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992B1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9992B1 KR101309992B1 KR1020120137881A KR20120137881A KR101309992B1 KR 101309992 B1 KR101309992 B1 KR 101309992B1 KR 1020120137881 A KR1020120137881 A KR 1020120137881A KR 20120137881 A KR20120137881 A KR 20120137881A KR 101309992 B1 KR101309992 B1 KR 1013099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integrally connected
- wing
- front plate
- w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수박 등의 구형상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휴대 및 포장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박 등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로 유해성분이 옮겨갈 우려가 없음은 물론 외부충격으로부터 수박 등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수박 등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과정 또한 손쉬워 사용의 편의성이 매우 좋고, 아울러, 별도의 힌지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박 등의 구형상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휴대 및 포장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박 등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로 유해성분이 옮겨갈 우려가 없음은 물론 외부충격으로부터 수박 등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수박 등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과정 또한 손쉬워 사용의 편의성이 매우 좋고, 아울러, 별도의 힌지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절과일의 대표적인 것으로 수박을 들 수 있는데, 수박은 과즙이 풍부하고 당도가 높으며 많은 사람이 동시에 풍족하게 먹을 수 있어 여름철 과일로 매우 높은 인기를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수박은 둥그런 형상으로 인해 휴대 및 운반이 번거로워 대부분 별도의 합성수지재질의 비닐봉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노끈으로 된 운반용 망을 이용하는 방법과, 별도의 포장박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합성수지재질의 비닐봉투 또는 합성수지재질의 노끈으로 된 운반용 망의 경우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이나, 합성수지의 유해성분이 수박으로 옮겨져 수박이 오염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별도의 포장박스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11-0042889(수박용 개별 포장상자),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 20-2011-0006881(수박포장박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89759(완충구조를 가진 수박포장용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65929(수박용 포장상자구조) 및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 20-0413360(고정패드의 지지력을 강화시킨 과일포장박스)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11-0042889(수박용 개별 포장상자),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실용신안 20-2011-0006881(수박포장박스)는 휴대 및 운반과정 중에 내부에 수용된 수박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으로부터 수박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89759(완충구조를 가진 수박포장용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65929(수박용 포장상자구조)는 휴대 및 운반과정 중에 내부에 수용된 수박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나 외부충격완화효율이 극히 낮아 외부충격으로부터 수박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실용 20-0413360(고정패드의 지지력을 강화시킨 과일포장박스)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과정이 어려워 사용하기가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수박 등의 구형상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휴대 및 포장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박 등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로 유해성분이 옮겨갈 우려가 없음은 물론 외부충격으로부터 수박 등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수박 등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과정 또한 손쉬워 사용의 편의성이 매우 좋고, 아울러, 별도의 힌지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측이 연결되는 상부 일측판 및 상부 타측판과, 상기 상부판의 전측과 후측에 상측이 각각 연결되는 상부 전측판 및 상부 후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일측판의 하측 및 상기 상부 타측판의 하측에 각각 상부절개홈이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일측과 타측에 하측이 각각 연결되는 하부 일측판 및 하부 타측판과, 상기 하부판의 전측과 후측에 하측이 각각 연결되는 하부 전측판 및 하부 후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일측판의 상측 및 상기 하부 타측판의 상측에 상기 상부절개홈과 연통되는 하부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후측판의 상측이 상기 상부 후측판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 전측판의 하측 및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 전측판의 상측에 각각 전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 및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 각각 수납되어 포장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상부와 하부를 완충지지하는 완충부와;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 전측판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 전측판의 상측을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 전측판의 하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 하부몸체, 완충부, 및 고정부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 전측판의 하측 및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 전측판의 상측에 전측이 연결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후측에 전측이 연결되고 표면에 포장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구가 형성되는 수용판과; 상기 수용판의 일측과 타측 및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판의 수용구 주변의 상기 수용판 표면에 상기 수용구와 연통되는 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판의 일측과 상기 수용판의 타측에 보조슬릿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부몸체, 상기 하부몸체, 상기 완충부 및 상기 고정부가 각각 전개된 경우, 상기 하부 전측판의 타측에 상기 하부 일측판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일측판의 타측에 상기 하부 후측판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후측판의 타측에 상기 하부 타측판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전측판의 일측에 상기 하부 타측판의 타측과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일측 날개판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전측판의 상측에 상기 완충부의 하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일측판의 하측, 상기 하부 타측판의 하측, 상기 하부 전측판의 하측 및 상기 하부 후측판의 하측에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기 하부판을 이루는 하부 날개판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 일측판의 타측에 상기 상부 후측판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후측판의 하측에 상기 하부 후측판의 상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후측판의 타측에 상기 상부 타측판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타측판의 타측에 상기 상부 전측판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전측판의 타측에 상기 상부 일측판의 일측과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타측 날개판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전측판의 하측에 상기 완충부의 상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일측판의 상측, 상기 상부 타측판의 상측, 상기 상부 전측판의 상측 및 상기 상부 후측판의 상측에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기 상부판을 이루는 상부 날개판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상부몸체, 상기 하부몸체, 상기 완충부,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고정부가 각각 전개된 경우, 상기 하부 전측판의 타측에 상기 하부 일측판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일측판의 타측에 상기 하부 후측판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후측판의 타측에 상기 하부 타측판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전측판의 