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083U -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083U
KR20120004083U KR2020100012425U KR20100012425U KR20120004083U KR 20120004083 U KR20120004083 U KR 20120004083U KR 2020100012425 U KR2020100012425 U KR 2020100012425U KR 20100012425 U KR20100012425 U KR 20100012425U KR 20120004083 U KR20120004083 U KR 201200040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oupling body
power
trun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137Y1 (ko
Inventor
윤성우
민한음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2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13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1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60Q3/35Portable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8Means for plugging to the electrical power supply of the vehicle, e.g. by using cigarette lighter s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램프 모듈을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장착된 램프 결합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트렁크 램프의 기능을 수행하고,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휴대용 손전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램프 모듈에 차량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통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휴대용 손전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램프 결합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램프 모듈에 서로 다른 종류의 조명 램프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단순한 손전등의 기능 수행 뿐만 아니라 주의 환기 표시 기능과 같은 별도의 부가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탈착식 트렁크 램프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Detachable Trunk Lamp Assembly for Vehicle}
본 고안은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램프 모듈을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장착된 램프 결합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트렁크 램프의 기능을 수행하고,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휴대용 손전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램프 모듈에 차량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통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휴대용 손전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램프 결합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램프 모듈에 서로 다른 종류의 조명 램프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단순한 손전등의 기능 수행 뿐만 아니라 주의 환기 표시 기능과 같은 별도의 부가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탈착식 트렁크 램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행중에 차량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특히 야간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엔진룸이나 주변 상황을 살필 수 있도록 간단한 휴대용 손전등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손전등은 차량에 필수적으로 비치해야하는 물품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차량의 경우 손전등 보관 장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상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내부에 손전등을 보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손전등을 보관한 채로 운행하게 되면, 차량의 진동으로 인해 손전등이 트렁크 공간 측면에 부딪히거나 트렁크에 보관된 다른 물품들과 부딪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이러한 손전등 보관함이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도 손전등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 결합과 같은 방식으로 손전등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 없이는 손전등을 손전등 보관함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기 어려워 사용자들이 손전등을 긴급한 순간에 자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손전등을 별도의 보관함을 통해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보관한다고 하더라도, 장기간 운행 이후에는 손전등의 배터리가 자연 방전되어 손전등을 점등시킬 수 없게 되므로 중요한 순간에는 전혀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차량의 트렁크 공간의 내부에는 어두운 트렁크 공간 내부를 비출 수 있도록 별도의 트렁크 램프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트렁크 램프를 이용하여 휴대용 손전등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트렁크 램프는 트렁크 도어 또는 트렁크 공간 측벽 차체에 고정 결합되는 방식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이를 분리하여 손전등으로 활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설령 트렁크 램프를 차체로부터 비교적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트렁크 램프는 차량 전원 장치로부터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온/오프 동작하도록 구성되므로, 트렁크 램프에 연결된 전선 때문에 일정 범위 이상 트렁크 램프를 분리 이탈시킬 수 없어 자유로운 활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램프 모듈을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장착된 램프 결합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트렁크 램프의 기능을 수행하고,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휴대용 손전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탈착식 트렁크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램프 모듈에 차량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통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휴대용 손전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탈착식 트렁크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램프 결합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램프 모듈에 서로 다른 종류의 조명 램프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단순한 손전등의 기능 수행 뿐만 아니라 주의 환기 표시 기능과 같은 별도의 부가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탈착식 트렁크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2개 자석의 자기 척력을 이용하여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진동에도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탈착식 