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070B1 -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070B1
KR101517070B1 KR1020140007233A KR20140007233A KR101517070B1 KR 101517070 B1 KR101517070 B1 KR 101517070B1 KR 1020140007233 A KR1020140007233 A KR 1020140007233A KR 20140007233 A KR20140007233 A KR 20140007233A KR 101517070 B1 KR101517070 B1 KR 10151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edestal
rotation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권
Original Assignee
조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권 filed Critical 조용권
Priority to KR1020140007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가 비상 상황으로 도로나 도로변에 임시 주차한 경우, 이를 후방 차량에게 미리 인식시켜서 추돌 등으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받침다리 안전조립체는, 막대 형상으로서 일측 단부에 회전축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공(11)의 바깥 둘레면에는 캠돌기(12)가 돌출되어 있는 받침다리(10)와; 통상적인 삼각판을 받쳐주는 받침대(21)를 가지며, 상기 받침대(21)의 양단 저면에는 각각 상기 회전축공(11)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다리(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축돌기(22)와, 상기 받침다리(10)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방지턱(23)이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재(20)와; 상기 받침대(21)의 양단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축돌기(22)의 단부를 수용하는 축수용공(3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축수용공(31) 사이에는 상기 받침다리(10)가 완전히 활개 된 상태에서 저절로 접히지 않도록 상기 캠돌기(12)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 스토퍼(32)가 구비되어 있는 마감캡(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Safety assembly of standing bar for automobile warning board}
본 발명은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자동차가 비상 상황으로 도로나 도로변에 임시 주차한 경우, 이를 후방 차량에게 미리 인식시켜서 추돌 등으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 정지표시판은 일명 '안전표지 삼각대'라고 불리기도 하며,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모든 차량은 평상시에도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정지표시판을 휴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정지표시판은 평소 자동차 실내나 트렁크 등에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보관 편의성과, 도로변에 설치하여도 바람이나 차량 주행풍에 의해서 쓰러지지 않는 설치 안정성, 그리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조립 용이성 등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종래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정지표시판은 통상 첨부 도 1과 같이, 삼각판(10)과 이를 세워둘 수 있는 지지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삼각판(10)은 좁고 긴 판막대(11) 3개를 서로 맞물려 3각형 구조로 결합하고, 그 내부에는 붉은 색 3각형 시트지(13)를 배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판막대(11)들은 각 단부가 결합돌기와 결합공(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서로 끼움결합되어 있어서 정지표시판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끼움결합을 해체하고 각 판막대(11)와 시트지(13)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삼각판(10)을 받쳐주는 받침대(21)과, 상기 받침대(21)의 양쪽 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사방으로 활개되는 4개의 접철식 받침다리(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21)의 양단에는 상기 받침다리(24)가 이탈하지 않고, 축회전 하도록 붙잡아 주는 다리지지부(3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21)의 저면에는 받침다리(24)를 접었을 때 상기 받침다리(24)가 다시 펴지지 않도록 붙잡아주는 다리수납부(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접철식 정지표시판에서는 상기 다리지지부(30)와 받침다리(24)의 결합 구조에 따라 조립 및 사용의 편의성이 좌우된다. 그래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393299호(등록일자 2003. 07. 21.)에는 첨부 도 2와 같은 받침다리의 조립구조가 소개되어 있다.
즉, 받침대(21)의 양단에는 각각 힌지공(23)을 형성하고, 받침다리(24)의 일단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힌지부(25)를 형성한 다음, 상기 힌지공(23)에다 상기 힌지부(25)를 끼우고, 여기에 별도로 제작된 지지캡(30)을 끼워서 상기 받침다리(24)를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지지캡(30)의 양측에는 상기 받침다리(24)를 옆으로 펼칠 수 있도록 회전슬릿(3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받침대(21) 및 회전슬릿(33)의 경사면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받침다리(24)가 ∧형으로 활개 된다.
