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996B1 - 교통 표지 기구 - Google Patents

교통 표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996B1
KR102047996B1 KR1020180120130A KR20180120130A KR102047996B1 KR 102047996 B1 KR102047996 B1 KR 102047996B1 KR 1020180120130 A KR1020180120130 A KR 1020180120130A KR 20180120130 A KR20180120130 A KR 20180120130A KR 102047996 B1 KR102047996 B1 KR 102047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ver
light source
traffic sign
cov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20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 E01F9/692Portable base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교통의 상태를 임시적으로 표지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교통 표지 기구에 관한 발명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세 개의 표면을 가진 표지부; 상기 표지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표지부의 적어도 세 개의 표면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표지부를 접거나 펼치기 위해 마련된 조절부; 및 일단은 상기 표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표지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레더;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일 측에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내측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표지부가 펼쳐지고, 상기 광원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 표지 기구{ROAD SIGN STRUCTURE}
본 발명은 도로 교통의 상태를 표지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교통 표지 기구에 관한 발명이다.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나 주차장의 사고 현장 또는 각종 공사 현장 등에서,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제한하기 위한 임시적/일시적인 교통 안전 표지 기구로서, 라바콘(rubber cone)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통상적인 라바콘은 일종의 고깔 모자의 외관을 가지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삼각뿔 모양의 입체 구조를 가진다. 라바콘은 휴대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예컨대 높이 700mm 좌/우폭 380mm와 같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효과적으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라바콘을 사용하여 도로 안전과 관련된 상태를 표지하게 된다.
라바콘은 작업용 차량의 화물칸에 라바콘을 싣고 다닐 수 있으며, 사고 현장이나 각종 공사 현장에 안전을 위한 간이 표지로서 이용되고 있다. 도로교통법상 일반 운전 면허 소지자가 운전하는 일반 승용 차량에는 반드시 라바콘을 구비하는 규정은 없지만 이에 준하는 물품으로서, 예컨대 안전 삼각대와 같은 표지물을 사용하여야 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0426호(2006.07.04. 공고)
안전 삼각대와 같은 표지물은 휴대는 편리하지만 크기가 매우 작아, 실제 도로 주행 중인 다른 운전자 입장에서 시인성이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일반에 보급된 라바콘을 사용하기에는, 일반 승용차의 트렁크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는 수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로 공사 작업 차량이나, 도로 교통 안전 안내용 차량은 일반 승용차에 비해 다량의 라바콘을 수용하는 공간을 보유할 수 있긴 하지만, 기존 라바콘의 정형화된 형상으로 인해 충분한 수의 라바콘을 수용하기에는 제약이 있다. 또한, 트렁크 내에 다른 구조/시설물이 적재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더 적은 숫자의 라바콘을 적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아울러, 일반에 널리 보급된 라바콘의 경우, 야간에 도로 교통 상황을 안전하게 통제하기에는 역부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통 안전 표지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세 개의 표면을 가진 표지부; 상기 표지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표지부의 적어도 세 개의 표면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표지부를 접거나 펼치기 위해 마련된 조절부; 및 일단은 상기 표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표지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레더;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일 측에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가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표지부가 펼쳐지면서 상기 광원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지부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접철식 표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에는 교통 표지 기호 또는 패턴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는 상기 광원부의 점등용 버튼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지부의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지부의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부; 상기 표지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표지부의 적어도 세 개의 표면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향해 배치된 수용부; 및 일단은 상기 표지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표지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수용부의 회전시 상기 표지부를 펼치거나 접힐 수 있는 스프레더;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에 광원부가 결합된 채로 상기 광원 모듈 회전 시 상기 