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332A -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332A
KR20120002332A KR1020100063155A KR20100063155A KR20120002332A KR 20120002332 A KR20120002332 A KR 20120002332A KR 1020100063155 A KR1020100063155 A KR 1020100063155A KR 20100063155 A KR20100063155 A KR 20100063155A KR 20120002332 A KR20120002332 A KR 20120002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terproof member
sensor unit
groov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058B1 (ko
Inventor
송성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80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18Arrangement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access to underwater elements, e.g. to propellers ; Externally attached cofferda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B65D45/20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pivo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30Magn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수중에서 선박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는, 선박의 상태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부 몸체; 센서부 몸체에서 생성되는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및 케이블과 센서부 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케이블을 센서부 몸체에 연결시키는 접속부;가 포함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수중에서 선박에 고정되어, 감지신호를 외부의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커버; 제1커버에 대향되는 부분이 개구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제1커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버; 제2커버와 마주보는 제1커버의 테두리부에 둘러지는 제1방수부재; 제1커버와 마주보는 제2커버의 테두리부에 둘러지는 제2방수부재; 및 제1방수부재 및 제2방수부재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제1커버 및 제2커버가 상호 고정되면, 센서부가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은 외부에 대하여 밀폐상태가 유지되며, 서로 마주보는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테두리부들에는, 제1방수부재 및 제2방수부재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센서부의 케이블의 일부가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관통하여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1커버측 제1홈 및 제2커버측 제1홈이 형성되며, 제1커버측 제1홈 및 제2커버측 제1홈과 케이블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1방수부재 및 제2방수부재가 케이블의 외주면측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된다.

Description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Sensor assembly for ship}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시운전 과정 또는 통상적인 운항 과정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선박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된다.
일례로, 상기 선박의 진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진동센서들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센서들은 상기 선박의 복수의 감지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진동상태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감지지점은 상기 선박의 몸체 또는 상기 선박의 동력장치 등과 같은 상기 선박의 내부 구성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지점이 수중에 위치되는 경우, 즉 상기 진동센서들이 수중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의 진동상태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수중에 설치된 상기 진동센서들 내부로 수분이 침투된다.
특히, 상기 진동센서에서, 생성된 상기 감지신호를 외부의 분석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과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진동센서 몸체 사이에는 소정크기의 틈이 형성되며, 상기 틈을 통하여 수분이 상기 진동센서의 내부로 침투한다.
수분이 상기 진동센서의 내부로 침투하게 되면, 수분에 의하여 상기 진동센서의 내부 구성이 부식되거나, 상기 진동센서의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센서의 내부로 침투되는 수분이 염수인 경우, 상기 내부 부식 또는 오작동의 문제가 더 커질수 있으며, 상기 수분의 침투가 장기화되는 경우, 상기 진동센서 자체의 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센서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는 센서 어셈블리들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센서가 수중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선박의 상태를 감지하는 경우에도 상기 센서의 오작동 또는 상기 센서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상태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부 몸체; 상기 센서부 몸체에서 생성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과 상기 센서부 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을 상기 센서부 몸체에 연결시키는 접속부;가 포함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수중에서 상기 선박에 고정되어, 상기 감지신호를 외부의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에 대향되는 부분이 개구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버; 상기 제2커버와 마주보는 상기 제1커버의 테두리부에 둘러지는 제1방수부재; 상기 제1커버와 마주보는 상기 제2커버의 테두리부에 둘러지는 제2방수부재; 및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가 상호 고정되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은 외부에 대하여 밀폐상태가 유지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상기 테두리부들에는,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의 상기 케이블의 일부가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1커버측 제1홈 및 제2커버측 제1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측 제1홈 및 상기 제2커버측 제1홈과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가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측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일측은 상기 선박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센서부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의 외부에 위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테두리부들에는,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 몸체의 일부가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를 관통하기 위한, 제1커버측 제2홈 및 상기 제2커버측 제2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측 제2홈 및 상기 제2커버측 제2홈과 상기 센서부 몸체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가 위치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는, 상기 각 테두리부들에 끼워지는 고정부; 상기 각 테두리부들의 테두리면과 이격되며, 제1커버 및 제2커버가 상호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는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들에는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의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걸리는 