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125A -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125A
KR20120003125A KR1020100063798A KR20100063798A KR20120003125A KR 20120003125 A KR20120003125 A KR 20120003125A KR 1020100063798 A KR1020100063798 A KR 1020100063798A KR 20100063798 A KR20100063798 A KR 20100063798A KR 20120003125 A KR20120003125 A KR 20120003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metal
lead frame
insulating
meta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414B1 (ko
Inventor
박충식
이형의
천현아
엄새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6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4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4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9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including different method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80 - H01L2224/90
    • H01L2224/92Specific sequence of method steps
    • H01L2224/922Connecting different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with connectors of different types
    • H01L2224/9222Sequential connecting processes
    • H01L2224/92242Sequential connecting processes the first connecting process involv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92247Sequential connecting processes the first connecting process involving a layer connector the second connecting process involving a wire connector

Landscapes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부 측면에 형성된 범프; 상기 범프상에 형성된 제 1금속부; 상기 절연부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금속부와 연결된 리드부; 상기 리드부 상면 중 상기 다이패드부에 인접한 위치에 도금된 이너 리드; 상기 범프 하면에 형성된 아우터 리드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더욱 미세한 회로패턴을 구현하며,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제조 공정 중 물리적인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리드 프레임 및 리드 프레임 제조 공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LEAD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IG SAME}
본 발명은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범프의 두께가 상부보다 하부를 크게 하여 미세회로가 가능하며 신뢰성, 즉, 완성된 패키지와 PCB와의 부착력을 개선하고, 절연층으로 역할하는 범프와 리드 프레임 소재와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작되는 리드프레임의 형태는 에칭 기법 혹은 스탬핑법을 이용하여 다이패드 및 리드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기존의 리드프레임의 제작방법으로는 반도체의 고집적화를 위하여 필요한 다열 리드 형성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2단 에칭을 이용하여 제조된 리드 프레임은 이너리드의 구현 피치를 감소시키는 데 한계가 존재하여 구현할 수 있는 리드 핀 (lead pin) 의 수가 제한된다. 더욱이 다이패드부와 리드부와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리드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얇은 폴리이미드 막으로 구성되어 지지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아울러, 절연층과 리드 프레임 소재 계면간 국부적인 박리가 발생하기 쉬우며, 절연층,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물리적인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미세한 회로패턴을 구현하며,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제조 공정 중 물리적인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리드 프레임 및 리드 프레임 제조 공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드 프레임의 구조는, 절연부 측면에 형성된 범프; 상기 범프상에 형성된 제 1금속부; 상기 절연부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금속부와 연결된 리드부; 상기 리드부 상면 중 상기 다이패드부에 인접한 위치에 도금된 이너 리드; 상기 범프 하면에 형성된 아우터 리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절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범프와 이격된 다이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절연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리드부와 이격된 내측 리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내측 리드부상에 도금된 제 2금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이패드부 상, 하면에 각각 도금된 다이패드 상, 하부 금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범프는 하부의 두께가 상부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범프의 두께는 하부로 갈수록 완곡하게 넓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드 프레임의 제조 방법은, (a) 금속기판의 상부를 하프 에칭하여 절연부 홈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금속기판의 상부에, 절연층이 코팅된 금속막을 압착하여, 상기 절연부 홈에 절연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기판의 하면을 전면에칭하여 상기 절연부의 하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금속막의 상면을 패턴 에칭하여 상기 금속기판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d) 상기 금속기판의 노출된 상, 하면을 도금하고, 상기 금속막상에 이너리드를 도금하는 단계; 및 (e) 상기 금속막 상면을 패턴에칭하여 리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a)단계의 금속기판은 구리 기판이며, 상기 (b)단계의 절연층이 코팅된 금속막은 레진이 코팅된 구리기판 (RCC; Resin Coated Copper) 또는 동박 적층판 (CCL; Copper Clad Laminate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금속기판의 상부를 하프 에칭하여 하부 단차가 완곡한 절연부 홈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미세한 회로패턴으로 인한 와이어 길이 감소 및 라우터빌리티 (Routability)로 인한 플립칩 본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범프의 두께가 상부보다 하부를 크게하여 미세회로가 가능하며 신뢰성, 즉, 완성된 패키지와 PCB 와의 부착력을 개선하고, 절연층으로 역할하는 범프와 리드 프레임 소재와의 박리를 방지한다.
