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31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316A
KR20120004316A KR1020100081703A KR20100081703A KR20120004316A KR 20120004316 A KR20120004316 A KR 20120004316A KR 1020100081703 A KR1020100081703 A KR 1020100081703A KR 20100081703 A KR20100081703 A KR 20100081703A KR 20120004316 A KR20120004316 A KR 20120004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frigerator
moisture
cold air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쯔꼬 후나야마
유우꼬 아까기
도시에 다까사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5354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0178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574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021654A/ja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4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3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3Use of electrochemically treated water, e.g. electrolysed water or water treated by electrical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6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using an ozone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7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using an UV-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물의 선도 저하를 장기간에 걸쳐 억제하는 동시에, 안전성을 높인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장물을 냉장 온도대에서 보존하는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에 설치되어, 냉기 흡입구와 냉기 토출구를 갖고 내부에 풍로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풍로에 설치된 흡습 부재와, 상기 흡습 부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은 316㎚ 내지 400㎚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 분야의 배경 기술로서, 일본 특허 제4332107호 공보(특허 문헌 1)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표면에 물을 입상으로 유지 가능한 보수면(保水面)에 형성한 보수체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보수면을 물방울에 의해 젖은 상태로 유지하는 보수 공정과, 상기 보수면에 부착시킨 상기 물방울에 대해, 10㎜ 이내의 가까운 거리로부터 파장이 254㎚인 자외선을, 근방을 10℃ 내지 40℃의 온도 영역으로 제어하면서 조사하여, 상기 조사 자외선의 에너지에 의해 상기 물방울에 OH 래디컬을 생성시키는 조사 공정과, 상기 OH 래디컬을 포함하는 상기 물방울을 유지하고 있는 상기 보수면에 대해 에틸렌 가스를 포함하는 기체를 통풍시켜 상기 OH 래디컬에 상기 에틸렌 가스를 접촉시키는 반응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공정에 의해 상기 OH 래디컬에 상기 에틸렌 가스를 접촉 반응시켜 에탄과 물로 개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의한 에틸렌 가스의 개질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4332107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보수 표면에 입상의 물방울을 형성시키기 위해, 보수 표면을 발수(소수)성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표면이 발수(소수)성이므로 수분(물방울)을 장시간 유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수분을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 공급 수단을 장기 또한 연속으로 운전시킬 필요가 있어, 정기적으로 물 공급 수단을 교환해야 한다.
또한, 254㎚의 자외선은 오존을 발생시키는 작용이 있다. 오존은 독특한 악취를 갖고, 또한 주위의 수지나 저장물은 변색이나 열화를 야기시킨다.
또한, 자외선 조사 근방을 10℃ 내지 40℃의 온도 영역으로 제어함으로써, 냉장고 내의 온도를 상승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보수체 표면을 발수성으로 함으로써 물과 자외선의 접촉 기회를 증가시켜, OH 래디컬의 발생량을 증가시키는 고안을 하고 있다. 그러나 보수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밖에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으므로, OH 래디컬의 발생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보수체 표면에 바람을 통과시킴으로써 불안정한 OH 래디컬과 에틸렌의 접촉 기회를 증가시키는 고안을 하고 있지만, 풍로를 좁게 하면 풍속이 상승하여, 접촉 효율이 저하된다. 그 결과, 가정용 냉장고에 있어서의 실사용 상태를 고려하면, 저장물의 선도 유지 기능은 한정적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장물의 선도 저하를 장기간에 걸쳐 억제하는 동시에, 안전성을 높인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복수 포함하고 있지만, 그 일례를 들면, 저장물을 냉장 온도대에서 보존하는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에 설치되어, 냉기 흡입구와 냉기 토출구를 갖고 내부에 풍로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풍로에 설치된 흡습 부재와, 상기 흡습 부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은 316㎚ 내지 400㎚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저장물의 선도 저하를 장기간에 걸쳐 억제하는 동시에, 안전성을 높인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 도어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선도 유지 장치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선도 유지 장치의 유기물 제거 효과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2의 야채실의 확대도.
도 7은 도 2의 정전 무화 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도 4의 변형예의 정전 무화 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보수 수단의 차이에 의한 에틸렌 잔존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송풍 수단의 풍향을 바꾸었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송풍 수단의 풍속을 바꾸었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송풍 수단의 풍속을 바꾸었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물의 보급 빈도를 바꾸었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냉장고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냉장고 전체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중앙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 본체의 저장실 도어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냉장고 본체(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제의 외부 상자(11)와 수지제의 내부 상자(12) 사이에 우레탄 발포 단열재(13) 및 진공 단열재(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구성되고, 상부로부터 냉장실(2), 냉동실(3, 4), 야채실(5)의 순으로 복수의 저장실을 갖고 있다. 환언하면, 최상단에 냉장실(2)이, 최하단에 야채실(5)이, 각각 구획되어 배치되어 있고, 냉장실(2)과 야채실(5) 사이에는 이들 양 실(室)과 단열적으로 구획된 냉동실(3, 4)이 배치되어 있다. 냉장실(2) 및 야채실(5)은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이고, 냉동실(3, 4)은 0℃ 이하의 냉동 온도대(예를 들어, 약 -20℃ 내지 -18℃의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또한, 냉동실(3)은 제빙실(3a)과 급냉동실(3b)로 좌우로 구획되어 있다. 이들 저장실은, 구획벽(34, 35, 36)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즉, 냉장실(2)과 냉동실(3)은 구획벽(34)에 의해 단열적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4)과 야채실(5)은 구획벽(35)에 의해 단열적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3)과 냉동실(4)은 구획벽(36)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냉동실(3)과 냉동실(4)은 동일한 온도대이므로, 냉동실(3)과 냉동실(4)을 냉기가 흐르는 구성이라도 좋고, 반드시 단열적으로 구획할 필요는 없다.