걸림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 내에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센서부가 끼워지는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 대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완충부재 및 제2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하나의 커버에 마련되는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재; 및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 중 다른 하나의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다른 커버에 대한 회전이 구속되는 회전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린상태에서, 상기 회전 브래킷이 상기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기 커버를 상기 다른 커버측으로 끌어당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커버및 제2커버 사이에 방수부재들이 배치됨으로써, 센서부가 수용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의 제1수용공간 및 제2수용공간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분에 의하여 센서부의 오작동 또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 및 제2커버에 형성되는 홈을 통하여 센서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도, 홈에는 방수부재들이 배치되어, 노출되지 않는 센서부의 다른 부분으로 상기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센서 어셈블리가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센서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센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 선도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선박용 센서 어셈블리에서 방수부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2의 선박용 센서 어셈블리에 형성된 제1커버측 제1홈 및 제2커버측 제1홈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2의 선박용 센서 어셈블리에서, 고정수단이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2의 센서 어셈블리의 방수부재가 맞닿아 가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7의 X-X 선도에 따른 단면도 및 도 9의 XI-XI 선도에 따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센서 어셈블리가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들은 일례로 진동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센서 어셈블리(1)들은 선박(100)에 형성되는 감지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선박(100)의 진동상태를 감지하여, 선박(100)의 외부에 마련되는 분석장치(200)로 상기 진동상태에 따른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감지위치는 수중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위치에 설치되는 센서 어셈블리(1)들 또한 상기 수중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신호를 생성 및 전송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들은 수중에 위치되는 상기 감지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구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방수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센서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센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Ⅳ-Ⅳ 선도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1)는 센서부(40)와, 제1커버(10)와, 제2커버(20)와, 제1방수부재(31)와, 제2방수부재(32)와, 제1완충부재(51), 제2완충부재(52)와,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센서부(40)는 선박(100)의 상태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부 몸체(41)와, 일례로 자석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선박(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센서부 몸체에(41) 연결되는 고정부(42)와, 센서부 몸체(41)에서 생성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센서부(40)의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45)과, 케이블(45)과 센서부 몸체(41) 사이에 마련되어 케이블(45)을 센서부 몸체(41)에 연결시키는 접속부(44)를 포함한다.
센서부 몸체(41)에는 케이블(45)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4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접속부(44)의 일측은 연장부(411)에 접속되며 타측은 케이블(45)에 접속됨으로써, 센서부 몸체(41)와 케이블(45)을 연결한다. 이때, 센서부 몸체(41), 접속부(44) 및 케이블(45)은 서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됨에 따라서, 각각의 연결부위에는 소정 크기의 간격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부(42)는 일례로 나사부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센서부 몸체(4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40)는 일례로 선박(100)의 진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진동센서로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센서부(40)가 선박(100)의 특정 지점의 온도와 같은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한 어떠한 센서로서 마련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 제1커버(10)는 일례로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일측이 개구되는 제1수용공간(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수용공간(12)이 개구된 일측에 인접되는, 제1커버(10)의 테두리부(11)에는, 상기 제1방수부재(31)가 둘러지며, 반원 모양의 제1커버측 제1홈(14) 및 제1커버측 제2홈(15)과,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커버측 연결브래킷(1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커버(20)는 제1커버(10)에 대응되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커버(20)에는 제1커버(10)와 대향되는 부분이 개구되는 제2수용공간(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수용공간(22)이 개구된 일측에 인접되는, 제2커버(20)의 테두리부(21)에는 제2방수부재(32)가 둘러진다.
제2커버(20)의 테두리부(21) 에는 제1커버측 연결브래킷(16)과 힌지 결합되어, 제2커버(20)를 제1커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제2커버측 연결브래킷(26)이 형성된다.
또한, 테두리부(21)에는, 제1커버(10)에 설치되는 제1방수부재(31) 및 제2커버(20)에 설치되는 제2방수부재(32)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1커버측 제1홈(14) 및 제1커버측 제2홈(15)과 연속되며, 제1커버측 제1홈(14) 및 제1커버측 제2홈(15)에 각각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커버측 제1홈(24) 및 제2커버측 제2홈(25)이 형성된다.이때,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는 일례로 합성 고무와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방수 재질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는 제1커버(10)의 테두리부(12)와 제2커버(20)의 테두리부(21)에 각각 설치되어,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호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용공간(12) 및 제2수용공간(22)을 외부에 대하여 밀폐시킨다.
상기 고정수단은 복수로 마련되며,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를 상호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서로 맞닿은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제1수용공간(12) 및 제2수용공간(22)을 외부에 대하여 견고하게 밀폐시킨다.