일측에 상기 하부 타측판의 타측과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일측 날개판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전측판의 상측에 상기 완충부의 하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일측판의 하측, 상기 하부 타측판의 하측, 상기 하부 전측판의 하측 및 상기 하부 후측판의 하측에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기 하부판을 이루는 하부 날개판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 일측판의 타측에 상기 상부 후측판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후측판의 하측에 상기 하부 후측판의 상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후측판의 타측에 상기 상부 타측판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타측판의 타측에 상기 상부 전측판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전측판의 타측에 상기 상부 일측판의 일측과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타측 날개판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전측판의 하측에 상기 완충부의 상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일측판의 상측, 상기 상부 타측판의 상측, 상기 상부 전측판의 상측 및 상기 상부 후측판의 상측에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기 상부판을 이루는 상부 날개판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 후측판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에 상기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 전측판의 상측에 연결된 상기 완충부의 하측 및 상기 상부 전측판의 하측에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은 상기 하부 전측판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1절개홈과; 상기 제 1절개홈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전측판의 상측에 연결된 상기 완충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절개홈과; 상기 상부 전측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3절개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의 하측은 상기 제 1절개홈의 하측에 일체연결되며, 상기 제 3절개홈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전측판의 하측에 연결된 상기 완충부의 상측표면에 상기 고정부의 상측이 삽입되는 삽입슬릿과, 상기 삽입슬릿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삽입슬릿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후측판의 상측과 상기 상부 전측판의 상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의 표면에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는 상기 상부 후측판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의 표면에 상기 손잡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관통구와; 상기 상부 전측판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의 표면에 상기 손잡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관통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상부 후측판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의 상측에 하측이 연결되는 상측 손잡이부재와; 상기 상측 손잡이부재와 대칭형성되고, 상기 제 1관통구의 상측에 상측이 일체연결되는 하측 손잡이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박 등의 구형상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휴대 및 포장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몸체, 하부몸체, 완충부, 손잡이부 및 고정부가 합성수지가 아닌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종이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합성수지의 유해성분이 수박 등을 포함한 대상물로 옮겨갈 우려가 없음은 물론 외부충격으로부터 수박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절개홈과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 절개홈을 통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사이에 위치하는 수박 등을 포함한 대상물의 상태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과정 또한 손쉬워 사용의 편의성이 매우 좋은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 후측판의 하측에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 후측판의 상측이 일체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힌지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포장용 상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부몸체의 하부 전측판으로부터 도 1의 상부몸체의 상부 전측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상부몸체에서 완충부가 인출 및 도 1의 하부몸체에서 완충부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포장용 상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하부몸체의 하부 전측판으로부터 도 5의 상부몸체의 상부 전측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상부몸체에서 완충부가 인출 및 도 5의 하부몸체에서 완충부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완충부가 대상물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완충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의 전개도이고,
도 10 내지 13은 하부 날개판이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하부판을 이루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고정부의 상측이 상부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상부 날개판이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부판을 이루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몸체의 하부 전측판으로부터 도 1의 상부몸체의 상부 전측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상부몸체에서 완충부가 인출 및 도 1의 하부몸체에서 완충부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포장용 상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하부몸체의 하부 전측판으로부터 도 5의 상부몸체의 상부 전측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상부몸체에서 완충부가 인출 및 도 5의 하부몸체에서 완충부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완충부가 대상물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완충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의 전개도이고,
도 10 내지 13은 하부 날개판이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하부판을 이루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고정부의 상측이 상부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상부 날개판이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부판을 이루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포장용 상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포장용 상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몸체(10), 하부몸체(20), 완충부(30) 및 고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몸체(10), 하부몸체(20), 완충부(30) 및 고정부(50)는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골판지 등을 포함한 종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하부몸체(20)의 하부 전측판(240)으로부터 도 1의 상부몸체(10)의 상부 전측판(140)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상부몸체(10)에서 완충부(30)가 인출 및 도 1의 하부몸체(20)에서 완충부(30)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사각박스 형태로 접혀진 상태인 상기 상부몸체(1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판(110), 상부 일측판(120) 및 상부 타측판(130), 상부 전측판(140) 및 상부 후측판(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110)의 일측에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상측이 일체연결된다.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하측 중심부에는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상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상부절개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110)의 타측에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상측이 일체연결된다.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하측 중심부에도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상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상기 상부절개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판(110)의 전측에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상측이 일체연결된다.