냉장고 본체(1)의 전방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를 폐색하는 도어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 도어(6, 6)는, 냉장실(2)의 전방면 개구를 개폐하는 회전식 도어이다. 제빙실 도어(7), 급냉동실 도어(8), 냉동실 도어(9) 및 야채실 도어(10)는, 각각 제빙실(3a), 급냉동실(3b), 냉동실(4) 및 야채실(5)의 전방면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이다. 또한, 냉장실 도어(6, 6)는 양문 개방형의 프렌치 도어로 구성되어 있다. 제빙실(3a), 급냉동실(3b), 냉동실(4) 및 야채실(5)은, 서랍식 도어와 함께 저장실 내의 용기가 각각 인출된다.
냉장고 본체(1)에는, 냉동 사이클이 설치되어 있다. 이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14), 응축기(도시하지 않음), 캐필러리 튜브(도시하지 않음) 및 증발기(15), 그리고 다시 압축기(14)의 순으로 냉매 배관에 의해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14) 및 응축기는, 냉장고 본체(1)의 배면 하부에 설치된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15)는, 냉동실(3, 4)의 후방에 설치된 증발기실에 설치되고, 이 증발기실에 있어서의 증발기(15)의 상방에 송풍 팬(16)이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15)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는, 송풍 팬(16)에 의해 냉장실(2), 제빙실(3a), 급냉동실(3b), 냉동실(4) 및 야채실(5)의 각 저장실로 보내진다. 구체적으로는, 송풍 팬(16)에 의해 보내지는 냉기는, 개폐 가능한 댐퍼 장치를 통해, 그 일부가 냉장실(2) 및 야채실(5)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로 보내지고, 다른 일부가 제빙실(3a), 급냉동실(3b) 및 냉동실(4)의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로 보내진다. 즉, 상기 개폐 가능한 댐퍼 장치는, 냉각실로부터의 냉기를 상기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에의 냉장 토출구와 상기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에의 냉동 토출구 중 한쪽 혹은 양쪽에 선택 가능하게 유통시키는 선택 수단이다.
송풍 팬(16)에 의해 냉장실(2), 제빙실(3a), 급냉동실(3b), 냉동실(4) 및 야채실(5)의 각 저장실로 보내지는 냉기는, 각 저장실을 냉각한 후, 냉기 복귀 통로를 통해 증발기실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는 냉기의 순환 구조를 갖고 있어, 각 저장실을 적절한 온도로 유지한다.
냉장실(2) 내에는, 투명한 판으로 구성되는 복수단의 선반(17 내지 20)이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최하단의 선반(20)은, 내부 상자(12)의 배면 및 양 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그 하방 공간인 최하단 공간(21)을 상방 공간과 구획하고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6, 6)의 저장실측에는, 복수단의 도어 포켓(25 내지 27)이 설치되고, 이들 도어 포켓(25 내지 27)은 냉장실 도어(6, 6)가 폐쇄된 상태에서 냉장실(2) 내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면서, 냉장실(2)의 최하단 공간(21)에 있어서의 기기의 배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최하단 공간(21)에는,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제빙실(3a)의 제빙 접시에 제빙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빙수 탱크(22), 디저트 등의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케이스(23), 실내를 감압하여 식품의 선도 유지 및 장기 보존하기 위한 감압 저장실(24)이 설치되어 있다. 감압 저장실(24)은, 냉장실(2)의 횡폭보다 좁은 횡폭을 갖고, 냉장실(2)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한다. 또한, 감압 저장실(24) 대신에 칠드 온도대(냉장고의 규격인 JIS 9607에서는, 0℃ 부근)의 저장 공간을 형성해도 좋다.
제빙수 탱크(22) 및 수납 케이스(23)는, 좌측의 냉장실 도어(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감압 저장실(24)은 우측의 냉장실 도어(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빙수 탱크(22) 및 수납 케이스(23)는 좌측의 냉장실 도어(6)의 최하단의 도어 포켓(27)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감압 저장실(24)은 우측의 냉장실 도어(6)의 최하단의 도어 포켓(27)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냉장실(2)의 배면에는, 송풍 팬(16)으로부터 공급된 냉기를 통과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면 패널(30)이 설치되어 있다. 배면 패널(30)에는, 냉장실(2)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장실 냉각용 냉기 토출구(제1 냉기 토출구)와, 냉장실(2)의 최하단 공간(21)에 냉기를 공급하는 감압 저장실 냉각용 냉기 토출구(제2 냉기 토출구)와, 냉기 복귀구가 설치되어 있다. 냉기 복귀구는 감압 저장실(24)의 배면 후방이며 냉장실(2)의 측면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야채실(5)에 대해, 상세를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10a는 과일이나 아스파라거스 등의 작은 야채를 저장하는 데 편리한 상단 트레이이고, 10b는 양배추나 배추 등 큰 야채를 저장하는 데 편리한 용기이다. 부호 40은 야채의 선도를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선도 유지 장치이다. 선도 유지 장치(40)는, 야채실(5)의 상부 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즉, 구획벽(35)에 설치함으로써, 수납 용량의 감소를 억제하고 있다.
