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488U -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488U
KR20120003488U KR2020100011614U KR20100011614U KR20120003488U KR 20120003488 U KR20120003488 U KR 20120003488U KR 2020100011614 U KR2020100011614 U KR 2020100011614U KR 20100011614 U KR20100011614 U KR 20100011614U KR 20120003488 U KR20120003488 U KR 201200034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ate
plate
cooking
induction heat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봉
Original Assignee
강문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문봉 filed Critical 강문봉
Priority to KR2020100011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488U/ko
Publication of KR20120003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4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성이 우수하고 단가가 싸며 높은 자장발생률을 갖는 구조용 및 각종 탄소강판류의 일반철판을 발열판으로 이용가능토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발열판을 주방기구의 바닥면 또는 바닥면의 중앙에 개재 고정하여 일반철판을 인덕션히터용 조리기구의 발열판으로 이용할 수가 있게 되므로 제조단가가 싸고 열효율이 높은 제품을 얻을수가 있고, 더 나아가 발열판에 다수의 비어홀을 이용하여, 조리기구의 일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발열판의 고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반가열기기를 이용한 조리 시에도 발열판이 변형 및 변색될 우려가 없어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Electron induction heating type cooker}
본 고안은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구조용 및 각종 탄소강판류의 일반철판을 인덕션히터용 조리기구의 발열판으로서 이용가능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은 가볍고 또 우수한 열전도성 및 성형성으로 인하여 냄비나 후라이팬등과 같은 각종 주방용 조리기구들의 제조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주방용 가열기구로서 자기자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인덕션히터(induction heater)가 널리 이용됨에 따라, 조리기구로서 많은 장점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조리기구의 본체를 구성하고 그 바닥면에는 자성을 띠는 금속재 발열판을 부착형성하여 인덕션히터를 이용한 조리가 가능토록 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알루미늄 합금재 조리기구의 바닥면에 금속재 발열판을 부착형성함에 있어서도 발열판과 알루미늄 합금판을 겹쳐서 프레싱가공하거나 또는 발열판을 주조기의 금형하부에 부착하여 알루미늄 합금용탕을 주입하여 일체로 성형되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예로 들수가 있으나 이러한 종류의 모든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들은 발열판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한 것으로서, 자성을 띠는 발열판을 얻기 위한 금속판재의 선택시 까다로운 조건이 요구된다.
즉,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금속판재들 중 단가가 싸고 자장발생률이 가장 높은 제품은 구조용 및 각종 탄소강판류의 일반철판들로서, 이러한 일반철판들을 발열판으로 이용할 경우 제조단가를 줄이고 열효율을 극대화시켜 줄 수는 있으나 높은 부식성으로 인하여 조리기구로서 위생적이지 못해 선택의 여지 없이 스테인레스 스틸재철판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스테인레스 스틸재 철판은 높은 강도 및 경도로 인하여 가공성이 떨어지고 또 단가가 비싸 제조경비가 많이 소요되며 자장발생률이 낮아 열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단점을 지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스테인레스 스틸재철판은 물론 값싼 일반철판을 인덕션히터용 조리기구의 발열판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하더라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몸체의 바닥면에 금속재 발열판이 노출되게 부착고정된 경우 가스레인지나 전기히터등과 같은 일반가열기기를 이용한 조리시 발열판에 열이 직접적으로 가해지게 되면 알루미늄 합금재 본체로부터 변형 및 변색을 가져오게 되므로 구입 및 사용 시 반드시 구분해 주어야 하고 또 자칫 실수로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를 인덕션 히터가 아닌 일반가열기기용 조리기구로서 이용하게 되면 변형으로 인하여 사용수명이 단축되며 노출된 발열판의 표면에는 음각이나 양각 이외에 스크린등을 이용한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얻을 수 없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이 줄어들게 되는 등 많은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용 및 각종 탄소강판류의 일반철판을 인덕션히터용 조리기구의 발열판으로서 이용가능토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은 자성을 갖는 구조용 및 각종 탄소강판류의 일반철판을 프레싱가공형성하여 발열판을 얻고, 상기 발열판을 얻고자 하는 각종 조리기구의 바닥면 또는 바닥층의 중앙부에 개재 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판은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비어홀이 다수개 관통 형성되는 구조로 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원형의 비어홀은 직경이 0.1 ~ 20 mm 로 함이 좋다.
