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663A - 절첩식 표지구 - Google Patents

절첩식 표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663A
KR980009663A KR1019970031430A KR19970031430A KR980009663A KR 980009663 A KR980009663 A KR 980009663A KR 1019970031430 A KR1019970031430 A KR 1019970031430A KR 19970031430 A KR19970031430 A KR 19970031430A KR 980009663 A KR980009663 A KR 980009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plate
cover
triangular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오 다나카
다카시 다나카
츠토무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오자키 나오유키
다이이치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자키 나오유키, 다이이치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자키 나오유키
Publication of KR980009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66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절첩(折疊)과 조립이 매우 간단하고, 사용시는 콘과 같은 입체형상으로 조립하여 입설할 수 있으며, 운반시나 보관시에는 평평한 상태로 절첩하여 아주 콤팩트하게 수남가능한 구조이다. 대략 삼각추 정점(P)을 둘러싸는 3면(S₁,S₂,S₃)중 그 2면(S₁,S₂)을 형성하는 1매판( ;2,3)이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나머지 1면(S₃)을 형성하는 반분할판(5R,5L)일 절첩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각각에 인접한 상기 각 1매판(2,3)에 대하여 내측으로 접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반분할판(5R,5L)을 대략 삼각추의 내측으로 압입하면 그 양단에 연결된 1매판(2,3)끼리 결쳐져서, 그 1매판(2,3)의 크기로 절첩된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대략 삼각추의 입체형상으로 조립되므로 매우 안정감이 좋고, 어느 방향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어도 넘어지기 어렵다.

Description

절첩식 표지구
제1도는 본발명에 관한 절첩식 표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이것을 절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그것을 조립하기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종래 일반의 표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절첩식 표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9도는 제7도에 나타내는 표지구의 보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첩식표지구 P : 정점
S₁∼S₃: 정점을 둘러싸는 면 2, 3 : 1매판
5R, 5L : 반불할판 4, 6, 7, 8 :경첩
7a : 스프링경첩 14 : 매다는 끈
15R, 15L : 끈통과 구멍 16,17 : 끈통과 구멍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도로나 주차장 등에 병렬해 두고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통행방향을 규제하는 교통규제용 표지나 길안내 표지로 사용되거나, 또는 호텔등의 건물내에서 회장안내 표지로 쓰이거나, 점포 광고탑등으로 쓰이고 또한 기치(旗幟)등을 세우는 지주의 지지 각체(脚體)로 쓰일 수 있는 절첩식 표지구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의 검증현장이나 도로공사, 전선공사 현장등에 병렬해 놓은 콘형 표지구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깔모자와 같은 콘(40)과 그 하단부 주위에 플랜지와 같이 수평으로 돌출하는 사각 베이스(41)가 적색의 착색플라스틱으로 입체적으로 일체형성된 컬러콘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이와같이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보급품의 컬러콘은 사용현장으로 운반하여 그대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 커서 부피가 많아 운반과 보관에 불편스런 결점이 있었다.
특히, 컬러콘을 많이 사용하는 도로공사에는 컬러콘 운반에 사용하는 트럭대수가 많아져서 그 만큼 공사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선공사에는 전주 1주당 3개의 컬러콘을 놓는 것이 의무화 되어 있어, 공사하고자 하는 전선이 복수의 전주에 걸쳐지는 경우에는 그 전주수의 3배의 컬러콘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으나, 소형공사 차량으로는 이를 운반할 수 없으므로 어느 정도 안전성을 희생하고 컬러콘을 놓지 안혹 공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콘(40)내에 다른 컬러콘의 콘(40)을 삽이하여 다단으로 겹친 상태로도 보통승용차의 트렁커내에는 약간 수 밖에 들어가지 않으므로, 교통사고의 검증현장에 달려가는 퍼트롤카나 교통검문의 현장에 출동하는 순찰차 등에 그 현장에 필요한 수량의 컬러콘을 휴대시킬 수 없어 별로차를 사용하여 운반하지 않을수 없는 불편이 있었다.
