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571A -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 그 방법에 의한 도포평가방법, 도포평가장치 및 도포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 그 방법에 의한 도포평가방법, 도포평가장치 및 도포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571A
KR20120002571A KR1020117022016A KR20117022016A KR20120002571A KR 20120002571 A KR20120002571 A KR 20120002571A KR 1020117022016 A KR1020117022016 A KR 1020117022016A KR 20117022016 A KR20117022016 A KR 20117022016A KR 20120002571 A KR20120002571 A KR 20120002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skin
value
coating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마사 미우라
히로코 미즈노
유스케 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2000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3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피부외용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상기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상기 피부외용제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으로서, 상기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상의 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발라 퍼뜨려 가는 제 1 도포단계와, 상기 제 1 도포단계에서 발라 퍼뜨린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1방향으로 발라 퍼뜨리는 제 2 도포단계와, 상기 제 1 도포단계 및 상기 제 2 도포단계를 소정횟수 반복하여 실시하는 반복단계를 가지는 도포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 그 방법에 의한 도포평가방법, 도포평가장치 및 도포평가프로그램{METHOD FOR APPLYING EXTERNAL SKIN PREPARATION, METHOD FOR EVALUATING APPLICATION BY THE METHOD, DEVICE FOR EVALUATING THE APPLICATION AND PROGRAM FOR EVALUATING THE APPLICATION}
본 발명은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 그 방법에 의한 도포평가방법, 도포평가장치 및 도포평가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외용제의 도포시의 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 그 방법에 의한 도포평가방법, 도포평가장치 및 도포평가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장품을 비롯한 피부외용제는 기본적으로 피부에 대해 손가락 또는 도포도구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있다. 여기서 손가락 또는 도포도구를 이용하는 행위는 그 이용장면이나 상황 또는 기호에 따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예를 들어 메이크업 화장료 등을 이용자 본인의 의사로 두껍게 도포하는 것도 얇게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기호에 근거한 피부외용제의 경우에는 도포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이지만, 도포행위에 의해 자외선 방어특성 등의 기능성을 발현시키는 경우 등에는 그 기능성은 도포행위 그 자체에 크게 의존하므로, 이러한 점에서 충분한 기능발현이 필수인 경우에는 매우 신중하게 취급해야 하는 중요한 항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선캐어 화장품의 경우에는 손가락에 의한 도포행위로 피부에 균일하게 퍼뜨려 사용하고 있지만 손가락에 의해 퍼뜨리는 방법이 배합성분의 분산성 향상, 즉 자외선 방어효과의 향상으로도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고도 일컬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점에서 피부외용제의 자외선 방어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인 인비보(in vivo) SPF 측정법에서는 실제로 사람의 피부에 대해 피부외용제를 손가락 또는 손가락골무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인비보 SPF값은 예를 들어 자외선에 의한 햇볕그을림을 방지하기 위한 선캐어상품 등의 피부외용제의 자외선 방어효과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인비보 SPF값은 자외선에 의한 햇볕그을림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햇볕그을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지수이며, 피부외용제를 사용한 경우에 희미하게 붉은 빛을 일으키기 위하여 필요한 자외선량을 피부외용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희미하게 붉은 빛을 일으키기 위하여 필요한 자외선량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인비보 SPF값이 10인 선캐어 화장품을 사용하면 맨살의 경우에 비하여 10배 햇볕에 그을리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인비보 SPF값은 태양광에 매우 근접한 인공광(솔라시뮬레이터)을 이용하여 피부외용제를 도포하지 않은 피부와 도포한 피부의 각각에 일정량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다음날 햇볕그을림(홍반)을 일으켰는지 아닌지를 조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인비보 SPF값을 이용하면 피부외용제에 의한 자외선 방어효과의 용관적인 평가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인비보 SPF값을 측정하기 위하여는 특정 피부타입의 다수의 피험자의 협력이 불가결하므로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특허문헌 1~3에는 피험자를 이용하지 않고 인비트로(in vitro) SPF 예측값을 측정하는 인비트로 SPF 평가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인비트로 SPF 평가법에서 사용되는 피부대체막으로는 폴리에틸렌시트, 나일론막(특허문헌 4 참조), 석영판, PMMA판(비특허문헌 1, 2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의 나일론막의 한쪽 표면에는 폭방향의 종단면이 V자형인 피구(皮溝)를 본뜬 홈이 형성되어 있고 비피구 부분에 블라스트처리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비특허문헌 3에는 인비보 SPF값의 측정시 피부외용제의 도포량을 2.00㎎/㎠로 하는 규정이 있지만 이와 같은 도포량으로 피부외용제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피부대체막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미 알려진 피부대체막을 사용한 경우 인비트로 SPF 예측값의 측정시 피부외용제의 도포량은 0.75~1.20㎎/㎠정도이다.
또한, 피부외용제에 포함되는 자외선흡수제로서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는 재료를 사용하면 인비보 SPF값의 측정시 자외선흡수제의 열화가 진행한다. 이와 같은 자외선흡수제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의 인비트로 SPF 예측값은 피부외용제의 도포량이 인비보 SPF값의 측정시와는 상이하므로 인비보 SPF값의 측정조건이 충분히 재현된 것이 아닌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인비트로 SPF 예측값의 측정시의 피부외용제의 도포량을 인비보 SPF값의 측정시와 마찬가지로 2.00㎎/㎠로 하는 것은 자외선에 의해 열화하는 경우의 감쇠패턴외에 피부외용제의 미시적레벨에서의 도포상태에 대해서도 인비보 SPF값의 측정조건을 재현함에 있어 중요하다.
일본 특허 공보 제3337832호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08-96151호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08-111834호 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02-48789호
Ferrero L. et al., Importance of Substrate Roughness for In vitro Sun Protection Assessment, IFSCC Magazine, Vol. 9, No. 2, 2-13(2006) COLIPA GUIDELINES, METHOD FOR THE IN VITRO DETERMINATION OF UVA PROTECTION PROVIDED BY SUNSCREEN PRODUCTS, Edition of 2007 International Sun Protection Factor Test Method, (C.O.L.I.P.A.-J.C.I.A.-C.T.F.A.S.A.-C.T.F.A.), May 2006
그러나 종래에는 피부외용제의 미시적레벨에서의 도포상태는 표준화되지 않고 그 도포상태에 따라 측정값에 편차가 생기기 때문에 평가 정밀도에 영향을 주었다.
