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974A - 휴대 정보 단말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휴대 정보 단말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974A
KR20120003974A KR1020117030134A KR20117030134A KR20120003974A KR 20120003974 A KR20120003974 A KR 20120003974A KR 1020117030134 A KR1020117030134 A KR 1020117030134A KR 20117030134 A KR20117030134 A KR 20117030134A KR 20120003974 A KR20120003974 A KR 20120003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input
display
key
application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5130B1 (ko
Inventor
타카시 타나카
마리 이이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0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7Optimising the visualization of content, e.g. distillation of HTML doc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 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정보 단말은,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일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10)를 구비하는 휴대 정보 단말로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취득하는 기능과, 취득한 파일을 어플리케이션마다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배치하는 기능과, 배치한 파일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 정보 단말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PROGRAM}
본 발명은, 휴대 정보 단말 및 그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정보 단말에서는, 전화나 전자 메일 등 무선 통신 수단으로서의 용도에 부가하여, 최근에는 필요한 정보를 즉석에서 수집하거나, 수집한 정보를 손쉽게 저장하거나 하는 정보 관리 수단으로의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필요한 정보에 정확하게 접근하기 위한 검색 기능의 충실함도 중요한 제품 개발 테마가 되고 있다.
또한, 검색한 정보를 휴대 전화 단말에 표시하는 기술로서, 휴대 전화 단말로부터 인터넷을 경유하여 열차 등의 운행 상황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근하여 날짜나 노선명 등을 지정하면, 해당 노선 등에 관련된 현재의 운행 정보가 검색되어 휴대 전화 단말에 표시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2002-308099호 공보, 제4-9면, 제1도 참조).
그런데 일반적으로 어떠한 정보를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 파악하려는 정보가 1 종류뿐인 것은 매우 드물고, 통상적으로는 검색조건(즉, 검색의 키가 되는 항목)에 관련된 복수 종류의 정보를 파악하려는 경우가 많다. 특히, 휴대 정보 단말에서 관리되는 스케줄이나 전화번호부 또는 주소록과 같은 정보에 관해서는, 하나의 검색 항목에 대하여 복수의 정보가 동시에 파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케줄을 기동하고, 과거의 날짜를 지정하여 해당일의 스케줄을 확인할 때, 그 스케줄에 관련하여 당일에 주고받은 전자 메일의 이력을 확인하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 전화 단말의 조작자는 일단 스케줄을 종료하고, 다시 전자 메일의 메일러를 기동하고, 다시 전자 메일 리스트를 스크롤하여 해당일의 전자 메일을 수동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었다. 송신 메일과 수신 메일의 양방에 대하여 확인하려는 경우에는, 수신 폴더 및 송신 폴더의 양방에 대하여 마찬가지의 작업이 필요하여, 이러한 작업은 번잡하고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휴대 정보 단말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정보 단말은,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일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정보 단말로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한 파일을 어플리케이션마다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배치하는 배치 수단과, 배치한 파일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취득한 파일을 어플리케이션마다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배치하는 배치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검색한 결과를 집약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정보 단말은, 상기 배치 수단이,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파일의 속성 정보와 함께 배치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치 수단이,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파일의 속성 정보와 함께 배치함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어떠한 파일을 참조할 때, 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그 파일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정보 단말은, 상기 배치 수단이,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스크롤시켜 표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배치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치 수단이,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스크롤시켜 표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배치함으로써, 표시 가능한 영역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화면 내에 모든 파일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정보 단말은, 상기 배치 수단이,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어플리케이션마다 탭으로 분류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치 수단이,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어플리케이션마다 탭으로 분류하여 배치함으로써, 각 어플리케이션이 처리하는 파일이 탭마다 표시되기 때문에, 보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정보 단말은,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송신된 전자 메일 파일과 수신된 전자 메일 파일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송신된 전자 메일 파일과 수신된 전자 메일 파일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킴으로써, 날짜 등의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전자 메일 파일의 검색 결과를 송신 메일인지 수신 메일인지를 구별하여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정보 단말은, 상기 배치 수단이, 취득한 화상 파일을 썸네일(thumbnail)로 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치 수단이, 취득한 화상 파일을 썸네일로 하여 배치함으로써, 화상 파일의 검색 결과를, 콘텐츠를 알 수 있도록 컴팩트하게 배치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 파일의 콘텐츠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제어 프로그램은,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일의 콘텐츠를 표시부에 표시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 취득한 파일을 어플리케이션마다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배치하는 배치 수단, 배치한 파일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취득한 파일을 어플리케이션마다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검색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취득한 파일을 어플리케이션마다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배치하는 배치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검색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 휴대 정보 단말 및 그 표시 제어 프로그램 등에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콘텐츠 검색 및 결과 표시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링크시킨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및 검색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스케줄 파일의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일기 파일의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정보 파일의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당일에 주고받은 전자 메일의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당일 메일 리스트의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당일에 취득 또는 생성한 화상 파일의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날짜 선택 입력 화면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네비게이션 키의 좌우 키 조작에 의한 탭 화면의 표시 천이(遷移)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네비게이션 키의 좌우 키 및 상하 키 조작에 의한 탭 화면 및 탭 화면 내 항목의 표시 천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정보 탭 화면 내에서의 표시 천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에서, 날짜를 키로 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에서, 이름을 키로 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정보 단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전화 단말을 휴대 정보 단말의 일례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휴대 정보 단말은 휴대 전화 단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이 있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휴대 전화 단말(100)은,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일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10)와 조작부(20)를 구비한다. 또한, 파일은 콘텐츠를 격납하는 것이고, 어플리케이션은 파일에 격납되는 콘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휴대 전화 단말(100)은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취득하는 기능, 취득한 파일을 어플리케이션마다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배치하는 기능 및 배치한 파일을 표시부(10)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갖는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 도 2 참조)를 구비한다.
