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016U -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016U
KR20120003016U KR2020100010892U KR20100010892U KR20120003016U KR 20120003016 U KR20120003016 U KR 20120003016U KR 2020100010892 U KR2020100010892 U KR 2020100010892U KR 20100010892 U KR20100010892 U KR 20100010892U KR 20120003016 U KR20120003016 U KR 201200030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g
plate
pedestal
stop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736Y1 (ko
Inventor
조용권
Original Assignee
조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권 filed Critical 조용권
Priority to KR2020100010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73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0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0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7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60Q7/005Devices without lamps

Abstract

본 고안은 접철식 자동차 정지표시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3개의 합성수지 막대판으로 이루어진 삼각판과, 상기 삼각판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양단에서 사방으로 접철 가능하게 장착된 받침다리로 이루어지되, 상기 삼각판의 밑변을 이루는 제1 막대판의 후면에는 정지표시판의 무게중심을 낮추어 주는 금속막대판이 설치되어 있어서, 조립 편의성과 함께 설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 접철식 자동차 정지표시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Assembling structure of foldable standing bar for automobile warning board}
본 고안은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삼각판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양단에다 사방으로 펼치고 접을 수 있는 접철식 받침다리를 설치하되, 조립이 편리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과정에서 상기 받침다리가 빠져나오는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정지표시판은 자동차 도로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후방 차량에게 미리 인식시켜서 정지 또는 우회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세계적으로 붉은색 삼각판과 이를 소정의 높이로 세워둘수 있는 받침대로 이루어지며, 그래서 일명 '안전표지 삼각대'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차량용 정지표시판은 주로 공사현장이나 사고현장 등에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고장 차량이 도로변에 비상주차하고 있는 경우에도 그 차량 후방에다 정지표시판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모든 차량은 평상시에도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정지표시판을 휴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정지표시판은 평소 자동차 실내나 트렁크 등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보관 편의성과, 도로변에 설치하여도 바람이나 차량 주행풍에 의해서 상기 표지판이 쓰러지지 않는 설치 안정성, 그리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조립 용이성 등을 갖추어야 한다. 그래서 종래에서 정지표시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삼각판과 받침대를 최소한의 부피로 접을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삼각판과 받침대를 펴서 세울 수 있는 접철식 정지표시판이 개발, 사용되고 있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접철식 정지표시판의 구조는 통상 첨부 도 1과 같이, 삼각판(10)과 받침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삼각판(10)은 좁고 긴 1자형 판막대(11) 3개를 서로 맞물려 3각형 구조로 결합하고, 그 내부에는 붉은색 3각형 시트지(13)를 배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판막대(11)들은 각각 힌지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서로 결속되어 있어서 정지표시판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서 상기 힌지축을 해체하여 각 판맥대(11)와 상기 시트지(13)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0)는 상기 삼각판(10)을 지지하는 ∧형 단면의 받침판(21)과, 상기 받침판(21)의 양쪽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도 1과 같이 사방으로 활개되는 4개의 접철식 받침다리(2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받침판(21)의 양단에는 상기 받침다리(24)가 이탈하지 않고, 축회전 하도록 붙잡아 주는 다리지지부(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21)의 저면에는 받침다리(24)를 접었을 때 상기 받침다리(24)가 다시 펴지지 않도록 붙잡아 주는 다리수납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접철식 정지표시판에서는 상기 다리지지부(30)에다 받침다리(24)를 어떤 구조로 조립하는지에 따라 조립의 용이성은 물론, 사용의 편의성이 좌우된다. 그래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393299호(등록일자 2003. 07. 21.)에는 첨부 도 2와 같은 조립구조가 종래기술로 소개되어 있다.
즉, 상기 받침판(21)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공(23)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다리(24)의 일단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힌지부(25)를 형성한 다음, 도 2와 같이 상기 힌지공(23)에다 상기 받침다리(24)의 힌지부(25)를 끼우고, 여기에 별도로 제작된 지지캡(30)을 끼워서 상기 받침다리(24)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지지캡(30)의 양측에는 상기 받침다리(24)를 옆으로 펼칠 수 있도록 회전슬릿(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다리(24)는 상기 받침판(21) 및 회전슬릿(33)의 형태를 따라 서로 대향하는 받침다리(24)가 ∧형으로 활개된다. 상기 도 2에서 기타 미설명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받침다리의 조립구조에서는 상기 지지캡(30)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특히 상기 지지캡(30)이 옆으로 빠져나올 우려가 높으며, 이렇게 되면 상기 받침판(21)과 받침다리(24)가 바로 분리된다. 