그러나 상기 도 2와 같은 조립구조에서는 상기 받침다리(24)가 활개된 상태에서 받침다리(24)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받침다리(24)를 활개하는 과정에서 예컨대 좌측 받침다리(24)를 먼저 활개한 상태에서 우측 받침다리(24)를 활개하기 위해서 받침대(21)를 뒤집으면 먼저 펼쳐놓은 좌측 받침다리(24)가 자체 무게에 의해서 스스로 접히게 되는 등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24) 4개를 모두 활개하여 도 1과 같이 정지표시판을 설치한 이후에도 다소 강한 바람이 불거나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져서 받침다리(24)가 접히면 정지표시판이 넘어질 우려가 있고, 이렇게 되면 후방 주행차량이 정지표시판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2차 사고를 일으키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도 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0-465736호(등록일자 2013. 02. 28.)에도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또 다른 조립구조가 소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조립구조 역시 받침다리가 활개된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실용신안 제20-393299호와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393299호(등록일자 2003. 07. 21.) 등록실용신안 제20-465736호(등록일자 2013. 02. 28.)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받침다리가 활개된 상태에서 받침다리가 저절로 접히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방침다리를 펼치는 과정에서는 사용이 편리하고, 받침다리를 펼쳐서 정지표시판을 설치한 이후에는 설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안전조립체는 받침다리와 지지부재, 그리고 마감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다리는 막대 형상으로서 일측 단부에 회전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공의 바깥 둘레면에는 캠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통상적인 삼각판을 받쳐주는 받침대를 가지며, 상기 받침대의 양단 저면에는 각각 상기 회전축공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다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축돌기와, 상기 받침다리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방지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캡은 상기 받침대의 양단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축돌기의 단부를 수용하는 축수용공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축수용공 사이에는 상기 받침다리가 완전히 활개 된 상태에서 저절로 접히지 않도록 상기 캠돌기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축수용공 사이에 나란히 구비된 한쌍의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양쪽 바깥면에서 각각 상기 캠돌기가 회전하면서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돌출된 회전제한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안전조립체는, 받침다리가 완전히 활개되면 회전방지턱에 의해서 받침다리의 회전이 저지되고, 동시에 스토퍼의 탄성이 캠돌기의 회전을 제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시 받침다리를 접기 전에는 상기 받침다리가 그대로 활개 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받침다리를 펼치는 과정이 편리하고, 받침다리를 펼쳐서 정지표시판을 설치한 이후에는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도 받침다리가 저절로 접힐 우려가 없기 때문에 설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차량 정지표시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종래 받침다리 조립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다리 안전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마감캡(30)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다리 안전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정지표시판을 나타낸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종래 정지표시판을 예시한 도 1 및 도 2와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새로운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지표시판은 받침다리(10) 4개와, 상기 받침다리(10)가 설치되는 지지부재(20) 1개,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0) 위에 설치되는 삼각판 1개와, 상기 지지부재(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마감캡(30) 2개가 결합하여 한 세트의 정지표시판을 구성한다.
상기 삼각판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계적으로 거의 통일된 규격을 갖는 붉은색 삼각형 구조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접철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각판의 구조는 본 발명의 특징과 무관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받침다리(10)는 상기 지지부재(20)의 양단에 각각 2개씩 사방으로 펴고 접을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캡(30)은 상기 지지부재(20)의 양단에 각각 한 개씩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받침다리 안전조립체를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양쪽 안전조립체 중 어느 한쪽 안전조립체의 구조만 설명한다.
