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206A -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206A
KR20120004206A KR1020100064937A KR20100064937A KR20120004206A KR 20120004206 A KR20120004206 A KR 20120004206A KR 1020100064937 A KR1020100064937 A KR 1020100064937A KR 20100064937 A KR20100064937 A KR 20100064937A KR 20120004206 A KR20120004206 A KR 20120004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rail
motor
rail
fixed
seat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9277B1 (ko
Inventor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앤아이 filed Critical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to KR102010006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277B1/ko
Priority to PCT/KR2010/008668 priority patent/WO2012005416A1/en
Publication of KR2012000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8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electric motor for adjusting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와 모터구동축을 지지하는 모터구동부를 기어박스에 직접 체결하여 시트트랙 구동 시 이음 및 진동을 방지하게 되는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는 시트트랙 조립 시에 모터구동축과 리드스크류의 각도가 항상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립되기 때문에 시트트랙 구동 시 이음 및 진동의 발생을 방지하여 쾌적한 시트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Structure of Power Seat Track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전후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와 모터구동축을 지지하는 모터구동부를 기어박스에 직접 체결하여 시트트랙 구동 시 이음 및 진동을 방지하게 되는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탑승 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과, 엉덩이와 허벅다리 등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차량의 시트는 탑승자의 체형 및 실내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시트트랙이다.
상기 시트트랙은 통상 플로어패널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레일과,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시트쿠션과 결합되는 상부레일로 구성된다.
상부레일을 슬라이드 시키는 방법에는 수동으로 조작되는 매뉴얼 방식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방식으로 나뉜다.
전동 방식의 경우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배터리로부터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게 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부레일이 하부레일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됨으로써, 차량의 시트는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구간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시트 착석 자는 편안한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매뉴얼 방식 보다 편리하게 시트의 전후 조작이 가능하며 보다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시트트랙은 통상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레일(100)과, 상기 하부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면서 시트쿠션과 결합되는 상부레일(200), 상기 상부레일(200)을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모터구동부(300) 및 상기 모터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부레일(100)에 설치되는 리드스크류(110)를 따라 전후 회동하여 상기 상부레일(200)을 슬라이드 시키는 기어박스(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구동부(300)는 모터(310)와 모터의 구동축(330)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기어박스(400)는 웜기어(430)와 웜휠(42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330)과 연결되는 웜기어(430)가 회전하면, 상기 리드스크류(110)에 끼워진 웜휠(420)의 회전에 의해 기어박스(400)가 전후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전동 시트트랙은 모터구동축과 리드스크류가 정확하게 수직을 이룰 때 원활하게 작동되며, 모터구동축과 리드스크류의 각도가 수직을 이루지 못하면, 시트트랙 구동 시 이음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동 시트트랙은 모터구동부의 지지프레임이 상부레일에 고정되기 때문에 모터지지판과 상부레일의 조립 공정에서 정확하게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각도가 틀어지게 되면, 모터구동축과 리드스크류의 각도가 수직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이음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구동부의 지지프레임을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기어박스에 직접 고정시켜 모터구동축과 리드스크류의 각도가 항상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는 전동 시트트랙에 있어서, 차량 내부 저면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리드스크류(110)가 고정 설치되는 하부레일(100); 차량 시트의 저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하부레일(100)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상부레일(200); 상기 상부레일(200)에 삽입 고정되되, 상기 리드스크류(110)에 끼워지는 웜휠(420)과, 상기 웜휠(420)에 직교하여 연결되는 웜기어(430)를 포함하는 기어박스(400); 및 모터(310)와, 일단이 상기 모터(3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웜기어(430)에 연결되는 구동축(330)과, 상기 모터(310) 및 상기 구동축(33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0)을 포함하는 모터구동부(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어박스(400)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고정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고정부(410)에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돌출고정부(410)는, 상기 상부레일(200)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210)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프레임(323)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박스(400)의 