상기 상부판(110)의 후측에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이 일체연결된다.
다음으로, 사각박스 형태로 접혀진 상태인 상기 하부몸체(2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판(210), 하부 일측판(220) 및 하부 타측판(230), 하부 전측판(240) 및 하부 후측판(2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210)의 일측에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상측이 일체연결된다.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상측 중심부에는 상기 상부 일측판(120)에 형성된 상기 상부절개홈(160)과 연통되는 하부절개홈(260)이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된다.
상기 하부판(210)의 타측에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상측이 일체연결된다.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상측 중심부에도 상기 상부 타측판(130)에 형성된 상기 상부절개홈(160)과 연통되는 하부절개홈(260)이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된다.
상기 하부판(210)의 전측에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이 일체연결된다.
상기 하부판(210)의 후측에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상측이 일체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완충부(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0)의 내부에 수납되어 포장하고자 하는 수박 등의 구형상의 과일 등을 포함한 대상물(도 8의 5)의 상부를 완충지지하는 상부완충부(30a)와;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에 수납되어 포장하고자 하는 수박 등의 구형상의 과일 등을 포함한 대상물(5)의 하부를 완충지지하는 하부완충부(3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완충부(30a)의 전측이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에 일체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완충부(30a)의 후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10)의 내부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상부몸체(1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완충부(30b)의 전측이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일체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완충부(30b)의 후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을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 중심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로서, 이에 관한 사항은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포장용 상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포장용 상자는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판(110)에 손잡이부(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40) 또한 골판지 등을 포함한 종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하부몸체(20)의 하부 전측판(240)으로부터 도 5의 상부몸체(10)의 상부 전측판(140)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상부몸체(10)에서 완충부(30)가 인출 및 도 5의 하부몸체(20)에서 완충부(30)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완충부(30a)와 하부완충부(30b)로 구성되는 상기 완충부(30)는 도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판(310), 수용판(320) 및 지지판(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310)의 전측은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 및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용판(320)의 전측은 상기 연결판(310)의 후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용판(320)의 중심부 표면에는 포장하고자 하는 수박 등의 구형상의 과일 등을 포함한 대상물(5)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구(3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330)은 일측지지판(331), 타측지지판(332) 및 후측지지판(3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판(331)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지지판(331)의 타측은 상기 수용판(320)의 일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지지판(332)의 일측은 상기 수용판(320)의 타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측지지판(333)은 전측은 상기 수용판(320)의 후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310)의 상측과 상기 수용판(320) 사이 및 상기 수용판(320)과 상기 지지판(330) 사이에 각각 접은선(도 4, 도 9의 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완충부(30)가 대상물(5)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완충지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지지판(330)은 상기 수용판(320)과 직교를 이룬 상태로 접혀져 상기 상부몸체(10)의 내부 및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330)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판(320)을 상기 상부판(110)의 하부방향으로 이격시킨 상태로 상기 수용판(320)을 완충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330)은 상기 수용판(320)을 상기 하부판(210)의 상부방향으로 이격시킨 상태로 상기 수용판(320)을 완충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판(320)의 수용구(32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판(320)의 중심부 표면에는 내경크기가 상기 수용구(321)의 내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원형의 접음선(3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판(320)의 수용구(321) 주변에 위치하도록 원형의 상기 접음선(334)과 상기 수용구(321) 사이의 상기 수용판(320)의 표면(P1)에는 상기 수용구(321)와 연통되는 'V'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슬릿(322)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판(320)의 수용구(321)에 각각 수박 등의 구형상의 과일 등을 포함한 대상물(5)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수용될 시 상기 접음선(333)과 상기 수용구(321) 사이의 상기 수용판(320)의 표면(P1)는 각각 수박 등의 구형상의 과일 등을 포함한 대상물(5)의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수박 등의 구형상의 과일 등을 포함한 대상물(5)과 면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접음선(333)과 상기 수용구(321) 사이의 상기 수용판(320)의 표면(P1)이 수박 등의 구형상의 과일 등을 포함한 대상물(5)과 면접촉하게 될 경우 상기 수용구(321)내에 위치한 상기 대상물(5)의 상부와 하부에 흡집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대상물(5)의 품질을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포장용 상자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포장용 상자의 상기 상부완충부(30a)의 수용판(320)의 일측표면과 상기 상부완충부(30a)의 수용판(320)의 타측표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음선(7) 및 상기 접음선(7)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절개선(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선(8)의 전측과 상기 절개선(8)의 후측은 각각 상기 접은선(7)의 전측과 상기 접은선(7)의 후측방향으로 만곡되어 상기 접음선(7)의 전측 및 상기 접음선(7)의 후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개선(8)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판(320)의 표면(P2)이 작업자의 손가락 부위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함에 따라 상기 절개선(8)의 내측에 작업자의 손가락 부위가 수용되는 보조슬릿(323)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보조슬릿(323)내에 손가락 부위를 수용시켜 상기 