수용부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통 표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는, 종래의 라바콘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고 시인성 측면에서 향상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간에도 높은 시인성을 가진 교통 표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교통 표지 기구의 내부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교통 표지 기구의 내부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의 디폴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교통 표지 기구의 내부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교통 표지 기구의 내부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의 내부 모습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조립형 교통 표지 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의 실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연결’이란 일 구성요소와 타 구성요소의‘결합, 체결, 접합, 부착 등’의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100)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100)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교통 표지 기구(100)는 표지부(110), 조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통 표지 기구(100)는 적어도 세 개의 표면(S1, S2, …)을 가진 표지부(110); 상기 표지부(110)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표지부(110)의 적어도 세 개의 표면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표지부(110)를 접거나 펼치기 위해 마련된 조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120)는 일 측에 광원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120)가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표지부(110)가 펼쳐지면서 상기 광원부(1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표지부(110)는 교통 표지 기구(100)의 전체 외형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펼쳐진 상태의 표지부(110)가 형성하는 외형에 따라 교통 표지 기구(100)의 외형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 개의 표면을 가지는 표지부(110)의 경우, 표지부(110)가 펼쳐졌을 때 교통 표지 기구(100)는 사각 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지부(110)는 펼쳐졌을 때, 바람과 같은 약한 외부 충격에 의해 스스로 쓰러지지 않을 정도의 면적으로서 노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표지부(110)가 펼쳐지면 교통 표지 기구(100)는 도로 상에 기립 가능한 형상이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지부(110)는 제1 표면(S1), 제2 표면(S2), 제3 표면, 제4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사각 뿔 형상의 교통 표지 기구(100)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사각 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4 표면을 포함하지 않는 삼각 뿔 또는, 그 이상의 다각 뿔 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교통 표지 기구(100)에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부(110)는 전체적으로 세 개 이상의 표면을 가지되, 각각의 표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면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분할면은 인접한 다른 분할면과 접철(folding or unfolding)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표면(S1)은 분할면으로서 제1-1 표면(S1-1), 제1-2 표면(S1-2), 제1-3 표면(S1-3) 및 제1-4 표면(S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표면(S2)은 분할면으로서 제2-1 표면(S2-1), 제2-2 표면(S2-2), 제2-3 표면(S2-3) 및 제2-4 표면(S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표면(S1-1)은 제1-2 표면(S1-2)과 접철가능하며, 제1-2 표면(S1-2)은 제1-3 표면(S1-3)과 접철가능하다. 또한, 제1-4 표면(S1-4)과 제2-1 표면(S2-1)도 접철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3 표면 및 또는 제4 표면에도 분할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면들(S1-1, S1-2, S1-3, S1-4, …)은 인접한 면들과 서로 힌지 구조(h)를 갖도록 연결될 수 있다. 표지부(110)가 삼각뿔, 사각뿔, 또는 그 이상의 다각뿔과 같은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표지부(110)를 형성하는 다수의 표면들은 서로 적어도 하나의 접점(예: 첨단)에 형성된 힌지 구조(h)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접철식 표면이 형성된 표지부(110)를 포함하는 교통 표지 기구(100)를 이용하면, 차량의 트렁크에 접힌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트렁크 내부의 공간상의 제약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으며 다량의 교통 표지 기구를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부(110)의 표면에는 일정한 모양 또는 패턴을 가지는 형광 물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방향 표시(예: 화살표)와 같은 기호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LED, 플라시보 LED, 또는 전자 종이 등으로 방향표시나 제한 속도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들로 인하여, 사고 현장 인근을 주행하는 운전자가, 비교적 원거리에서도 표지부(110)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표지부(110)가 펼쳐지면, 표지부(110)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측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공간은 교통 표지 기구(100) 전체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일 수 있다.