야채실(10)을 냉각하는 냉기는, 야채실(10)의 상부 후방의 야채실 냉기 분출구(5a)로부터 분출되어, 야채실(5) 내를 흘러 야채실(5) 전체를 냉각한다. 그리고 야채실(10)의 상부 전방의 야채실 냉기 복귀구(5b)로부터 증발기실로 복귀된다.
또한, 야채의 선도 열화의 주된 원인이 시듦이고, 지나치게 냉각하면 저온 장해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야채실은 가능한 한 항온 고습의 분위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야채실 전용 댐퍼(도시하지 않음)를 야채실 냉기 분출구(5a)에 설치하여, 온도 및 습도를 컨트롤하고 있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면서, 선도 유지 장치(40)에 대해 설명한다. 선도 유지 장치(40)는, 밀폐 용기 내에 송풍기(41)와 흡습 부재(42)와 자외선 조사 장치(43)를 구비하고 있다. 송풍기(41)는, 프로펠러 팬 등을 사용한다. 자외선 조사 장치(43)는, LED 등을 사용한다. 흡습 부재(42)는, 수분을 흡습하는 섬유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흡습 섬유를 압축하여 판상으로 성형한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막대 형상으로 절단 가공한 것을 검산(劍山)과 같이 복수 배치한다.
선도 유지 장치(40)의 밀폐 용기 내는, 풍로(40c)를 형성하도록 냉기 흡입구(40a)와 냉기 토출구(40b)를 갖는다. 흡습 부재(4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풍로(40c) 내에 설치되어 있고, 흡습 부재(42)의 일단부가 풍로(40c)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자외선 조사 장치(43)는, 흡습 부재(42)와 대향하는 풍로(40c) 벽면에 설치되어 있고, 흡습 부재(42)로부터 기화한 수분에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조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선도 유지 장치(40)의 풍로(40c)는, 개구 면적을 가능한 한 크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통풍 저항을 적게 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흡습 부재(42)는 흡습성을 갖는 것이면 형태를 불문하고, 일례로서 흡습 섬유를 압축하여 판상으로 한 경우, 통풍에 의해 흡습 부재(42)로부터 효과적으로 수분을 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흡습 부재(42)의 흡방습성 섬유로서, 섬유 내부에 많은 알칼리 금속염형 카르복실기를 함유시킨다. 이에 의해, 저장실 내의 수분을 다량으로 흡착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섬유 내부에 가교 구조를 가지므로, 유지한 수분을 방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가교 섬유의 카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에 Ag 이온을 결합시킨 후, 알칼리 처리에 의해, Ag를 섬유 표면에 나노 사이즈 레벨의 초미립자 형상으로 석출 고착시킨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저장실 내의 악취 성분을 흡착 혹은 분해하여 탈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선도 유지 장치(40)는, 통풍 상태에 있어서 흡습 부재(42)로부터 기화하는 수분과, 자외선 조사 장치(43)로부터 조사한 자외선이 반응함으로써 OH 래디컬(44)이 생성된다. 이 OH 래디컬(44)에 의해 유기물을 분해하므로, 흡습 부재(42) 자체에 부착된 유기물의 분해는 촉진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흡방습성 섬유를 이용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곰팡이의 번식이나 악취 성분의 흡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자외선 조사 장치(43)로부터 조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은, 이하의 이유에 의해, 316 내지 400나노미터(㎚)로 한다. 산소 분자는, 파장이 200나노미터 내지 240나노미터인 광을 흡수하여 오존이 된다. 또한, 오존이 발생하면 오존 독특한 냄새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파장 315나노미터 이하의 광은, 예를 들어 야채 등의 저장물의 조직을 파괴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존을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고, OH 래디컬(44) 생성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외선의 파장으로서, 316 내지 400나노미터(㎚)의 자외선의 범위로 하였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외선 조사 장치(43)로부터 316 내지 400나노미터(㎚)의 자외선을 흡습 부재(42)에 조사하면, 유기물을 분해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수분을 흡습하고 있는 흡습 부재(42) 근방은, 송풍기(41)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그리고 흡습한 수분은 기화한다. 이 기화한 수분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물로부터 OH 래디컬(44)이 생성된다. OH 래디컬(44)은 반응성이 높아, 유기물과 접촉하면 분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외선 조사 장치(43)로서 LED를 이용하고 있다. 선도 유지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분해하고자 하는 유기물과 효과적으로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냉장고에 있어서 분해하고자 하는 유기물로서는, 야채나 과일로부터 발생하는 노화 호르몬 가스라 불리는 에틸렌, 야채가 부패하면 발생하는 메틸메르캅탄, 부패의 원인이 되는 저장물에 부착된 세균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들 유기물은 모두 야채 등의 저장물에 유래하는 것이므로, 저장물의 근방에 선도 유지 장치(40)를 배치한 쪽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선도 유지 장치(40)를 구성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43)는, 저장물의 근방에 배치한다. 그러나 저장물 근방의 온도는 저장 온도와 동등하므로, 저온이다.