수용판(320)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수용판(320)을 상하회전이동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몸체(1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상부완충부(30a)를 상기 상부몸체(10)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부완충부(30b)의 수용판(320)의 일측 표면과 상기 하부완충부(30b)의 수용판(320)의 타측표면에도 상기 보조슬릿(32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5의 전개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포장용 상자의 상기 상부몸체(10), 상기 하부몸체(20), 상기 완충부(30) 및 상기 고정부(50)가 각각 전개된 경우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포장용 상자의 상기 상부몸체(10), 상기 하부몸체(20), 상기 완충부(30), 상기 손잡이부(40) 및 상기 고정부(50)가 작업자에 의해 각각 전개된 경우,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타측에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일측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타측과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일측 사이에 접음선(7)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타측에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일측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타측과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일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타측에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일측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타측과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일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일측에 일측 날개판(241)이 형성될 수 있다.
전개된 상태인 상기 일측 날개판(241)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 날개판(241)의 타측은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일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날개판(241)의 타측과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일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 일측판(220) 및 하부 타측판(230), 하부 전측판(240) 및 하부 후측판(250)이 사각틀 형상(도 10 참조.)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일측 날개판(241)이 작업자에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타측과 접한 상태로 접착고정 또는 스템플러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전개된 상태인 상기 완충부(30)의 하부 완충부(30b)의 연결판(310)의 하측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하측,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하측,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하측 및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하측에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기 하부판(210)을 이루는 하부 날개판(20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날개판(200)은 상기 하부판(210)의 일측을 이루는 일측 하부 날개판(201)과, 상기 하부판(210)의 타측을 이루는 타측 하부 날개판(202)과, 상기 하부판(210)의 전측을 이루는 전측 하부 날개판(203) 및 상기 하부판(210)의 후측을 이루는 후측 하부 날개판(2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하부 날개판(201)은 제 1일측 하부 날개판(201a), 제 2일측 하부 날개판(201b) 및 제 3일측 하부 날개판(20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하부 날개판(201a)의 상측은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하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하부 날개판(201a)의 상측과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하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하부 날개판(201b)은 상기 제 1일측 하부 날개판(201a)의 하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 하부 날개판(201c)은 상기 제 2일측 하부 날개판(201b)의 일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하부 날개판(202)은 제 1타측 하부 날개판(202a), 제 2타측 하부 날개판(202b) 및 제 3타측 하부 날개판(20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하부 날개판(202a)의 상측은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하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하부 날개판(202a)의 상측과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하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하부 날개판(202b)은 상기 제 1타측 하부 날개판(202a)의 하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타측 하부 날개판(202c)은 상기 제 2타측 하부 날개판(202b)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제 2타측 하부 날개판(202b)의 타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하부 날개판(203)은 제 1전측 하부 날개판(203a), 제 2전측 하부 날개판(203b) 및 제 3전측 하부 날개판(203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 하부 날개판(203a)의 상측은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하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 하부 날개판(203a)의 상측과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하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하부 날개판(203b)은 상기 제 1전측 하부 날개판(203a)의 하부 일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전측 하부 날개판(203c)은 상기 제 1전측 하부 날개판(203a)의 하부 타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하부 날개판(204)의 상측은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하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하부 날개판(204)의 상측과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하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타측에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일측이 일체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타측과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일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하측에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상측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하측과 상기 하부 일측판(250)의 상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 후측판(150)의 하측에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 후측판(250)의 상측이 일체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몸체(10)와 상기 하부몸체(20)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힌지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타측에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일측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타측과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일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타측에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일측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타측과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일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타측에 타측 날개판(141)이 형성될 수 있다.