트렁크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트렁크 공간 내부에 고정 배치되며 일측에는 차량 전원 장치에 연결되는 바디 충전 단자 및 바디 전원 단자가 형성되는 램프 결합 바디; 및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램프 결합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램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모듈은 상기 램프 결합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램프 결합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 충전 단자 및 바디 전원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램프 충전 단자 및 램프 전원 단자가 형성되는 램프 케이스; 상기 램프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램프 충전 단자에 연결되는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형성된 메인 조명 램프; 및 상기 메인 조명 램프가 상기 배터리 또는 램프 전원 단자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전원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조명 램프는 상기 전원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원 선택 스위치는 스위치 조작 버튼이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램프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램프 케이스가 상기 램프 결합 바디에 결합 및 분리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 조작 버튼이 상기 램프 결합 바디에 의해 가압 및 가압 해제되며 스위칭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램프 모듈은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서브 조명 램프;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상기 메인 조명 램프 또는 서브 조명 램프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램프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조명 램프는 크세논 램프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램프 결합 바디의 상기 바디 전원 단자에는 별도의 트렁크 도어 열림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 결합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램프 결합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 모듈을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램프 고정 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램프 케이스의 일측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 고정 유닛은 상기 램프 결합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 케이스; 상기 고정 케이스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자석; 및 일측에 상기 고정홈에 삽입 맞물림될 수 있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자석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자석과의 자기 척력에 의해 상기 고정 케이스 내부에서 직선 이동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자석이 상기 고정 케이스 내부에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맞물림되거나 맞물림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석에는 상기 제 1 자석에 대한 직선 이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작동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램프 모듈을 차량의 트렁크 공간에 장착된 램프 결합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에 결합한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트렁크 램프로서 활용할 수 있고,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휴대용 손전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램프 모듈에 차량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통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휴대용 손전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램프 결합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램프 모듈에 서로 다른 종류의 조명 램프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단순한 손전등의 기능 수행 뿐만 아니라 주의 환기 표시 기능과 같은 별도의 부가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개 자석의 자기 척력을 이용하여 램프 모듈을 램프 결합 바디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진동에도 램프 모듈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의 장착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의 램프 고정 유닛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의 장착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방에는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트렁크 공간(10)이 형성되고, 트렁크 공간(10)은 차체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는 트렁크 도어(2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트렁크 도어(20)가 열린 상태로 주행하게 되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트렁크 도어(20)에는 트렁크 도어(20)의 열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트렁크 도어 열림 감지 센서(30)가 장착된다. 물론, 차량에 따라서는 트렁크 도어 열림 감지 센서(30)가 트렁크 공간(10)을 이루는 차체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공간(10) 내부에 조명광을 비출 수 있도록 차량의 트렁크 도어(20)에 장착될 수 있고, 이와 달리 트렁크 공간(10) 내부의 내측벽에 장착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트렁크 도어(20)에 장착되는 형태로 설명한다.
이러한 트렁크 램프 조립체(40)는 일반적으로 트렁크 도어(20)에 고정 결합되는 트렁크 램프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휴대용 손전등의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트렁크 공간(10) 내부에 고정 배치되는 램프 결합 바디(100)와, 램프 결합 바디(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램프 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트렁크 도어 열림 감지 센서(30)의 신호에 따라 램프 모듈(200)을 통해 트렁크 공간(10)에 조명광을 비추도록 구성되고, 긴급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램프 모듈(200)을 램프 결합 바디(100)로부터 분리하여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램프 결합 바디(100)는 차량의 트렁크 도어(20)에 장착되며 램프 모듈(20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램프 모듈(200)은 램프 결합 바디(10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램프 결합 바디(100)에 끼워맞춤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결합 돌기 또는 후크 등을 이용하여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램프 결합 바디(100)의 일측에는 차량 전원 장치(미도시)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바디 충전 단자(110) 및 바디 전원 단자(120)가 형성된다.