상단은 상기 상부레일(200)의 하면과 맞닿고, 상기 고정프레임(323)의 하면이 상기 상부레일(200)의 상면에 맞닿아 상기 기어박스(400)가 상기 상부레일(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레일(200)의 상면과 상기 고정프레임(323)의 하면이 맞닿는 결합면에는 탄성재질로 되는 완충부재(50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330)은 유연성 있는(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는 시트트랙 조립 시에 모터구동축과 리드스크류의 각도가 항상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립되기 때문에 시트트랙 구동 시 이음 및 진동의 발생을 방지하여 쾌적한 시트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어박스 및 리드스크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 분해사시도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과, 엉덩이와 허벅다리 등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차량의 시트는 탑승자의 체형 및 실내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시트트랙이다. 특히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시트의 전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전동 시트트랙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는 하부레일(100), 상부레일(200), 모터구동부(300) 및 기어박스(4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는 모든 구성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게 됨으로,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어느 한 측 구성을 위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는 통상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레일(100)과, 상기 하부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면서 시트쿠션과 결합되는 상부레일(200)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레일(200)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상기 하부레일(100)과 상부레일(200) 사이의 공간으로 다수의 베어링부재가 삽입 설치되는 바, 상기 베어링부재는 리테이너(미도시)와 함께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하부레일(100)은 차량의 내부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일(100)은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일(100)은 단면이 밑면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양측이 각각 중심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중심을 향해 절곡된 양 끝단은 각각 하방으로 절곡되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레일(1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리드스크류(1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10)는 일단이 제1 고정블럭(1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고정블럭(130)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레일(1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고정블럭(120)의 측면에 상기 리드스크류(110)의 일단이 끼워져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하면이 상기 하부레일(100)의 밑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블럭(130)의 측면에 상기 리드스크류(110)의 타단이 끼워져 회전 불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하면이 상기 하부레일(100)의 밑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10)를 상기 하부레일(100)에 고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핵심 구성이 아니므로 이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레일(200)은 차량 시트의 저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레일(200)은 상기 하부레일(100)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레일(200)의 상면에는 상기 기어박스(4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관통홀(210)이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관통홀(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두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관통홀(210)은 상기 상부레일(200) 내부에 기어박스(400)가 내삽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레일(200)은 내삽되는 기어박스(400)의 전후 회동에 의해 상기 하부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드하며, 이에 대한 상세 구성은 후술 되는 기어박스(400)의 구성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모터구동부(300)는 배터리의 전원을 통해 구동되는 모터의 힘을 상기 기어박스(4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모터(310), 지지프레임(320) 및 구동축(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310)는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통상의 DC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상기 모터(310)가 안착되는 모터지지프레임(321)과 구동축(330)이 끼워지는 윙프레임(322) 및 상기 윙프레임(322)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기어박스(40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프레임(3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320)은 금속 재질이 아닌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시트트랙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프레임(323)에는 상기 기어박스(400)의 상단부가 안착되도록 하면에 안착홈(323a)이 형성되고, 기어박스(400)의 상단부를 볼트 체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기어박스고정홀(323b)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330)은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331)가 상기 모터(310)에 연결되고, 타단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332)가 상기 기어박스(4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330)은 상기 윙프레임(322)에 끼워지며, 플라스틱 또는 수지재와 같이 유연성 있는(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축(330)을 통해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기어박스(400)에 전달하여 기어박스(400)가 상기 리드스크류(110)를 따라 회동하게 된다.