표시부(10)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으로 형성되고, 휴대 전화 단말(100)의 조작자에게 입력을 촉구하는 표시나 그 입력에 응답하는 각종 표시를 문자나 화상 등으로 행한다. 조작부(20)는 각종 키나 버튼류로 구성되며, 상하좌우로 화면의 스크롤을 행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키(21), 선택을 행하기 위한 소프트 키(22), 그 외의 소프트 키(23,24,25) 등으로 구성된다. 휴대 전화 단말(100)의 조작자는 이러한 키나 버튼을 조작하여 입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전화 단말(100)은, 상술한 표시부(10), 조작부(20)에 더하여, 제어부(30), 기억부(40), 무선 통신부(50)를 구비한다.
제어부(30)는 휴대 전화 단말 전체의 동작을 총괄 제어하는 것으로서, 또한,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를 포함한다.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표시부(1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콘텐츠의 검색 결과에 대한 구성 및 표시를 제어한다. 제어부(30)는 미리 휴대 전화 단말 내에 격납된 각종 제어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동작을 실현한다.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일에 대하여, 후술하는 "날짜 관련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프로그램"이나 "이름 관련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프로그램" 등의 제어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검색한 결과를 집약하여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기억부(40)는 메모리로 구성되며, 각종 파일을 격납한다. 예를 들면, 송수신을 행한 전자 메일 파일이나, 작성한 메모나 일기 파일의 파일, 부속의 전자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로 촬영하거나 다운로드하여 취득한 화상 파일 등이 격납된다. 또한, 상술한 제어용 프로그램이나 이 제어용 프로그램의 검색 대상이 되는 복수의 파일에 대응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화면 표시에 사용하는 포맷이나 아이콘 등의 화상 파일 등도 이 기억부에 격납된다. 또한, 검색 대상 파일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는, 전자 메일의 메일러, 스케줄러, 웹 브라우저, 주소록이나 화상 등의 데이터 관리 툴 등이 있지만,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기억부는 휴대 전화 단말의 외부에 설치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해도 무방하다.
무선 통신부(50)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전화나 전자 메일 등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전화의 접속 확립 방법이나 전자 메일의 송수신 방법 등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무선 통신부(50)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휴대 전화 단말(100)에서, 하나의 검색조건과 관련하여 복수의 콘텐츠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의 콘텐츠 검색 및 결과 표시 동작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휴대 전화 단말(100)의 조작자가 날짜를 선택하고, 그날에 관련된 스케줄, 일기, 메일, 그 밖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먼저 조작부(20)의 키를 누르는 등, 소정의 조작에 의해 "날짜 관련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프로그램"을 기동한다(단계 S101). 또한, "날짜 관련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프로그램"은 기억부(40)에 기억된다. "날짜 관련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프로그램"은, "날짜"라는 검색조건에 대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일 중에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취득하고, 취득한 파일을 그 속성 정보와 함께 어플리케이션마다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배치하고, 배치한 파일을 표시부(10)에 표시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제어부(30)의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표시부(10)에 초기 화면인 날짜 선택 입력 화면(200)을 표시한다(단계 S102). 도 11은 날짜 선택 입력 화면(200)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 전화 단말의 조작자는, 네비게이션 키(21)의 상하좌우 키를 조작하여 도 11에 나타낸 캘린더 화면상에서 커서(11)를 이동시키고, 소프트 키(22)를 눌러 날짜의 선택(검색조건의 설정)을 행한다(단계 S103). 날짜가 선택되면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해당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의 검색을 행하기 위해, 검색 대상으로서 링크시킨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기동과 검색 처리를 행한다(단계 S104). 이러한 처리는 이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링크시킨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및 검색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날짜와 관련하여, 스케줄러, 일기장 작성툴, 데이터 관리툴, 메일러를 기동시키고, 각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하는 파일의 콘텐츠의 검색을 행하도록 링크를 설정한다. 먼저,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스케줄러를 기동시켜, 선택된 해당 날짜의 스케줄 파일을 검색한다(단계 S201). 다음으로 일기장 작성툴을 기동시켜, 일기장 데이터 폴더 내에서 해당 날짜의 일기 파일을 검색한다(단계 S202).