여기서, 자외선 조사 장치(43)로서는, 형광관식과 LED식이 일반적이다. 형광관식은 조사 강도가 주위 온도에 크게 의존하여, 주위 온도가 낮으면 형광관 본체가 데워질 때까지 원하는 조사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에 대해, LED식은 주위 온도에 의존성이 없어, 저온에서도 순간적으로 목적의 조사 강도를 얻을 수 있어, 저온 상태인 저장물 근방의 배치에 적합하다.
또한, OH 래디컬의 생성 원인이 되는 물의 공급 방법에 대해서는, 야채실(5)은 야채 자신의 수분이 증발하여 고습으로 되어 있으므로, 흡습 부재(42)에 공기 중의 고습 수분이 흡습된다. 이에 의해, 수분의 공급이 메인터넌스 프리로 가능해진다.
또한, 흡습 부재(42)에 수분을 공급하는 물 저류부를 구비하는 경우, 물 저류부는 은 이온을 용출시킨 글래스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악취 성분을 흡착 혹은 분해하여 탈취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선도 유지 장치(40)의 일례로서, 370나노미터(㎚)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유기물의 분해에 대해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실험 조건은, 밀폐한 용기 내에, 흡습 부재를 배치하여, 수분을 충분히 급수한 후, 흡습 부재에 370나노미터의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흡습 부재는, 흡습 섬유를 압축하여 판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또한, 모델 유기물로서 에틸렌 가스를 순환 통풍시켰다.
이 결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틸렌 가스의 농도가 시간과 함께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흡습 부재로부터 기화한 수분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H 래디컬이 생성되고, 그 OH 래디컬의 반응력에 의해 에틸렌이 분해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수 조작이나 물 공급 장치의 정기적인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를 하는 일 없이, 저비용이며 콤팩트한 장치에 의해, 냉장고에 보존된 생선 저장물의 선도 유지를 행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존한 생선 저장물로부터 발생하는 에틸렌을 제거하여, 에틸렌에 의한 생선 저장물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저장실 내의 미생물이나 악취 성분도 제거하고, 또한 저장실 내를 고습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생선 저장물의 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야채실의 구조에 대해,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야채실(5)은, 야채실 용기(136)의 상부에 상부 커버(137)를 설치하고 있어, 저장 공간을 밀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저장 공간을 밀폐하면, 야채실(5) 상부에는 결로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냉기 분출구에 가까운 위치에는, 결로 수집 수단(146)을 설치한다. 결로 수집 수단(146)에 의해 수집된 결로수는, 결로 수집 수단(146)의 하부에 설치한 저수 수단(145)에 고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야채실(5) 내에 수납하는 생선 저장물(수분이 많은 야채 등)이 적은 경우에는, 결로의 양이 적어져, 미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물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저수 수단(145)에 급수를 행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결로 수집 수단(146)은, 야채실 용기(136)보다도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판 또는 금속 도금판을 설치함으로써, 적극적으로 결로수를 모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금속판을 핀 형상으로 함으로써, 냉기와 금속 부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보다 많은 결로수를 모을 수 있다.
다음에, OH 래디컬 발생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야채실(5)은, 수분이 많은 야채 등의 생선 저장물을, 날것 그대로 보존하는 경우가 많은 저장실이다. 그로 인해, 악취 성분이나 균류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야채 자체로부터는 노화 촉진 가스인 에틸렌이 방출된다. 이 에틸렌 가스는, 동일한 야채실에 보존되어 있는 식재의 열화를 촉진시킬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에틸렌 가스, 악취 성분 및 균을 저감, 제거할 필요가 있다.
에틸렌 가스, 악취 성분 및 균의 발생원을 분해, 변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활성탄에 흡착시키는 방법이나 광촉매를 작용시키는 방법, 플라즈마 방전 등에 의해 발생시킨 오존을 작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물로부터 얻은 OH 래디컬을 작용시켜 에틸렌 가스, 악취 성분 및 균류를 제거하는 방법은, 분해, 변성의 효과가 높다.
그 반면, OH 래디컬은 발생 후 바로 활성을 상실하여, 에틸렌을 분해할 힘이 없어져 버린다. 그로 인해, 에틸렌 분해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OH 래디컬 발생량 및 에틸렌과 OH 래디컬의 접촉 기회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 수단(145)에 고인 물이 물 도입로(144)를 지나, 보수체(143)에 공급된다. 보수체(143)에는 보수재를 설치하여, 축적한 물이 증발하여, 미스트 발생량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축적한 물을 미스트로서 방출하므로, 고전압 발생 장치(147)로부터 무화 전극(141)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무화 전극(141)으로부터 미세한 미스트가 발생한다. 무화 전극(141)의 상부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139)을 설치하고, 미스트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OH 래디컬을 발생시킨다. 또한, 발생한 OH 래디컬과 에틸렌이나 악취 성분, 균류를 반응시키기 위해, 송풍 수단(138)에 의해 미스트 발생 방향으로 강제 대류를 발생시킨다.
또한, 송풍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무화 전극(141)과 송풍 수단(138) 사이에는, 냉기 유로(140)를 설치한다. 냉기 유로(140)에는, 에틸렌이나 악취 성분, 균류를 포함하는 야채실(5) 내의 공기가 순환한다. 에틸렌이나 악취 성분, 균류는, 냉기 유로(140) 내에서 OH 래디컬과 접촉하여 반응함으로써 제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광원(139)으로부터 조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은, 이하의 이유에 의해, 316 내지 400나노미터(㎚)로 한다. 산소 분자는, 파장이 200나노미터 내지 240나노미터인 광을 흡수하여 오존이 된다. 또한, 오존이 발생하면 오존 독특한 냄새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파장 315나노미터 이하의 광은, 예를 들어 야채 등의 저장물의 조직을 파괴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존을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고, OH 래디컬(44) 생성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외선의 파장으로서, 316 내지 400나노미터(㎚)의 자외선의 범위로 하였다.