램프 모듈(200)은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램프 결합 바디(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램프 케이스(210)와, 배터리(220)와, 메인 조명 램프(230)와, 전원 선택 스위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램프 케이스(2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램프 결합 바디(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램프 케이스(210)의 일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케이스(210)가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램프 결합 바디(100)의 바디 충전 단자(110) 및 바디 전원 단자(1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램프 충전 단자(211) 및 램프 전원 단자(212)가 형성된다. 즉, 램프 케이스(210)가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되면, 바디 충전 단자(110)와 램프 충전 단자(211)가 상호 접촉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바디 전원 단자(120)와 램프 전원 단자(212)가 상호 접촉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220)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로 램프 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되며, 램프 충전 단자(211)에 연결되어 전원이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램프 케이스(210)가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되면, 바디 충전 단자(110)와 램프 충전 단자(2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차량 전원 장치로부터 바디 충전 단자(110) 및 램프 충전 단자(211)를 통해 배터리(220)로 충전 전원이 공급되어 배터리(220)가 충전된다.
메인 조명 램프(230)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일반적인 조명 램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백열등, LED 램프 등 다양한 조명 램프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조명 램프(230)는 램프 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되거나 또는 외부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메인 조명 램프(230)가 램프 케이스(210)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램프 케이스(210)는 메인 조명 램프(230)의 조명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선택 스위치(250)는 램프 케이스(210)의 일측에 장착되며 메인 조명 램프(230)가 배터리(220) 또는 램프 전원 단자(212)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원 선택 스위치(250)는 누름 버튼 방식 또는 슬라이드 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스위치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 조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선택 스위치(250)는 램프 케이스(210)가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메인 조명 램프(230)에 램프 전원 단자(21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하고, 램프 케이스(210)가 램프 결합 바디(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메인 조명 램프(230)에 배터리(2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원 선택 스위치(250)는 별도의 스위치 조작 버튼(251)이 탄성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램프 케이스(210)의 외부로 돌출되어 별도의 가압 조작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램프 케이스(210)가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되면, 스위치 조작 버튼(251)이 램프 결합 바디(100)의 일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메인 조명 램프(230)에 램프 전원 단자(21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하고, 램프 케이스(210)가 램프 결합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면, 스위치 조작 버튼(251)이 램프 결합 바디(100)의 일측면으로부터 가압 해제되어 메인 조명 램프(230)에 배터리(2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원 선택 스위치(250)의 스위칭 동작이 램프 케이스(210)와 램프 결합 바디(100)의 상호 결합 동작에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선택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선택 조작에 의해 전원 선택 스위치(250)의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램프 케이스(210)와 램프 결합 바디(100)가 상호 결합한 경우에도 메인 조명 램프(230)에 배터리(2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형태로 스위칭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트렁크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도 메인 조명 램프(230)가 온(ON) 상태로 유지되어 차량 전원 장치의 방전 및 배터리(220)의 수명 단축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전원 선택 스위치(250)의 스위칭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램프 케이스(210)와 램프 결합 바디(100)의 상호 결합 동작에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램프 조립체(40)는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조명 램프(230)는 전원 선택 스위치(25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램프 전원 단자(21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고,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배터리(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램프 조립체(40)는 램프 모듈(200)을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함으로써, 램프 모듈(200)을 일반적인 트렁크 램프로 활용하고, 램프 모듈(200)을 램프 결합 바디(1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램프 모듈(200)을 휴대용 손전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전원 선택 스위치(250)는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 및 결합 해제됨에 따라 스위치 조작 버튼(251)이 램프 결합 바디(100)에 의해 가압 및 가압 해제되고, 이에 따라 스위치 장치 내부의 스위칭 단자(S)가 서로 다른 개방 접점을 연결하며 스위칭 동작한다. 