먼저 받침다리(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막대형상으로서 일측 단부에 회전축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공(11)의 바깥 둘레면에는 캠돌기(12)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받침다리(10)는 특히 단면이 원형인 막대형상으로 구성되고, 회전축공(11)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 단부는 납작하게 압착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캠돌기(12)는 상기 회전축공(11)의 중심에서부터 반경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로서, 상기 받침다리(10)의 자유 단부와 대향하는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재(20)는 통상적인 삼각판(도시하지 않음)을 받쳐주는 받침대(21)을 가지며, 상기 받침대(21)의 양단 저면에는 각각 한쌍의 축돌기(22)와 회전방지턱(2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축돌기(22)는 각각 상기 받침다리(10)의 회전축공(11)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다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회전방지턱(23)은 받침다리(10)를 활개 했을 때 상기 받침다리(10)가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회전을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마감캡(30)은 상기 지지부재(20)의 받침대(21)의 양단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축돌기(22)의 단부를 수용하는 축수용공(3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축수용공(31) 사이에는 상기 받침다리(10)가 완전히 활개된 상태에서 저절로 접히지 않도록 상기 캠돌기(12)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 스토퍼(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축수용공(31)의 개수는 당연히 상기 축돌기(22)의 개수와 동일하며,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다리 안전조립체의 특징은, 상기 받침다리(10)를 활개하면 상기 캠돌기(12)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토퍼(32)를 타고 넘어가게 되고, 상기 받침다리(10)가 완전히 활개된 상태에서는 회전방지턱(23)에 의해서 받침다리(10)의 회전이 저지되고, 동시에 상기 스토퍼(32)의 탄성이 상기 캠돌기(12)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용자가 다시 받침다리(10)를 접기 전에는 상기 스토퍼(32)의 탄성에 의해서 캠돌기(12)의 회전이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받침다리(10)가 그대로 활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받침다리(10)를 강제로 접으면, 상기 캠돌기(12)가 상기 스토퍼(32)의 탄성을 이기고 회전하면서 상기 받침다리(10)가 접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32)의 구조는 상기 캠돌기(12)의 반복적인 이동에도 불구하고 탄성을 잃지 않고 캠돌기(12)의 회전을 지속적으로 저지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구조라도 좋다.
첨부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32)의 구조를 소개한 것으로, 상기 마감캡(30)의 축수용공(31) 사이에 나란히 구비된 한 쌍의 탄성편(321)과, 상기 탄성편(321)의 양쪽 바깥면에서 각각 상기 캠돌기(12)가 회전하면서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돌출된 회전제한턱(3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수용공(31) 사이에는 상기 탄성편(32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살빼기장공(3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편(321)은 상기 살빼기장공(323)의 양쪽 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탄성편(321)은 상기 살빼기장공(323)에 의해서 중간 부위가 모두 허공에 떠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상기 탄성편(321)의 탄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321)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측 단부는 양쪽 탄성편(321)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좌측 단부는 연결부(32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24)는 양쪽 탄성편(321)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감캡(30)은 통상적인 결합수단 중 어떤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받침대(21)의 양단 저면에 결합해도 좋다. 예컨대 상기 축돌기(22)를 상기 축수용공(32)에 강제삽입 하는 방법으로 상기 마감캡(30)을 부착할 수도 있고, 적당한 결합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첨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을 소개한 것으로, 상기 받침대(21)의 양단 저면에는 2 ~ 4개의 걸림돌기(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캡(30)에는 상기 걸림돌기(24)가 걸림 결합되는 결합공(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4)의 개수가 2개 미만이면, 마감캡(30)을 견고히 지지할 수가 없고, 반대로 4개를 초과하면 구조만 복잡해 질 뿐, 개수 증가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상기 걸림돌기(24)와 결합공(33)은 각각 3개씩 이등변 삼각형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받침다리 안전조립체의 조립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지지부재(20)의 축돌기(22)에 각각 받침다리(10)의 회전축공(11)을 삽입하고, 그 위에 마감캡(30)을 덮은 다음, 상기 걸림돌기(24)와 상기 결합공(33)의 위치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감캡(30)을 지긋이 눌러주면, 상기 걸림돌기(24)가 탄성에 의해서 상기 결합공(33)을 타고 넘어 가면서 상기 마감캡(30)이 걸림돌기(24)에 견고히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의 걸림돌기(24)를 마감캡(30)의 결합공(33)에 결합시키면, 양쪽 축돌기(22)의 단부는 저절로 축수용공(31) 속으로 수용되고, 양쪽 받침다리(10)는 상기 