또한, 광원(139)과 무화 전극(141) 사이의 거리는, 무화 전극(141)에 자외선이 도달하는 20㎜ 이내로 한다.
이하에, 고전압을 가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정전 무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고전압을 무화 전극(141) 및 이온 전극(142)에 인가하여, 미세한 미스트 및 이온을 발생시킨다.
도 6의 고전압 발생 장치(147)와, 도전체에 무화 접속부(126)에 의해 흡수시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무화 전극(141) 및 이온 전극(142)과, 무화 전극(141)에 물을 공급하는 보수체(143) 등으로 구성된다. 고전압 발생 장치(147)에서 발생시킨 -3㎸ 내지 -6㎸의 고전압을, 무화 전극(141) 및 이온 전극(142)에 인가하고, 보수체(143)로부터 공급한 수분을, 무화 전극(141) 선단부로부터 미세립으로 하여 또한 대전시켜 방출한다. 또한, 이온 전극(142)으로부터 이온을 방출시킨다. 도 7의 장치에 있어서, 미스트와 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킴으로써 이온풍이라 불리는 바람이 발생한다. 이 바람에 의해 미스트가 운반되고, 광원(139)의 자외선과의 반응성이 높아져, OH 래디컬의 발생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온은 활성이 높은 물질이므로 미스트가 활성화된 상태로 되어, OH 래디컬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이 된다.
다음에, 도 8은 도 7의 변형예의 정전 무화 장치이다. 도 8에서는, 저수부에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한 위치에 이온화 경향이 다른 2개의 전극을 배치하고,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단락하는 단락부를 설치하여, 제균 유닛을 내장한 정전 무화 장치이다. 정전 무화 장치는, 주로 무화부(158), 전압 인가부(155), 외곽 케이스(156)를 갖는 구성이다.
외곽 케이스(156)에는, 분무구(152)와, 분무구(152)를 설치한 면과 직교하는 외곽 케이스(156)의 하면에, 외곽 케이스(156) 내로의 냉기 공급구(151)가 설치되어 있다. 무화부(158)와 전압 인가부(155)는, 외곽 케이스(156)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무화 전극(153)보다도 하방측의 외곽 케이스(156)에, 냉기 공급구(151)가 구비되어 있다.
무화부(158)는, 미스트를 분무하는 무화 선단부를 갖는 무화 전극(153)이 설치되어 있다. 무화 전극(153)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열전도 부재인 냉각 핀(15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냉기 공급구(151)로부터 무화 전극(153)의 무화 선단부까지의 최단 거리(d1)에 대해, 냉기 공급구(151)로부터 분무구(152)까지의 최단 거리(d2)의 쪽이 짧아진다.
이로 인해, 냉기 공급구(151)로부터 외곽 케이스(156) 내로 유입된 냉기 중, 일부는 무화 전극(153) 주변으로 유입되어 결로를 촉진시킨다. 또한, 그 밖의 냉기는 무화 전극(153)측을 통과하지 않고, 분무구(152)로 숏 커트하여 가장 통기 저항이 적은 풍로를 통과한다. 이 숏 커트한 냉기 흐름에 의해, 외곽 케이스(156) 내에 적극적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외곽 케이스(156) 내에 수분이 고이는 일 없이, 흐르는 냉기와 함께 순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냉각 핀(157)은, 외곽 케이스(156)에 고정되어 있고, 냉각 핀(157) 자체는 외곽 케이스(156)로부터 돌출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무화 전극(153)에 대향하고 있는 위치에서, 저장실측에는 도넛 원반 형상의 대향 전극(154)이 설치되어 있다. 대향 전극(154)은, 무화 전극(153)의 선단부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장착되고, 그 연장 상에 분무구(15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무화부(158)의 근방에는, 전압 인가부(155)가 설치되어 있다. 고전압을 발생하는 전압 인가부(155)의 부전위측은 무화 전극(153)과, 정전위측은 대향 전극(154)과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압 인가부(155)는, 냉장고의 제어부 또는 정전 무화 장치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해 고압의 ON/OFF를 행한다.
다음에, 도 8의 정전 무화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외곽 케이스(156)에 설치한 냉기 공급구(151)로부터 들어간 공기 중의 수분은 결로되어, 이 결로수가 무화부(158)에서 미스트로 된 후에 분무구(152)로부터 분무된다. 즉, 외곽 케이스(156)에 공기의 출입구가 형성된다. 그로 인해, 저장실 내의 공기 대류의 영향에 의해, 무화 전극(153) 주위까지 공기 흐름이 발생한다. 또한, 저장실 내의 야채 등으로부터의 증산(蒸散)에 의해, 비교적 고습 상태의 공기가 냉기 공급구(151)로부터 무화 전극(153)측으로 효율적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냉기 공급구(151)를 저장실 저면측인 외곽 케이스(156)의 하면 부분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외곽 케이스(156) 내에서 결로되어 고인 결로수는, 냉기 공급구(151)로부터 외곽 케이스(156)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냉기 공급구(151)가 물 배출로서의 기능도 하여, 물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기 공급구(151)로부터 외곽 케이스(156)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전압 인가부(155)에의 물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생하는 미세 미스트의 입자 직경은 수 ㎚ 내지 수십 ㎚로 매우 작다. 또한, 미세 미스트가 분무구(152) 부근에 부착되어, 균류의 번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물때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무화 전극(141) 자체도 제균된다.