전개된 상태인 상기 타측 날개판(141)의 일측은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타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날개판(141)의 일측과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타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 일측판(120) 및 상부 타측판(130) 및 상부 전측판(140) 및 상부 후측판(150)이 사각틀 형상(도 15 참조.)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타측 날개판(141)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일측과 접한 상태로 접착고정 또는 스템플러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에 전개된 상태인 상기 완충부(30)의 상부 완충부(30a)의 연결판(310)의 상측이 일체연결될 수 있다.
전개된 상태인 상기 완충부(30)의 상부 완충부(30a)의 연결판(310)의 상측과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상측,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상측,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상측 및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에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기 상부판(110)을 이루는 상부 날개판(10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날개판(100)은 상기 상부판(110)의 일측을 이루는 일측 상부 날개판(101)과, 상기 상부판(110)의 타측을 이루는 타측 상부 날개판(102)과, 상기 상부판(110)의 전측을 이루는 전측 상부 날개판(103) 및 상기 상부판(110)의 후측을 이루는 후측 상부 날개판(1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상부 날개판(101)은 제 1일측 상부 날개판(101a), 제 2일측 상부 날개판(101b) 및 제 3일측 상부 날개판(10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상부 날개판(101a)의 하측은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상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상부 날개판(101a)의 하측과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상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상부 날개판(101b)은 상기 제 1일측 상부 날개판(101a)의 상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일측 상부 날개판(101b)은 상기 제 2일측 상부 날개판(101b)의 일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상부 날개판(102)은 제 1타측 상부 날개판(102a), 제 2타측 상부 날개판(102b) 및 제 3타측 상부 날개판(10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상부 날개판(102a)의 하측은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상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상부 날개판(102a)의 하측과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상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타측 상부 날개판(102b)은 상기 제 1타측 상부 날개판(102a)의 상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타측 상부 날개판(102c)은 상기 제 2타측 상부 날개판(102b)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제 2타측 상부 날개판(102b)의 타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상부 날개판(103)은 제 1전측 상부 날개판(103a), 제 2전측 상부 날개판(103b) 및 제 3전측 상부 날개판(103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 상부 날개판(103a)의 하측은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상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 상부 날개판(103a)의 하측과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상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 상부 날개판(103b)은 상기 제 1전측 상부 날개판(103a)의 상부 일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전측 상부 날개판(103a)은 상기 제 1전측 상부 날개판(103a)의 상부 타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 날개판(104)의 하측은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 날개판(104)의 하측과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전개된 상태인 상기 완충부(30)의 하부 완충부(30b)의 연결판(310)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연결판(310)의 타측과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일측 사이 및
전개된 상태인 상기 완충부(30)의 하부 완충부(30b)의 수용판(320)의 타측과 상기 상부 일측판(120) 사이에는 절개선(8)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하부 일측과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상부 일측 사이에 상기 절개선(8)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하부 타측과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상부 타측 사이에 상기 절개선(8)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하부 일측과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상부 일측 사이에 상기 절개선(8)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하부 타측과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상부 타측 사이에 상기 절개선(8)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전개된 상태인 상기 완충부(30)의 상부 완충부(30a)의 연결판(310)의 일측과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타측 사이 및
전개된 상태인 상기 완충부(30)의 상부 완충부(30a)의 수용판(320)의 일측과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타측 사이에 상기 절개선(8)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에 일체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100)의 후측 상부 날개판(104)에 상기 손잡이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3은 하부 날개판(200)이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하부판(210)을 이루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하부 날개판(201)의 하측과 상기 타측 하부 날개판(202)의 하측은 각각 작업자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 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측 하부 날개판(203)의 하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일측 하부 날개판(201) 및 상기 타측 하부 날개판(202)과 중첩되되,
특히,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하부 날개판(203)의 제 1전측 하부 날개판(203a)의 상부면에 상기 일측 하부 날개판(201)의 제 3일측 하부 날개판(201c) 및 상기 타측 하부 날개판(202)의 제 3타측 하부 날개판(202c)가 안착되고,