예를 들어, 인비보 SPF 측정을 실제로 실시하는 연구기관에서 각개인이 실무훈련에 의해 숙련자의 지도에 의지하여 도포편차를 저감하는 노력을 하고 있는 종래에는 도포의 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명확한 방법이나 트레이닝수단 혹은 도포자가 어느 정도의 훈련을 쌓으면 소정의 도포상태를 실현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는 툴 등도 존재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피부외용제 도포시의 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 그 방법에 의한 도포평가방법, 도포평가장치 및 도포평가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건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가지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의하면, 피부대체막에 피부외용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상기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상기 피부외용제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부대체막상의 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발라 퍼뜨려 가는 제 1 도포단계와, 상기 제 1 도포단계에서 발라 퍼뜨린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1방향으로 발라 퍼뜨리는 제 2 도포단계와, 상기 제 1 도포단계 및 상기 제 2 도포단계를 소정횟수 반복하여 실시하는 반복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조사하는 광의 파장영역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실내등 혹은 태양광하에 도포상태를 외관상 확인할 때에도 유효하다. 이로써 피부외용제를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도포할 때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균일한 도포에 의해 피부대체막상의 피부외용제의 각종 특성을 높은 정밀도로 평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피부상의 발수성·발유성 등 광을 조사하지 않는 물리특성평가의 재현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도포단계 및 상기 제 2 도포단계는 전체적으로 발라 퍼뜨리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약 1초간 0.5~5스트로크를 기준으로 하고 1사이클을 약 3~20초로 하여 도포개시로부터 약 30~90초간에 모든 도포작업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투과광의 강도 또는 투과율, 혹은 반사광의 강도 또는 반사율을 수치화하여 취득하는 수치취득단계와, 상기 수치취득단계에 의해 얻어지는 수치를 복수회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의 수치로부터 도포면내 편차평가, 도포기판간 편차평가,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절대값평가 및 인비트로 SPF 평가장치를 사용한 최종수치평가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기 위한 평가값을 산출하는 평가값산출단계와, 상기 평가값산출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외용제가 피부대체막에 정확하게 도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피부외용제 도포시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가값산출단계는 상기 도포면내 편차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CV평가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가값산출단계는 상기 도포기판간 편차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17%검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의하면, 피부대체막에 피부외용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상기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상기 피부외용제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포평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투과광의 강도 또는 투과율, 혹은 반사광의 강도 또는 반사율을 수치화하여 취득하는 수치취득수단; 상기 수치취득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수치를 복수회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의 수치로부터 도포면내 편차평가, 도포기판간 편차평가,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절대값평가 및 인비트로 SPF 평가장치를 사용한 최종수치평가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기 위한 평가값을 산출하는 평가값산출수단; 및 상기 평가값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외용제가 피부대체막에 정확하게 도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피부외용제의 도포시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가값산출수단은 상기 도포면내 편차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CV평가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가값산출수단은 상기 도포기판간 편차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17%검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특징에 의하면, 피부대체막에 피부외용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상기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상기 피부외용제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포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를, 상기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투과광의 강도 또는 투과율, 혹은 반사광의 강도 또는 반사율을 수치화하여 취득하는 수치취득수단; 상기 수치취득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수치를 복수회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의 수치로부터 도포면내 편차평가, 도포기판간 편차평가,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절대값평가 및 인비트로 SPF 평가장치를 사용한 최종수치평가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기 위한 평가값을 산출하는 평가값산출수단; 및 상기 평가값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외용제가 피부대체막에 정확하게 도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으로 기능시킨다.
이로써 피부외용제 도포시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범용의 퍼스널컴퓨터 등으로 본 발명의 앙케이트 해석 결과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가값산출수단은 상기 도포면내 편차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CV평가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가값산출수단은 상기 도포기판간 편차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17%검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외용제 도포시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포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피부외용제를 균일하게 퍼뜨리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피부외용제에 의한 자외선투과특성의 도포평가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포평가장치의 기능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평가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포평가처리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7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평가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평가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평가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트레이닝 판정툴에 의한 판정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화장품 등의 피부외용제를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 등의 소정 부위에 도포할 때에 숙련자의 노하우나 경험을 형식지(形式知, Explicit Knowledge)화하여 도포 경험이 전혀 없는 경우에도 매우 단기간에 재현성이 높은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명확한 방법이나 트레이닝수단을 체계적으로 구축한다. 이로써 도포의 재현성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인비트로 SPF 측정 등의 데이터 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 그 방법에 의한 도포평가방법, 도포평가장치 및 도포평가프로그램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실시형태로서 피부대체막(플레이트)을 사용한 피부외용제를 도포하는 방법을 나타내었지만, 예를 들어 피부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비보로 측정할 때의 규정에 준하여 필요에 따라 손가락골무를 착용한 손가락으로 도포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포하는 피부외용제의 일례로서 선스크린(자외선차단제) 화장품을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부외용제로서 예를 들어 메이크업 화장품, 스킨케어 화장품, 프리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부외용제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에멀젼, 로션, 고형, 오일, 스프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포방법>
먼저, 선스크린제(화장품)의 도포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피부대체막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소재]
피부대체막의 소재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PMMA)을 이용하고, 290~400㎚ 파장의 광투과율이 50% 이상~100% 이하인 것으로 한다.
[두께]
피부대체막의 두께는 100미크론~5000미크론(=0.1㎜~5.0㎜)으로 한다.
[표면형상]
피부대체막의 표면형상은 피구로서 단면이 V자 모양이고, 홈의 깊이가 30~150미크론, 홈의 폭이 50~500미크론, 종횡방향에서의 홈의 빈도가 0.1~2.0개/㎜ 및 기울기 45°방향에서의 홈의 빈도가 0.1~2.0개/㎜인 것으로 한다.
또한, 피부대체막중 피구에 상당하는 부분은 산술평균표면조도가 0.1~30미크론인 것으로 한다. 또한, 피구 및 피구를 본뜬 형상은 한쪽 표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표면산란특성]
피부대체막에 글리세린을 일정량(1㎎/㎠) 도포한 때에 도포전후의 290~400㎚의 각 파장의 투과율 차가 20%이내인 것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부대체막의 조건은 상기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스크린제(피부외용제)의 도포 평준화를 실현하기 위한 도포방법>
다음으로 인비트로 SPF 평가시 선스크린제의 도포 평준화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도포방법에 대하여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포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에서 먼저 샘플칭량을 하기 위한 전처리를 실시한다(S01). 여기서 전처리로는 예를 들어 전자천칭에 약 5×5㎝의 피부대체막을 올려 놓고 영점조정을 하고 칭량할 샘플을 잘 혼합한다. 또한, 칭량 개시전에는 잘쓰는 손의 집게손가락에 손가락골무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칭량에서 도포로 신속히 이행하기 위하여 손가락골무 장착시에는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이는 주름에 샘플이 들어가 정확한 양을 도포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샘플칭량을 실시한다(S02).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시린지 등을 이용하여 샘플칭량을 개시한다(일례로서 소요시간 50초). 여기서, 샘플칭량은 예를 들어 5㎝×5㎝의 크기의 피부대체막당 약 10~80스폿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약 30~60스폿이 더 바람직하다. 10스폿 미만이면 피부대체막면내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어려워 불균일한 도포상태가 되고, 80스폿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칭량에 필요한 시간을 초과해 버릴 우려가 있으며 그 경우에도 불균일한 도포상태가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도포시에 샘플을 바르는 스폿위치는 피부대체막의 도포면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샘플에 따라서는 휘발성이 높은 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칭량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규정시간내에 도포한다. 또한, 칭량종료후 바로 샘플의 도포로 이행한다.
샘플의 도포순서는 구체적으로는 먼저 피부대체막을 고정하고(S03), 샘플이 전체에 균일하게 퍼지도록 스폿을 작은 원을 몇번이나 그려 발라 퍼뜨린다(S04). 또한, S03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탁상에 피부대체막의 네모서리를 양면테이프로 고정하여 도포시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포시 사용하는 책상이나 피부대체막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는 예를 들어 표면이 흑계색이 시각적으로도 도포 균일성을 확인하면서 실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포자의 도포시의 자세는 등근육을 펴고 겨드랑이를 닫으며 손가락골무를 끼운 손가락을 편 상태에서 피부대체막과의 접촉면은 손가락의 배부보다 앞부분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제로 도포자를 트레이닝하여 선스크린제 등을 도포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비디오 등의 동영상이나 숙련자에 의한 실연 등에 의해 실제의 손가락의 동작을 보여 학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S05 처리에서의 발라 퍼뜨리는 방법으로서는 본 실시형태는 이하의 방법을 기준으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피부외용제를 균일하게 퍼뜨리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피부대체막(1)에 대해 도 2의[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있는 어느 한쪽 측면으로부터 일방향(도 2의 예에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발라 퍼뜨린다(S05)(제 1 도포단계). S05 처리에 의해 피부대체막(1)의 표면전체에 발라 퍼뜨린 후, 그 다음으로 도 2의[I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의[I]에 나타낸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는(90°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1방향(도 2의 예에서는 위에서 아래)으로 발라 퍼뜨린다(S06)(제 2 도포단계). 또한, S06 처리도 S05 처리와 마찬가지로 피부대체막(1)의 표면전체에 발라 퍼뜨린다.