이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제8도와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네모의 프라스틱판으로 된 베이스(50)의 중앙에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파이프(52,53,54)로 다중낚싯대와 같이 신축자재한 다중관 구조로 형성된 지주(51)를 접촉설치하고, 지주(51)상에서 원추상으로 성형된 시트제 콘(55)을 씌워서 그 콘(55)상산을 지주(51)상단에 씌워부착되는 캡(56)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그 콘(55)의 하단을 베이스(50)에 고정하여 사용시에는 캡(56)의 부분을 손으로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제8도와 같이 지주(51)를 신장시켜서 콘(55)을 원추형상으로 펴올리고, 또 운반시나 보관시에는 캡(56)을 손으로 내려누름으로써 제9도와 같이 지주(51)를 수축시켜서 콘(55)을 찌부려뜨린 것과 같이 절첩하는 표지구가 제안되어 있다(일본실개평 5-83018호 공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상기 표지구는 제9도와 같이 지주(51)를 완전히 수축시킨 상태라도, 그 지주(51)가 적어도 파이프(52∼54)의 1개의 길이에 상당하는 높이만큼 베이스(50)상으로 돌출해 있으므로, 그다지 부피가 감소되지 않는다.
게다가, 베이스(50)상에 지주(51)가 돌출한 표지구는 제7도의 보급품과 같이, 다단으로 겹쳐쌀 수도 없고, 단순히 굵어 모은 상태로 운반하거나 보관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운반이나 보관에 편리는 커녕 오히려 불편하게 되는 치명적 결점이 있기 때문에 실용화에 이르지 못하였다.
또, 베이스(50)상에 돌출한 지주(51)는 운반이나 보관시에 구부려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절첩이나 조립이 매우 간단하고, 사용시에는 콘과 같은 입체형상으로 조립하여 입설 할 수 있고, 운반시에나 보관시에는 평평한 상태로 절첩하여 아주 콤팩트하게 수납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략 삼각추의 사용형태로 조립되는 절첩식 표지구로서, 상기 대략 삼각추 정점을 둘러싸는 3면중, 그 2면이 각각 1매판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들 1매판끼리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나머지 1면이 대략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된 반분할판 끼리 절첩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됨과 동시에, 그들 각 반분할판이 각각 인접한 상기 각 1매판에 대하여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첩식 표지구에 따르면, 사용시에는 대략 삼각추의 입체형상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매우 좋고, 어느 방향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더라도 넘어지기 어렵다. 또, 정점을 둘러싸는 각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그 표면에 문자, 도형등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을뿐더러 큰 문자나 도형을 표시하더라도 그것을 정면으로 향하게 할 때는 완전한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대략 삼각추 정점을 둘러싸는 3면중, 그 2면을 형성하는 1매판이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나머지 1면을 형성하는 반 분할판이 각각 인접한 상기 각 1매판에 대하여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반분할판을 삼각추의 내측으로 접어 가면, 그 양단에 연결된 1매판끼리 서로 접근하여 겹쳐지고, 그 1매판 크기로 절첩할 수 있다.
또한, 각 반분할판 각각의 상부측에 대략 같은 높이로 뚫은 한쌍의 끈관통공과, 각 1매판 각각의 상부측에 상기 각끈관통공 보다 고위치에 대략 같은 높이로 천설된 한쌍의 끈관통공 사이에, 손잡이가 되는 드리워진 끈을 대략 삼각추 내측에서 걸어돌리면, 이 드리워진 끈을 잡고 표지구를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이 드리워진 끈에 의해 각 반분할판 양단측이 내측으로 인장되어 그 반분할판이 절첩됨과 동시에,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각 1매판이 서로 접근하면서 내측으로 절첩된다.