조절부(120)는 표지부(110)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내측 공간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부(110)의 상단부에는 개구(opeing)가 형성되고, 조절부는 상기 개구에 걸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부(120)는 몸체부(121)와, 몸체부(121)의 외면에 형성된 리세스(122)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22)는 후술하는 스프레더(130)가 접힌 상태에서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표지부(110)가 접힌 상태에서는 리세스(122)에 스프레더(130)가 수용되고, 표지부(11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리세스(122)로부터 스프레더(130)가 이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부(110)의 하단부는 도로, 주차장 또는 공사 현장의 노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편평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지부(110)가 완전히 펼쳐졌을 때는, 하단부가 일 직선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부(110)의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이나 높은 풍속을 가지는 바람에 대하여 넘어지지 않고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부(110)의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성체는 중량체(160)와 대체되거나, 병행하여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표지부(1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자성체의 예시로 네오디움 자석이 해당될 수 있다. 표지부(110)의 하단부에 자성체를 구비함으로써 예컨대 차량의 루프 상단에 교통 표지 기구(100)를 배치하더라도 넘어지지 않고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교통 표지 기구(100)의 내부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교통 표지 기구(100)의 내부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100)는, 상기 표지부(1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절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표지부(110)와 상기 조절부 (120)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레더(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더(130)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레더(130)는 표지부(110)와 조절부(120)를 연결하는 구성인 한편, 조절부(120)가 잡아 당겨져 상기 내측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이탈되는 동작에서, 상기 표지부(110)를 펼치게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스프레더(130)의 구성은 간략히 하나의 막대와 같은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둘 이상의 링크(link) 구조가 서로 연결되어 스프레더(130)와 같은 구성을 형성할 수 있다.
스프레더(130)는 교통 표지 기구(100)의 내측 공간에서, 도 1에 도시된, 표지부(110)의 모서리부(f1, f2, f3, …)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표지부(110)의 후면(내측면(111))을 지지할 수 있다.
조절부(120)는 표지부(110)의 상단부와 분리된 상태에서 접촉 지지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120)는 표지부(110)의 상단부와 접촉 지지되면서 상기 내측 공간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상기 내측 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부(120)는 상기 내측 공간에서 완전히 이탈되도록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내측 공간에 인입된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남아 있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조절부(120)의 단부가 표지부(110)의 상단부의 개구 폭 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단차를 형성하여, 작동 중에 조절부(120)의 적어도 일부분이 항상 표지부(110)의 내측 공간에 남아 있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절부(120)의 일 부분에는 광원부(14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조절부(120)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내측 공간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광원부(140) 또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표지부(110)가 펼쳐지는 동작에서 광원부(14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동작을 통해 교통 표지 기구(100)가 설치되는 지점의 주변을 자동으로 밝힐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교통 표지 기구(100)의 표지부(110)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교통 표지 기구(100)의 조절부(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120)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이 수행되면, 표면이 접철된 상태의 표지부(110)가 펼쳐지는 한편, 상기 표지부(110)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광원부(140)가 노출되어 주변이 밝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부(120)의 상부에는 손잡이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50)를 상방으로 당기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조절부(120)를 상기 내측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부(120)의 상부에는 버튼부(1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버튼부(170)의 조작을 통해 상기 광원부(140)를 On/Off 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부(120)는 상기 내측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도 가능하다. 조절부(120)(또는 손잡이부(150))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을 통해 조절부(120)에 구비된 광원부(140)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조절부(120)(또는 손잡이부(150))를 더욱 잡아당기면 조절부(120)가 상기 표지부(110)로부터 접촉 지지된 상태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조절부(120)가 상기 내측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은 하기 도 10의 설명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접철식 표면(S1, S2, …)을 가지는 표지부(110)를 개시하였다. 