다음으로, 상술한 S05 및 S06 처리를 소정횟수 실시하였는지를 판단하고(S07), 소정횟수 실시하지 않은 경우(S07에서 NO) S05로 돌아와 이후의 처리를 한다. 또한, 소정횟수 실시한 경우(S07에서 YES)에는 건조처리를 실시하고(S08)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07 처리에서는 도 2에 나타낸 [I] 및 [II]의 처리를 합하여 1사이클로 하고 이를 복수회 실시한다(반복단계). 그 횟수는 예를 들어 약 3~10회의 범위내에서 반복실시한다. 이는 도포에 필요한 시간에 일정한 제한폭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2회까지이면 도포 스피드가 너무 늦어 도포에 수반하는 샘플의 건조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다. 한편, 10회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포스피드가 현저하게 빠르기 때문에 도포에 따른 샘플의 건조가 빨라져 필요 이상으로 도포가 반복되므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약 4~8회가 바람직하다.
<도포방법의 구체적 내용>
여기서 상술한 도포방법의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S04 처리에 대응하는 전체적으로 발라 퍼뜨리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은 약 3~20초간이 바람직하고 약 10초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3초 이내이면 칭량시에 바른 스폿이 전체적으로 충분히 널리 퍼지지 않고 불균일한 도포가 되며, 20초를 초과하여 전체적으로 발라 퍼뜨리면 그 후에 일정방향으로 도포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결과적으로 불균일한 도포가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예를 들어 1사이클 20스트로크(도 1의 화살표의 수에 대응), 1초간 2스트로크를 기준으로 하면, 1사이클에 소비되는 시간은 약 10초가 된다. 즉, 도포개시로부터 약 1분간 모든 작업이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포하는 샘플 등에 따라 스트로크량이나 1사이클에 소비되는 시간을 조정한다.
<도포시의 주의사항>
여기서 상술한 도포순서에 의한 도포시의 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포시의 도포자 손의 상태는 상술한 도포방법에 따라 바르는 힘을 일정하게 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포자가 샘플을 도포하는 손가락(집게손가락)은 피부대체막상에 얹는 정도로 한다. 또한, 힘의 가감에 의해 얻어지는 SPF값이 크게 변화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도포자는 항상 일정한 조건이 되도록 유의한다. 또한, 발라 넣을 때에는 1방향과 규정 피부대체막상을 손가락으로 왕복하여도 상관없지만, 샘플이 측면에 그대로 남아 불균일하게 되기 쉬우므로 1방향으로 도포하여 피부대체막상을 손가락으로 왕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시로부터 약 40초~80초의 범위를 경과한 단계에서 도포를 종료하지만 도포시에 외관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도포 불균일을 확인한 경우에는 몇 초 정도라면 규정시간을 초과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상술한 범위가 40초 미만이면 전체적으로 불균일한 도포가 되고, 80초를 초과하여 도포하면 샘플에 따라서는 지나치게 문질러 바른 것이 되어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불균일한 도포가 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약 1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일방향으로 발라 퍼뜨리고, 이어서 그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발라 퍼뜨리는 동작을 복수회 실시하는 도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중앙으로부터 서서히 외측을 향하여 원을 그리도록 도포해 나갈 수도 있다. 나아가 피부대체막을 책상 등의 평탄한 부분에 테이프 등으로 붙이지 않은 경우에는 도 1의 S05 처리후 S06를 실시하기 위하여 피부대체막을 90°의 정수배로 회전시켜 매회 동일하게 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발라 퍼뜨리는 방법이어도 된다.
<건조>
그 다음으로 상술한 도포방법의 S08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S08 처리에서는 도포종료시부터 15분간 어두운 곳·실온에 방치함으로써 도포대체막에 도포한 샘플을 매회 동일한 조건에서 건조시킨다. 또한, 상술한 건조처리가 종료된 후 SPF 평가로 이행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한 균일한 도포에 의해 피부대체막상에의 피부외용제의 각종 특성의 고정밀의 평가가 가능해지고, 예를 들어 피부상의 발수성·발유성 등 광을 조사하지 않는 물리특성평가의 재현에도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방법에 의해 도포된 피부대체막을 이용하여 피부외용제가 적절히 도포되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도포평가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포평가장치 예>
도포평가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피부외용제의 자외선 투과특성 및/또는 반사특성의 평가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08-96151호), 특허문헌 3(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2008-111834호)에 개시되어 있는 도포평가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인비보 SPF 측정과 마찬가지로 계속적으로 광조사하면서 샘플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광열화현상 등이 샘플에 생겼다고 하더라도 인비보 SPF 측정과 동일한 원리로 인비트로 SPF값을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인비보 SPF 측정과 마찬가지로 계속적으로 광조사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인 보급기로서 상술한 도포상태까지를 평가하는 장치로서는 SPF를 예측함에 있어 필요한 290~400㎚의 파장영역에 대하여 측정가능한 통상적인 분광광도계 혹은 분광광도계와 같은 원리로 인비트로 SPF값 예측용으로 개발된 SPF 애널라이저(UV-1000S 및 UV-2000S, 모두 랩스피어사 제품) 등으로도 대응가능하고 간이적인 인비트로 SPF값을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간이적인」이란, 상술한 인비트로 SPF와는 상이하고 측정 및 해석원리가 상이한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피부외용제에 의한 자외선투과특성의 도포평가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포평가장치(10)는 광원(11), 필터(12), 광섬유(13), 조사포트(14), 피부외용제(15)가 도포된 피부대체막(16), 검출포트(17), 광섬유(18), 분광기(19), 광검출기(20), 전기신호처리·도포평가처리부(전자계산기(21)), 락인앰프(22), 광초퍼(23) 및 적분구(24)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광원(11)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포함하는 백색광 광원인 크세논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세논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백색광을 의사적인 태양광선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필터(12)는 광원(1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진행방향의 근방에 있고, 광원(11)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자외선(예를 들어, 파장이 290~400㎚인 자외선)으로 보정하고, 필터(12)를 투과한 자외선은 광초퍼(23)에 조사된다. 또한, 필터(12)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WG320, UG11 (SCHOTT사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초퍼(23)는 필터(12)를 투과한 자외선을 단속적으로 투과시키는 셔터이며 자외선을 펄스 조사한다. 펄스 조사된 자외선은 광섬유(13)에 조사된다. 또한, 광초퍼(23)는 락인앰프(22)와 전기적으로 배선접속되어 있고, 펄스광의 동기신호를 구동회로(22)로부터 취득하여 광검출기(20)로부터의 신호를 동기해석한다.
광섬유(13)는 광초퍼(23)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의 진행방향의 근방에 있고, 자외선을 조사포트(14)에 유도한다. 조사포트(14)에 유도된 자외선은 피부외용제(15)가 도포된 피부대체막(16)에 조사된다.
조사포트(14)와 검출포트(17)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고, 피부외용제(15)가 도포된 피부대체막(16)이 조사포트(14)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된다. 이 때 자외선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조사포트(14), 피부외용제(15), 피부대체막(16) 및 적분구(24)의 순서로 배치된다.
또한, 피부대체막(16)은 상술한 피부대체막(1)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피부대체막(16)은 필요에 따라 자외선투과특성이 뛰어난 석영 등의 기판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검출포트(17)는 적분구(24)에 의해 균일하게 된 자외선을 수광하고 광섬유(18)에 유도한다. 광섬유(18)는 검출포트(17)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의 진행방향의 근방에 있고, 검출포트(17)에 의해 수광된 자외선을 분광기(19)에 유도한다.
분광기(19)는 광섬유(18)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을 파장이 290~400㎚의 범위에서 예를 들어 1㎚간격으로 분광하는 분광수단이다. 분광기(19)에 의해 분광된 자외선은 광검출기(20)에 조사된다.
분광기(19)는 자외선에 감도특성이 조정되어 있고 특히 파장이 290~400㎚인 범위에서 감도특성이 우수한 회절격자를 사용함으로써 분광성능을 고감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절격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오목면 회절격자(제품번호 10-015)(시마즈제작소사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검출기(20)는 분광기(19)에 의해 분광된 자외선을 광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각각의 파장의 광선강도를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한 신호로 변환한다. 이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한 신호는 전기적으로 배선접속되어 있는 전자계산기(21)에 송신된다.