또한, 상기 각 1매판과 반분할판을 경첩으로 연결하고, 그중, 적어도 하나에 가령 스프링 경첩을 사용하여 상기 대략 삼각추를 절첩했을 때에 내측으로 닫힌 양변을 외측으로 열리는 방향으로 가세하게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열려 있는 표지구를 수평으로 눕히면 스피링 경첩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그 자중에 의해 댜략 삼각추가 자동적으로 평판상으로 절첩되고, 절첩된 표지구를 세워가면 스프링 경첩에 작용하고 있던 하중이 해방되므로 그 탄발력에 따라 표지구가 대략 삼각추상으로 자동개방 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절첩식 표지구의 1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이것을 절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그것을 조립하기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4도는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중 1은 저면이 없는 통상의 대략 삼각추로 조립하여 사용되는 절첩식 표지구로서, 대략 삼각추의 정점(P)을 둘러싸는 3면(S₁,S₂,S₃)중 그 2면(S₁,S₂)에 각각 1매판(2,3)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들 1매판끼리 경첩(4,4)에 의해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나머지 1면(S₃)이 대략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된 반분할판(5R,5L)끼리의 경첩(6,6)으로 연결하여 구성됨과 동시에, 그들 각 반분할판(5R,5L)이 서로 인접한 상기 각 1매판(2,3)에 대하여 경첩(7,8)에 의해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표지구(1)의 정점(P)을 둘러싸는 각면(S₁,S₂,S₃)에는 그 저변의 양단이 각부(9,9)가 되도록, 상기 각 1매판(2,3)및 반분할판(5R,5L)의 하단면이 원호상으로 절결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각부(9)로 표지구(1)를 3점 지지함으로써 노면등의 요철이 있더라도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부(9)에는 슬립방지 고무(10)가 상기 대략 삼각추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그 고무(10)위에 웨이트(11)를 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일매판(2,3)과 반분할판(5R,5L)은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재생플라스틱 등의 플라스특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표면에 표지가 되는 무자, 도형 등을 실시하거나, 표면전체 또는 일부를 리플렉터판으로 형성하거나, 또 반사시일을 첨부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각 판(2,3,5R,5L)은 대략 삼각추를 조립했을 때에 그 정점(P)에 신호등(12)등을 삽입장착하는 삽입부(13)가 형성되도록, 그 선단부분이 커트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14는 손잡이가 되는 드리워진 끈으로 상기 각 반분할판(5R,5L)의 각 상부측에 대략 같은 높이로 뚫은 한쌍의 끈관통공(15R,15L)과 상기 각 1매판(2,3)의 각 상부측에 상기 각 끈관통공(15R,15L)보다 높은 위치에 대략 같은 높이로 뚫은 한싸의 끈관통공(16,17)사이에 대략 삼각추 내측에서 걸어 돌려져 있다. 이 드리워진 끈(14)을 잡고 표지구(1)를 들어올리면 드리워진 끈(14)이 당겨져 각 반분할판(5R,5L)이 경첩(6)에서 접어짐과 동시에, 경첩(7,8)을 통하여 각 반분할판(5R,5L)에 연결되어 있는 각 1매판(2,3)이 경첩(4)에 절첩되어 표지구(1)는 자동적으로 절첩된다.
또한, 상기 각 경첩(4,6,7,8)중, 1매판(2,3)끼리 연결하는 경첩(4)과, 1매판(2,3)과 반분할판(5R,5L)을 연결하는 경첩(7,8)은 경질고무제가 사용되고 있다.
또, 각 경첩(4,6,7,8)중 적어도 하나, 가령 1매판(3)과 반분할판(5L)을 연결하는 경첩(7)중의 하나에 대략 삼각추를 절첩했을때에 내측으로 닫힌 양변을 외측으로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르링경첩(7a)이 사용되고 있다.
이상이 본 발명의 한 구성예이고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다.