여기서 표지부(110)의 외표면은 내표면(111)과 거의 밀착된 상태이며, 외표면과 내표면(111)이 함께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앞서도 설명하였지만 상기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교통 표지 기구(100)를 이용하면, 차량용 트렁크에 보관시 표지부(110)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어 공간 활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도 5는, 본 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200)의 디폴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200)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의 교통 표지 기구(200)의 내부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교통 표지 기구(200)의 내부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에 참조되는 실시예는 접철식 표면이 아닌, 고정된 외관 형상을 가지는 외표면과, 상기 외표면을 내부에서, 상기 외표면을 향해 접힘과 펼침 동작이 수행되는 내표면(211)을 가지는 교통 표지 기구(200)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의 교통 표지 기구(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세 개의 표면을 가진 표지부(210); 상기 표지부(210)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표지부(210)의 적어도 세 개의 표면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표지부(210)의 내표면(211)을 접거나 펼치기 위해 마련된 조절부(220); 및 일단은 상기 표지부(210)의 내표면(211)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절부(220)에 연결되어 상기 표지부(210)와 상기 조절부(220)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레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220)는 일 측에 광원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220)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내측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표지부의 내표면(211)이 펼쳐지고, 상기 광원부(2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에 대해서는 이하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표지부(210)의 외표면은 고정형으로서, 적재함에 보관시 복수의 교통 표지 기구(200)를 포개어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조절부(220)는 표지부(21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상태에서 별도로 보관될 수도 있다. 여기서 표지부(210)의 외표면(211)이 고정형이라는 것은, 외표면(211)에 외력이 가해진다고 할 때, 예를 들면 삼각뿔 형상의 외표면(211)의 전체 외형이 변형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단, 외표면(211)은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져, 외표면(211)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그 폭과 너비는 일부 변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부(210)의 외표면의 외관 은 고정된 상태에서 내표면(211)만 접철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레더(230)의 일 단은 상기 내표면(211)의 일 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스프레더(230)의 접힘 또는 펼침 동작에 따라 내표면(211)의 접힘과 펼침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300)의 내부 모습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교통 표지 기구(300)는, 교통 표지 기구(300)에 포함되는 조절부(320)의 일 부분이 표지부의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320)는 표지부(310)의 상단부와 일체로 이루어진 몸체부(321)와, 몸체부(321)의 외면에 형성된 리세스(322),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습동하는 가이드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부(323)가 위/아래 방향으로 습동함에 따라 조절부(320)의 일 측에 형성된 광원부(330)가 외부로 인출되거나 반대로 인입될 수 있다.
도 10은, 조립형 교통 표지 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지부(410); 상기 표지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표지부(410)의 적어도 세 개의 표면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향해 배치된 수용부(421); 및 일단은 상기 표지부(4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부(421)에 연결되어 상기 표지부(410)와 상기 수용부(421)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수용부(421)의 회전시 상기 표지부를 펼치거나 접힐 수 있는 스프레더(43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421)에는, 광원부(510)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500)이 결합 가능하며, 상기 수용부(421)에 광원부(510)가 결합된 채로 상기 광원 모듈(500) 회전 시 상기 수용부가 회전되는 조립식 교통 표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형 교통 표지 기구는 표지구조물(400)과 광원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모듈은 예를 들어, 경광봉일 수 있다.
표지 구조물(40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표지부(예: 도 1의 110)와 스프레더(예: 도 3의 130)를 포함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광원 모듈(500)은 광원부(예: 도 3의 510)와 손잡이부(예: 도 3의 150)를 포함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10의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8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점은, 도 1 내지 도 8에 개시된 상기 조립부의 구성 및/또는 기능 중 일부는 표지 구조물(400)을 통해 구현되고, 다른 일부는 광원 모듈(500)을 통해 구현된다는 것이다.
표지 구조물(400)은 표지부(410)와, 적어도 세 개의 표면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향해 배치되는 수용부(421)와, 일 단이 표지부(410)에 연결되고 타 단이 수용부(421)에 연결되는 스프레더(4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별도로 표시되지 않았으나 수용부(421)의 표면에는 스프레더(430)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광원 모듈(500)은 광원부(510)와, 전자부품부(520)와, 손잡이(5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510)는 광원 모듈(500)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으로서, 밝은 휘도로 발광되는 발광부재(예: LED 광원)과 상기 발광부재를 감싸며 빛을 확산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510)는 전자부품부(520)에 포함되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되며, 손잡이(530)에 형성된 버튼을 통해 점등될 수 있다. 광원 모듈(500)로서, 예컨대 휴대용 경광봉이 해당될 수 있다.