광검출기(20)는 자외선에 감도특성이 조정되어 있고, 특히 파장이 290~400㎚인 범위에서 감도특성이 우수한 광전자증배관을 사용함으로써 자외선을 검출하는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전자증배관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In, Ga, N, Al, O, Cs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전면, 구체적으로는 InGaN 광전면을 가지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검출기(20)로서는 In, Ga, N, Al, O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 광검출기도 사용할 수 있다.
전자계산기(21)는 락인앰프(22)와 전기적으로 배선접속되어 있고 광검출기(2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락인앰프(22)로 검출처리한 후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도포평가장치(10)의 유저에 알기 쉽도록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결과를 기록지에 기록하거나 기억매체에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자계산기(21)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도포평가를 실시한다.
또한, 전자계산기(21)로서는 범용의 퍼스널컴퓨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입력수단 등에 의한 유저로부터의 지시 등에 의해 도포평가장치(10)의 각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락인앰프(22)는 광검출기(20), 전자계산기(21) 및 광초퍼(23)와 전기적으로 배선접속되어 있다. 락인앰프(22)는 광초퍼(23)가 발하는 펄스광 및 광검출기(2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를 동기시키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락인앰프(22)중에 있는 위상검파회로를 이용하여 두 개의 신호를 동기시킨다.
적분구(24)는 피부외용제(15) 및 피부대체막(16)을 투과한 자외선을 수광하여 집광하고 공간적으로 적분하여 균일하게 한다. 또한, 적분구(24)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포평가장치(10)내에서 필요에 따라 각 수단의 배치를 변경하여도 된다.
여기서, 피부외용제에 의한 자외선투과특성의 평가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제3337832호), 특허문헌 3(일본 공개특허 공보 2008-111834호)에 개시되어 있는 인비트로 SPF 평가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인비트로 SPF 예측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이외의 피부외용제의 자외선 투과특성 및/또는 반사특성의 평가방법으로서는 인비트로 UVA 평가법, 인비트로 PPD법, 인비트로 PFA법, 인비트로 UVAPF법, Critical Wavelength법, UVA/UVB ratio법, Australian/New Zealand법, German DIN UVA balance법, SPF/UVAPF(PPD) ratio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의 2종이상을 병용해도 된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Ferrero L. et al., Importance of Substrate Roughness for In vitro Sun Protection Assessment, IFSCC Magazine, Vol. 9, No. 2, 2-13(2006) 참조).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 파장영역은 상기 실시예로 예시한 복수의 파장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실내등 혹은 태양광하에 도포상태를 외관상 확인할 때에도 유효하다. 이로써 피부외용제를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도포할 때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포평가장치(10)의 기능구성예>
다음으로, 도포평가장치(10)의 기능구성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포평가장치의 기능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평가장치(10)는 입력수단(31), 출력수단(32), 축적수단(33), 수치취득수단(34), 평가값산출수단(35), 판정수단(36), 송수신수단(37) 및 제어수단(38)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수단(31)은 예를 들어 전자계산기(21)에 형성되고, 수치취득처리나 평가값산출처리, 판정처리 등의 각종 지시의 개시나 종료 등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또한, 입력수단(31)은 예를 들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디바이스 등도 구비하고 있다.
출력수단(32)은 예를 들어 전자계산기(21)에 형성되고, 입력수단(31)에 의해 입력된 내용이나 입력내용에 기초하여 실행된 내용 등의 표시·출력을 실시한다. 또한, 출력수단(32)은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다.
축적수단(33)은 예를 들어 전자계산기(21)에 형성되고, 수치취득수단(34)에서의 수치취득결과의 데이터나 평가값산출수단(35)에 의해 얻어지는 산출결과, 판정수단(36)에 의해 얻어지는 판정결과 등을 축적한다.
수치취득수단(34)은 도포평가장치로 SPF 평가된 수치를 취득한다. 또한, 「수치」란 예를 들어 피부외용제의 자외선 투과특성 및/또는 반사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취득되는 수치 등이다. 즉, 수치취득수단(34)은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투과광의 강도 또는 투과율, 혹은 반사광의 강도 또는 반사율을 수치화하여 취득한다.
평가값산출수단(35)은 수치취득수단(34)에 의해 얻어지는 수치를 복수회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의 수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소정의 평가를 하기 위한 평가값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평가값산출수단(35)은 도포면내 편차평가, 도포기판간 편차평가,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절대값평가 및 인비트로 SPF 평가장치를 사용한 최종수치평가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기 위한 평가값을 산출한다. 또한, 평가값산출수단(35)은 도포면내 편차평가, 도포기판간 편차평가,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절대값평가, 인비트로 SPF 평가장치를 사용한 최종수치평가를 실현하기 위하여 도포면내 편차평가에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CV평가값을 산출하거나 도포기판간 편차평가에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17%검정을 실시한다.
여기서, 「17%검정」이란,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3의 Appendix IV에 제시된 방법에 준한다. 즉, 피부대체막마다의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기초하여 계산된 잠정 95%신뢰구간(95%CIn'[%])이 잠정평균 인비트로 SPFn'의 17% 미만이면 합격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포면내 편차평가, 도포기판간 편차평가,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절대값평가 및 인비트로 SPF 평가장치를 사용한 최종수치평가에 의한 평가값을 취득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판정수단(36)은 평가값산출수단(35)에 의해 얻어지는 평가값산출결과로부터 피부외용제의 피부대체막에 대한 도포가 정확하게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수단(36)에 의해 판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혀 도포의 경험이 없는 경우에도 매우 단기간에 재현성이 높은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송수신수단(37)은 예를 들어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케이블이나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등에 의해 인터넷 등의 통신네트워크 등과 접속함으로써, 실행프로그램을 통신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른 단말기 등으로부터 취득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얻어진 실행결과 또는 본 발명의 실행프로그램을 다른 단말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수단(37)은 수치취득수단(34)에 의해 피부대체막에 도포된 화장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대하여 SPF 평가한 수치를 취득한다. 취득한 수치는 축적수단(33)에 축적된다.
제어수단(38)은 도포평가장치(10)의 각 구성부 전체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수단(38)은 유저 등에 의한 입력수단(31)으로부터의 지시 등에 기초하여 수치취득처리, 평가값산출처리, 판정처리 등의 각 제어를 실시한다. 상술한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도포의 재현성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인비트로 SPF 측정 등의 데이터 재현성을 높힐 수 있다.
<도포평가장치(10):하드웨어 구성>
여기서, 상술한 도포평가장치(10)의 각 구성에 대하여서는 각 기능을 컴퓨터에 실행시킬 수 있는 실행프로그램(도포평가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예를 들어 범용 퍼스널컴퓨터나 서버 등에 그 실행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본 발명의 평가처리 등을 실현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평가처리가 실현가능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평가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컴퓨터본체에는 입력장치(41), 출력장치(42), 드라이브장치(43), 보조기억장치(44), 메모리장치(45), 각종 제어를 실시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46) 및 네트워크접속장치(47)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시스템버스(B)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입력장치(41)는 유저 등이 조작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유저 등으로부터의 프로그램 실행 등 각종 조작신호를 입력한다.
출력장치(42)는 본 발명의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컴퓨터본체를 조작함에 있어 필요한 각종 윈도우나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CPU(46)가 구비하는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프로그램의 실행경과나 결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41)와 출력장치(42)는 예를 들어 터치패널 등과 같이 일체 형 입출력수단이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유저의 손가락이나 펜형 입력장치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를 터치하여 입력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컴퓨터본체에 인스톨되는 실행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USB 메모리나 CD-ROM 등의 가반형 기록매체(48) 등에 의해 제공된다.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48)는 드라이브장치(43)에 세팅가능하고, 기록매체(48)에 포함되는 실행프로그램이 기록매체(48)로부터 드라이브장치(43)를 통하여 보조기억장치(44)에 인스톨된다.
보조기억장치(44)는 하드디스크 등의 스토리지수단이며, 본 발명의 실행프로그램이나 컴퓨터에 형성된 제어프로그램 등을 축적하고 필요에 따라 입출력을 실시할 수 있다.