표지구(1)를 사용할때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첩된 상태로 표지구(1)의 드리워진 끈(14)을 잡고 그 표지구(1)를 세우면, 스프링경첩(7a)의 탄발력으로 1매판(3)과 반분할판(5L)이 펴지고, 이에 따라 다른 1매판(2)과 반분할판(5R)도 자동적으로 펴지게 되므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지구(1)가 서서히 삼각추상으로 펴서 아무런 조작을 행하지 않고도 매우 간단하게 표지구(1)을 세울수 있다.
또, 대략 삼각추 각부(9)로 표지구(1)를 삼점지지하도록 조립되어 있으므로 노면등의 요철이 있더라도 안전하게 세울 수 있고, 어느 방향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와도 넘어지기 어렵다.
이때, 정점(P)에는 신호등(12)을 삽입하여 장착하는 삽입부(13)가 형성되므로, 야간에는 그 삽입부(13)에 신호등(12)의 손잡이 부분을 삽입하여 신호등(12)을 점등시킴으로써 야간표지구로 사용할 수 있다.
또, 표지구(1)의 각 판(2,3,5R,5L)을 광투과율이 비교적 높은 플라스틱판으로 평성하고, 신호등(12)의 점등부를 표지구(1)의 대략 삼각추내에 삽입하도록 삽입하면, 표지구(1)의 전체를 밝힐 수도 있다.
그리고, 조립했을 때에 원추가 아니고 대략 삼각추가 되어, 세개의 평면(S₁∼S₃)으로 정점(P)을 둘러싸게 되므로 대략 삼각추의 각면(S₁∼S₃)에 각각 다른 마크(가령 우향 화살표, 좌향화살표, 진입 표지표)를 실시하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정면에 보이고자 하는 마크를 위치하게 햐여 배열하므로써 한 종류의 표지구를 사용하여 그 놓은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 여러가지 교통규제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또, 각면(S₁∼S₃)은 평면이기 때문에, 인쇄등으로 문자, 도형 등을 간단하게 그 표면에 표시할 수 있을 뿐아니라, 이들 문자를 정면에서 볼 경우에 완전한 형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큰문자, 도형을 표시할 수 있고, 머리서로 표지내용을 아주 보기 쉬운, 표지구(1)에 있어서 최대의 장점이 있다.
이어서, 이것을 절첩했을 때는 손잡이가 되는 드리워진 끈(14)을 잡고 표지구(1)를 들어올리면, 이 끈(14)에 의해 각 반분할판(5R,5L)의 양단측이 내측으로 당겨져서 그 반분할판(5R,5L)이 경첩(6)으로 절첩됨과 동시에,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각 1매판(2,3)이 경첩(4)으로 서로 접근하도록 내측으로 절첩되어 각판(2,3,5R,5L)이 평판상으로 겹쳐지고, 표지구(1)는 스프링 경첩(7a)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평판상으로 절첩되게 된다.
이 경우에, 스피링경첩(7a)의 탄발력을 적당하게 선정하고, 표지구(1)를 옆으로 눕혔을때 가해지는 부하보다 약간 약하게 하면, 열려 있는 표지구(1)를 눕히는 것만으로 스프링경험(7a)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그 자중에 의해 표지구(1)가 자동적으로 절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가령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손잡이가 되는 드리워진 끈(14)이 없을 경우나, 각면(S₁∼S₃)의 저변에 원호상의 절결부가 없을 경우나 또한 스프링경첩(7a)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라도 좋다.