마찬가지로 데이터 관리툴을 기동시켜, 화상 파일 폴더 내에서 해당 날짜에 취득한 화상 파일을 검색하고(단계 S203), 다시 메일러를 기동시켜 해당 날짜에 송수신한 전자 메일 파일을 검색한다(단계 S204).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상기 순서에서 취득한 복수의 콘텐츠의 검색 결과를 어플리케이션마다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탭 별로 집약하여 배치한다(단계 S205). 또한, 날짜와 관련하여 링크를 설정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임의적이며, 휴대 전화 단말의 조작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상관없다. 이것으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검색 처리가 종료된다.
도 3의 흐름도로 되돌아가서, 선택된 날짜를 키로 하여 수행한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일의 검색 과정을 종료한다(단계 S104). 그러면,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네비게이션 키(21)의 좌우 키의 입력을 검지한다(단계 S105). 처음에는, 좌우 키의 누름이 없으므로 스케줄 파일의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06). 표시 처리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 표시 처리에 의해 표시부(10)에는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일의 스케줄 탭의 화상(201)이 표시된다. 한편, 예를 들어 그 후에 네비게이션 키(21)의 오른쪽 키가 눌려지면,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가 일기 파일의 표시 처리를 실행하고, 표시부(10)에는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일의 일기 탭의 화상(301)이 표시된다(단계 S107). 즉, 탭이 1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다시 네비게이션 키(21)의 오른쪽 키가 눌려지면, 정보 파일의 표시 처리에 의해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일의 정보 탭의 화상(401)이 표시된다(단계 S108). 이때 탭이 또 1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네비게이션 키(21)의 좌우 키의 누름에 의해 탭의 전환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3개 탭의 표시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스케줄 파일의 표시 처리(도 3의 흐름도의 단계 S10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스케줄 파일의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처음에,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도 3의 단계 S104에서 취득한 스케줄 파일을 당일의 스케줄 탭의 화상(201)으로서 표시한다(단계 S301).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 상태에 있어서,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복귀 키(소프트 키(24))"의 누름의 여부를 검지한다(단계 S302). 복귀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도 13(j)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짜 선택 입력 화면(캘린더 표시)으로 되돌아가므로(단계 S303), 다시 날짜의 선택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복귀 키의 누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네비게이션 키(21)의 오른쪽 키의 누름의 유무를 검지한다(단계 S304). 오른쪽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후술하는 일기 파일의 표시 처리로 이행하므로(단계 S305), 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당일의 일기 탭의 화상(301)이 표시된다. 즉, 오른쪽 키의 누름으로 "일기" 탭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오른쪽 키의 누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네비게이션 키(21)의 상하 키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306). 아래쪽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전일(前日)의 스케줄 파일의 검색 처리를 행한다(단계 S307). 이것은 도 3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104의 처리로 이행하여 "전일"의 날짜로 스케줄의 검색을 행하는 처리로서, 그 후, 다시 단계 S301의 순서로 되돌아가서 "전일"의 스케줄 표시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위쪽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익일의 스케줄 파일의 검색 처리를 행한다(단계 S308). 이것도, 도 3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104의 처리로 이행하여 "익일"의 날짜로 스케줄의 검색을 행하는 처리이다. 그 후, 다시 단계 S301의 순서로 되돌아가서 "익일"의 스케줄 표시를 행한다. 도 13(b)는 아래쪽 키를 누른 경우에 표시되는 전일의 스케줄 탭의 화상(202)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오른쪽 키를 누르면, 동일한 순서에 의해 도 1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대로의 날짜로, 전일의 일기 탭의 화상(302)으로 이행한다.
한편, 상하 키의 누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선택 키"(소프트 키(22))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309). 선택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는 선택 응답 처리를 행한다(단계 S310). 여기서는 해당 날짜에서의 스케줄의 표시 모드가 되고, 선택한 항목의 상세 내용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케줄 탭의 화상(203)에 커서(하이라이트 표시)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조작자가 네비게이션 키(21)의 상하 키로 하이라이트 표시 부분을 이동시켜 소망하는 위치에서 선택 키를 누르면,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해당 스케줄 항목의 상세 내용을 표시한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예를 들면, 도 13(c)의 상태에서 오른쪽 키를 눌러도, 동일한 순서에 의해, 도 1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대로의 날짜로, 전일의 일기 탭의 화상(303)으로 이행할 수 있다. 이것으로 스케줄 파일의 표시 처리 순서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일기 파일의 표시 처리(도 3의 흐름도의 단계 S107)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일기 파일의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네비게이션 키(21)의 좌우 키의 누름 등에 의해 일기 탭이 선택되면,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도 3의 단계 S104에서 취득한 일기 파일에 링크되는 화상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01). 화상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링크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나서(단계 S402),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썸네일 화상을 일기의 텍스트 파일과 함께 당일의 일기 탭의 화상(301)으로서 표시한다(단계 S403). 한편, 화상 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텍스트 파일만을 표시한다.