또한, 상기 받침판(21)을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할 경우, 그 두께가 다소 두꺼워 질 수밖에 없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지지캡(30)의 크기도 같이 확대되어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이에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조립과정이 용이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과정에서 상기 받침다리가 분리되는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거의 없는 새로운 받침다리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는, 직선형 막대형상으로서 일측 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힌지부를 형성하는 받침다리와; ∧형 받침판의 양쪽에 중앙격벽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지지밑판이 나란히 설치되고, 양쪽 단면에는 상기 받침판과 지지밑판 사이로 상기 받침다리를 삽입할 수 있는 다리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밑판의 저면에는 상기 다리삽입공에서 연결되는 힌지안내공이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는 상기 받침판과 지지밑판 사이로 상기 받침다리를 회전하여 펼칠 수 있는 회전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 상면에는 삼각판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와; 상기 다리삽입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캡;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캡의 지지돌부는 상기 힌지부에 접촉하는 단부가 오목한 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돌부의 하단에는 상기 다리삽입공에 걸림결합하는 걸림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에 따르면, 조립 과정이 용이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지지캡이 상기 받침대의 다리지지부 속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사용과정에서 상기 지지캡이 불편을 초래하거나 저절로 빠져나올 우려가 없으며, 나아가 상기 받침대와 지지캡을 모두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조립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다리 조립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다리 조립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정지표시판을 나타낸 도 3 및 도 4에서는 종래 정지표시판을 예시한 도 1 및 도 2와 상관없이, 각 구성부품에 대하여 새로운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편의상 각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와 전후 및 좌우의 방향을 결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의 조립구조는 4개의 받침다리(100)와 1개의 받침대(200) 및 2개의 지지캡(3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받침다리(100)는 직선형 막대형상으로서, 도 4와 같이 일측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된 힌지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다리(100)는 단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면이 다각형인 막대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00)는 종래와 동일하게 ∧형 단면을 갖는 받침판(210)과, 상기 받침판(210)의 양쪽 단부에서 상기 받침다리를 지지하는 다리지지부(2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210)의 상면에는 세로방향으로 통상적인 삼각판(10)이 설치하는 삼각판고정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리지지부(220)는 도 3과 같이, 상기 받침판(210)의 양쪽 단부에서 중앙격벽(21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지지밑판(221)이 2층 구조로 나란히 설치되고, 양쪽 단면에는 상기 받침판(210)과 지지밑판(221) 사이로 상기 받침다리(100)를 삽입할 수 있는 다리삽입공(222)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밑판(221) 역시 받침판(210)과 마찬가지로 ∧형 단면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밑판(221)에는 상기 다리삽입공(222)에서 연결되는 힌지안내공(22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양쪽 측면에는 상기 받침판(210)과 지지밑판(221) 사이로 회전슬릿(224)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25는 상기 지지밑판(221)의 저면에서 ∧형 저면을 보강하는 보강리브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캡(300)은 상기 받침대(200)의 양측 단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다리삽입공(222)에 삽입되는 지지돌부(310) 2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부(310)는 각각 상기 다리삽입공(222)에 삽입되어 그 단부가 상기 받침다리(100)의 힌지부(110)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부(310)는 상기 힌지부(110)에 접촉하는 단부를 각각 오목한 호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힌지부(110)가 보다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받침다리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도 4의 (A)와 같이 상기 다리지지부(220)의 다리삽입공(222)을 통해서 받침다리(100)를 삽입하되, 상기 힌지부(110)의 반대쪽부터 길이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받침다리(100)가 받침판(210)과 지지밑판(221) 사이를 통과하여 받침판(210)의 저면을 따라 삽입되고, 받침다리(100)의 끝부분인 힌지부(110)는 힌지안내공(223)을 따라 지지밑판(221) 속으로 삽입된다.
다음은 다리삽입공(222)에다 상기 지지캡(300)의 지지돌부(310)을 끼워넣는다. 이렇게 하면, 도 4의 (A)와 같이 받침다리(100)의 힌지부(110)가 상기 힌지안내공(223)속에서 상기 지지돌부(310)에 의해서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110)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받침다리(100)의 타측 단부를 양쪽으로 펼치면,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받침다리(100)가 상기 회전슬릿(224) 사이로 활개 되면서 사방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판(210)과 지지밑판(221) 및 회전슬릿(224)의 단면이 ∧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다리(100)도 힌지부(110)는 높고 그 반대쪽 단부는 낮게 ∧형상으로 활개되어 상기 받침대(210)를 안전하게 지지한다.
한편, 상기 지지캡(300)에는 지지돌부(310)의 하단에다 상기 다리삽입공(222)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편(320)을 설치하여 상기 지지캡(300)이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100)는 상기 회전슬릿(224) 사이로 회전하는 부분을 다른 부위보다 납작하게 형성하여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삼각판 100 ; 받침다리
110 ; 힌지부 200 ; 받침대
210 ; 받침판 211 ; 중앙격벽
220 ; 다리지지부 221 ; 지지밑판
222 ; 다리삽입공 223 ; 힌지안내공
224 ; 회전슬릿 225 ; 보강리브
230 : 삼각판고정부 300 ; 마감캡
310 ; 지지돌부 320 ; 걸림편