이와 같이, 야채실(5) 내의 수증기로부터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무화 전극(153)에 결로시킬 수 있어, 간이한 구성으로 미스트 분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무화 전극(153)과 전압 인가부(155)를 외곽 케이스(156) 내에 수납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무화 전극(153)이나 전압 인가부(155)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저장실 내에서 고전압을 인가해도 사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미세 미스트를 분무할 수 있다.
또한, 물방울이 부착된 무화 전극(153)에 부전압측, 대향 전극(154)을 정전압측으로 하여, 전압 인가부(155)에 의해 이 전극 사이에 고전압(예를 들어, 4 내지 10㎸)을 인가시킨다. 이때, 전극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 무화 전극(153)의 선단부의 물방울이, 정전 에너지에 의해 미세화된다. 또한, 액적이 대전되어 있으므로, 레일리 분열에 의해 수 ㎚ 레벨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전하를 가진 나노 레벨의 미세 미스트와, 그것에 부수하여 오존이나 OH 래디컬 등이 발생한다. 전극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은, 4 내지 10㎸로 매우 고전압이지만, 그때의 방전 전류치는 수 ㎂ 레벨이고, 입력으로서는 0.5 내지 1.5W로 매우 저입력이다.
무화 전극(153)으로부터 미세 미스트가 분무될 때, 이온풍이 발생한다. 이때도 분무구(152)와 별개로 설치한 냉기 공급구(151)로부터, 새롭게 고습의 공기가 무화 전극(153)부로 유입되므로 연속해서 분무할 수 있다.
또한, 발생한 미세 미스트는, 매우 작은 미립자이므로 확산성이 높고, 많은 미스트로부터 OH 래디컬이 발생하여, 에틸렌이나 악취 성분, 균류와의 반응성이 높아진다.
또한, 분무되는 미세 미스트는 고압 방전에 의해 생성되므로, 마이너스 전하를 띠고 있다. 그로 인해, 반응성이 높은 상태로 되어 있어,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OH 래디컬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의해, 에틸렌, 악취 성분 및 균류의 제거 효과가 높아진다.
다음에, OH 래디컬의 최적 발생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서 보수 방법의 최적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밀폐된 야채실로 가정한 40L의 시험 용기 내에, 30ppm의 에틸렌을 봉입한 상태에서, OH 래디컬 발생 장치를 운전한 경우의 에틸렌 잔존율의 경시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30ppm의 에틸렌량은, 시험 용기 내에 사과를 1주일간 보존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양과 동등하다.
도 9에 있어서 부호 159는, 표면에 물을 입상으로 유지 가능한 보수면(발수면)을 형성한 보수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호 160은, 초음파에 의해 발생시킨 미스트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호 161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하는 장치에서 발생시킨 미세 미스트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을 나타낸다.
도 9의 부호 159의 경우, 보수면으로부터 증발하는 수분밖에 자외선의 에너지를 수수할 수 없다. 그로 인해, OH 래디컬의 발생 효율이 나빠, 에틸렌 제거 효과가 낮다. 또한, 부호 160의 경우, 미스트 직경이 크기 때문에, 자외선의 에너지가 미스트에 전달되기 어려워, 에틸렌 제거 효과가 낮다. 한편, 부호 161은, 미스트 직경이 작고, 수분량도 충분하므로, 에틸렌 제거 효과가 높아진다. 따라서, 고전압을 가하여 발생시킨 미세한 미스트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건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서, 송풍을 행하는 풍향의 최적의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 조건은, 도 8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OH 래디컬 발생 장치를 구비한 시험 용기 내에, 에틸렌을 30ppm 봉입하여, 에틸렌 잔존율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10에 있어서, 부호 162는 미스트의 발생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송풍을 행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호 163은, 미스트의 발생 방향으로 송풍을 행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0으로부터, 미스트 발생 방향으로 송풍을 행하면 에틸렌 제거 효과가 높지만, 미스트 발생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송풍을 행하면 에틸렌 제거 효과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로 인해, 송풍은 미스트 발생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면서, 최적의 송풍 수단의 풍속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 조건은, 도 9 및 도 10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OH 래디컬 발생 장치를 구비한 시험 용기 내에, 에틸렌을 30ppm 봉입하여, 에틸렌 잔존율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11에 있어서, 부호 164는 풍속 0.8㎧로 송풍을 행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호 165는, 풍속 1.5㎧로 송풍을 행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호 166은, 풍속 2.5㎧로 송풍을 행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1로부터, 풍속이 높을수록 에틸렌과 OH 래디컬의 접촉 기회가 증가하므로, 풍속과 에틸렌 제거 효과는 비례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야채실 내에서 바람을 순환시키는 경우, 풍속을 높게 할수록 야채실 내에 보존하고 있는 야채의 수분을 빼앗게 된다. 그로 인해, 풍속을 느리게 하거나, 야채실 전체에 바람을 순환시키지 않도록 독립된 풍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더욱 최적의 풍속에 대해 검토한다. 도 12에 있어서의 실험 조건은, 밀폐된 야채실에 설치한 팬의 풍속을 0㎧, 1.0㎧, 1.5㎧, 2.5㎧, 3.0㎧의 5단계로 설정하고, 시금치를 4일간 보존하였을 때의 수분 증산율을 각각 측정하였다.