즉,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됨에 따라 스위치 조작 버튼(251)이 가압되면, 스위칭 단자(S)는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전원 단자(212)로부터 메인 조명 램프(230)로 이어지는 회로상에 형성된 개방 접점을 연결하여 램프 전원 단자(212)로부터 메인 조명 램프(23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동작하고, 반대로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스위치 조작 버튼(251)이 가압 해제되면, 스위칭 단자(S)는 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20)로부터 메인 조명 램프(230)로 이어지는 회로상에 형성된 개방 접점을 연결하여 배터리(220)로부터 메인 조명 램프(23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동작한다. 이때, 스위치 조작 버튼(251)의 가압 상태에 따라 스위칭 단자(S)의 스위칭 동작 방식은 일반적인 스위치 구조를 통해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배터리(220)는 램프 충전 단자(211)와 연결되고, 램프 충전 단자(211)는 바디 충전 단자(110)와 연결되며, 바디 충전 단자(110)는 차량 전원 장치와 연결되기 때문에, 배터리(220)는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충전되어 충전 완료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배터리(220)의 충전 전원에 의해 상당한 시간 동안 메인 조명 램프(2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선택 스위치(25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메인 조명 램프(230)와 연결되는 램프 전원 단자(212)는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바디 전원 단자(120)와 연결되고, 바디 전원 단자(120)는 차량 전원 장치와 연결되기 때문에,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되면 전원 선택 스위치(25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바디 전원 단자(120) 및 램프 전원 단자(212)를 통해 차량 전원 장치의 전원이 메인 조명 램프(230)로 공급된다. 이때, 바디 전원 단자(120)에는 차량 전원 장치의 전원이 상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트렁크 도어 열림 감지 센서(30)에 의해 트렁크 도어(20)의 열림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만 차량 전원 장치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조명 램프(230)에도 마찬가지로 상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트렁크 도어(20)가 열린 경우에만 차량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트렁크 도어(20)가 열린 경우에만 메인 조명 램프(230)가 발광하게 되므로 차량 전원 장치의 방전 현상을 방지할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200)은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배터리(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서브 조명 램프(240)와, 배터리(220)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메인 조명 램프(230) 또는 서브 조명 램프(240)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램프 선택 스위치(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케이스(210) 내부에는 메인 조명 램프(230)에 더하여 서브 조명 램프(240)가 부가적으로 더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서브 조명 램프(240)는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로부터 분리된 경우 배터리(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면, 배터리(220)로부터 메인 조명 램프(230) 및 서브 조명 램프(240)로 전원이 동시에 공급될 수 있는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200)은 메인 조명 램프(230)와 서브 조명 램프(240) 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램프 선택 스위치(260)가 별도로 구비된다. 램프 선택 스위치(2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단자(S)가 서로 다른 접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스위치 조작 노브(26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램프 모듈(200)을 램프 결합 바디(100)로부터 분리한 후, 스위치 조작 노브(261)를 조작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메인 조명 램프(230)가 발광하도록 할 수도 있고 서브 조명 램프(240)가 발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서브 조명 램프(240)는 메인 조명 램프(230)와는 다른 조명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매우 밝은 빛을 내는 크세논 램프(Xenon lamp)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조명 램프(240)가 크세논 램프로 적용되는 경우 어두운 곳에서 차량의 고장 상태를 멀리까지 인식시켜 다른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램프 조립체(40)는 단순한 트렁크 램프 및 손전등의 기능 이외에도 서브 조명 램프(240)를 이용한 주의 환기 표시 기능도 아울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결합 바디(100)의 일측에는 램프 모듈(200)이 램프 결합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램프 모듈(2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램프 고정 유닛(300)이 장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의 램프 고정 유닛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램프 고정 유닛(300)은 램프 모듈(200)이 차량 주행 진동에도 램프 결합 바디(100)에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램프 결합 바디(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램프 고정 유닛(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램프 모듈(200)의 램프 케이스(21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고정홈(213)이 형성된다.