또, 복수의 표지구(1)끼리 서로 연결봉(20)으로 연결하면 각 표지구(1)를 더욱 안전하게 세울 수 있다. 이 연결봉(20)은 그 양단에 링(21)이 형성되고 그 링(21)내에 표지구(1)의 정부(P)를 삽입하는 삼각형 삽입공(22)을 형성한 회전원판(23)이 회동자채로 장착되어 있어, 표지구(1)를 임의의 방향을 향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6도는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본 예의 표지구(1)는 리모트콘트롤에 의해 절첩/입설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제1도와 공통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예의 표지구(1)는 한쪽의 1매판(3)이 그 저변을 회전축으로 하여 베이스(25)에 대하여 모터(2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절첩시는 모터(26)에 의해 1매판(3)을 수평으로 눕히면, 표지구(1)를 형성하는 다른판(2,5R,5L)의 자중에 의해 각 반분할 판(5R,5L)이 절첩됨과 동시에, 여기에 연결되어 있는 1매판(2)이 1매판(3)에 접근하도록 내측으로 절첩되므로, 표지구(1)는 스프링경첩(7a)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평판상으로 절첩하게 된다.
또, 사용시에는 모터(26)에 의해 1매판(3)을 일으키면, 스프링경첩(7a)에 작용하고 있던 표지구(1)의 각판(2,5R,5L)의 하중이 해방되기 때문에, 스프링경첩(7a)의 탄발력에 의해 1매판(3)과 반분할판(5L)이 펴지고, 이에 따라 다른 1매판(2) 및 반분할판(5R)도 자동적으로 펴진다.
이 같은 표지구(1)를 주차장 같은 넓은 장소의 진로에 따라 미리 설치해 두고, 고소에서 바로 볼 수 있는 장소에서, 주차스페이스가 빈 상태에 따라 모터(26)를 원격조작함으로써 진입하는 차를 주차 스페이스까지 간단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은 모두 표지구(1)를 구성하는 1매판(2,3)및 반분할판(5R,5L)을 경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가령, 각 판(2,3,5R,5L)을 절첩가능하게 링으로 연결하거나, 대략 삼각추를 전개한 형상의 플라스틱을 구부려서 통상 삼가추를 형성하고, 그 시단가장자리와 종단가장가리만을 경첩이나 스프링 경첩으로 연결하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표지구(1)에 의하면, 표지로서 사용한 뿐 아니라, 판매촉진을 위한 가게 앞의 캠페인을 행할 때 등에 그 간판이나 깃발의 지주등을 정점(P)의 삽입공(13)에 삽입하여 지지하는 지지 각체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시에는 대략 삼각추로 조립되므로 노면등에 안전하게 세울 수 있을 뿐더러, 그 표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문자, 도형 등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고, 게다가, 이것을 정면에서 볼 경우 완전한 형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자 등을 실시할 수 있어, 멀리서도 보기 쉬운 효과가 있다.
또, 대략 삼각추 정점을 둘러싸는 3면 중, 그 2면을 형성하는 1매판이 경첩으로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나머지 1면을 형성하는 반분할판이 서로 인접하는 상기 각 1매판에 대하여 경처브로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경첩으로 연결된 각 반분할판을 삼각추의 내측으로 구부려 가면, 그 양단에 연결된 1매판 끼리 서로 접근하여 평판상으로 절첩할 수 있으므로 운반시나 보관시에 아주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대략 삼각추의 사용형태로 조립되는 절첩식 표지구로서, 상기 대략 삼각추 정점(P)을 둘러싸는 3면(S₁,S₂,S₃)중, 그 2면(S₁,S₂)이 각각 1매판(2,3)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들 1매판(2,3)끼리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고, 나머지 1면(S₃)이 대략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된 반분할판(5R,5L)끼리 절첩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들 각 반분할판(5R,5L)이 각각에 인접한 상기 각 1매판(2,3)에 대하여 내측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표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가 되는 드리워진 끈(14)이, 상기 각 반분할판(5R,5L) 각각의 상부측에, 대략 같은 높이로 뚫은 한쌍의 끈 통과공(15R,15L)과, 상기 각 1매판(2,3)각각의 상부측에 상기 각 끈 통과공(15R,15L)보다 높은 위치에 대략 같은 높이로 천설된 한쌍의 끈 통과공(16,17)사이에 상기 대략 삼각추 내측에서 걸어 돌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표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판(2,3,5R,5L)이 경첩(4,6,7,8)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이들 각 경첩(4,6,7,8)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대략 삼각추를 절첩했을 때에 내측으로 닫힌 양변을 외측으로 열리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표지구.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1430A 1996-07-08 1997-07-08 절첩식 표지구 KR9800096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827096A JP3769076B2 (ja) 1996-07-08 1996-07-08 折り畳み式標識具