도 13(d)에 나타낸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복귀 키"(소프트 키(24))의 누름의 유무를 검지한다(단계 S404). 복귀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도 13(j)에 나타낸 날짜 선택 입력 화면(캘린더 표시)으로 되돌아가므로(단계 S405), 다시 날짜의 선택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복귀 키의 누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네비게이션 키(21)의 좌우 키의 누름의 유무를 검지한다(단계 S406). 왼쪽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상술한 스케줄 파일의 표시 처리로 이행한다(단계 S407). 이에 따라,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당일의 스케줄 탭의 화상(201)이 표시된다. 즉, 왼쪽 키의 누름으로 "스케줄" 탭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오른쪽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후술하는 정보 파일의 표시 처리로 이행한다(단계 S408). 이에 따라, 도 1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일의 정보 탭의 화상(401)이 표시된다. 즉, 오른쪽 키의 누름으로 "정보" 탭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좌우 키의 누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네비게이션 키(21)의 상하 키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409). 아래쪽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전일의 일기 파일의 검색 처리를 행한다(단계 S410). 이것은, 도 3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104의 처리로 이행하여, "전일"의 날짜로 일기 파일의 검색을 행하는 처리이다. 그 후, 다시 단계 S401의 순서로 되돌아가서 "전일"의 일기 파일 표시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위쪽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익일의 일기 파일의 검색 처리를 행한다(단계 S411). 이것도, 도 3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104의 처리로 이행하여, "익일"의 날짜로 일기 파일의 검색을 행하는 처리이다. 그 후, 다시 단계 S401의 순서로 되돌아가서 "익일"의 일기 파일 표시를 행한다. 도 13(e)는, 아래쪽 키를 누른 경우에 표시되는 전일의 일기 탭의 화상(302)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왼쪽 키를 누르면, 동일한 순서에 의해,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대로의 날짜로, 전일의 스케줄 탭의 화상(202)으로 이행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오른쪽 키를 누르면, 동일한 순서에 의해, 도 13(h)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대로의 날짜로, 전일의 정보 탭의 화상(402)으로 이행한다.
한편, 상하 키의 누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선택 키"(소프트 키(22))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412). 선택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는 선택 응답 처리를 행한다(단계 S413). 여기서는 해당 날짜의 일기에 링크된 화상의 확대 표시 모드가 되고, 선택한 화상이 전체 화면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기 탭의 화상(303)에 커서(하이라이트 표시)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조작자가 네비게이션 키(21)의 상하 키로 하이라이트 표시 부분을 이동시키고(복수의 화상이 있는 경우), 소망하는 위치에서 선택 키를 누르면,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해당 화상 파일을 전체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도 13(f)의 상태에서 왼쪽 키를 눌러도, 동일한 순서에 의해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대로의 날짜로, 전일의 스케줄 탭의 화상(203)으로 이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3(f)의 상태에서 오른쪽 키를 눌러도, 동일한 순서에 의해 도 13(i)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대로의 날짜로, 전일의 정보 탭의 화상(403)으로 이행할 수 있다. 이것으로 일기 파일의 표시 처리 순서가 종료된다. 또한, 화상 파일을 표시할 때, 전체 화면 표시에 한하지 않고 화상 파일을 썸네일로 하여 배치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정보 파일의 표시 처리(도 3의 흐름도의 단계 S10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정보 파일의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네비게이션 키(21)의 좌우 키의 누름 등에 의해 정보 탭이 선택되면,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도 3의 단계 S104에서 취득한 화상 및 전자 메일의 리스트 등에 기초하여, 도 13(g)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당일의 정보 탭의 화상(401)을 표시한다(단계 S501). 도 13(g)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 상태에 있어서,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복귀 키"(소프트 키(24))의 누름의 유무를 검지한다(단계 S502). 복귀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도 13(j)에 나타내는 날짜 선택 입력 화면(캘린더 표시)으로 되돌아가므로(단계 S503), 다시 날짜의 선택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복귀 키의 누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네비게이션 키(21)의 왼쪽 키의 누름의 유무를 검지한다(단계 S504). 왼쪽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상술한 일기 파일의 표시 처리로 이행한다(단계 S505). 이에 따라, 도 13(d)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당일의 일기 탭의 화상(301)이 표시된다. 즉, 왼쪽 키의 누름으로 "일기" 탭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왼쪽 키의 누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네비게이션 키(21)의 상하 키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506). 아래쪽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전일의 정보 파일의 검색 처리를 행한다(단계 S507). 이것은, 도 3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104의 처리로 이행하여 "전일"의 날짜로 정보 파일(즉, 화상과 전자 메일)의 검색을 행하는 처리로서, 그 후, 다시 단계 S501의 순서로 되돌아가서 "전일"의 정보 파일 표시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위쪽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익일의 정보 파일의 검색 처리를 행한다(단계 S508). 이것도, 도 3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104의 처리로 이행하여 "익일"의 날짜로 정보 파일의 검색을 행하는 처리이다. 그 후, 다시 단계 S501의 순서로 되돌아가서 "익일"의 정보 파일 표시를 행한다. 도 13(h)은 아래쪽 키를 누른 경우에 표시되는 전일의 정보 탭의 화상(402)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 상태에서 왼쪽 키를 누르면, 동일한 순서에 의해 도 1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대로의 날짜로, 전일의 일기 탭의 화상(302)으로 이행한다.