상기 전측 하부 날개판(203)의 제 2전측 하부 날개판(203b) 및 제 3전측 하부 날개판(203c)이 각각 상기 일측 하부 날개판(201)의 제 1일측 하부 날개판(201a)의 상부면 및 상기 타측 하부 날개판(202)의 제 1타측 하부 날개판(202a)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로 중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후측 하부 날개판(204)의 하측은 작업자에 의해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1전측 하부 날개판(203a)과 상기 제 3일측 하부 날개판(201c) 사이 및 상기 제 1전측 하부 날개판(203a)과 상기 제 3타측 하부 날개판(202c) 사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연결된 상기 완충부(30)의 하측 및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부(50)를 수용하는 절개홈(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60)은 제 1절개홈(610), 제 2절개홈(620) 및 제 3절개홈(6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제 1절개홈(610)은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절개홈(620)은 상기 제 1절개홈(610)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연결된 상기 완충부(30)의 하부 완충부(30b)의 연결판(310)의 하측 중심부에 상기 하부 완충부(30b)의 연결판(3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절개홈(630)은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 중심부에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부(50)는 하측 고정부(501)와 상측 고정부(5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고정부(501)의 하측은 상기 제 1절개홈(610)의 하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고정부(502)의 하측은 상기 하부 고정부(501)의 상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고정부(501)의 상측과 상기 상측 고정부(502)의 하측 사이에 상기 접음선(7)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제 3절개홈(6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에 연결된 상기 완충부(30)의 상부 완충부(301)의 상측 표면에 삽입슬릿(80)과 관통구(9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슬릿(80)은 상기 제 3절개홈(630)의 하부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완충부(301)의 연결판(310)의 표면 중심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고정부(50)의 상측이 상부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슬릿(80)내에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고정부(50)의 상측 고정부(502)가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부(50)가 상기 삽입슬릿(80)내에 상기 고정부(50)의 상측 고정부(502)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50)가 상기 절개홈(60)내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몸체(10) 및 상기 하부몸체(20)의 전방외부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 전측판(140) 및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 전측판(240)과 수직으로 일직선을 이루기 때문에 본 발명인 포장용 상자의 외관의 미려함이 보다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관통구(90)는 상기 삽입슬릿(8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삽입슬릿(8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완충부(301)의 연결판(310)의 표면 중심부에 상기 상부 완충부(301)의 연결판(31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관통구(90)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삽입슬릿(80)내에 삽입된 상기 고정부(50)의 상측 고정부(502)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슬릿(80)의 전방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포장용 상자의 경우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에 일체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100)의 후측 상부 날개판(104)에는 상기 손잡이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과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상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100)의 후측 상부 날개판(104)의 표면과 전측 상부 날개판(103)의 표면에 관통구(7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관통구(70)는 제 1관통구(710)와 제 2관통구(7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관통구(710)는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100)의 후측 상부 날개판(104)의 중심부 표면에 상기 손잡이부(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관통구(720)는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100)의 전측 상부 날개판(103)의 제 1전측 상부 날개판(103a)의 중심부 표면에 상기 손잡이부(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40)는 도 9를 기준으로 상측 손잡이부재(410)와 하측 손잡이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손잡이부재(410)의 상측 중심부 표면에는 작업자의 손가락 부위가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슬릿(411)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손잡이부재(410)의 하측은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에 일체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100)의 후측 상부 날개판(104)의 상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손잡이부재(410)와 대칭형성되는 상기 하측 손잡이부재(420)의 하측 중심부 표면에는 상기 가이드슬릿(411)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손잡이부재(420)의 상측은 상기 제 1관통구(710)의 상측에 일체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관통구(710)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는 상부 날개판(100)이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부판(110)을 이루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상부 날개판(101)의 상측과 상기 타측 상부 날개판(102)의 상측은 각각 작업자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10)의 내부 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이상태에서 상기 전측 상부 날개판(103)의 상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10)의 내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일측 상부 날개판(101) 및 상기 타측 상부 날개판(102)과 중첩되되,
특히,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상부 날개판(103)의 제 1전측 상부 날개판(103a)의 하부면에 상기 일측 상부 날개판(101)의 제 3일측 상부 날개판(101c) 및 상기 타측 상부 날개판(102)의 제 3타측 상부 날개판(102c)이 접하고,
상기 전측 상부 날개판(103)의 제 2전측 상부 날개판(103b) 및 제 3전측 상부 날개판(103c)이 각각 상기 일측 상부 날개판(101)의 제 1일측 상부 날개판(101a) 및 상기 타측 상부 날개판(102)의 제 1타측 상부 날개판(102a)의 하부면과 접하도록 중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후측 상부 날개판(104)의 상측 및 상기 후측 상부 날개판(104)의 상측과 함께 상기 상측 손잡이부재(410)는 작업자에 의해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0)의 내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제 1전측 상부 날개판(103a)과 상기 제 3일측 상부 날개판(101c) 사이 및 상기 제 1전측 상부 날개판(103a)과 상기 제 3타측 상부 날개판(102c)사이를 통과한 상태로 끼움결합될 수 있고,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포장용 상자의 상기 상측 손잡이부재(410)는 상기 전측 상부 날개판(103)의 제 1전측 상부 날개판(103a)에 형성된 상기 제 2관통구(72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관통구(710)내에 수용된 상기 하측 손잡이부재(420)와 상기 제 2관통구(720)내에 수용된 상기 상측 손잡이부재(410)는 각각 작업자에 의해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박 등의 구형상의 과일을 포함한 대상물(5)을 보다 용이하게 휴대 및 포장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몸체(10), 하부몸체(20), 완충부(30), 손잡이부(40) 및 고정부(50)가 합성수지가 아닌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종이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합성수지의 유해성분이 수박 등을 포함한 대상물(5)로 옮겨갈 우려가 없음은 물론 외부충격으로부터 수박 등을 포함한 대상물(5)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절개홈(160)과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 절개홈(260)을 통해 상기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 사이에 위치하는 수박 등을 포함한 대상물(5)의 상태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과정 또한 손쉬워 사용의 편의성이 매우 좋은 이점이 있다.