축돌기(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받침다리 안전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받침다리(10)가 접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다리(10)가 받침대(21)와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받침다리(10)를 펼쳐주면 캠돌기(12)가 회전하면서 회전제한턱(322)을 타고 넘어가게 되고, 완전히 활개된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다리(10a)가 상기 받침대(21)와 거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다리(10)가 완전히 활개된 상태에서는 회전방지턱(23)에 의해서 받침다리(10a)의 회전이 저지되고, 동시에 상기 회전제한턱(322)이 캠돌기(12)의 회전을 제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시 받침다리(10a)를 접기 전에는 그대로 활개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차량 정지표시판을 보관하기 위하여 받침다리(10)를 접었을 때,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받침다리(10)가 저절로 다시 펴지지 않도록 받침다리(10)를 단속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받침대(21)의 양변과 마감캡(30)의 양변 사이에는 상기 받침다리(10)의 자유단부가 타고 넘을 수 있는 걸림턱(25,34)이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양쪽 걸림턱(25,34) 사이의 간격은 받침다리(10)의 직경보다 약간 작고, 압력을 가하면 벌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탄성을 갖는다.
그래서 상기 받침다리(10)를 접으면 지지부재(20)의 우측 단부에 설치된 받침다리(10)의 자유단부가 지지부재(20) 좌측의 받침대(21)과 마감캡(30)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25,34)에 의해서 지지되고, 반대로 지지부재(20)의 좌측 단부에 설치된 받침다리(10)의 자유단부는 지지부재(20) 우측의 받침대(21)과 마감캡(30) 사이로 삽입되어 역시 상기 걸림턱(25,34)에 의해서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받침다리 안전조립체는 양쪽 받침다리(10)를 상기 받침대(21) 밑으로 접어 넣은 상태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33)에서 걸림돌기(24)만 분리하면, 받침다리(10)와 마감캡(30)이 간단히 분리된다.
마지막으로, 도 3 내지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26는‘보조돌기’이고, 미설명 부호 35는 상기 보조돌기의 자유단부가 삽입되는 ‘돌기공’이며, 미설명 부호 36은 ‘격벽’이다. 상기 보조돌기(26)와 돌기공(34)은 마감캡(30)을 지지부재(20)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시켜 주는 보조적인 기능을 하고, 상기 격벽(36)은 양쪽 받침다리(10)의 자유단부가 서로 상대방 구역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상기 보조돌기(26)와 돌기공(34) 및 격벽(36)은 없어도 무방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회전방지턱(23)에 대응하는 구조가 상기 마감캡(3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반대로 상기 스토퍼(32)에 대응하는 구성이 상기 받침대(21)의 저면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 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전혀 예견치 못한 새로운 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10,10a; 받침다리 11; 회전축공
12; 캠돌기 20; 지지부재
21; 받침대 22; 축돌기
23; 회전방지턱 24; 걸림돌기
25,34; 걸림턱 25; 보조돌기
30; 마감캡 31; 축수용공
32; 스토퍼(Stopper) 33; 결합공
35: 돌기공 36; 격벽
321; 탄성편 322; 회전제한턱
323; 살빼기장공 324; 연결부

Claims (6)

  1. 막대 형상으로서 일측 단부에 회전축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공(11)의 바깥 둘레면에는 캠돌기(12)가 돌출되어 있는 받침다리(10)와;
    통상적인 삼각판을 받쳐주는 받침대(21)를 가지며, 상기 받침대(21)의 양단 저면에는 각각 상기 회전축공(11)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다리(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축돌기(22)와, 상기 받침다리(10)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방지턱(23)이 구비되어 있는 지지부재(20)와;
    상기 받침대(21)의 양단 저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축돌기(22)의 단부를 수용하는 축수용공(3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축수용공(31) 사이에는 상기 받침다리(10)가 완전히 활개 된 상태에서 저절로 접히지 않도록 상기 캠돌기(12)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 스토퍼(32)가 구비되어 있는 마감캡(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안전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2)는 상기 축수용공(31) 사이에 형성된 나란히 구비된 한쌍의 탄성편(321)과, 상기 탄성편(321)의 양쪽 바깥면에서 각각 상기 캠돌기(12)가 회전하면서 타고 넘을 수 있도록 돌출된 회전제한턱(3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수용공(31) 사이에는 상기 탄성편(32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살빼기장공(3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편(321)은 상기 살빼기장공(323)의 양쪽 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321)의 일측 단부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타측 단부는 연결부(32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1)의 양단 저면에는 추가적으로 2 ~ 4개의 걸림돌기(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감캡(30)에는 상기 걸림돌기(24)가 걸림 결합되는 결합공(3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안전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1)의 양변과 상기 마감캡(30)의 양변 사이에는 상기 받침다리(10)를 접어 넣었을 때 상기 받침다리(10)가 저절로 펴지지 않도록 단속하는 걸림턱(25,34)이 서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안전조립체.