상기 기어박스(400)는 바디(400a), 돌출고정부(410), 웜휠(420), 웜기어(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400a)는 함체 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웜휠(420) 및 웜기어(430)가 회동 가능하도록 내설된다. 상기 돌출고정부(410)는 상기 바디(400a)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고정부(410)는 상기 하부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고정부(410)는 상기 상부레일(200)의 제1 관통홀(21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프레임(323)의 하면에 맞닿아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고정부(410)의 구성을 통해 상기 기어박스(400)는 상기 바디(400a)의 상면이 상기 상부레일(200)의 하면에 맞닿아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웜휠(420)은 상기 바디(400a)의 내부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웜휠(420)은 원통 상으로 내주면이 상기 리드스크류(11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웜휠(4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웜휠(420)이 회전 시 상기 기어박스(400)는 상기 리드스크류(110)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 회동 하게 된다. 상기 웜기어(430)는 상기 웜휠(4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에 직교하도록 상기 웜휠(420)의 상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웜휠(420)은 상기 구동축(330)의 제2 고정부(332)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3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모터(310)가 구동되면 구동축(330)이 회전하게 되고, 구동축(330)의 회전에 따라 기어박스(400) 내의 웜기어(430)의 회전에 의해 웜휠(420)이 회전하여 기어박스(400)가 리드스크류(110)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게 된다. 아울러 기어박스(400)가 고정되는 상부레일(200)이 기어박스(400)의 회동에 의해 하부레일(100)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320)이 상기 기어박스(400)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축(330)과 리드스크류(110)가 항상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 구동축(330)과 리드스크류(110)가 항상 직각을 유지하게 되면, 상부레일(200) 구동 시 이음 및 진동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200)의 상면과 상기 고정프레임(323)의 하면이 맞닿는 결합면에는 탄성재질로 되는 완충부재(5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500)에는 상기 돌출고정부(410)가 관통되도록 제2 관통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500)를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320)에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이 상기 상부레일(2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락한 시트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하부레일 110 : 리드스크류
120 : 제1 고정블럭 130 : 제2 고정블럭
200 : 상부레일 210 : 제1 관통홀
300 : 모터구동부 310 : 모터
320 : 지지프레임 321 : 모터지지프레임
322 : 윙프레임 323 : 고정프레임
330 : 구동축 331 : 제1 고정부
332 : 제2 고정부
400 : 기어박스 400a : 바디
410 : 돌출고정부 420 : 웜휠
430 : 웜기어
500 : 완충부재 510 : 제2 관통홀

Claims (4)

  1. 전동 시트트랙에 있어서,
    차량 내부 저면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리드스크류(110)가 고정 설치되는 하부레일(100);
    차량 시트의 저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하부레일(100)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레일(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상부레일(200);
    상기 상부레일(200)에 삽입 고정되되, 상기 리드스크류(110)에 끼워지는 웜휠(420)과, 상기 웜휠(420)에 직교하여 연결되는 웜기어(430)를 포함하는 기어박스(400); 및
    모터(310)와, 일단이 상기 모터(3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웜기어(430)에 연결되는 구동축(330)과, 상기 모터(310) 및 상기 구동축(33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0)을 포함하는 모터구동부(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기어박스(400)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고정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고정부(410)에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트트랙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고정부(410)는,
    상기 상부레일(200)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210)을 관통하고, 상기 지지프레임(320)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프레임(323)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박스(400)의 상단은 상기 상부레일(200)의 하면과 맞닿고, 상기 고정프레임(323)의 하면이 상기 상부레일(200)의 상면에 맞닿아 상기 기어박스(400)가 상기 상부레일(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트트랙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일(200)의 상면과 상기 고정프레임(323)의 하면이 맞닿는 결합면에는 탄성재질로 되는 완충부재(50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트트랙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330)은 유연성 있는(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트트랙 구조.