10; 상부몸체, 20; 하부몸체,
30; 완충부, 40; 손잡이부,
50; 고정부.
30; 완충부, 40; 손잡이부,
50; 고정부.
Claims (10)
- 상부판(110)과, 상기 상부판(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측이 연결되는 상부 일측판(120) 및 상부 타측판(130)과, 상기 상부판(110)의 전측과 후측에 상측이 각각 연결되는 상부 전측판(140) 및 상부 후측판(1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하측 및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하측에 각각 상부절개홈(160)이 형성되는 상부몸체(10)와;
하부판(210)과, 상기 하부판(210)의 일측과 타측에 하측이 각각 연결되는 하부 일측판(220) 및 하부 타측판(230)과, 상기 하부판(210)의 전측과 후측에 하측이 각각 연결되는 하부 전측판(240) 및 하부 후측판(25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상측 및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상측에 상기 상부절개홈(160)과 연통되는 하부절개홈(260)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상측이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몸체(20)와;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 및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각각 전측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몸체(10)의 내부 및 상기 하부몸체(20)의 내부에 각각 수납되어 포장하고자 하는 대상물(5)의 상부와 하부를 완충지지하는 완충부(30)와;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을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에 손잡이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0), 하부몸체(20), 완충부(30) 및 고정부(50)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30)는 상기 상부몸체(10)의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 및 상기 하부몸체(20)의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전측이 연결되는 연결판(310)과;
상기 연결판(310)의 후측에 전측이 연결되고 표면에 포장하고자 하는 대상물(5)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구(321)가 형성되는 수용판(320)과;
상기 수용판(320)의 일측과 타측 및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판(3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판(320)의 수용구(321) 주변의 상기 수용판(320) 표면에 상기 수용구(321)와 연통되는 슬릿(32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판(320)의 일측과 상기 수용판(320)의 타측에 보조슬릿(323)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0), 상기 하부몸체(20), 상기 완충부(30) 및 상기 고정부(50)가 각각 전개된 경우,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타측에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타측에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타측에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일측에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타측과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일측 날개판(24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상기 완충부(30)의 하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하측,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하측,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하측 및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하측에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기 하부판(210)을 이루는 하부 날개판(20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타측에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하측에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상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타측에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타측에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타측에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일측과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타측 날개판(14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에 상기 완충부(30)의 상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상측,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상측,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상측 및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에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기 상부판(110)을 이루는 상부 날개판(10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0), 상기 하부몸체(20), 상기 완충부(30), 상기 손잡이부(40) 및 상기 고정부(50)가 각각 전개된 경우,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타측에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타측에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타측에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일측에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타측과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일측 날개판(24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상기 완충부(30)의 하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하부 일측판(220)의 하측, 상기 하부 타측판(230)의 하측,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하측 및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하측에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기 하부판(210)을 이루는 하부 날개판(20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타측에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하측에 상기 하부 후측판(250)의 상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타측에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타측에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일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타측에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일측과 접한 상태로 고정되는 타측 날개판(14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에 상기 완충부(30)의 상측이 일체연결되고,