KR1020140007233A 2014-01-21 2014-01-21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KR101517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233A KR101517070B1 (ko) 2014-01-21 2014-01-21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233A KR101517070B1 (ko) 2014-01-21 2014-01-21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070B1 true KR101517070B1 (ko) 2015-05-04

Family

ID=5339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233A KR101517070B1 (ko) 2014-01-21 2014-01-21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607B1 (ko) * 2016-10-14 2018-04-17 조용권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조립체
CN109484291A (zh) * 2018-09-28 2019-03-19 安徽省中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用智能警示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698A (ko) * 2001-02-13 2002-08-21 최성준 절첩식 받침구성을 갖는 안전표지 삼각대
KR20110007258U (ko) * 2010-01-14 2011-07-20 주식회사 세움티엔티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KR20120003016U (ko) * 2010-10-25 2012-05-03 조용권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698A (ko) * 2001-02-13 2002-08-21 최성준 절첩식 받침구성을 갖는 안전표지 삼각대
KR20110007258U (ko) * 2010-01-14 2011-07-20 주식회사 세움티엔티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KR20120003016U (ko) * 2010-10-25 2012-05-03 조용권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607B1 (ko) * 2016-10-14 2018-04-17 조용권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조립체
CN109484291A (zh) * 2018-09-28 2019-03-19 安徽省中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用智能警示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86752A1 (en) Anti-pinch knuckle for bidirectional sleeve
KR101517070B1 (ko) 차량 정지표시판 받침다리의 안전조립체
KR960706006A (ko) 휴대형 천막 조립체(portable shelter assemblies)
AU2017219109B2 (en) Table
KR20060118322A (ko) 접이식 모듈형 시스템의 포지션 고정 장치
KR20160050496A (ko) 주차방지 장치
KR200465736Y1 (ko)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접철식 받침다리 조립구조
US6820629B2 (en) Leg assembly for a canopy
CN205554459U (zh) 一种滑板车快速折叠装置
KR200449760Y1 (ko) 접철식 자동차 정지 표시판
KR200477072Y1 (ko) 차량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조립체
WO2014094253A1 (zh) 帐篷架快速展开的顶部支撑结构
KR200401228Y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CN216143491U (zh) 便捷折叠腿
CN113639166A (zh) 便捷折叠腿
KR100638549B1 (ko) 설치폭의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안전휀스
KR101849607B1 (ko) 차량용 정지표시판의 받침다리 조립체
KR20080006667U (ko) 자립 가능한 우산
TW202104725A (zh) 警示裝置
CN215182749U (zh) 自动三角警示牌
CN218907067U (zh) 一种便携式可折叠三角警示牌
CN105836019A (zh) 一种滑板车快速折叠装置
CN219573121U (zh) 横梁组件及校准设备
CN216875436U (zh) 一种附和式折叠腿
CN213896875U (zh) 一种市政道路施工安全提醒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