KR1020100064937A 2010-07-06 2010-07-06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 KR101219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937A KR101219277B1 (ko) 2010-07-06 2010-07-06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
PCT/KR2010/008668 WO2012005416A1 (en) 2010-07-06 2010-12-06 Structure of power seat track for mot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937A KR101219277B1 (ko) 2010-07-06 2010-07-06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06A true KR20120004206A (ko) 2012-01-12
KR101219277B1 KR101219277B1 (ko) 2013-01-08

Family

ID=4544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937A KR101219277B1 (ko) 2010-07-06 2010-07-06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9277B1 (ko)
WO (1) WO201200541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17B1 (ko) * 2013-02-25 2014-12-04 (주)보쉬전장 듀얼 모터 타입의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 장치
KR102234643B1 (ko) * 2020-12-21 2021-04-01 (주)에이테크오토모티브 자동차용 시트트랙 구조
KR20220060244A (ko) 2020-11-04 2022-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
KR102527551B1 (ko) 2022-11-07 2023-05-02 (주)에이테크오토모티브 자동차용 시트트랙 구조
KR20230161765A (ko) 2022-05-19 2023-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5682B (zh) * 2012-12-17 2015-06-10 湖北中航精机科技有限公司 一种滑轨和一种座椅
FR3001667B1 (fr) * 2013-02-07 2015-03-06 Faurecia Sieges Automobile Ensemble de glissieres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ensemble de glissieres
DE102013202327B3 (de) 2013-02-13 2014-06-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Verstell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JP6140545B2 (ja) * 2013-06-20 2017-05-3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パワースライド装置
JP6253937B2 (ja) * 2013-09-30 2017-12-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KR101598718B1 (ko) * 2014-11-28 2016-02-29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드 장치
CN105857124A (zh) * 2016-05-27 2016-08-17 常州嘉盈车辆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滑轨的电机固定安装架
CN105966271A (zh) * 2016-05-27 2016-09-28 常州嘉盈车辆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电动滑轨
JP6756948B2 (ja) * 2016-09-26 2020-09-16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11772517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seat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US11904732B2 (en) 2020-11-09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care arrangement
CN116039461A (zh) * 2022-12-21 2023-05-0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座椅的滑动机构、工作方法、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3677Y2 (ja) * 1992-03-31 1997-11-12 株式会社タチエス 乗り物シートに使用されるパワー・シート・トラック
JPH08156660A (ja) * 1994-12-07 1996-06-18 Showa:Kk 車両用パワーシートのスライドナット取付構造
FR2837148B1 (fr) * 2002-03-18 2004-07-02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reglage pour glissier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ainsi que glissiere et siege equipes d'un tel mecanisme
JP4105597B2 (ja) * 2003-06-20 2008-06-25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シャフト、その製造方法、伝動機構、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679196B2 (ja) * 2005-03-24 2011-04-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070102306A (ko) * 2006-04-14 2007-10-18 주식회사 캄코 너트체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JP4912136B2 (ja) * 2006-12-14 2012-04-11 株式会社ミツバ シートスライド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17B1 (ko) * 2013-02-25 2014-12-04 (주)보쉬전장 듀얼 모터 타입의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 장치
KR20220060244A (ko) 2020-11-04 2022-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
US11639119B2 (en) 2020-11-04 2023-05-02 Hyundai Motor Company Seat rail for vehicle
KR102234643B1 (ko) * 2020-12-21 2021-04-01 (주)에이테크오토모티브 자동차용 시트트랙 구조
KR20230161765A (ko) 2022-05-19 2023-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
KR102527551B1 (ko) 2022-11-07 2023-05-02 (주)에이테크오토모티브 자동차용 시트트랙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5416A1 (en) 2012-01-12
KR101219277B1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277B1 (ko)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의 구조
JP6253937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310184B1 (ko) 모터 마운트
KR101034307B1 (ko) 자동차의 파워 롱 슬라이드 리어시트
KR101136823B1 (ko) 차량용 전동트랙의 기어박스 및 그 조립방법
CN111319525B (zh) 车辆用座椅导轨装置
US10780809B2 (en) Headrest moving device and driving unit of headrest
JPH0583412B2 (ko)
KR10198703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CN217495887U (zh) 座椅骨架和车辆
KR101468617B1 (ko) 듀얼 모터 타입의 차량용 전동 시트트랙 장치
CN110549917A (zh) 适用于隐藏安装的滑轨装置
US20200001764A1 (en) Leg support for vehicle seat
KR101232075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CN217495888U (zh) 座椅本体、座椅和车辆
CN103895536B (zh) 一种座椅角度调节装置
KR101220944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CN114834328B (zh) 座椅浮动调节装置
CN217892570U (zh) 一种车辆座椅长滑轨用消隙装置
KR101232079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JP2013226921A (ja) スライド装置
US20180236912A1 (en) Seat assembly with integrated head restraint motor
KR20150045021A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CN219989053U (zh) 一种座椅滑轨调节机构
CN117507962A (zh) 车辆的座椅骨架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