상기 상부 일측판(120)의 상측, 상기 상부 타측판(130)의 상측,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상측 및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에 서로 중첩 및 끼움결합되어 상기 상부판(110)을 이루는 상부 날개판(10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100)에 상기 손잡이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연결된 상기 완충부(30)의 하측 및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에 상기 고정부(50)를 수용하는 절개홈(60)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60)은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1절개홈(610)과;
상기 제 1절개홈(610)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전측판(240)의 상측에 연결된 상기 완충부(3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절개홈(620)과;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3절개홈(6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50)의 하측은 상기 제 1절개홈(610)의 하측에 일체연결되며,
상기 제 3절개홈(6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하측에 연결된 상기 완충부(30)의 상측표면에 상기 고정부(50)의 상측이 삽입되는 삽입슬릿(80)과, 상기 삽입슬릿(8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삽입슬릿(8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관통구(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과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상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100)의 표면에 관통구(7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70)는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100)의 표면에 상기 손잡이부(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관통구(710)와;
상기 상부 전측판(14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100)의 표면에 상기 손잡이부(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관통구(7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부(40)는 상기 상부 후측판(15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 날개판(100)의 상측에 하측이 연결되는 상측 손잡이부재(410)와;
상기 상측 손잡이부재(410)와 대칭형성되고, 상기 제 1관통구(710)의 상측에 상측이 일체연결되는 하측 손잡이부재(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7881A KR101309992B1 (ko) | 2012-11-30 | 2012-11-30 | 포장용 상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7881A KR101309992B1 (ko) | 2012-11-30 | 2012-11-30 | 포장용 상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9992B1 true KR101309992B1 (ko) | 2013-09-24 |
Family
ID=4945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7881A KR101309992B1 (ko) | 2012-11-30 | 2012-11-30 | 포장용 상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999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4521A (ko) * | 2019-01-30 | 2020-08-07 |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수박 포장용 박스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34531A (ja) * | 2001-02-09 | 2002-08-20 | Asahi Printing Co Ltd | 包装用箱と物品収容枠 |
KR20100088222A (ko) * | 2009-01-30 | 2010-08-09 | 이봉재 | 과일포장박스의 포장방법 및 과일포장박스 |
KR20120002332A (ko) * | 2010-06-30 | 2012-01-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
-
2012
- 2012-11-30 KR KR1020120137881A patent/KR1013099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34531A (ja) * | 2001-02-09 | 2002-08-20 | Asahi Printing Co Ltd | 包装用箱と物品収容枠 |
KR20100088222A (ko) * | 2009-01-30 | 2010-08-09 | 이봉재 | 과일포장박스의 포장방법 및 과일포장박스 |
KR20120002332A (ko) * | 2010-06-30 | 2012-01-05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4521A (ko) * | 2019-01-30 | 2020-08-07 |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수박 포장용 박스 |
KR102195342B1 (ko) * | 2019-01-30 | 2020-12-24 |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 수박 포장용 박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65762B2 (en) | Dispenser having a tower portion and an insert portion | |
CA2870585C (en) | Waterproof and anti-wicking corrugated container | |
CN204091227U (zh) | 一种折叠储物箱包 | |
KR101102365B1 (ko) | 계란포장용 상자 | |
BRPI0608869A2 (pt) | Matriz para montagem formando uma embalagem, e embalagem | |
CN203652387U (zh) | 一种抗压、防碎的禽蛋包装盒 | |
EP1896345A2 (en) | Fiberboard carton with secured die cut insert | |
KR101309992B1 (ko) | 포장용 상자 | |
KR200468138Y1 (ko) |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 |
KR200392220Y1 (ko) | 포장상자 | |
KR101236112B1 (ko) | 포장용 상자 | |
KR200438405Y1 (ko) | 절첩식 포장상자 | |
CA2845446A1 (en) | Stackable carrier | |
KR102130449B1 (ko) |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 |
KR200413360Y1 (ko) | 고정패드의 지지력을 강화시킨 과일포장박스 | |
KR20100124002A (ko) | 포장용 상자 | |
WO2011114298A1 (en) | Double walled package with leaflet | |
KR20130029497A (ko) | 포장용 박스 | |
GB2425114A (en) | Container for transporting mail | |
KR102107540B1 (ko) |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 |
ES2954241T3 (es) | Caja de empaquetado | |
KR102547737B1 (ko) | 식물 배송용 포장 박스 및 식물 배송용 포장 박스 조립체 | |
KR200457917Y1 (ko) | 포장박스 | |
CN205668718U (zh) | 一种便携式水果防震保护保鲜包装盒 | |
CN220115007U (zh) | 一种水果包装纸盒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