또한, 상기 원형의 비어홀은 직경이 0.3 ~ 2 mm 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반철판을 인덕션히터용 조리기구의 발열판으로 이용할 수가 있게 되므로 제조단가가 싸고 열효율이 높은 제품을 얻을수가 있고, 더 나아가 발열판에 다수의 비어홀을 이용하여, 조리기구의 일부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여, 발열판의 고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반가열기기를 이용한 조리 시에도 발열판이 변형 및 변색될 우려가 없어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상부에서 하방으로 바라보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하부에서 상방으로 바라보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적용한 요부 확대 단면 구조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상부에서 하방으로 바라보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하부에서 상방으로 바라보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적용한 요부 확대 단면 구조도이다.
본 고안은 일예로, 종래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가 갖는 단점들을 시정하기 위하여 단가가 싸고 자장발생률이 가장 높은 일반철판을 발열판으로 이용할 수가 있고, 또 가스레인지등과 같은 일반 가열기기에도 구분없이 사용할 수가 있으며, 스크린을 이용하여 조리기구의 저면에도 다양한 무늬모양을 나타내 줄 수 있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도출되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는, 자성을 갖는 구조용 및 각종 탄소강판류의 일반철판을 프레싱가공형성하여 발열판을 얻고, 상기 발열판을 얻고자 하는 각종 조리기구의 바닥면 또는 바닥층의 중앙부에 개재 고정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발열판(2)은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비어홀이 다수개 관통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형의 비어홀은 직경이 0.1 ~ 20 mm 이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원형의 비어홀은 직경이 0.3 ~ 2 mm 임이 좋다.
한편, 상기 발열판(2)는 다수의 선재로 이루어진 격자형 철망을 채용해도 좋다.
본 고안은 자성을 갖는 구조용 및 각종 탄소강판류의 일반철판을 얻고자 하는 조리구의 밑바닥 면적에 적합한 크기로 프레싱 가공형성하여 발열판(2)을 얻고, 상기 발열판(2)을 프레싱 또는 용탕을 이용하여 가압주조되는 알루미늄 합금재 조리기구(4)의 바닥면에 부착고정하여 외부도장 시 상기 발열판(2)의 표면에도 도장층이 형성되게 하여도 좋다.
상기에 있어 발열판(2)은 조리기구(4)의 성형방법에 따라 펀칭기를 이용한 펀칭으로 구멍을 촘촘히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 그 테두리부에는 박리방지턱을 형성하여 박리가 방지되게 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은 자장발생률이 가장 높은 일반철판으로 발열판(2)을 제조하여 조리기구의 바닥면에 부착고정한 다음 조리기구의 외부도장시 발열판(2)의 표면까지도 도장되게 하거나, 내부에 개재되도록 하는 구조이면 만족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리기구(4)의 바닥면에는, 세라믹도료등을 이용하여 발열판(2)이 갖는 최하부 바닥층(8)에 다양한 무늬모양을 형성하여 이 역시 가열건조후 투명도료를 코팅 및 가열건조해 주게 되면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조리기구(4)의 외부도장시 그 바닥면에 부착된 발열판(2)의 표면까지도 내열도료를 도포하여 도장층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단가가 싸고 자장발생률이 가장 높은 일반철판으로 발열판(2)을 제조하여 조리기구(4)의 바닥면에 부착해 주더라도 강한 충격 등에 의해 최하부 바닥층(8)이 손상되지 않는 한 습기 등 외적인 조건에 의한 부식의 우려가 전혀 없게 된다.
한편, 발열판(2)의 최하부 바닥층에 제2 발열판(2a)을 추가 적층하는 구성을 채택 시. 인덕션히터를 이용한 조리 시에는 상기 제2 발열판(2a)에도 불구하고 그 자체가 갖는 자장발생능력을 변함없이 유지할 수가 있게 되고 특히 가스레인지나 전기히터등과 같은 일반가열기기를 이용한 조리시에도 제2 발열판(2a)으로 인하여 발열판(2)에 열이 간접적으로 가해지게 되므로 전혀 변형될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각종 조리기구는, 도자기, 옹기, 돌등 세라믹류, 알미늄 등 비자성체 재질의 제품은 인적션 렌지에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 뚝배기, 돌솥등 도자기류(세라믹)에 본 고안 제품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의 조리기구는, 기존의 도자기 만드는 공법(흙빚기-건조-초벌(800도씨)-유약-2차소성(1200도씨) 하는 가공 단계를 거친다.