Claims (2)

  1. 직선형 막대형상으로서 일측 단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힌지부(110)를 형성하는 받침다리(100)와;
    ∧형 받침판(210)의 양쪽 단부에 중앙격벽(211)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지지밑판(221)이 나란히 설치되고, 양쪽 단면에는 상기 받침판(210)과 지지밑판(221) 사이로 상기 받침다리(100)를 삽입할 수 있는 다리삽입공(22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밑판(221)의 저면에는 상기 다리삽입공(222)에서 연결되는 힌지안내공(223)이 형성되고, 양쪽 측면에는 상기 받침판(210)과 지지밑판(221) 사이로 상기 받침다리(100)를 회전하여 펼칠 수 있는 회전슬릿(224)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210) 상면에는 삼각판고정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200)와;
    상기 받침대(200)의 다리삽입공(222)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다리(100)의 힌지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돌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캡(30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300)의 지지돌부(310)는 상기 힌지부(110)에 접촉하는 단부가 오목한 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돌부(310)의 하단에는 상기 다리삽입공(222)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편(32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KR2020100010892U 2010-10-25 2010-10-25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KR200465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92U KR200465736Y1 (ko) 2010-10-25 2010-10-25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92U KR200465736Y1 (ko) 2010-10-25 2010-10-25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16U true KR20120003016U (ko) 2012-05-03
KR200465736Y1 KR200465736Y1 (ko) 2013-03-08

Family

ID=4660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892U KR200465736Y1 (ko) 2010-10-25 2010-10-25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7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72Y1 (ko) * 2014-01-08 2015-05-04 조용권 차량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조립체
KR101517070B1 (ko) * 2014-01-21 2015-05-04 조용권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607B1 (ko) * 2016-10-14 2018-04-17 조용권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376Y1 (ko) * 2000-08-09 2000-12-15 김용태 차량용 접이식 경고삼각대
KR100393299B1 (ko) * 2001-02-13 2003-07-31 최성준 절첩식 받침구성을 갖는 안전표지 삼각대
KR200449760Y1 (ko) * 2010-02-22 2010-08-06 조용권 접철식 자동차 정지 표시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72Y1 (ko) * 2014-01-08 2015-05-04 조용권 차량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조립체
KR101517070B1 (ko) * 2014-01-21 2015-05-04 조용권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736Y1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736Y1 (ko)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CN109137781B (zh) 道路警示装置
KR200449760Y1 (ko) 접철식 자동차 정지 표시판
KR100917341B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980009663A (ko) 절첩식 표지구
KR200482474Y1 (ko) 출몰식 안전삼각대가 내장된 자동차 범퍼가드 어셈블리
KR101517070B1 (ko)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KR200458347Y1 (ko) 안전 삼각대
CN208792369U (zh) 一种窨井
KR20090002949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KR200477072Y1 (ko) 차량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조립체
KR200478848Y1 (ko)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CN2824204Y (zh) 一种警示牌
JP5643454B1 (ja) 三角停止表示板
KR200480910Y1 (ko) 접철식 정지표시판용 케이스
JP5285396B2 (ja) 自転車用スタンド
KR200252793Y1 (ko) 접철식 표시장치
KR101063592B1 (ko) 차량용 비상삼각대 구조
CN213502057U (zh) 一种便携式交通警示装置
KR20120108853A (ko) 접철식 자동차 정지 표지판
KR20130000052U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의 절첩식 받침대
CN212637320U (zh) 新型车用三角反光警示板
CN215182749U (zh) 自动三角警示牌
KR101208125B1 (ko) 비상용 삼각대가 구비된 자동차번호판지지대
CN218357340U (zh) 竞速收纳折叠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