표지부(410)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지부(110)가 해당될 수 있으며, 또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지부(210)가 해당될 수도 있다. 표지부(410)는 스프레더(430)를 통해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도로 상에 안정적으로 기립될 수 있다.
수용부(421)에는 상기 광원 모듈(500)의 광원부(510)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421)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광원부(5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광원부의 반경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421)에 광원부(510)가 끼워지면, 표지구조물(400)에 광원 모듈(500)이 결합된 상태에서 교통 표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 모듈(500)을 통해 표지 구조물(400)의 표지부(410)를 펼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421)의 회전시 스프레더(430)가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 표지 구조물(400)을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용부(421)에 광원부(510)를 끼운 후, 광원부(510)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스프레더(430)를 펼치게 할 수 있다. 광원부(510)의 단부에는 제1 결합부(예: 체결고리)가 형성되고, 수용부(421)의 내측면에는 제2 결합부(예: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의 표지부(410) 중 적어도 일부분은 광원부(510)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표지부(410)의 상단부분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여 광원 모듈(500)의 광원부(510)가 표지 구조물(400)에 장착되어 표지부(410) 내측 공간에 수용되더라도 광원부(510)에서 발광하는 광이 외부로부터 시인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의 표지부(410) 중 적어도 일부분은 광원부(510)의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 모듈(500)의 광원부(510)가 표지구조물(400)에 장착되어 표지부(410) 내측 공간에 수용되더라도 광원부(510)에서 발광하는 광이 표지부(410)를 통해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표지부(410) 중 적어도 일부분이 광을 확산시키는 소재로 형성될 때 야간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광원 모듈(500)를 표지구조물(400)에 체결시킬 때에는, 광원부(510)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광원부(510)가 표지부(410)의 적어도 세 개의 표면으로부터 둘러싸인 내측 공간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광원 모듈(500)의 손잡이부(530)를 잡고 광원부(510)를 아래로 향하게 한 다음, 광원부(510)를 수용부(421)에 끼워 조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530)를 일 방향으로 돌려 수용부(421)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프레더(430)를 펼칠 수 있다. 주간에는 광원부(510)가 발광될 필요없이 표지부(410)의 표면 패턴 또는 기호를 통해서 교통 상황을 표지할 수 있으며, 야간에는 광원부(510)의 광원부(510)를 발광시킴으로써 야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의 실 사용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차량 주행 중 이상이 생겨, 도로 위에 정차하여야 할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 탑승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교통 표지 기구를 차량의 전/후방, 차량의 본네트, 트렁크, 및/또는 지붕 위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의 다른 차량의 탑승자로 하여금 주행 도로 상에 이상이 있는 차량이 있음을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교통 표지 기구로서, 도 1 내지 도 10에서 전술한 교통 표지 기구(100, 200, 300, 400)들이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교통 표지 기구
110: 표지부
111: 내표면
120: 조절부
121: 바디부
122: 리세스
130: 스프레더
140: 광원부
150: 손잡이
160: 자성체(또는 중량체)
170: 버튼
400: 표지 구조물
500: 광원 모듈

Claims (8)

  1. 표지부;
    상기 표지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표지부의 적어도 세 개의 표면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표지부의 내표면을 접거나 펼치기 위해 마련된 조절부; 및
    일단은 상기 표지부의 내표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절부에 연결되어 상기 표지부와 상기 조절부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레더;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일 측에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내측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표지부가 펼쳐지고, 상기 광원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조절부는 상단에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상방으로 당겨서 상기 조절부의 일 부분을 내측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표지부는 외표면과 내표면을 구비하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외표면은 고정형으로서 전체 외형이 변형되지 않고, 외표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내표면만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지부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접철식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는 교통 표지 기호 또는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 기구.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는 상기 광원부의 점등용 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 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지부의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지부의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표지 기구.