도 12에 있어서, 부호 167은 풍속 0㎧로 한 경우의 수분 증산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호 168은, 풍속 1.0㎧로 한 경우의 수분 증산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호 169는, 풍속 1.5㎧로 한 경우의 수분 증산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호 170은, 풍속 2.5㎧로 한 경우의 수분 증산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호 171은, 풍속 3.0㎧로 한 경우의 수분 증산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호 172는, 종래의 야채실에 시금치를 보존하였을 때의 수분 증산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1로부터, 풍속이 빨라짐에 따라서, 시금치의 수분 증산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부호 167의 경우, 즉, 바람이 순환하지 않는 밀폐 야채실에서는, 2.5% 정도의 증산량이다. 한편, 부호 171의 경우, 풍속 3.0㎧로 되어, 9.6% 정도의 증산량이 된다. 또한, 부호 172에 나타내는 종래의 야채실에 있어서의 시금치의 수분 증산율은 7.6%이다. 그로 인해, 종래의 야채실보다도 수분 증산율이 작은 조건을, 실사용에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그 결과, 풍속은 1.0㎧로부터 2.5㎧까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면서, 물을 보급하는 타이밍의 최적 조건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 조건은, 도 9 내지 도 11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OH 래디컬 발생 장치를 구비한 시험 용기 내에, 에틸렌을 30ppm 봉입하여, 에틸렌 잔존율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 전에 정전 무화 장치의 저수 수단에는 만수가 될 때까지 물을 넣어 두고, 급수량은 1회에 대해 2㎖, 측정 시간은 3시간으로 하였다.
도 12에 있어서, 부호 173은, 측정 시간 동안(3시간) 급수를 하지 않고 미스트를 발생시켰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호 174는, 1시간에 한 번 급수를 행하고, 미스트를 발생시켰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부호 175는, 30분에 한 번 급수를 행하고, 미스트를 발생시켰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2로부터, 저수 수단에 물을 넣어 두어도, 3시간 급수를 행하지 않는 경우(부호 173), 90분 정도에서 에틸렌의 감소가 보이지 않게 되었다. 또한, 1시간에 한 번 급수를 행한 경우(부호 174), 2시간 경과 후는 에틸렌 제거 효과가 저하되었다. 한편, 30분에 한 번 급수를 행한 경우(부호 175), 에틸렌 제거 효과가 저하되지 않았다. 이것으로부터, 적어도 30분에 한 번, 2㎖씩 급수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야채실 내에서 발생한 결로를 수집하여 정전 무화 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야채실 내에 수납되어 있는 야채가 적은 경우는, 30분에 한 번 2㎖의 결로를 수집하는 것이 곤란한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저수 수단에 물을 넣는 급수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 수단으로부터 정전 무화 장치의 사이(냉기 유로 내)에, 에틸렌, 악취 성분 혹은 균류를 담지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OH 래디컬과의 접촉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어, 에틸렌, 악취 성분 혹은 균류의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구성을 갖는 것이며,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즉, 냉장고 내의 야채실에 있어서, 정전 무화 장치(미스트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미세 미스트에, 자외선 영역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하여 OH 래디컬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OH 래디컬의 확산을 촉진시키고, 야채로부터 발생하는 에틸렌이나 악취 성분, 균류와의 접촉 효율을 증가시켜,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 내에 보존하고 있는 식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의 일부를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냉장고 본체
2 : 냉장실
3, 4 : 냉동실
3a : 제빙실
3b : 급냉동실
5 : 야채실
34 내지 36 : 구획벽
40 : 선도 유지 장치
40a : 냉기 흡입구
40b : 냉기 토출구
40c : 풍로
41 : 송풍기
42 : 흡습 부재
43 : 자외선 조사 장치
44 : OH 래디컬
136 : 야채실 용기
137 : 상부 커버
138 : 송풍 수단(팬)
139 : 광원
140 : 냉기 유로
141, 153 : 무화 전극
142 : 이온 전극
143 : 보수체
144 : 물 도입로
145 : 저수 수단
146 : 결로 수집 수단
147 : 고전압 발생 장치
151 : 냉기 공급구
152 : 분무구
154 : 대향 전극
155 : 전압 인가부
156 : 외곽 케이스
157 : 냉각 핀
158 : 무화부
159 : 표면에 물을 입상으로 유지 가능한 보수면(발수면)을 형성한 보수체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
160 : 초음파에 의해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장치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
161 : 도 6 또는 도 7에 나타내는 장치에서 발생시킨 미세 미스트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
162 : 미스트의 발생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송풍을 행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
163 : 미스트의 발생 방향으로 송풍을 행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
164 : 풍속 0.8㎧로 송풍을 행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
165 : 풍속 1.5㎧로 송풍을 행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
166 : 풍속 2.5㎧로 송풍을 행하였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
167 : 풍속 0㎧로 한 경우의 수분 증산율의 변화.
168 : 풍속 1.0㎧로 한 경우의 수분 증산율의 변화.
169 : 풍속 1.5㎧로 한 경우의 수분 증산율의 변화.
170 : 풍속 2.5㎧로 한 경우의 수분 증산율의 변화.