JP96-178270 1996-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663A true KR980009663A (ko) 1998-04-30

Family

ID=1604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430A KR980009663A (ko) 1996-07-08 1997-07-08 절첩식 표지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23510A2 (ko)
JP (1) JP3769076B2 (ko)
KR (1) KR980009663A (ko)
CN (1) CN1170067A (ko)
AU (1) AU2850097A (ko)
CA (1) CA22095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067B1 (ko) * 2009-08-13 2012-06-20 김연수 비상주차 차량용 안전표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486Y1 (ko) * 2003-10-09 2004-01-16 조범동 잡기 쉬운 안전 콘
US20060124641A1 (en) * 2004-11-09 2006-06-15 Karow Mark P Collapsible construction barrier
GB0713167D0 (en) * 2007-07-06 2007-08-15 Cellbond Ltd Barrier
JP6373133B2 (ja) * 2014-09-11 2018-08-1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視線誘導柱
CN104250953A (zh) * 2014-10-08 2014-12-31 王波 一种折叠路锥
CN106049307A (zh) * 2016-06-24 2016-10-26 东莞市双录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新式多功能交通锥结构
WO2020144612A1 (en) * 2019-01-09 2020-07-16 Klein Amos Collapsible barrier and a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7328734B2 (ja) * 2019-09-17 2023-08-17 株式会社関電工 折り畳み表示器及び当該表示器を複数用いた工事用バリケード又は表示器
CN111749157A (zh) * 2020-06-04 2020-10-09 广东荣鸿建设有限公司 一种道路施工用安全警示装置
JP6804007B1 (ja) * 2020-08-04 2020-12-23 トラスコ中山株式会社 安全コーン用シート及び安全コーン装置
CN113957823B (zh) * 2021-11-08 2023-01-13 青岛大学 一种折叠式智能交通警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067B1 (ko) * 2009-08-13 2012-06-20 김연수 비상주차 차량용 안전표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3510A2 (en) 1998-02-11
JPH1018246A (ja) 1998-01-20
CN1170067A (zh) 1998-01-14
JP3769076B2 (ja) 2006-04-19
AU2850097A (en) 1998-01-15
CA2209500A1 (en) 199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80009663A (ko) 절첩식 표지구
US4999938A (en) Convertible message sign
US7823526B2 (en) Foldable cone
US5090349A (en) Traffic safety cone
US4383782A (en) Traffic barricade
US8302551B2 (en) Foldable cone
EP0352386B1 (en) Foldable warning distress sign
US5303668A (en) Self-stable, portable, foldable, easily assembled road warning signal
US10900180B2 (en) Collapsible sign
US7007420B2 (en) Barricade sign
GB2186729A (en) Collapsible sign
KR20200044449A (ko) 차량용 안전표지 케이스
US4047798A (en) Emergency signalling device
US2756526A (en) Portable sign
JPH10102445A (ja) 折り畳み式標識具
JP2656436B2 (ja) 路上標識体
US6361174B2 (en) Highway traffic warning reflector
KR940000906Y1 (ko) 고정식 표지판
CN204288734U (zh) 多标志面机动车用三角警告牌
AU2007231913B1 (en) A Temporary Traffic Sign Cover
KR102047996B1 (ko) 교통 표지 기구
JPH03125708A (ja) 路上標識体
JPH10333582A (ja) 標識具
KR200145935Y1 (ko) 절첩식 안전표지 겸용 주차금지판
JPS63479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