상기 고정수단은 제1커버(10)의 테두리부(12)측에 마련되는 걸림돌기(13)와, 제2커버(20)의 테두리부(21)측에 마련되며 걸림돌기(13)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걸림부(23)를 포함한다. 이때, 걸림부(23)는 걸림돌기(13)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재(232)와, 제2커버(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걸림부재(23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브래킷(231)과, 제1커버(10)에 회전브래킷(231)이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도록 제2커버(20)에 형성되는 회전브래킷 고정부(2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버(10)에 걸림돌기(13)가 형성되고, 제2커버(20)에 걸림부재(232) 및 회전브래킷(231)이 포함되는 걸림부(23)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제1커버(10)에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고 제2커버(20)에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걸림부재(231)가 걸림돌기(13)에 걸린상태에서, 회전브래킷(231)이 제1커버(10)에 형성된 걸림돌기(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커버(10)를 제2커버(20)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를 견고하게 상호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수단이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를 고정시키는 구성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가 서로 맞닿아 센서 어셈블리(10)의 외부에 대하여 제1수용공간(12) 및 제2수용공간(22)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센서부(40)의 케이블(45)의 일부, 센서부 몸체(41)의 일부 및 고정부(42)는 제1수용공간(12) 및 제2수용공간(22)의 외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센서부(40)의 다른 일부들, 특히 센서부(40)에서 접속부(44)의 일측 및 타측에 접속에 따른 소정 크기의 간격이 형성되는 부분들은 밀폐되는 제1수용공간(12) 및 제2수용공간(22)에 위치된다.
이때, 케이블(45)의 일부 및 센서부 몸체(41)의 일부는, 제1커버측 제1홈(14) 및 제2커버측 제2홈(24)과 제1커버측 제2홈(15) 및 제2커버측 제2홈(25)을 통하여, 각각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를 관통한다.
그리고, 케이블(45)의 외주면과 제1커버측 제1홈(14) 및 제2커버측 제1홈(24) 사이에는,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가 위치된다. 이때,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는 케이블(45)의 외주면 측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수분이 제1수용공간(12) 및 제2수용공간(22)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센서부 몸체(41)의 외주면과 제1커버측 제2홈(15) 및 제2커버측 제2홈(25) 사이에도,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가 위치된다. 또한,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가 센서부 몸체(41)의 외주면 측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수분이 제1수용공간(12) 및 제2수용공간(22)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1완충부재(51) 및 제2완충부재(52)는 센서부(40)를 감싸도록, 각각 제1수용공간(12) 및 제2수용공간(22)에 설치되며, 일례로 스펀지와 같은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제1완충부재(51) 및 제2완충부재(52)에는, 센서부(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센서부(4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511) 및 제2가이드홈(521) 이 형성된다.
따라서, 센서부(40)가 제1완충부재(51) 및 제2완충부재(5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완충부재(51) 및 제2완충부재(52)는 센서 어셈블리(1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센서부(4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도 2의 선박용 센서 어셈블리에서 방수부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2의 선박용 센서 어셈블리에 형성된 제1커버측 제1홈 및 제2커버측 제1홈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에는 제1방수부재(31)가 제1커버(10)에 설치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1방수부재(31)는 제1커버(10)의 테두리부(11)에 설치되며, 테두리부(11)의 테두리면(111)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커버(10)의 테두리부(11)의 양면에는, 제1방수부재(31)가 걸려, 제1방수부재(31)를 제1커버(10)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돌기(113)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테두리부(11)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부(40)의 케이블(45)의 반경(R11)(도4참조)보다 큰 반경(R14)을 갖는 반원 형상의 제1커버측 제1홈(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방수부재(31)에는 제1커버측 제1홈(14)에 끼워지도록 제1커버측 제1홈(1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홈 삽입부(314)가 형성된다. 이때, 제1홈 삽입부(314)의 외측 반경(R13)은 제1커버측 제1홈(14)의 반경(R12)보다 크게 형성되며, 내측 반경(R14)은 케이블(45)의 반경(R11)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6에는 제1커버측 제1홈(14) 및 제2커버측 제1홈(24)에 케이블(45)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가 서로 맞닿은 상태가 도시된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제1커버측 제1홈(14)에 둘러지는 제1방수부재(31)의 제1홈 삽입부(314)과 제2커버측 제1홈(24)에 둘러지는 제2방수부재(32)의 제1홈 삽입부(324)에 의하여 형성 관통홀의 반경(R14)은 케이블(45)의 반경(R11)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커버측 제1홈(14)과 제2커버측 제1홈(24)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형의 반경(R12)은 케이블(45)의 반경(R11)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홈 삽입부(314,324)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에 케이블(45)이 삽입되면,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는, 케이블(45)의 외주면에 둘러진 상태에서, 탄성 변형된다. 즉,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가 케이블(45)과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사이에서 탄성 변형되어 조여짐으로써, 케이블(45)과 각 커버(10,20)들 사이에 수분이 침입될 수 있는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케이블(45)의 반경(R11)과 동일하거나 다른 크기의 반경(R21)으로 형성되는 센서부 몸체(41)는 제1커버측 제2홈(15) 및 제2커버측 제2홈(25)에 삽입되며, 센서부 몸체(41)와 제1커버측 제2홈(15) 및 제2커버측 제2홈(25) 사이에는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가 위치되어 탄성 변형된다.