한편, 상하 키의 누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선택 키"(소프트 키(22))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509). 선택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해당 날짜에서의 화상 또는 전자 메일에 대한 확인 모드가 되고, 선택한 항목에 대하여 상세 내용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또한, 네비게이션 키(21)의 아래쪽 키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510). 구체적으로는, 도 13(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탭의 화상(403)에 커서(하이라이트 표시)가 표시되므로, 조작자가 네비게이션 키(21)의 상하 키로 "당일 화상 확인" 또는 "당일 메일 확인"으로 이동시킨다. 즉, 도 13(i)에 나타낸 정보 탭의 화상(403)의 표시 상태에서 아래쪽 키를 누르면, "당일 메일 확인"이 하이라이트 표시되고, 아래쪽 키를 누르지 않으면, "당일 화상 확인"이 하이라이트 표시된 채가 된다.
아래쪽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이어서 선택 키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511). 그리고 선택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는 당일에 주고 받은 전자 메일의 표시 처리를 행한다(단계 S512). 한편, 아래쪽 키의 누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이어서 선택 키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513). 그리고 선택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는, 당일에 취득한 화상 파일의 표시 처리를 행한다(단계 S514). 당일 메일의 표시 처리(단계 S512) 및 당일 화상의 표시 처리(단계 S514)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3(i)의 상태에서 왼쪽 키를 눌러도, 동일한 순서에 의해 도 1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대로의 날짜로, 전일의 일기 탭의 화상(303)으로 이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네비게이션 키(21)의 위쪽 키를 누르면 익일, 아래쪽 키를 누르면 전일의 정보 파일 표시를 행하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네비게이션 키(21)의 아래쪽 키를 누르면 익일, 위쪽 키를 누르면 전일의 정보 파일 표시를 행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당일 메일의 표시 처리(단계 S512) 및 당일 화상의 표시 처리(단계 S514)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당일에 주고 받은 전자 메일의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14(a)에 나타낸 정보 탭의 화상(403)의 표시 상태에서 "당일 메일 확인"이 선택된다. 그리고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도 3의 단계 S104에서 취득한 전자 메일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당일 주고받은 전자 메일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도 14(b)에 나타낸 당일 메일 리스트의 화상(501)으로서 표시한다(단계 S601).
여기서, 이 당일 메일 리스트의 화상(501)의 표시 처리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당일 메일 리스트의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취득한 개개의 전자 메일 데이터에 대하여 송신 메일인지, 또는 수신 메일인지의 판별을 행한다(단계 S701). 송신 메일인 경우에는, 리스트의 항목으로서 왼쪽을 향하는 화살표의 아이콘을 부가, 표시한다(단계 S702). 한편, 수신 메일인 경우에는, 리스트의 항목으로서 오른쪽을 향하는 화살표의 아이콘을 부가, 표시한다(단계 S703).
다음으로,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취득한 개개의 전자 메일 파일에 대하여, 읽지 않은 메일인지, 또는 이미 읽은 메일인지의 판별을 행한다(단계 S704). 읽지 않은 메일인 경우에는, 리스트의 항목으로서 읽지 않음의 아이콘을 부가, 표시한다(단계 S705). 한편, 이미 읽은 메일인 경우에는 리스트의 항목으로서 이미 읽음의 아이콘을 부가, 표시한다(단계 S706).
다음으로,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상기한 아이콘 표시에 관련되는 전자 메일의 타이틀을 표시하고 당일 메일 리스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당일 메일 리스트의 화상(501)에서는, 리스트 최상단의 메일은 송신 아이콘(601)의 표시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의 조작자가 송신한 메일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리스트 2단째의 메일은 수신 아이콘(602)의 표시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의 조작자가 수신한 메일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미 읽음 아이콘(603)의 표시에 의해, 휴대 전화 단말의 조작자가 이미 내용을 확인한 수신 메일인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당일 메일 리스트의 표시 처리가 종료된다.
도 8의 흐름도로 되돌아가서,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 상태에 있어서,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복귀 키"(소프트 키(24))의 누름의 유무를 검지한다(단계 S602). 복귀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도 14(a)에 나타내는 정보 탭의 화상(403)으로 되돌아가므로(즉, 도 7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510으로 이행하므로), 다시 "당일 화상 확인" 또는 "당일 메일 확인"의 선택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복귀 키의 누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네비게이션 키(21)의 상하 키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603).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음에 메일 리스트의 최상단에 커서가 표시된다(하이라이트 표시). 이에 따라, 상하 키의 누름에 의해 소망하는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단계 S604).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선택 키"(소프트 키(22))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605). 선택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는 해당 전자 메일의 텍스트 전문을 표시한다(단계 S606, 도시하지 않음). 전문 표시의 상태에 있어서,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복귀 키"(소프트 키(24))의 누름의 유무를 검지한다(단계 S607). 복귀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도 14(b)에 나타내는 당일 메일 리스트의 화상(501)으로 되돌아가므로(즉, 단계 S605로 이행하므로), 다시 상세 표시를 하고 싶은 전자 메일의 선택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것으로 당일 메일의 표시 처리가 완료된다.