  8. 표지부;
    상기 표지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표지부의 적어도 세 개의 표면이 형성하는 내측 공간을 향해 배치된 수용부; 및
    일단은 상기 표지부의 내표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표지부와 상기 수용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수용부의 회전시 상기 표지부를 펼치거나 접힐 수 있는 스프레더;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광원 모듈이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에 광원부가 결합된 채로 상기 광원 모듈 회전 시 상기 수용부가 회전되며,
    상기 광원 모듈은 상단에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일 방향으로 돌려 상기 수용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프레더를 펼칠 수 있으며,
    상기 표지부는 외표면과 내표면을 구비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외표면은 고정형으로서 전체 외형이 변형되지 않고, 외표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내표면만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교통 표지 기구.
KR1020180120130A 2018-10-09 2018-10-09 교통 표지 기구 KR102047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130A KR102047996B1 (ko) 2018-10-09 2018-10-09 교통 표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130A KR102047996B1 (ko) 2018-10-09 2018-10-09 교통 표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996B1 true KR102047996B1 (ko) 2019-11-27

Family

ID=6872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130A KR102047996B1 (ko) 2018-10-09 2018-10-09 교통 표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9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130Y1 (ko) * 1996-09-05 2000-04-01 강석호 공사안내 표시대
KR200220424Y1 (ko) * 2000-10-23 2001-04-16 최교선 도로위험표시용 경고등
KR200420426Y1 (ko) 2006-04-13 2006-07-04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신축식 다단 라바콘
KR200441052Y1 (ko) * 2007-01-02 2008-07-21 시진성 도로위험표시용 경고등
KR101660939B1 (ko) * 2016-07-18 2016-09-28 이명욱 경광등 겸용 우산형 안전삼각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130Y1 (ko) * 1996-09-05 2000-04-01 강석호 공사안내 표시대
KR200220424Y1 (ko) * 2000-10-23 2001-04-16 최교선 도로위험표시용 경고등
KR200420426Y1 (ko) 2006-04-13 2006-07-04 인천도시가스주식회사 신축식 다단 라바콘
KR200441052Y1 (ko) * 2007-01-02 2008-07-21 시진성 도로위험표시용 경고등
KR101660939B1 (ko) * 2016-07-18 2016-09-28 이명욱 경광등 겸용 우산형 안전삼각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988B2 (en) Storage compartment and warning lighting for a vehicle
US10900180B2 (en) Collapsible sign
KR101544646B1 (ko) 자동전개식 삼각대
KR101506400B1 (ko) 차량용 안전표시등
KR102047996B1 (ko) 교통 표지 기구
KR20200044449A (ko) 차량용 안전표지 케이스
JP3769076B2 (ja) 折り畳み式標識具
KR101596731B1 (ko) 패턴 점등 기능을 갖는 led가 부착된 안전 삼각대
KR20190010393A (ko) 휴대형 비상표시장치
KR101982496B1 (ko) 우산형 안전표시기구
KR200487375Y1 (ko) 고 시인성 엘이디 바 조립체
JPH07229114A (ja) 道路標識
KR200379180Y1 (ko) 스탠드형 도로용 표지판
KR20180031563A (ko) 차량용 자동 펼침 긴급 알림 장치와 그 방법
KR102110959B1 (ko) 도로공사 안내용 방향 표시장치
WO2017163232A9 (en) Warning system for standing vehicles
KR20120025779A (ko) 원터치 안전 삼각대
KR200390328Y1 (ko) 고휘도 엘이디가 구비된 차량용 안전유도판
KR101823654B1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20200099719A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KR200415905Y1 (ko) 차량용 발광 삼각 표시판
JP2005121917A (ja) 表示装置
KR102706275B1 (ko) 자동차용 안전 표시구
JP3876587B2 (ja) 標識
KR101383344B1 (ko) 자동 펼침식 led 안전 피라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