센서부 몸체(41)의 외주면에서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가 탄성 변형되어, 수분이 침입될 수 있는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은, 케이블(45)의 외주면에서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가 탄성 변형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2의 선박용 센서 어셈블리에서, 고정수단이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제1커버(10)에 설치된 제1방수부재(31)와 제2커버(20)에 설치된 제2방수부재(32)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맞닿도록,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를 배치시킨다. 이때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의 두께는 가압되지 않은 제1두께(t1)로 형성된다.
이때, 제2커버(20)에 설치된 걸림부(23)는 제1커버(10)에 형성된 걸림돌기(13)를 향하여 이완되며, 걸림부(23)의 걸림부재(232)의 일측은 걸림돌기(13)의 개구된 부분에 위치된다.
그 다음, 걸림부재(232)의 일측이 걸림돌기(13)의 상기 개구된 부분에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부(23)의 회전 브래킷(231)을 제1커버(10)의 걸림돌기(1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제1방향(S1)으로 회전시켜, 걸림부재(232)의 일측이 상기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걸림돌기(13)와 제1커버(10)의 외면 사이에 삽입된 다음, 걸림돌기(13)에 걸리도록 한다.
그 다음, 도 8을 참조하면, 걸림부재(232)의 일측이 걸림돌기(13)에 걸린상태에서, 회전 브래킷(231)을 제1방향(S1)과 동일한 제2방향(S2)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제1커버(10)를 제2커버(20)로 끌어당기는 가압력이 발생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걸림부(23)의 회전브래킷(231)이 제1커버(10)의 걸림돌기(1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완전하게 회전되면, 회전브래킷(231)은 상기 회전브래킷 고정부(233)에 고정되어, 걸림부(23)가 제1방향(S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의 상호 고정이 완료된다.
이때, 제1커버(10)와 제1커버(20) 사이에는 가압력(P1)이 발생되며, 제1커버(10)와 제2커버(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는 제1두께(t1)보다 작은 제2두께(t2)로 압축되어, 그 사이에 수분이 침입될 수 있는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23)에는 후크 형상의 회전브래킷 고정부(233)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회전브래킷 고정부(233)가 회전브래킷(231)이 특정한 회전 상태, 특히 회전브래킷(231)이 제2커버(20)를 향하여 완전하게 회전된 경우에,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브래킷(231)의 회전을 구속하는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의 상호 고정을 해제하는 과정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한 고정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가 압축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도 2의 센서 어셈블리의 방수부재가 맞닿아 가압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 7의 X-X 선도에 따른 단면도 및 도 9의 XI-XI 선도에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는 각각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의 테두리부(11,21)들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는 각각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의 테두리부(11,21)들에 끼워지는 한 쌍의 고정부(311,321)들과, 고정부(311,321)와 연결된 상태에서 각 테두리부(11,21)들이 테두리면(111,211)과 기설정된 거리(d1)만큼 이격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변형부(312,322)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부(311,321)들의 단부에는 테두리부(11,21)들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13,213)들에 걸리는 걸림단(313,323)이 형성된다.
그 다음,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력(P1)이 작용되면,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의 변형부(312,322)들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된다.