다음으로, 도 10은 당일에 취득 또는 생성한 화상 파일의 표시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a)에 도시한 정보 탭의 화상(403)의 표시 상태에서, "당일 화상 확인"이 선택되면,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도 3의 단계 S104에서 취득한 화상 파일의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도 14(c)에 나타낸 당일 화상 리스트의 화상(502)을 생성, 표시한다(단계 S801).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 상태에 있어서,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복귀 키"(소프트 키(24))의 누름 유무를 검지한다(단계 S802). 복귀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도 14(a)에 나타낸 정보 탭의 화상(403)으로 되돌아간다(즉, 도 7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510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다시 "당일 화상 확인" 또는 "당일 메일 확인"의 선택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복귀 키의 누름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네비게이션 키(21)의 상하 키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803).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음에 화상 파일 리스트의 최상단에 커서가 표시되므로(하이라이트 표시), 상하 키의 누름에 의해 소망하는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단계 S804).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메일 키"(소프트 키(25))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805). 메일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는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텍스트에 의한 리스트가, 도 14(d)에 나타내는 썸네일에 의한 당일 화상 썸네일 리스트의 화상(503)으로 변환된다(단계 S806).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다음으로 "선택 키"(소프트 키(22))의 누름을 검지한다(단계 S807). 선택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는 해당 화상 파일의 확대 화상을 표시한다(단계 S808, 도시하지 않음). 확대 표시의 상태에 있어서,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는, "복귀 키"(소프트 키(24))의 누름 유무를 검지한다(단계 S809). 복귀 키의 누름을 검출한 경우,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당일 화상 리스트의 화상(502)(또는 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당일 화상 썸네일 리스트의 화상(503))으로 되돌아간다(즉, 단계 S807로 이행한다). 이에 따라, 다시 확대 표시를 하고 싶은 화상의 선택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것으로 당일 화상의 표시 처리가 완료된다.
이상으로 정보 파일의 표시 처리 순서가 종료된다. 도 12 내지 도 14의 화면 표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탭의 전환은 네비게이션 키(21)의 좌우 키로, 또한, 각 탭 내의 데이터 항목의 이동(스크롤)은 네비게이션 키(21)의 상하 키로 행할 수 있다. 즉, 검색 결과의 파일을 어플리케이션마다, 미리 결정한 레이아웃으로 배치한 복수의 콘텐츠의 검색 결과를 같은 키의 조작으로 모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이 간단하고 용이하며, 소형의 휴대 전화 단말의 표시에 있어 매우 유효하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휴대 전화 단말로, 마찬가지로 날짜를 검색조건의 키로 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 단말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 단말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 단말의, 날짜를 검색조건으로 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하는 날짜가 과거인지 미래인지에 따라 검색 대상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즉, 링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의 레이아웃도 날짜에 따라 변화한다. 도 15에 나타낸 예에서는, 과거의 날짜가 선택된 경우, 당일의 스케줄, 날씨 정보, 화상 리스트, 일기나 텍스트의 메모 등을 검색한다. 또한, 본래의 날짜가 선택된 경우, 당일의 스케줄, 날씨 정보, 운세 정보, 텍스트의 메모 등을 검색하고,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1개의 포맷 상에 모든 검색 결과의 항목을 어플리케이션마다 표시한다. 제1 실시예와 같이 탭에 의한 콘텐츠의 분류를 행하지 않고 상하의 스크롤(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키(21)의 상하 키)만으로 모든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콘텐츠에 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고 싶을 때에는, 다른 키 조작(예를 들면 소프트 키(22)의 누름)으로 선택을 행한다. 그런데 상기한 날씨 정보나 운세 정보 등은, 웹 브라우저를 기동하여 특정한 웹 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해당 날짜의 정보가 취득된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 단말의 콘텐츠 검색 및 결과 표시 동작의 순서는 제1 실시예의 그것에 준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제1 및 2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휴대 전화 단말로, 검색조건으로서 이름을 키로 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 단말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 단말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 단말의, 이름을 키로 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31)에서 '이름 관련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름과 관련하여 검색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검색 결과가 집약되어 표시된다.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메일러, 스케줄러, 주소록 툴, 데이터 관리 툴 등에 링크하여, 해당 이름의 상대에 대하여 전자 메일을 송신한 최신 날짜나, 해당 이름의 상대로부터 전자 메일을 수신한 최신 날짜, 전화 번호나 주소, 착신 멜로디 타이틀, 생일 등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1개의 포맷 상에 모든 검색 결과 항목이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배치되어 표시된다.
그런데 도 16의 화면 표시예에서는 나타내어져 있지 않으나, 지정한 이름과 관련하여 해당 이름의 상대와 주고 받은 전자 메일의 이력을 리스트로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때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순서에 기초하여 아이콘 표시를 행함으로써, 상대로부터의 수신 메일인지 또는 상대로의 송신 메일인지의 구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메일 파일을 그에 대한 속성 정보와 함께 배치함으로써,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메일러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자 메일의 이력으로부터 하나의 전자 메일 파일을 선택하고 해당 전자 메일에 대한 답신이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제3 실시예에서의 휴대 전화 단말의 콘텐츠 검색 및 결과 표시 동작의 순서도 제1 실시예의 그것에 준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날짜 관련 콘텐츠 검색·표시 프로그램'이나 '이름 관련 콘텐츠 검색·표시 프로그램'에 있어서, 검색 대상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날짜'나 '이름'의 키에 대하여 검색이 가능하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검색의 순서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히 설정해도 무관하다.