171 : 풍속 3.0㎧로 한 경우의 수분 증산율의 변화.
172 : 종래의 야채실에 4일간 시금치를 보존하였을 때의 수분 증산율의 변화.
173 : 측정 시간 동안(3시간) 급수를 하지 않고 미스트를 발생시켰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
174 : 1시간에 한 번 급수를 행하고, 미스트를 발생시켰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
175 : 30분에 한 번 급수를 행하고, 미스트를 발생시켰을 때의 에틸렌 잔존율의 변화.

Claims (8)

  1. 저장물을 냉장 온도대에서 보존하는 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에 설치되어, 냉기 흡입구와 냉기 토출구를 갖고 내부에 풍로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 내의 상기 풍로에 설치된 흡습 부재와,
    상기 흡습 부재로부터 방출된 수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외선 조사 수단으로부터 조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은 316㎚ 내지 400㎚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 부재의 수분의 기화를 촉진시키는 송풍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 부재는 가교 구조를 갖고, 또한 금속염의 미립자를 함유한 흡습 섬유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 부재는 가교 섬유 표면에 Ag를 석출 고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식품을 보존하는 저장 공간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고전압을 가하여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정전 무화 장치와, 상기 정전 무화 장치에서 발생한 미스트에 자외선 영역의 파장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상기 정전 무화 장치의 미스트의 발생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 공간의 에틸렌 또는 악취 성분을 분해 또는 제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의 수분을 모으는 저수 수단과, 상기 저수 수단으로부터 상기 정전 무화 장치 내의 보수체로 물을 보내는 물 도입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은, 1.0㎧ 내지 2.5㎧의 풍속으로 송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수단과 상기 정전 무화 장치 사이에 냉기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냉기 유로에 상기 광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00081703A 2010-07-06 2010-08-24 냉장고 KR201200043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53541A JP2012017862A (ja) 2010-07-06 2010-07-06 冷蔵庫
JPJP-P-2010-153541 2010-07-06
JPJP-P-2010-157427 2010-07-12
JP2010157427A JP2012021654A (ja) 2010-07-12 2010-07-12 冷蔵庫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452A Division KR20120048547A (ko) 2010-07-06 2012-04-1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16A true KR20120004316A (ko) 2012-01-12

Family

ID=454268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703A KR20120004316A (ko) 2010-07-06 2010-08-24 냉장고
KR1020120038452A KR20120048547A (ko) 2010-07-06 2012-04-13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452A KR20120048547A (ko) 2010-07-06 2012-04-13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20004316A (ko)
CN (1) CN1023134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0091A (zh) * 2019-09-09 2019-11-19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的食品保鲜装置
CN112212602A (zh) * 2019-07-11 2021-01-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的杀菌除味方法和装置
CN112212601A (zh) * 2019-07-11 2021-01-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杀菌除味方法和装置、及具有该装置的冰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6261B (zh) * 2012-08-28 2017-06-16 传感器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包括紫外线照明的存储系统
CN104792106B (zh) * 2015-04-28 2018-04-2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储物间室的杀菌方法和储物装置
EP3851180A1 (en) * 2020-01-14 2021-07-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a target gas from a cold storage environment
KR102128698B1 (ko) * 2020-04-17 2020-06-30 장석운 탄화수소계가스 절감 장치 내장 공기 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618C (zh) * 2000-11-27 2004-12-01 北京市建筑材料科学研究院 无机抗菌型冰箱除味剂的制备方法
JP2004125179A (ja) * 2002-04-03 2004-04-22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及び超音波加湿器
CN1989383B (zh) * 2004-07-22 2011-04-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收纳库和使用该收纳库的冷藏库
JP4910353B2 (ja) * 2005-10-03 2012-04-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JP5251275B2 (ja) * 2008-06-09 2013-07-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12602A (zh) * 2019-07-11 2021-01-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的杀菌除味方法和装置
CN112212601A (zh) * 2019-07-11 2021-01-1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杀菌除味方法和装置、及具有该装置的冰箱
CN110470091A (zh) * 2019-09-09 2019-11-19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的食品保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13423A (zh) 2012-01-11
KR20120048547A (ko) 201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8547A (ko) 냉장고
JP5148112B2 (ja) 冷蔵庫
RU2473025C2 (ru) Холодильник
US7966842B2 (en) Refrigerator, and electric device
JP2008089282A (ja) 冷蔵庫
JP4735466B2 (ja) 冷蔵庫
JP2008051493A (ja) 冷蔵庫
CN102753921B (zh) 冷藏库
JP2012021654A (ja) 冷蔵庫
JP5342157B2 (ja) 冷蔵庫
JP5640589B2 (ja) 冷蔵庫
JP4179398B1 (ja) 冷蔵庫
JP2010038533A (ja) 食品貯蔵庫
JP5245513B2 (ja) 冷蔵庫
JP2011069604A (ja) 冷蔵庫
JP2012078054A (ja) 冷蔵庫
TWI449873B (zh) 冰箱
JP2012122620A (ja) 冷蔵庫
WO2011121937A1 (ja) 冷蔵庫
JP5978527B2 (ja) 冷蔵庫
JP2010038532A (ja) 冷蔵庫
JP5523969B2 (ja) 冷蔵庫
JP5523955B2 (ja) 冷蔵庫
JP2012017862A (ja) 冷蔵庫
JP5788050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