이렇게 하면, 일예로, 흙빚기에서 바닥부분에 철판을 삽입 후 건조시키면 흙의 수축율에 의해 건조 시 갈라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흙수축율15% 과 철판은 수축율 없음), 또, 상기 발열판(2)을 삽입할 홈을 형성하여, 초벌구이(800도씨)한후 철판을 넣고 흙으로 밀봉, 유약바른후 2차 소성하는 방법(1200도씨)을 채택하여도 좋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흙의 수축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가느다란 철망을 적용해도 좋다. 2차소성된 제품의 하단부에 철판을 삽입후 2차소성된 두껑을 덮고 유약작업후 다시 2차 소성하는 방법을 채택해도 좋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부식의 우려가 없어 일반금속철판을 인덕션 히터용 발열판(2)으로서 이용가능토록 함으로써, 일반금속철판이 갖는 낮은 단가로 제조경비를 훨씬 절감할 수 있고, 또 높은 자장발생률로 열효율을 극대화 시켜 줄수가 있으며, 가스레인지나 전기히터등과 같은 일반가열기기를 이용한 조리 시에도 전혀 구분할 필요없이 겸용으로 사용할수가 있고 또 부주의로 인한 수명단축의 우려없이 안심하고 사용할수가 있고, 발열판(2)의 부착면에도 스크린을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 모양을 나타내 줄 수 있게 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됨은 물론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 줄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고안판 중 어느 하나는 일정 두께를 갖는 다수의 판상부재의 외곽부가 상향 절곡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는 자기적인 접속 시 가능한 많은 통자점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발열판 2a : 제2 발열판
4 : 조리기구
8 : 최하부 바닥층

Claims (5)

  1. 자성을 갖는 구조용 및 각종 탄소강판류의 일반철판을 프레싱가공형성하여 발열판을 얻고, 상기 발열판을 얻고자 하는 각종 조리기구의 바닥면 또는 바닥층의 중앙부에 개재 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은 원형 또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비어홀이 다수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비어홀은 직경이 0.1 ~ 2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비어홀은 직경이 0.3 ~ 2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은 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KR2020100011614U 2010-11-11 2010-11-11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KR201200034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14U KR20120003488U (ko) 2010-11-11 2010-11-11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614U KR20120003488U (ko) 2010-11-11 2010-11-11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488U true KR20120003488U (ko) 2012-05-21

Family

ID=4661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614U KR20120003488U (ko) 2010-11-11 2010-11-11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48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0941697Y (zh) 电磁加热器
JP5591491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底部およびフェライト系または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ボウルを有する食物調理機器
JP5319447B2 (ja) 加熱調理器用ホーロー天板
CN206284794U (zh) 一种均匀加热的多功能电饭锅
JP7065251B2 (ja) 熱変形防止構造を有する調理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7013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KR20120003488U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CN206094198U (zh) 一种电磁加热烹饪器具
CN2925330Y (zh) 适用电磁炉的陶瓷厨具
CN209090774U (zh) 一种电磁加热砂锅
KR20010090243A (ko) 전자유도가열식 조리기구
CN207428916U (zh) 电磁炉用陶瓷锅
CN204120837U (zh) 锅、电饭煲及依靠电力工作的电锅具
KR19990073452A (ko) 전자파유도가열기용의자성체알루미늄조리기의제조방법
KR20140048510A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201492268U (zh) 电磁炉用锅
JP3160440U (ja) 電磁調理器用土鍋
CN201219816Y (zh) 一种新型陶瓷煲
CN201026106Y (zh) 一种多用锅
CN216652025U (zh) 一种高效电膜炉蒸煮装置
CN214906022U (zh) 一种新型电磁炉专用瓷器
CN209219917U (zh) 容器和烹饪器具
CN218387988U (zh) 一种设有绝缘耐压片的电磁炉用线圈盘
CN207940653U (zh) 一种精确测温的烹饪器具
JP5918276B2 (ja) 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