또한, 이상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결과의 표시 레이아웃은 일례일 뿐으로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검색 결과도 '날짜'나 '이름'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조건을 키로 하여 검색을 행하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파일 중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표시시킬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취득한 파일을 어플리케이션마다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배치하는 배치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검색한 결과를 집약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사이즈가 작아 표시 영역이 한정된다는 휴대 정보 단말 특유의 과제를 해결하면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콘텐츠의 검색 결과를 집약하여 동일 화면상에 배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10 표시부
11 커서
20 조작부
21 네비게이션 키
22,23,24,25 소프트 키
30 제어부
31 콘텐츠 검색 결과 표시 제어부
40 기억부
50 무선 통신부
51 안테나
100 휴대 전화 단말

Claims (4)

  1.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시계열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정보 단말로서,
    조작 입력을 행하는 조작 입력 수단과,
    주소록 툴에 링크하여, 지정된 상대를 키로 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각 어플리케이션마다 분류하고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시킨 어플리케이션과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상호간의 콘텐츠를 전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상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각 어플리케이션 내의 시계열상 전의 콘텐츠를 표시시키고,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하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각 어플리케이션 내의 시계열상 후의 콘텐츠를 표시시키는 휴대 정보 단말.
  2.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시계열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휴대 정보 단말로서,
    조작 입력을 행하는 조작 입력 수단과,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 항목을 각 어플리케이션마다 분류하지 않고,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하의 스크롤로 상기 표시부에 시계열로 표시시키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킨 콘텐츠 항목 중 하나의 콘텐츠 항목이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경우에, 선택된 하나의 콘텐츠 항목에 대응하는 콘텐츠 상세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정보 단말.
  3.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표시부에 시계열로 표시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인 휴대 정보 단말을:
    조작 입력을 행하는 조작 입력 수단과,
    주소록 툴에 링크하여, 지정된 상대를 키로 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각 어플리케이션마다 분류하고 미리 정의한 레이아웃으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시킨 어플리케이션과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상호간의 콘텐츠를 전환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상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각 어플리케이션 내의 시계열상 전의 콘텐츠를 표시시키고,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하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각 어플리케이션 내의 시계열상 후의 콘텐츠를 표시시키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4.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표시부에 시계열로 표시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인 휴대 정보 단말을:
    조작 입력을 행하는 조작 입력 수단과,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 항목을 각 어플리케이션마다 분류하지 않고,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하의 스크롤로 상기 표시부에 시계열로 표시시키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킨 콘텐츠 항목 중 하나의 콘텐츠 항목이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경우에, 선택된 하나의 콘텐츠 항목에 대응하는 콘텐츠 상세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17030134A 2004-10-05 2005-09-01 휴대 정보 단말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KR101195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292648 2004-10-05
JP2004292648A JP4939739B2 (ja) 2004-10-05 2004-10-05 携帯情報端末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PCT/JP2005/016015 WO2006038398A1 (ja) 2004-10-05 2005-09-01 携帯情報端末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749A Division KR101160627B1 (ko) 2004-10-05 2005-09-01 휴대 정보 단말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974A true KR20120003974A (ko) 2012-01-11
KR101195130B1 KR101195130B1 (ko) 2012-10-29

Family

ID=361424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134A KR101195130B1 (ko) 2004-10-05 2005-09-01 휴대 정보 단말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KR1020077007749A KR101160627B1 (ko) 2004-10-05 2005-09-01 휴대 정보 단말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749A KR101160627B1 (ko) 2004-10-05 2005-09-01 휴대 정보 단말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320389A1 (ko)
JP (1) JP4939739B2 (ko)
KR (2) KR101195130B1 (ko)
CN (1) CN100492321C (ko)
WO (1) WO2006038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750B1 (ko) * 2006-08-25 2008-06-13 엔에이치엔(주) 성조를 이용하여 중국어를 검색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시스템
US20100318552A1 (en) * 2007-02-21 2010-12-16 Bang & Olufsen A/S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user
JP4985266B2 (ja) * 2007-09-25 2012-07-25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JP4833248B2 (ja) * 2008-04-22 2011-12-07 ヤフー株式会社 ログ情報提供装置、ログ情報提供方法、およびログ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5023399B2 (ja) * 2009-03-31 2012-09-12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情報端末及び情報端末におけるソフトウェア情報閲覧方法
BRPI1014397A2 (pt) 2009-05-27 2016-04-05 Google Inc dados de aplicação por computador em resultados de pesquisa
WO2011097740A1 (en) 2010-02-15 2011-08-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 comprehensive searching on a mobile device
EP2357594B1 (en) * 2010-02-15 2013-08-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for rendering calendar information
EP2537358B1 (en) * 2010-02-15 2024-04-03 Malikie Innovations Limited Devices and methods for searching data on data sources associated with registered applications