메모리장치(45)는 CPU(46)에 의해 보조기억장치(44)로부터 읽어들여진 실행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장치(45)는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CPU(46)는 OS(Operating System) 등의 제어프로그램 및 메모리장치(45)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종 연산이나 각 하드웨어 구성부와의 데이터의 입출력 등 컴퓨터 전체의 처리를 제어하고 도포평가의 각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실행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등은 보조기억장치(44)로부터 취득할 수 있고 또한 실행결과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접속장치(47)는 통신네트워크 등과 접속함으로써 실행프로그램을 통신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말기 등으로부터 취득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얻어진 실행결과 또는 본 발명의 실행프로그램 자체를 다른 단말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접속장치(47)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단말기로부터 피부대체막에 도포된 화장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대한 SPF 평가한 수치 등을 취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평가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범용 퍼스널컴퓨터 등으로 본 발명의 도포평가처리를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포평가처리순서>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포평가처리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도포평가처리순서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나타낸 평가처리에서는 먼저 피부외용제의 자외선 투과특성 및/또는 반사특성의 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수치를 취득하고(S11), 소정수만큼 수치를 취득했는지를 판단한다(S12). 여기서, 소정수만큼의 수치를 취득하지 않은 경우(S12에서, NO), S11의 수치취득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S12 처리에서 소정수만큼 수치를 취득한 경우(S12에서, YES), 평가값을 산출하고(S13), 산출한 평가값에 의해 판정을 실시한다(S14).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평가의 구체예>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평가내용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평가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평가수법 1:도포면내 편차평가>
먼저 평가수법 1로서 도포면내 편차평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포면내 편차평가는 면내 균일성 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CV평가를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CV값」이란, 표준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눈 값이다. 또한, 「간이 인비트로 SPF값」이란, 분광투과율 측정에 근거하여 홍반작용곡선을 고려하고, 샘플무도포인 경우에 대한 샘플도포인 경우의 홍반효과량의 비율로부터 자외선방어능을 간이적으로 산출하는 수치이며, 샘플의 광열화현상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인비보 SPF 측정과는 상이한 것으로 정의된다.
평가수법 1의 내용으로서는 미리 설정된 샘플을 사용하여 평가전문가 10명이 평가하고, 피부대체막에 의한 평가매수는 평가전문가 1명당 5매로 하며, 각각 5단계 평가(5가 최고점)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상술한 샘플로서는 예를 들어 P3(International SPF Test Method 2006에 기재된 표준샘플)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피부대체막은 예를 들어 산술평균표면조도(Sa)가 약 15~25미크론 범위인 아크릴소재(두께 0.2~5㎜×세로 50㎜×가로 50㎜)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샘플도포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샘플칭량시의 피부대체막내 샘플적하수」, 「칭량에 필요한 시간(초)」, 「도포에 필요한 시간(초)(도포전에 균일하게 퍼뜨리는 시간을 포함)」, 「도포 1사이클(세로 및 가로를 포함)당 스트로크」, 「총 도포 사이클수」, 「도포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퍼뜨리는데에 필요한 시간(초)」 및 「도포후 건조에 필요한 시간(분)」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조건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낸 각 실시예 1~4 및 비교예(1~6)에 기재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샘플도포의 각종 조건에 대한 실시예와 비교예의 설정수치를 나타낸다. 도 7b는 상기한 P3샘플을 사용하여 도 7a에 도시된 샘플도포의 각종 조건에 대한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설정수치를 기본으로 평가전문가 10명이 1인당 각 5매를 평가하여 5단계 평가(5가 최고점, 4이상이 합격) 혹은 OK(합격) 혹은 NG(불합격)의 2단계 평가를 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도포조건에서는 도 7c와 같이 미리 상한치, 하한치, 최적폭 등의 설정수치를 설정해 두고, 그 설정수치와 각 실시예와 비교예의 수치를 비교한 결과로부터 평가하여도 된다.
또한, 평가수법 1의 도포평가장치로는 예를 들어 분광광도계 U-4100(히타치제작소사 제품)을 사용할 수 있고, 평가스펙트럼으로서는 분광투과스펙트럼을 이용하고 평가파장은 290~400㎚로 하고, 파장스텝은 1~5㎚ 바람직하게는 1㎚로 한다.
또한, 피부대체막면내의 측정지점은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되는 5개소(예를 들어, 주사위 5의 눈과 같이 중앙 1개소 및 중앙과 네모서리를 연결하는 중점 부근 4개소) 등과 같이 분산된 복수개소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측정횟수는 1개소당 1회이다.
나아가 평가스펙트럼으로부터의 데이터해석은 크세논아크 자외선광원(비특허문헌 3(International SPF Test Method 2006에 기재)) 스펙트럼에 평가스펙트럼의 분광투과율을 곱하여 홍반계수(CIE-1987, 공지자료)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290~400㎚에서의 파장적분에 의해 얻은 홍반효과량에 근거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간이 인비트로 SPF의 산출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샘플무도포인 경우의 홍반효과량을 샘플도포인 경우의 홍반효과량으로 나누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간이 인비트로 SPF에 근거한 데이터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샘플을 도포한 피부대체막 1매당 5개소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5매의 평균값과 그 표준편차에 근거하여 CV값(표준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눈 값)을 구한다.
다음으로, 10명 평균의 CV값 판정기준(1~5의 5단계 평가, 5가 최고)은 CV값이 「30% 이상」일 때에 그 내용은 평가값 「1」이라고 설정할 수 있다. 또한, CV값이 「25% 이상이고 30% 미만」일 때 그 내용은 평가값 「2」라고 설정하고, CV값이 「20% 이상이고 25% 미만」일 때 그 내용은 평가값 「3」이라고 설정하고, CV값이 「15% 이상 20% 미만」일 때 그 내용은 평가값 「4」라고 설정하고, CV값이 「15% 미만」일 때 그 내용은 평가값 「5」로 설정할 수 있다.
<평가수법 2:도포기판간 편차평가>
다음으로, 평가수법 2인 도포기판간 편차평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평가방법은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17%검정을 실시하는 것이다.
평가수법 2는 그 내용으로서 상술한 P3샘플을 사용하고 평가전문가 10명이 각 5매 실시하여 2단계 평가(합격 또는 불합격)를 실시한다.
여기서 샘플, 피부대체막, 평가매수, 샘플도포조건은 상술한 평가수법 1과 동일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평가장치, 평가스펙트럼, 평가파장, 파장스텝, 피부대체막면내의 측정지점, 측정횟수, 평가스펙트럼으로부터의 데이터해석, 간이 인비트로 SPF의 산출방법에 대하여도 상술한 평가수법 1과 동일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간이 인비트로 SPF에 근거한 데이터처리는 예를 들어 샘플을 도포한 피부대체막 1매당 5개소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면내 5점의 편차를 상술한 평가수법 1에 근거하여 CV값(표준편차를 평균값으로 나눈다)을 구한다.
그 다음으로 CV값이 20% 이하인 것을 유효데이터로 하고 유효데이터 평균값을 플레이트마다 구하여 플레이트간 평균값을 구한다. 또한, 이 때의 평균값, 표준편차 및 유효데이터수에 근거하여 95%신뢰구간(95%CI)을 구한다. 최종적으로 평균 간이 인비트로 SPF의 17% 미만의 CIn'[%]를 나타내는 경우에 합격(OK)이 되고, 17% 이상이면 불합격(NG)이 된다.