더욱이, RCC 또는 CCL 를 사용하여, 제조 공정시 물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드 프레임 제조 공정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드 프레임의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드 프레임의 배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드 프레임 제조 공정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회로 주체가 되는 금속기판 (100)을 준비한다 (단계 a). 이 금속기판 (100)은 구리 (Cu)가 바람직하나. 전도성 물질인 구리 합금, 철 (Fe), 철 합금 등의 금속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될 금속기판 (100)의 두께는 10mil (1mil = 1,000분의 1인치) 이하가 바람직하며, 5mil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기판 (100)의 상부 및 하부에 포토 레지스트 (120)가 형성된다. 이 경우, 포토 레지스트 (120)는 액체 타입의 포토 레지스트 (LPR: Liquid Photo Resist), 필름 타입의 포토 레지스트 (DFR: Dry Film Resist)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기판 (10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포토 레지스트 (120)가 노광 및 현상된다.
또한, 포토 레지스트 (120)의 도포는 금속기판 (110)의 상면에만 도포할 수도 있으나, 하면의 부재를 보호하기 위해 양면 도포가 바람직하다.
그 후, 하프 에칭을 수행하여 절연부홈 (130)을 형성한다 (단계 b). 여기서, 하프 에칭은 등방성 에칭으로서, 하부 단차부는 완곡한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완곡한 형상의 단차부는 이후 형성될 범프의 형상에 영향을 미친다 (후술). 그 후, 금속기판 (100) 상부에 레진이 코팅된 구리기판 (RCC; Resin Coated Copper) (또는 동박 적층판 (CCL; Copper Clad Laminates))과 같은 절연층이 코팅된 금속막을 준비한다 (단계 c). 그리고 RCC (140)를 금속기판 (100)의 상부에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압착한다 ((d)단계). 이 경우, RCC (140)의 레진 (140b)이 코팅된 부분을 금속기판 (100) 상부에 압착한다. 그 결과, RCC (140)의 레진 (140b)은 절연부홈 (130)을 채움으로써, 절연부 (150)를 형성한다.
그리고 감광제 (120)를 도포하고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노광, 현상하여 에칭 마스크를 형성한다 (단계 e). 이 에칭 마스크의 패턴은 절연부 (150)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금속기판의 상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그 후, 금속기판 (100)의 하면을 전면 에칭하여 상기 절연부 (150)의 하부를 노출시키고, RCC의 금속막 (140a)의 상면을 패턴 에칭하여 금속기판 (100)의 상면을 노출시킨다 (단계 f). 이와 같은 상면 및 하면의 에칭에 의해 범프 (170)및 다이패드부 (160)가 형성된다. 특히, 본 단계에서 형성된 범프의 (170) 형상은 하부의 두께가 상부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이 특징이다. 이는 (b) 단계에서 하프 에칭시 하부 단차 부분이 완곡한 형상을 이루기 때문이다. 그 결과, 상부의 얇은 두께로 인해 회로 피치가 미세하게 되며, 하부의 넓은 두께로 인해 PCB에 실장시 견고함의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그 후, 금속기판 (100) 상에 감광제 (120)를 도포하고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노광, 현상하여, (g) 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턴이 형성된 도금 마스크 (120)를 RCC (140)의 에칭되지 않고 남은 금속막(140a) 상에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금 마스크 (120) 상부와, 금속기판 (100)의 하부를 도금하여 이너리드 (180a), 아우터 리드 (180b), 다이패드 금속부 (190a 및 190b), 및 제 1, 제 1금속부 (195a 및 195b)를 형성한다 (단계 h). 여기서, 아우터 리드 (180b) 및 다이패드 금속부 (190b)는 이후 반도체 칩 (20)이 실장될 면의 반대면으로서, PCB 기판에 반도체 패키지를 실장하는 경우, 솔더볼과의 접촉면이 된다.
그 다음, 리드 프레임의 상하면에 감광제를 도포하고 (하면은 부재를 보호하기 위함)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노광, 현상하여, 패턴이 형성된 에칭 마스크 (120)를 형성한다 (단계 i). 이 에칭 마스크 (120)의 패턴은 리드프레임의 회로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에칭을 통해 제 2금속부 (195a)와 이너리드 (180a) 사이의 절연부 (150)가 노출된다. 이에 의해 절연부 상의 내, 외측에 내측 리드부 (165b)와 리드부 (165a)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단계 j).
그 후, 다이패드 금속부 (190a)에 칩 (20)을 실장하고, 반도체 칩 (20)을 이너리드 (180a) 및 제 2금속부 (195a)를 와이어 (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단계 k). 그리고 최종적으로, 리드 프레임과 반도체 칩을 일괄적으로 봉지재를 이용하여 몰드 수지, EMC (Epoxy Mold Compound) (40)로 패킹처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금속기판 120: 에칭(도금) 마스크
130: 절연부홈 140: RCC (또는 CCL)
140a: 금속막 140b: 레진 (절연체)
150: 절연부 160: 다이패드부
165a: 리드부 165b: 내측 리드부
170: 범프 180a: 이너리드
180b: 아우터 리드 190a, 190b: 다이패드 금속부
195a: 제 2금속부 195b: 제 1금속부
20: 칩 30: 와이어
40: EMC