램프 고정 유닛(300)은 램프 결합 바디(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 케이스(310)와, 고정 케이스(310)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자석(320)과, 일측에 램프 케이스(210)의 고정홈(213)에 삽입 맞물림될 수 있는 고정 돌기(331)가 형성되며 제 1 자석(320)이 이동함에 따라 제 1 자석과의 자기 척력에 의해 고정 케이스(310) 내부에서 직선 이동하는 제 2 자석(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 2 자석(330)이 고정 케이스(310) 내부에서 직선 이동함에 따라 고정 돌기(331)가 고정홈(213)에 맞물림되거나 맞물림 해제됨으로써, 램프 모듈(200)이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고정 케이스(310)의 내부에는 제 1 자석(320)과 제 2 자석(330)이 도 4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배치되고, 이러한 배치 상태에서 각각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고정 케이스(310)의 내부에는 제 1 자석(320)과 제 2 자석(330)의 직선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311)가 형성된다. 제 1 자석(320)과 제 2 자석(330)은 모두 N극, S극 2극 착자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제 2 자석(330)의 일측단에는 램프 케이스(210)의 고정홈(213)에 삽입 맞물림될 수 있는 고정 돌기(331)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 1 자석(320)과 제 2 자석(330)이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면 동일한 극성이 서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므로 상호 간에 자기 척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제 1 자석(320)과 제 2 자석(330)은 항상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려고 하는 성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자석(320)을 램프 케이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2 자석(330)은 자기 척력에 의해 제 1 자석(320)과 반대 방향인 램프 케이스(210)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자석(330)이 램프 케이스(210)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 2 자석(330)의 고정 돌기(331)가 램프 케이스(210)의 고정홈(213)에 삽입 맞물림된다. 반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자석(320)을 램프 케이스(2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2 자석(330)은 이와 반대 방향인 램프 케이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고정 돌기(331)는 고정홈(213)으로부터 삽입 해제된다.
즉, 램프 고정 유닛(300)은 사용자가 제 1 자석(320)을 이동시킴으로써, 제 2 자석(330)의 고정 돌기(331)에 의해 램프 모듈(200)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제 1 자석(320)을 용이하게 직선 이동 조작시킬 수 있도록 제 1 자석(320)에는 별도의 작동 손잡이(340)가 고정 케이스(3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자석을 이용한 방식의 램프 고정 유닛(300)은 제 1 자석(320)의 직선 이동 조작시 자기 척력에 의한 조작감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더욱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특히, 제 2 자석(330)의 고정 돌기(331)가 램프 케이스(210)의 고정홈(213)에 삽입 맞물림된 상태에서도 제 1 자석(320)과 제 2 자석(330)의 자기 척력이 계속 유지되므로, 제 2 자석(330)의 고정 돌기(331)는 고정홈(21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자기 척력에 의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고정 유닛(300)은 자기 척력에 의해 고정 돌기(331)의 고정홈(213)에 대한 삽입력이 강하게 유지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램프 모듈(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램프 결합 바디 110: 바디 충전 단자
120: 바디 전원 단자 200: 램프 모듈
210: 램프 케이스 211: 램프 충전 단자
212: 램프 전원 단자 220: 배터리
230: 메인 조명 램프 240: 서브 조명 램프
250: 전원 선택 스위치 260: 램프 선택 스위치
300: 램프 고정 유닛 320: 제 1 자석
330: 제 2 자석

Claims (8)

  1. 차량의 트렁크 공간 내부에 고정 배치되며 일측에는 차량 전원 장치에 연결되는 바디 충전 단자 및 바디 전원 단자가 형성되는 램프 결합 바디; 및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램프 결합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램프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 모듈은
    상기 램프 결합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램프 결합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 충전 단자 및 바디 전원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램프 충전 단자 및 램프 전원 단자가 형성되는 램프 케이스;
    상기 램프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램프 충전 단자에 연결되는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도록 형성된 메인 조명 램프; 및
    상기 메인 조명 램프가 상기 배터리 또는 램프 전원 단자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전원 선택 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조명 램프는 상기 전원 선택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선택 스위치는 스위치 조작 버튼이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램프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램프 케이스가 상기 램프 결합 바디에 결합 및 분리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 조작 버튼이 상기 램프 결합 바디에 의해 가압 및 가압 해제되며 스위칭 동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모듈은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램프 결합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서브 조명 램프;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상기 메인 조명 램프 또는 서브 조명 램프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램프 선택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조명 램프는 크세논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결합 바디의 상기 바디 전원 단자에는 별도의 트렁크 도어 열림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결합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램프 모듈이 상기 램프 결합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 모듈을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램프 고정 유닛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케이스의 일측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램프 고정 유닛은