<평가수법 2에서 사용되는 산출방법>
여기서 상술한 평가수법 2에서 사용되는 산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SPF 시험은 처음 n'장의 피부대체막을 이용하여 피험자료를 테스트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n'은 적어도 10매가 아니면 안된다). 초기 n'장의 피부대체막에 의한 잠정평균 인비트로 SPF(인비트로 SPFn')는 SPFn'=(ΣSPFi)/n'이 되고, 또한 그 표준편차(s)는 이하의 식이 된다.
s=√[(Σ(SPFi2)-((ΣSPFi)2/n))/(n-1)]
또한, 평균 SPF의 95%신뢰구간(95%CI)은 이하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95%CIn'=SPFn'-cn'~SPFn'+cn'
또한, 상술한 cn'은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cn'=tn'×sn'/√n'
여기서, sn'은 최초 n'매 피부대체막의 표준편차이다.
sn'=√[(Σ(SPFi2)-((ΣSPFi)2/n'))/(n'-1)]
CIn'[%]=100×cn'/SPFn'
여기서 n'은 유효데이터의 총수, tn'은 자유도 ν=(n-1)에서의 p=0.05의 two-sided Student-t 분포테이블 등에서 얻어지는 것으로, 표계산을 위하여 t값은 이하의 식에 의해 모델화 할 수 있다.
t=2.03+12.7/n1 .75 (n≥4에 대하여)
만약 계산된 잠정 CIn'[%]가 잠정 인비트로 SPFn'의 17% 미만이면 합격(OK)이고, 17% 이상이면 CIn'[%]가 잠정 인비트로 SPFn'의 17% 이하가 될 때까지 피부대체막을 추가하여 시험을 계속한다. 최종적으로 30매의 피부대체막에서도 달성할 수 없다면 그 시험은 전부를 재차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평가수법 3: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절대값평가>
그 다음으로 평가수법 3인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절대값평가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가수법 3은 그 내용으로서 상술한 P3샘플을 사용하여 평가전문가 10명이 각 5매 실시하여 5단계 평가(5가 최고점)를 실시한다.
여기서 샘플, 피부대체막, 평가매수, 샘플도포조건은 상술한 평가수법 1과 동일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평가장치, 평가스펙트럼, 평가파장, 파장스텝, 피부대체막면내의 측정지점, 측정횟수, 평가스펙트럼으로부터의 데이터해석, 간이 인비트로 SPF의 산출방법에 대하여도 상술한 평가수법 1과 동일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간이 인비트로 SPF에 근거한 데이터처리는 샘플을 도포한 피부대체막 1매당 5개소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10매 이상의 평균값에 근거하여 규격폭에 대한 합격확인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10매 이상의 평균값의 규격폭에 대한 합격확인을 실시하여 13.0 이상이고 18.0 미만의 경우에는 합격(OK)으로 하고, 13.0 미만 또는 18.0 이상의 경우에는 불합격(NG)으로 한다.
<평가수법 4:최종평가법>
그 다음으로 평가수법 4인 최종평가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가수법 4는 절대치 정밀도평가로서 인비트로 SPF 평가장치를 사용한 최종수치평가를 실시한다.
그 내용으로서 상술한 P3샘플을 사용하여 평가전문가 10명이 각 5매 실시하여 5단계 평가(5가 최고점)를 실시한다.
여기서 샘플, 피부대체막, 평가매수, 샘플도포조건은 상술한 평가수법 1과 동일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평가수법 4에서의 도포평가장치로는 예를 들어 공지문헌(Y. Miura et. al.,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2008, 84:1569-1575)에 기재된 평가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평가스펙트럼으로는 분광투과스펙트럼을 이용하고 평가파장은 290~400㎚로 하고 파장스텝은 1~5㎚ 바람직하게는 1㎚로 한다.
또한, 피부대체막면내의 측정지점은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되는 1개소(예를 들어, 중앙 부분)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측정횟수는 1개소당 1회로 한다. 본장치에서는 측정에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도포후의 건조시간을 일정하게 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1회 측정으로 하고 있다.
또한, 평가수법 4의 인비트로 SPF의 산출방법은 예를 들어 상술한 공지문헌(Y. Miura et. al.,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2008, 84:1569-1575)에 기재된 평가알고리즘에 근거하고 있다. 이는 인비보 SPF와 마찬가지로 샘플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광조사하면서 투과한 광을 시간적분함으로써 1MED(최소홍반량)를 평가의 엔드포인트로 하는 알고리즘이다.
또한, 인비트로 SPF에 근거한 데이터처리에 대하여는 예를 들어 샘플을 도포한 피부대체막 5매의 인비트로 SPF의 평균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10명 평균의 인비트로 SPF값의 판정기준(1~5의 5단계 평가, 5가 최고)에 근거한 평점과 내용은 예를 들어 인비트로 SPF의 평균값이 「11.7 미만, 또는 20.7 이상」인 때 그 내용은 평가값 「1」이라고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인비트로 SPF의 평균값이 「11.7 이상이고 12.7 미만, 또는 19.7 이상이고 20.7 미만」인 때 그 내용은 평가값 「2」라고 설정하고, 인비트로 SPF의 평균값이 「12.7 이상이고 13.7 미만, 또는 18.7 이상이고 19.7 미만」인 때 그 내용은 평가값 「3」이라고 설정하고, 인비트로 SPF의 평균값이 「13.7 이상이고 15.2 미만, 또는 17.2 이상이고 18.7 미만」인 때 그 내용은 평가값 「4」라고 설정하고, 인비트로 SPF의 평균값이 「15.2 이상이고 17.2 미만」인 때 그 내용은 평가값 「5」라고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개개의 산출방법은 특히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도 7a에 나타낸 실시예 1~4 및 비교예 1~6의 샘플도포조건에 기초하여 도 7b에 나타낸 각 평가수법 1~4에 의한 평가결과(예를 들어, 5단계 평가의 경우에는 4이상이면 합격, 2단계 평가의 경우에는 OK(합격)/NG(불합격)로 평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종 샘플도포조건의 각종 조건에 대하여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한, 하한 및 그 최적폭을 설정하고, 그 설정수치와 실측값을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로써 도 7a에 나타낸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있어서 도 7c에 나타낸 상한 및 하한의 범위를 초과하는 수치가 된 경우에는 그 부분을 강조 표시하여 불합격(NG)이 된 부분을 용이하게 추출 할 수 있다.
상술한 도포평가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고르게 고정밀의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내용은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피부외용제도포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해 각개인이 도포의 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명확한 트레이닝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정수단(36)으로서 이하에 나타낸 트레이닝판정용 툴 등을 제공함으로써 도포자가 어느 정도의 훈련을 쌓으면 합격레벨에 도달하는지를 형식지화하여 용이하며 높은 정밀도로 판정할 수 있다.
<피부외용제도포의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트레이닝 순서>
다음으로 피부외용제도포의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트레이닝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포자는 표준화된 도포방법에 관한 매뉴얼을 읽는다. 그 다음으로 도포자는 평준화된 도포방법에 관한 동영상이나 실연을 확인한다. 그 다음으로 도포방법의 지도자에 의한 실연강습에 참가하여 배움으로써 스스로의 기술로서 습득한다. 또한, 트레이닝시트를 사용한 도포방법의 실무훈련을 실시한다.
<판정방법에 대하여>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판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판정방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분광광도계 등을 사용한 방법으로 광열화를 고려하지 않는 간이 인비트로 SPF에 상당하는 수치나 인비트로 SPF 측정장치를 사용한 방법 등에 의해 인비트로 SPF를 얻어, 예를 들어 「데이터 편차가 규격범위내에 있을 것(재현성)」, 「얻어지는 분광 SPF값이 규격범위내에 있을 것(예측정밀도)」의 양쪽을 만족한 단계를 합격(트레이닝완료)으로 한다.
