 간격을 설정한다. 시편 고정 부재(1500)는 제 2 면(1420)의 양 끝단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시편 고정 부재(1500)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짐으로써, 제 2 면(1420)과 이격된 시편 고정 부재(1500)의 중앙영역의 길이 범위만큼 시편(2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편(20)의 용접선이 용접기(10)의 토오치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시편(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시편 고정 부재(1500)는 제 2 면(1420)과 이격된 시편 고정 부재(1500)의 중앙영역의 길이 범위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 이내의 크기를 가지는 시편(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면(1420)의 양 끝단에 위치된 각 시편 고정 부재(1500)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시편 고정 부재(1500)는 길이가 상이한 시편(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시편(20)은 제 1 시편(21) 및 제 2 시편(22)을 포함한다. 제 2 시편(22)은 제 1 시편(21) 및 제 2 프레임(22) 사이에 고정된다. 용접기(10)는 제 2 시편(22) 상에 제 1 시편(21)을 용접하여 접합시킨다. 제 1 시편(21)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시공되는 단열패널일 수 있다. 제 2 시편(22)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시공되는 1차 방벽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시편(21)은 도 1의 제 2 보호부재(13a)일 수 있다. 제 2 시편(22)은 도 1의 1차 방벽(11)일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용접기 고정 부재(16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용접기 고정 부재(1600)는 제 2 패널(1400)에 용접기(10)를 고정시킨다. 용접기 고정 부재(1600)는 레일(1610) 및 지지 부재(1620)를 포함한다.
레일(1610)은 길이 방향이 제 2 패널(14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제공된다. 레일(1610)에는 용접기(10)가 설치되어 레일(1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레일(1610)은 설치되는 용접기(10)의 종류에 따라 설치된 용접기(10)에 적합한 형태의 레일(1610)이 설치된다. 용접기(10)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의 보온재에 1차 방벽을 용접하여 접합시키는 용접장치일 수 있다. 보온재는 도 1의 제 2 보호부재(13a)일 수 있다. 1차 방벽은 도 1의 1차 방벽(11)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용접기 테스트 장치(1000)에 설치되어 테스트되는 용접기는 다양한 종류가 제공될 수 있다. 레일(1610)에 설치된 용접기(10)는 상술한 제 1 패널(1300) 및 제 2 패널(1400)의 다양한 위치를 설정하여 레일(1610)을 따라 이동하며 제 2 시편(22) 상에 제 1 시편(21)을 용접하여 접합시킴으로써, 용접기(10)가 다양한 설치 조건 하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테스트한다.
지지 부재(1620)는 레일(1610)이 제 2 면(142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레일(1610) 및 제 2 패널(1400)을 연결시킨다. 지지 부재(1620)는 레일(1610) 및 제 2 면(14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기(10)와 시편(20) 간의 거리를 설치되는 용접기(10)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1620)는 제 2 패널(1400)의 양 끝단에 제 2 면(142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각각 제공된다. 지지 부재(1620)는 제 2 면(1420)으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조절된다. 제 2 패널(1400)의 양 끝단에 설치된 각 지지 부재(1620)의 끝단에는 레일(1610)의 양 끝단의 하면이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레일(1610)의 양 끝단은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지지 부재(1620)에 결합될 수 있다.
10: 용접기 20: 시편
1000: 용접기 테스트 장치 1100: 제 1 프레임
1200: 제 2 프레임 1300: 제 1 패널
1400: 제 2 패널 1500: 시편 고정 부재
1600: 용접기 고정 부재

Claims (8)