    상기 램프 결합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 케이스;
    상기 고정 케이스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자석; 및
    일측에 상기 고정홈에 삽입 맞물림될 수 있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자석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자석과의 자기 척력에 의해 상기 고정 케이스 내부에서 직선 이동하는 제 2 자석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자석이 상기 고정 케이스 내부에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맞물림되거나 맞물림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석에는 상기 제 1 자석에 대한 직선 이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작동 손잡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KR2020100012425U 2010-12-01 2010-12-01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KR200467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425U KR200467137Y1 (ko) 2010-12-01 2010-12-01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425U KR200467137Y1 (ko) 2010-12-01 2010-12-01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83U true KR20120004083U (ko) 2012-06-11
KR200467137Y1 KR200467137Y1 (ko) 2013-05-29

Family

ID=4661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425U KR200467137Y1 (ko) 2010-12-01 2010-12-01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13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775A (ko) * 2014-10-28 2016-05-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양방향 차량용 led 램프 장치, led 램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876080B1 (ko) * 2016-11-21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스텝 트림의 조명 시스템 및 방법
EP4155127A1 (en) * 2021-09-24 2023-03-29 ZEEKR Automobile Co., Ltd. Interior lamp for automobile and automobile using the same
FR3132480A1 (fr) * 2022-02-08 2023-08-11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support de dispositif mobile pour une paroi de coffre de véhic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2580B2 (ja) 1999-06-14 2005-02-23 株式会社パトライト 車両
JP3130694U (ja) 2007-01-24 2007-04-05 敏徳 林 自動車後部窓の警告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9775A (ko) * 2014-10-28 2016-05-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양방향 차량용 led 램프 장치, led 램프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876080B1 (ko) * 2016-11-21 2018-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스텝 트림의 조명 시스템 및 방법
EP4155127A1 (en) * 2021-09-24 2023-03-29 ZEEKR Automobile Co., Ltd. Interior lamp for automobile and automobile using the same
JP2023047295A (ja) * 2021-09-24 2023-04-05 極▲ケ▼汽車(寧波杭州湾新区)有限公司 自動車用室内灯及びこれを応用する自動車
FR3132480A1 (fr) * 2022-02-08 2023-08-11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support de dispositif mobile pour une paroi de coffre de véhic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137Y1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3029B (zh) 用于手持式工具机的蓄电池组
US8662699B2 (en) Lantern with removable lights
US20150267882A1 (en) Modular flashlight system
KR200467137Y1 (ko) 탈착식 차량용 트렁크 램프 조립체
JP2008547179A (ja) 自動式可搬型発光装置
US20100290207A1 (en) Emergency LED light device
JP2008210621A (ja) 充電用コネクタ及びシステム
US8646937B2 (en) Switch panel illumination structure
JP2004241342A (ja) 携帯照明灯及びその充電に使用される充電器
WO2005038336A2 (en) Adaptable light unit for cellular phones
US10549686B2 (en) Light bar for a motor vehicle
US20080304256A1 (en) Torch Comprising a Battery Charging Device
US7442890B1 (en) Button device
JP2011206339A (ja) 充電式クリーナ
KR101634240B1 (ko) 자동차의 트렁크 조명장치
CN210601132U (zh) 一种可更换电池的手提灯
JPH07309170A (ja) 自動車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20220390078A1 (en) Electric device and electric device system
KR100976212B1 (ko) 비상등
CN214943312U (zh) 一种车锁
CN211765220U (zh) 一种汽车应急后备箱照明装置
KR101589876B1 (ko) 휴대용 전등 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CN107366840B (zh) 适于便携式照明装置的电池寿命延长器
JP2023082733A (ja) 車両
KR101109553B1 (ko) 충전용 비상 후레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