Claims (10)

  1. 절연부 측면에 형성된 범프;
    상기 범프상에 형성된 제 1금속부;
    상기 절연부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금속부와 연결된 리드부;
    상기 리드부 상면 중 상기 다이패드부에 인접한 위치에 도금된 이너 리드;
    상기 범프 하면에 형성된 아우터 리드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절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범프와 이격된 다이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절연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리드부와 이격된 내측 리드부를 더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내측 리드부상에 도금된 제 2금속부를 더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은,
    상기 다이패드부 상, 하면에 각각 도금된 다이패드 상, 하부 금속부를 더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하부의 두께가 상부의 두께보다 큰 리드 프레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의 두께는 하부로 갈수록 완곡하게 넓어지는 리드 프레임.
  8. (a) 금속기판의 상부를 하프 에칭하여 절연부 홈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금속기판의 상부에, 절연층이 코팅된 금속막을 압착하여, 상기 절연부 홈에 절연부를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기판의 하면을 전면에칭하여 상기 절연부의 하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금속막의 상면을 패턴 에칭하여 상기 금속기판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d) 상기 금속기판의 노출된 상, 하면을 도금하고, 상기 금속막상에 이너리드를 도금하는 단계; 및
    (e) 상기 금속막 상면을 패턴에칭하여 리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금속기판은 구리 기판이며,
    상기 (b)단계의 절연층이 코팅된 금속막은 레진이 코팅된 구리기판 (RCC; Resin Coated Copper) 또는 동박 적층판 (CCL; Copper Clad Laminates)인 리드 프레임 제조 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금속기판의 상부를 하프 에칭하여 하부 단차가 완곡한 절연부 홈을 형성하는 단계인 리드 프레임 제조 방법.
KR20100063798A 2010-07-02 2010-07-02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3798A KR101168414B1 (ko) 2010-07-02 2010-07-02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3798A KR101168414B1 (ko) 2010-07-02 2010-07-02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125A true KR20120003125A (ko) 2012-01-10
KR101168414B1 KR101168414B1 (ko) 2012-07-25

Family

ID=4561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3798A KR101168414B1 (ko) 2010-07-02 2010-07-02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4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8663B1 (en) 2005-07-15 2008-03-25 Asat Ltd. Integrated circuit packa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414B1 (ko)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4388B1 (en) Semiconductor package, semiconductor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package
TWI397358B (zh) 打線基板及其製作方法
JP2014078658A (ja) 半導体パッケージ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86879B1 (ko)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JPH09246427A (ja) 表面実装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表面実装型半導体装置
TWI455216B (zh) 四邊扁平無接腳封裝方法及其製成之結構
KR101168414B1 (ko)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54670A (ja) 半導体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携帯機器
KR101128999B1 (ko) 칩 패키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칩 패키지
US9974166B2 (en)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387080B (zh) 四方扁平無引腳之半導體封裝結構及封裝方法
KR101187913B1 (ko) 반도체 패키지용 리이드 프레임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107756B1 (ko)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8413B1 (ko)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8994B1 (ko) 무기판 반도체 칩 패키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무기판 반도체 칩 패키지
KR101168890B1 (ko)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59580A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방법
TW201832337A (zh) 線路載板及其製造方法
KR20100006898A (ko) 반도체 패키지와, 이의 제조 방법
JP2006294825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TWI596678B (zh) 半導體封裝結構及其製作方法
TW201721824A (zh) 半導體封裝結構及其製作方法
KR101047874B1 (ko) 리드프레임 및 반도체 패키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68412B1 (ko) 리드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104382A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