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540B1 -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 Google Patents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540B1
KR102107540B1 KR1020190005377A KR20190005377A KR102107540B1 KR 102107540 B1 KR102107540 B1 KR 102107540B1 KR 1020190005377 A KR1020190005377 A KR 1020190005377A KR 20190005377 A KR20190005377 A KR 20190005377A KR 102107540 B1 KR102107540 B1 KR 102107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pack
beverage
additional
pa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훈
서종일
Original Assignee
한미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540B1/ko
Priority to PCT/KR2019/016869 priority patent/WO20201495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6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스트로우가 음료팩에 동일체로 구비됨으로써 플라스틱 빨대에 의한 환경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에 관한 것으로, 음료가 담기는 팩본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체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팩본체에 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음료를 배출하는 스트로우; 및 상기 스트로우와 상기 팩본체의 연결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연결부위의 개폐를 허용하는 스트로우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BEVERAGE PACK WITH STRAW}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로우가 음료팩에 동일체로 구비됨으로써 플라스틱 빨대에 의한 환경오염을 억제할 수 있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줄이고 있으며, 환경오염에 영향이 적은 소재로 대체하고 있다.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하나로 플라스틱 빨대가 대표적이다.
플라스틱 빨대는 카페 등에서 음료와 함께 제공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환경보호를 위하여 사용을 억제하고 있으며, 대체품으로써 종이재질의 빨대가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플라스틱 빨대는 음료가 포장된 음료팩에도 부착된 상태로 판매되고 있어서 환경보호를 위한 종이빨대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음료팩은 음료의 섭취를 위하여 팩의 일부분을 빨대로 관통시켜야 하므로 빨대에 소정의 강성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이빨대는 팩의 일부분을 관통하기에는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음료팩에 사용이 적합하지 않음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빨대를 팩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팩을 관통하지 않고도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음료팩들이 개발되고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2-0005523호에 개시된 빨대 동일체 음료팩에는, 음료팩의 일측변에 형성되는 빨대를 음료팩으로부터 분리하는 수직점선 절취부와, 이 수직점선 절취부와 일변접착부 사이에 형성한 빨대공과, 이 빨대공의 상단에 위치하여 빨대공을 개방하는 수평절취편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수평직점선 절취부를 절취하 빨대공을 분리하고, 수평절취편을 분리하여 빨대공을 개방하여 음료를 섭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빨대가 팩에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는 편리함이 있으나, 빨대공을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서 빨대공으로 항상 개방되어 있으므로 음료가 임의로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스트로우를 음료팩에 동일체로 구비함으로써 플라스틱 빨대에 의한 환경오염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스트로우의 연결부위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음료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스트로우의 연결부위가 절곡되어 벽면에 밀착되면서 음료의 유로를 폐쇄할 수 있으며, 스트로우의 연결부위가 외력에 의해 펴지면서 음료의 유로를 개방할 수 있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스트로우가 팩과 동일체를 이루면서 팩의 벽면에 수납될 수 있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스트로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추가 스트로우가 구비되어 여러 방향에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은, 음료가 담기는 팩본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체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팩본체에 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음료를 배출하는 스트로우; 및 상기 스트로우와 상기 팩본체의 연결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연결부위의 개폐를 허용하는 스트로우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는, 상기 팩본체의 수용공간이 육면체를 이루도록 상기 팩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 양측에 각각 삼각형태로 접히는 한 쌍의 상단날개부 및 한 쌍의 하단날개부 중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스트로우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일단부가 소통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단날개부 및 상기 하단날개부는, 각각 삼각형태로 접힌 상태로 절곡되어 상기 팩본체의 벽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상기 팩본체의 수용공간과 차단되고, 절곡부위가 외력에 의해 펴지면서 상기 팩본체의 수용공간과 소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팩은, 상기 스트로우의 양단부 중 타단부를 절취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스트로우를 상기 팩본체의 벽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스트로우절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로우절취부는, 상기 스트로우의 일단부가 연결된 상기 상단날개부 및 상기 하단날개부 중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로우는, 관체를 이루는 내측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상기 스트로우절취부에 의해 상기 팩본체의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트로우절취부에서 분리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내측면이 벌어지면서 관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팩은, 상기 스트로우와 동일한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팩본체의 벽면 중 상기 스트로우가 연결된 벽면의 반대쪽 벽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 중 일단부가 상기 팩본체에 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음료를 배출하는 추가 스트로우; 및 상기 추가 스트로우와 상기 팩본체의 연결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연결부위의 개폐를 허용하는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는,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한 쌍의 상단날개부 및 상기 한 쌍의 하단날개부 중 상기 스트로우가 연결되지 않은 방향에 구비된 상기 상단날개부 및 상기 하단날개부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하단날개부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상단날개부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는, 상기 추가 스트로우의 양단부 중 타단부를 절취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추가 스트로우를 상기 팩본체의 벽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추가 스트로우절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스트로우절취부는, 상기 추가 스트로우의 일단부가 연결된 상기 상단날개부 및 상기 하단날개부 중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트로우를 음료팩에 동일체로 구비함으로써 플라스틱 빨대에 의한 환경오염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스트로우 연결부에 의해 스트로우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음료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트로우 연결부가 외력에 의해 접히거나 펴지는 날개부로 형성되므로 음료의 섭취시에만 날개부를 펴서 섭취하고, 음료를 섭취하지 않을 경우에는 날개부를 접어서 스트로우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트로우의 타단부가 스트로우절취부에 의해 팩본체에 고정되므로 스트로우가 팩본체의 벽면에 수납된 상태로 유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트로우가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사용시 외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관체를 형성하므로 음료팩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트로우와는 별개의 추가 스트로우가 구비되므로 여러 방향에서 음료를 섭취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음료를 섭취할 수도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본체(100), 스트로우(200) 및 스트로우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팩본체(100)는 음료가 담기는 구성요소로, 내부에 음료의 수용공간을 갖는 팩(PACK)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음료를 포장할 수 있다.