  1.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제공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에 대해 제 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 1 프레임과 마주보도록 제공되는 제 2 프레임;
    일단이 상기 제 1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패널;
    상기 제 1 패널과 인접하게 제공되는 제 2 패널;
    상기 제 2 패널에 시편을 고정시키는 시편 고정 부재; 및
    상기 제 2 패널에 용접기를 고정시키는 용접기 고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패널은, 그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 2 패널은,
    상기 제 1 패널과 마주보는 제 1 면; 및
    상기 시편 및 상기 용접기가 고정되고, 상기 제 1 면과 상이한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에 수직한 방향과 평행한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용접기 테스트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고정 부재는,
    중앙 영역이 상기 제 2 면과 이격되게 제공되고,
    양 끝단이 상기 제 2 면에 고정되게 제공되며,
    상기 시편 고정 부재의 상기 중앙 영역 및 상기 제 2 면의 사이에는 시편이 고정되는 용접기 테스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 고정 부재는,
    길이 방향이 제 2 패널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고, 용접기가 설치되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이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레일 및 상기 제 2 패널을 연결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용접기 테스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 2 패널의 양 끝단에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각각 제공되고 그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레일은, 양 끝단의 하면이 각각 상기 지지 부재의 끝단에 고정되는 용접기 테스트 장치.
  6.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화물창의 보온재에 1차 방벽을 용접하여 접합시키는 용접 장치인 용접기 테스트 장치.
  7.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시편은, 제 1 시편 및 제 2 시편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시편은, 상기 제 1 시편 및 상기 제 2 프레임 사이에 고정되는 용접기 테스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편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시공되는 단열패널이고,
    상기 제 2 시편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시공되는 1차 방벽인 용접기 테스트 장치.
KR1020150028374A 2015-02-27 2015-02-27 용접기 테스트 장치 KR10173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374A KR101735321B1 (ko) 2015-02-27 2015-02-27 용접기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374A KR101735321B1 (ko) 2015-02-27 2015-02-27 용접기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632A KR20160105632A (ko) 2016-09-07
KR101735321B1 true KR101735321B1 (ko) 2017-05-16

Family

ID=5694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374A KR101735321B1 (ko) 2015-02-27 2015-02-27 용접기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3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8241A (ja) 2007-05-29 2010-08-19 ヒュンダイ ヘビ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溶接型2次防壁を備える液化天然ガス貯蔵容器用断熱システムと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8241A (ja) 2007-05-29 2010-08-19 ヒュンダイ ヘビー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溶接型2次防壁を備える液化天然ガス貯蔵容器用断熱システムとそ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632A (ko)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220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1497321B1 (ko) 화물창 방벽구조
KR101784833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에 사용되는 패널 고정유닛
KR101635026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1652219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그 제작방법
KR101444347B1 (ko) 화물창 방벽용 위치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KR101792482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에 사용되는 패널 고정유닛
KR101735321B1 (ko) 용접기 테스트 장치
KR100950249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고정부재 위치결정기구 및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25871B1 (ko) 액화가스 화물창과 그 제조방법
US20180243851A1 (en) Automatic welding system for corrugated membrane sheet of membrane type liquefied-gas cargo hold, structure for guiding and fixing automatic welding apparatus for corrugated membrane sheet of membrane type liquefied-gas cargo hold, and structure for guiding automatic welding apparatus for corrugated membrane sheet of membrane type liquefied-gas cargo hold
KR20160027381A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1625867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그 제조방법
KR101672209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1784835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이에 사용되는 패널 고정유닛
KR101732560B1 (ko) 액화가스 단열구조물의 고정지지체
KR10181462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용 보조 2차 방벽의 본딩 장치
KR20100106891A (ko) 독립형 카고탱크의 구속장치 및 그것의 절연방법
KR101774918B1 (ko) 주행 장치
KR101280326B1 (ko) 선박용 저장탱크의 내벽구조
KR20160021383A (ko) 액화가스 화물창에 사용되는 방벽시트와 이를 이용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KR20160017219A (ko) 액화가스 화물창
KR101644369B1 (ko) 액화가스 화물창에 사용되는 방벽시트와 액화가스 화물창
KR101744633B1 (ko) 주행 장치
KR20210141526A (ko) 액화 가스의 저장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