BR112013009616B1 (pt) * 2010-10-21 2020-12-15 Qualcomm Incorporated. Método implementado por computador para iniciar uma ação em um dispositivo de computação móvel responsivo a receber dados de texto de pesquisa e meio de armazenagem lido por computador
US10073927B2 (en) 2010-11-16 2018-09-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gistration for system level search user interface
US8515984B2 (en) 2010-11-16 2013-08-20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search term suggestion engine
US10346479B2 (en) 2010-11-16 2019-07-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acilitating interaction with system level search user interface
CN103793495B (zh) * 2010-12-07 2017-06-1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应用信息检索方法及系统和应用信息获取方法及系统
KR101857561B1 (ko) * 2011-08-31 2018-05-1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4137098B (zh) 2011-12-01 2018-03-16 谷歌技术控股有限责任公司 由电子设备执行的促进导航web页面的方法
US9497069B2 (en) * 2012-10-11 2016-11-15 Pismo Labs Technology Limited Managing actions of a network device through a manual information input module
USD752616S1 (en) * 2013-10-23 2016-03-29 Ares Trading S.A.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9333A (en) * 1997-08-14 1999-12-28 Executone Information Systems, Inc.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locator and a scheduling facility
US6434552B1 (en) * 1999-01-29 2002-08-13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for data retrieval
JP2001186569A (ja) * 1999-12-27 2001-07-06 Hitachi Ltd 携帯型無線電話機
US7187947B1 (en) * 2000-03-28 2007-03-06 Affinity Lab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select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GB2371171B (en) * 2001-01-03 2002-12-18 Inventec Appliances Corp Method and device of communication through web page
US8494135B2 (en) * 2001-02-27 2013-07-23 Verizon Data Servic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act management
WO2002077789A1 (en) * 2001-03-26 2002-10-03 Hyun-Gi An Multimedia calendar system
JP4301482B2 (ja) * 2001-06-26 2009-07-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サーバ、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並びにその方法
JP2003091715A (ja) * 2001-09-18 2003-03-28 Nikon System:Kk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108495A (ja) * 2001-10-01 2003-04-11 Sony Corp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組み込みスケジューラソフトウェア
JP2003198833A (ja) * 2001-12-27 2003-07-11 Canon Inc 画像通信装置及び画像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通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携帯機器装置及び携帯機器装置の制御方法及び携帯機器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3345952A (ja) 2002-05-23 2003-12-05 Btoc Usa Inc 情報登録システム
JP3938888B2 (ja) * 2002-06-17 2007-06-27 株式会社リコー 表示メニューの機能設定ユニット
JP2004038431A (ja) * 2002-07-02 2004-02-0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094890A (ja) * 2002-09-04 2004-03-25 Canon Inc 電子機器およびその動作処理方法
JP4138425B2 (ja) * 2002-09-25 2008-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
US20040167789A1 (en) * 2003-02-24 2004-08-26 Roberts Margaret 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alyzing, and reporting a cost reduction in a procurement
WO2004077291A1 (ja) * 2003-02-25 2004-09-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予測方法及び移動体端末
US7835934B2 (en) * 2003-05-21 2010-11-16 Warranty Management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of work management
US20050140653A1 (en) * 2003-12-04 2005-06-30 Velimir Pletikosa Character key incorporating navigation control
US20050160107A1 (en) * 2003-12-29 2005-07-21 Ping Liang Advanced search, file system, and intelligent assistant agent
KR101482120B1 (ko) * 2008-08-01 2015-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 관리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39739B2 (ja) 2012-05-30
US20080320389A1 (en) 2008-12-25
JP2006107113A (ja) 2006-04-20
CN101036128A (zh) 2007-09-12
CN100492321C (zh) 2009-05-27
KR101195130B1 (ko) 2012-10-29
WO2006038398A1 (ja) 2006-04-13
KR101160627B1 (ko) 2012-06-28
KR20070064617A (ko)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130B1 (ko) 휴대 정보 단말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US8583090B2 (en) Transferring task completion to another device
JP5377143B2 (ja) 携帯電子機器
EP19758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EP20095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avigable search results
EP2294520A1 (en) Image retrieval based on similarity search
CN101682667A (zh) 用于搜索不同类型项目的方法和便携式设备
KR10078250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합 검색 장치 및 방법
JP2004341778A (ja) 電子メール閲覧装置及び電子メール編集装置
JP2007279848A (ja) 電子書籍管理装置、電子書籍一覧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321088B2 (ja) 通信機能付き情報機器
EP1781001B1 (en)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mail transmission function
US20060036584A1 (en) Identification mark registration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00281425A1 (en) Handling and displaying of large file collections
JP2006211527A (ja) 携帯電話機
JP2007206757A (ja) 情報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027091A5 (ko)
JP2010027091A (ja) 携帯情報端末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12198907A (ja) 携帯情報端末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359431B2 (ja) ブックマーク機能を含む携帯端末
EP2246794A1 (en) Handling and displaying of large file collections
JP4983446B2 (ja)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に用いられるメニュー画面表示方法及びメニュー画面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4268854B2 (ja) 携帯通信端末
JP4529860B2 (ja) 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端末のブックマーク追加登録方法およびブックマーク類似情報表示方法
KR20040033692A (ko) 휴대폰에서의 북마크 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