그 다음으로 미리 설정된 트레이닝시트에 근거하여 상기 내용의 합격후 실제 인비트로 SPF 시험을 개시한다. 이 시험을 클리어함으로써 도포의 재현성이 높은 데이터가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8은 각 도포기판마다 5개소 도포지점에서의 인비트로 SPF값의 측정결과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트레이닝 판정툴에 의한 측정값 판정결과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포기판마다 5개소 도포지점에서의 인비트로 SPF값의 측정결과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트레이닝 판정툴에 의한 측정값 판정결과의 표시는 예를 들어 시판되는 표계산 소프트웨어나 독자개발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30매의 피부대체막(플레이트)에 대하여 상술한 평가수법 1을 이용하여 간이 인비트로 SPF값의 측정결과를 각 도포기판마다 5개소 도포지점에 대하여 얻는다. 5개소의 도포면내 편차평가(면내 균일성평가) 값을 취득하고 그 평균(Average)이나 표본표준편차(STDEV), 상술한 평가수법 1에서 산출한 도포면내의 편차평가(CV값(%))를 산출하고 그 CV값이 예를 들어 20% 이하를 유효데이터로서 「OK」 또는 「NG」의 판정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포기판 번호 13에서 번호 30까지는 「13~30」이라고 표시하여 1행으로 정리하였지만 실제로는 도포기판 번호 13에서 번호 30까지의 18행분이 번호 1로부터 번호 12까지의 12행에 계속하여 각각 존재하는 표이다. 도시의 간략화를 위하여 도포기판 번호 13에서 번호 30까지의 측정값은 생략하고 그 대신에 「-」로 나타내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평가는 상술한 수치취득수단(34)에 의해 취득한 수치에 기초하여 「전체평균」, 「상한규격」, 「하한규격」 등의 설정 및 평가를 실시할 수가 있다. 「전체평균」은 유효데이터에 한정하지 않고 모든 도포기판 번호 1 에서 번호 30까지에 대한 각각 5개소 도포지점의 평균을 합계하여 30으로 나누어 얻었다. 「상한규격」과 「하한규격」이란, 허용할 수 있는 간이 인비트로 SPF값으로서 임의로 사전에 설정된 값이다.
나아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효데이터수」 「유효데이터 평균값」, 「유효데이터 표준편차」, 「유효데이터 표준편차의 평균값」 등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는 「유효데이터수」가 도포기판 번호 2, 3, 5에서 12까지의 10개로 가정하여 대응하는 「유효데이터 평균값」, 「유효데이터 표준편차」 및 「유효데이터 표준편차의 평균값」을 예시하고 있다.
나아가 「측정값 판정」으로서 「1. 도포면내 편차평가」, 「2. 도포기판간 편차평가」, 「3.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절대값평가」, 「4. 종합판정」등의 설정 및 평가를 실시할 수가 있다. CV값이 예를 들어 20% 이하를 유효데이터로서 「OK」 또는 「NG」의 판정 등을 한 경우의 판정결과는 예로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계산 소프트웨어 등의 셀상에 「OK」 또는 「NG」로서 표시된다.
또한, 전체로서의 「평균값」, 「표준편차」, 「시험인원수」등도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산출결과로서 중요한 부분에는 그 부분을 강조 표시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판정결과를 인식할 수 있다.
도 8에 트레이닝 결과의 판정툴을 예시한다. 이 판정툴에 의하면 이하와 같이 트레이닝을 판정하여 트레이닝 결과를 평가할 수 있다.
최저 10매의 도포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하고, (1) CV값이 20% 이하는 「OK」로서 유효데이터로서 카운트하고, (2) 최저 유효데이터 10개의 예를 이용하여 판정을 가능하게 하고, (3) 불합격 매수도 포함하여 30매를 상한으로 하고, 이 시점에서 「4. 종합판정」이 OK가 아닌 경우에는 재시험을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화장품 등의 피부외용제를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 등의 소정 부위에 도포할 때에 숙련자의 노하우나 경험을 형식지화하고 전혀 도포의 경험이 없는 경우라도 매우 단기간에 재현성이 높은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명확한 방법이나 트레이닝수단으로 체계적으로 구축한다. 이로써 도포의 재현성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인비트로 SPF 측정 등의 데이터 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트레이닝 판정툴의 내용은 특히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술한 평가수법 2에 대응하는 판정툴을 마련하고 있어도 된다. 나아가 트레이닝 판정툴은 예를 들어 상술한 내용을 실행하는 매크로첨부 평가시트를 표계산 소프트웨어로 작성하고 그 적절한 에리어(셀)에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적절한 계산을 한 후, 그 결과에 기초하여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외용제를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도포할 때의 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 그 방법에 의한 도포평가방법, 도포평가장치 및 도포평가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부외용제의 자외선 투과특성 및/또는 반사특성의 평가장치를 이용하여 도포평가를 실시했지만, 본 발명은 특히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특성을 이용하여 도포평가의 판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동일인이 동일한 도포방법을 실시함으로써 그 도포 불균일 판정에 의해 여러 가지 피부대체막에 대한 도포 용이성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도포자의 기술레벨도 소정 기준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특정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본국제출원은 2009년 3월 30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제2009-081400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상기 일본 특허출원 제2009-081400호의 모든 내용을 여기에 본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 16 : 피부대체막
10 : 도포평가장치 11 : 광원
12 : 필터 13 : 광섬유
14 : 조사포트 15 : 피부외용제
17 : 검출포트 18 : 광섬유
19 : 분광기 20 : 광검출기
21 : 전기신호처리·도포평가처리부(전자계산기)
22 : 락인앰프 23 : 광초퍼
24 : 적분구 31 : 입력수단
32 : 출력수단 33 : 축적수단
34 : 수치취득수단 35 : 평가값산출수단
36 : 판정수단 37 : 송수신수단
38 : 제어수단 41 : 입력장치
42 : 출력장치 43 : 드라이브장치
44 : 보조기억장치 45 : 메모리장치
46 : CPU 47 : 네트워크접속장치
48 : 기록매체

Claims (11)

  1.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피부외용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상기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상기 피부외용제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상의 측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발라 퍼뜨려 가는 제 1 도포단계와,
    상기 제 1 도포단계에서 발라 퍼뜨려진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1방향으로 발라 퍼뜨리는 제 2 도포단계와,
    상기 제 1 도포단계 및 상기 제 2 도포단계를 소정횟수 반복하여 실시하는 반복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단계 및 상기 제 2 도포단계는
    전체적으로 발라 퍼뜨리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약 1초간 0.5~5스트로크를 기준으로 하고 1사이클을 약 3~20초로 하여 도포개시로부터 약 30~90초간에 모든 도포작업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방법.
  3. 제 1 항에 기재된 도포방법에 의해 도포된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을 사용한 도포평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투과광의 강도 또는 투과율, 혹은 반사광의 강도 또는 반사율을 수치화하여 취득하는 수치취득단계와,
    상기 수치취득단계에 의해 얻어지는 수치를 복수회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의 수치로부터 도포면내 편차평가, 도포기판간 편차평가,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절대값평가 및 인비트로 SPF 평가장치를 사용한 최종수치평가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기 위한 평가값을 산출하는 평가값산출단계와,
    상기 평가값산출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외용제가 피부대체막에 정확하게 도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산출단계는
    상기 도포면내 편차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CV평가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산출단계는
    상기 도포기판간 편차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17%검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가방법.
  6.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피부외용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상기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상기 피부외용제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포평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투과광의 강도 또는 투과율, 혹은 반사광의 강도 또는 반사율을 수치화하여 취득하는 수치취득수단;
    상기 수치취득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수치를 복수회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의 수치로부터 도포면내 편차평가, 도포기판간 편차평가,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절대값평가, 및 인비트로 SPF 평가장치를 사용한 최종수치평가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기 위한 평가값을 산출하는 평가값산출수단; 및
    상기 평가값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외용제의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대한 도포가 정확하게 실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평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산출수단은
    상기 도포면내 편차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CV평가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평가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산출수단은 상기 도포기판간 편차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17%검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평가장치.
  9.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피부외용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상기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상기 피부외용제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포평가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를,
    상기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광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투과광의 강도 또는 투과율, 혹은 반사광의 강도 또는 반사율을 수치화하여 취득하는 수치취득수단;
    상기 수치취득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수치를 복수회 취득하고, 취득한 복수의 수치로부터 도포면내 편차평가, 도포기판간 편차평가,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절대값평가, 및 인비트로 SPF 평가장치를 사용한 최종수치평가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기 위한 평가값을 산출하는 평가값산출수단; 및
    상기 평가값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평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피부외용제의 피부 또는 피부대체막에 대한 도포가 정확하게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으로 기능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평가프로그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산출수단은
    상기 도포면내 편차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CV평가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평가프로그램.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산출수단은
    상기 도포기판간 편차평가로서 간이 인비트로 SPF값에 의한 편차의 17%검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평가프로그램.