변형부(312,322)들이 서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면, 변형부(312,322)들 사이의 틈은 완전하게 밀폐됨으로써, 제1방수부재(31) 및 제2방수부재(32)의 사이에 수분이 침투될 수 있는 틈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 사이에 방수부재(31,32)들이 배치됨으로써, 센서부(40)가 수용되는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의 제1수용공간(21) 및 제2수용공간(22)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수분에 의하여 센서부(40)의 오작동 또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10) 및 제2커버(20)에 형성되는 홈(14,15,24,25)을 통하여 센서부(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도, 홈(14,15,24,25)에는 방수부재(31,32)들이 배치되어, 노출되지 않는 센서부(40)의 다른 부분으로 상기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 센서 어셈블리 10 : 제1커버
20 : 제2커버 31 : 제1방수부재
32 : 제2방수부재 40 : 센서부
51 : 제1완충부재 52 : 제2완충부재

Claims (7)

  1. 선박의 상태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센서부 몸체; 상기 센서부 몸체에서 생성되는 상기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과 상기 센서부 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을 상기 센서부 몸체에 연결시키는 접속부;가 포함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수중에서 상기 선박에 고정되어, 상기 감지신호를 외부의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는 제1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커버;
    상기 제1커버에 대향되는 부분이 개구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버;
    상기 제2커버와 마주보는 상기 제1커버의 테두리부에 둘러지는 제1방수부재;
    상기 제1커버와 마주보는 상기 제2커버의 테두리부에 둘러지는 제2방수부재; 및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가 상호 고정되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은 외부에 대하여 밀폐상태가 유지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상기 테두리부들에는,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의 상기 케이블의 일부가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1커버측 제1홈 및 제2커버측 제1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측 제1홈 및 상기 제2커버측 제1홈과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가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측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일측은 상기 선박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센서부 몸체에 연결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의 외부에 위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의 테두리부들에는,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 몸체의 일부가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를 관통하기 위한, 제1커버측 제2홈 및 제2커버측 제2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측 제2홈 및 상기 제2커버측 제2홈과 상기 센서부 몸체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가 위치되어 탄성 변형되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는,
    상기 각 테두리부들에 끼워지는 고정부;
    상기 각 테두리부들의 테두리면과 이격되며, 제1커버 및 제2커버가 상호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되는 변형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들에는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1방수부재 및 상기 제2방수부재의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걸리는 걸림단이 형성되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 내에 설치되며 탄성을 갖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수용공간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센서부가 끼워지는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에 대하여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완충부재 및 제2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중 어느 하나의 커버에 마련되는 걸림돌기;
    상기 걸림돌기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재; 및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 중 다른 하나의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다른 커버에 대한 회전이 구속되는 회전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돌기에 걸린상태에서, 상기 회전 브래킷이 상기 상기 걸림돌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기 커버를 상기 다른 커버측으로 끌어당기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KR1020100063155A 2010-06-30 2010-06-30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KR10122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155A KR101228058B1 (ko) 2010-06-30 2010-06-30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155A KR101228058B1 (ko) 2010-06-30 2010-06-30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32A true KR20120002332A (ko) 2012-01-05
KR101228058B1 KR101228058B1 (ko) 2013-01-30

Family

ID=4560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155A KR101228058B1 (ko) 2010-06-30 2010-06-30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80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992B1 (ko) * 2012-11-30 2013-09-24 고영 포장용 상자
KR102083846B1 (ko) * 2019-06-27 2020-05-29 주식회사 비디텍 엔진 회전수 측정용 진동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615B1 (ko) * 1999-10-30 2002-02-19 김시영 선박의 항해자료 기록방법 및 블랙박스
KR20020033939A (ko) * 2000-10-31 2002-05-08 김징완 선박항해 기록장치
KR100911500B1 (ko) * 2007-04-30 2009-08-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992B1 (ko) * 2012-11-30 2013-09-24 고영 포장용 상자
KR102083846B1 (ko) * 2019-06-27 2020-05-29 주식회사 비디텍 엔진 회전수 측정용 진동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8058B1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6361B1 (en) Mounting device for acoustic leak detection sensors
CN110174927B (zh) 具有部件保护结构的电子设备
RU25550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для цилиндра давл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KR101228058B1 (ko)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KR20110095234A (ko) 벽의 개구 내의 고정을 위한 고정 장치와 고정 방법 및, 고정 장치를 구비한 센서 요소
US20120068846A1 (en) Tamper event detection
KR20170012405A (ko) 전기 장치
JP2014528527A (ja) シールド掘進機の切削ローラの回転状態を監視するための監視装置、及びシールド掘進機用の切削ローラ装置
KR100818187B1 (ko) 고장력 인장부재를 갖춘 신호케이블 일체형 음향센서선배열 시스템
CN105812965B (zh) 声传感器设备
CN110274678A (zh) 间隔件和包括该间隔件的传感器模块
JP4953676B2 (ja) 火災警報器
KR101393485B1 (ko) 수밀도를 높인 수중로봇용 압력선체
KR20170042109A (ko) 감지장치
CN209069931U (zh) 一种基于脉冲微波致热测振的钢结构锈蚀检测装置
JP2000348812A (ja) コネクタの保護ケース
FR2723597A1 (fr) Machine a laver le linge pouvant etre actionnee electriquement
CN111152898A (zh) 船舶测速装置
KR101788037B1 (ko) 세탁기용 세탁물 끼임 검출용 센서 조립체
JP7091944B2 (ja) センサ
JP4829732B2 (ja) 電子秤
JP2018079303A (ja) 転倒防止器具
WO2017008626A1 (zh) 电子封条和电子封条系统
KR20110028793A (ko) 온도센서를 구비한 볼트너트 보호용 캡
CN115485587A (zh) 混合地震数据采集设备及相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