KR1020117022016A 2009-03-30 2010-03-30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 그 방법에 의한 도포평가방법, 도포평가장치 및 도포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200025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1400 2009-03-30
JP2009081400 2009-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71A true KR20120002571A (ko) 2012-01-06

Family

ID=4282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016A KR20120002571A (ko) 2009-03-30 2010-03-30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 그 방법에 의한 도포평가방법, 도포평가장치 및 도포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022472A1 (ko)
EP (1) EP2416144A1 (ko)
JP (1) JPWO2010113961A1 (ko)
KR (1) KR20120002571A (ko)
CN (1) CN102369429A (ko)
AU (1) AU2010231634A1 (ko)
WO (1) WO20101139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772A (ko) * 2012-11-01 2014-05-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외용제 조성물 도포막의 평가 방법
KR20200035288A (ko) 2017-07-28 2020-04-02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수계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계 윤활 피막용 코팅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6958B2 (ja) 2010-09-17 2012-08-22 株式会社 資生堂 紫外線防御効果の評価方法、評価装置、評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JP5458196B2 (ja) 2012-03-02 2014-04-02 株式会社 資生堂 塗布動作評価装置、塗布動作評価方法、及び塗布動作評価プログラム
US9173570B2 (en) * 2012-04-12 2015-11-03 Thomas Nathan Millikan Viewing and processing multispectral images
JP6026203B2 (ja) * 2012-09-28 2016-11-16 花王株式会社 紫外線防御化粧料の評価方法及び評価装置
WO2014151061A2 (en) 2013-03-15 2014-09-25 Authentic8, Inc. Secure web container for a secure online user environment
GB2513406B (en) * 2013-04-26 2016-01-20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Signal processing for MEMS capacitive transducers
US9545302B2 (en) 2013-11-20 2017-01-17 Dermagenesis Llc Skin printing and auto-grafting
JP6097714B2 (ja) * 2014-03-28 2017-03-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材料の光学特性の測定システム、測定方法、測定装置、および積層構造体
JP6885881B2 (ja) * 2015-05-22 2021-06-16 ロレアルL′Oreal 皮膚状態を処置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
US11137347B2 (en) * 2015-10-20 2021-10-05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Optically ascertaining the sun protection factor of sunscreens or other radiation protection agents
JP6742108B2 (ja) * 2016-02-17 2020-08-19 花王株式会社 評価装置、評価方法、評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842778B2 (ja) * 2016-09-06 2021-03-17 学校法人慶應義塾 紫外線吸収剤又は赤外線遮断剤含有水性組成物の紫外線防御効果又は赤外線防御効果の測定方法及び測定用試料作成装置
KR101998212B1 (ko) * 2016-09-27 2019-07-1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자외선 차단력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CN106959285A (zh) * 2017-02-09 2017-07-18 深圳微美薇健康美容科技有限公司 皮肤防晒指数智能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US10801892B2 (en) * 2017-05-01 2020-10-13 HallStar Beauty and Personal Care Innovations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photo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8079A (ja) * 1983-09-22 1985-04-18 Nissan Motor Co Ltd 透明パネルの塗料塗布状態検知装置
JPH0571927A (ja) * 1991-09-11 1993-03-23 Daicel Chem Ind Ltd 塗膜の膜厚簡易検査装置
JP3135158B2 (ja) * 1992-03-10 2001-02-1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人工皮膚膜を用いた紫外線透過防止効果の評価法
AU675347B2 (en) * 1993-09-27 1997-01-30 Shiseido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ultraviolet protection effectiveness
JP3337832B2 (ja) * 1993-09-27 2002-10-28 株式会社資生堂 紫外線防御効果の測定方法及び装置
JPH08247746A (ja) * 1995-03-14 1996-09-27 Nireco Corp インキの塗布量測定方法とその装置
FR2768053B1 (fr) * 1997-09-09 1999-10-15 Oreal Compositions photoprotectrices comprenant un benzylidene camphre et/ou un dibenzoylmethane et/ou une triazine et un tartrate de dialkyle; utilisations en cosmetique
JP2000002514A (ja) * 1998-06-17 2000-01-07 Nikon Corp 膜厚測定装置及びアライメントセンサ並びにアライメント装置
JP4373030B2 (ja) 2000-05-19 2009-11-25 株式会社資生堂 人工皮膚およびこれを用いた紫外線遮蔽効果の評価方法
DE60118650T2 (de) * 2000-05-19 2007-02-22 Shiseido Co. Ltd. Kunsthaut und Verfahren zur Beurteilung eines Sonnenschutzmittels
KR20030046440A (ko) * 2000-09-11 2003-06-1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화장품 조성물
JP2003047907A (ja) * 2001-08-03 2003-02-18 Kurabo Ind Ltd 塗装検査方法及び塗装検査装置
JP2008111834A (ja) 2006-10-06 2008-05-15 Shiseido Co Ltd 紫外線防御効果の評価方法及び評価装置
JP5575355B2 (ja) 2006-10-06 2014-08-20 株式会社 資生堂 紫外線防御効果の評価装置
JP2009081400A (ja) 2007-09-27 2009-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機器端末のシールド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772A (ko) * 2012-11-01 2014-05-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외용제 조성물 도포막의 평가 방법
KR20200035288A (ko) 2017-07-28 2020-04-02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수계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계 윤활 피막용 코팅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69429A (zh) 2012-03-07
JPWO2010113961A1 (ja) 2012-10-11
WO2010113961A1 (ja) 2010-10-07
EP2416144A1 (en) 2012-02-08
AU2010231634A1 (en) 2011-11-03
US20120022472A1 (en)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2571A (ko) 피부외용제의 도포방법, 그 방법에 의한 도포평가방법, 도포평가장치 및 도포평가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EP2618126B1 (en) Evaluation method of ultraviolet radiation protective effect, evalua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8337554B2 (en) Skin substitute membrane, mold, and method of evaluating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KR101010174B1 (ko) 자외선 방어 효과의 평가방법, 평가장치 및 평가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9063054B2 (en) Vitro measurement of sunscreen protection
EP2071318A1 (en) Ultraviolet radiation protective effect evaluation method and device
Sohn et al. Film thickness frequency distribution of different vehicles determines sunscreen efficacy
Cole Sunscreens–what is the ideal testing model?
JP3337832B2 (ja) 紫外線防御効果の測定方法及び装置
Reble et al. Evaluation of detection distance‐dependent reflectance spectroscopy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sun protection factor using pig ear skin
Devpura et al. Critical comparison of 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 and colorimetry as dermatological diagnostic tools for acanthosis nigricans: a chemometric approach
Teichmann et al. Investigation of the homogeneity of the distribution<? xpp qa?> of sunscreen formulations on the human skin: characterization and comparison of two<? xpp qa?> different methods
JP2001242075A (ja) 塗布物の光線透過率の測定方法及び塗布物の光線透過率の測定装置
Bleasel et al. In vitro evaluation of sun protection factors of sunscreen agents using a novel UV spectrophotometric technique
Miksa et al. Influence of pressure during spreading on UV transmission results
CN109997020A (zh) 用于测量化妆品材料的紫外线防护的系统和方法
Fajuyigbe et al. Diffuse reflectance spectroscopy as a reliable means of comparing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erythema in extreme skin colors
JPH1151859A (ja) 紫外線透過率測定方法及び装置及び紫外線透過率による紫外線遮蔽性の評価方法
KR101763147B1 (ko) 화장료가 도포된 피부의 투명감 평가방법
Sönmez et al. Inter-laboratory comparison on the calibration of measurements photometric and radiometric sensors
Gidado et al.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 Multi-Wavelength Near-Infrared Sensor for Monitoring Skin Hydration and Validation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Foy The use of clinical broadband UV radiometers for optical radiation hazard measurements
Кокодій et al. Optical methods of measuring the hair diameter
Hotra et al. Influence of probe pressure on human skin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