이러한, 팩본체(100)는 종이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이 직육면체를 이루도록 접혀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팩본체(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단날개부(150) 및 한 쌍의 하단날개부(160)에 의해 직육면체 형태로 접혀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상단날개부(150) 및 한 쌍의 하단날개부(160)는 팩본체(100)의 상단부의 양측 및 하단부의 양측에 각각 삼각형태로 접히면서 팩본체(100)의 상면, 하면 및 벽면들이 편평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팩본체(100)를 육면체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트로우(200)는 팩본체(100)에 수용된 음료를 섭취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스트로우(2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체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후술되는 스트로우 연결부(300)를 매개로 하여 팩본체(100) 에 소통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트로우(200)는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타단부가 후술되는 스트로우절취부(400)를 통해 팩본체(100)의 벽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로우(200)는 팩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면서 팩본체(100)와 동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스트로우(200)는 팩본체(100)와 함께 종이재로 형성되어 팩본체(100)의 일부분에 동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로우(200)는 도 1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내측면(200a)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팩본체(100)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시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내측면(200a)이 벌어지면서 관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300)는 스트로우(200)와 팩본체(100)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면서 스트로우(200)의 연결부위의 개폐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음료가 임의로 스트로우(2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즉, 스트로우 연결부(300)는 스트로우(200)가 연결된 부위를 사용자의 외력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음료의 섭취시에만 스트로우(200)를 개방하고 음료를 섭취하지 않을 때에는 스트로우(200)를 폐쇄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트로우 연결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한 쌍의 하단날개부(160) 중 하나로 구성되어 스트로우(200)의 일단부와 소통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단날개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개폐되면서 스트로우(200)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날개부(16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상태로 팩본체(100)의 벽면에 밀착될 경우에는 팩본체(100)의 수용공간과 스트로우(200)의 유로를 차단함으로써 음료가 스트로우(2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단날개부(16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위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펴질 경우에는 팩본체(100)의 수용공간과 스트로우(200)의 유로를 소통시킴으로써 음료가 스트로우(200)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날개부(160)가 사용자에 의해 펴질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본체(100)의 바닥면에 경사가 형성됨으로써 음료가 원활하게 스트로우(20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스트로우 연결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한 쌍의 상단날개부(150) 중 하나로 구성되어 스트로우(200)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스트로우 연결부(300)는 한 쌍의 상단날개부(150) 및 한 쌍의 하단날개부(160)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스트로우(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가 스트로우절취부(400)에 의해 절취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팩본체(100)의 외측벽면에 분리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스트로우절취부(400)는 스트로우(200)의 상단부를 팩본체(100)의 벽면에 절취 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스트로우(200)의 상단부를 차폐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절취되면서 스트로우(200) 상단부가 팩본체(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스트로우(200)는 상단부가 팩본체(10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차폐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스트로우절취부(400)의 절취를 통해 팩본체(100)에서 분리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스트로우절취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우연결부(300)가 하단날개부(160)로 구성될 경우에는 상단날개부(15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우연결부(300)가 상단날개부(150)로 구성될 경우에는 하단날개부(16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트로우절취부(400)는 상단날개부(150) 및 하단날개부(160) 중 스트로우연결부(300)가 구비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1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스트로우(500),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600) 및 추가 스트로우절취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스트로우(500)는 음료를 여러 방향에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한 스트로우(200)와 동일한 관체로 형성되어 스트로우(200)의 반대쪽에서 팩본체(100)의 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600)는 추가 스트로우(500)와 팩본체(100)의 연결부위를 이루면서 연결부위의 개폐를 허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600)는 전술한 한 쌍의 상단날개부(150) 및 한 쌍의 하단날개부(160) 중에서 스트로우(200)의 반대편에 구비된 상단날개부(150) 및 하단날개부(160)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우(200)의 반대편에 구비된 하단날개부(16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우(200)의 반대편에 구비된 상단날개부(15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600)는 스트로우 연결부(500)와 반대방향의 상단날개부(150) 및 하단날개부(160) 중 하나로 구성되어 스트로우 연결부(300)와 동일하게 사용자에 의해 펴지거나 접히면서 추가 스트로우(500)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추가 스트로우(6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스트로우절취부(700)에 의해 타단부가 절취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팩본체(100)의 벽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추가 스트로우절취부(700)는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600)를 구성하는 상단날개부(150) 및 하단날개부(160) 중 추가 스트로우(500)가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팩본체(100)는 상단날개부(150) 및 하단날개부(160)가 절곡되어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음료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스트로우 연결부(300)를 구성하는 상단날개부(150) 또는 하단날개부(160)는 절곡되면서 팩본체(100)의 수용공간과 차단되므로 스트로우(200)의 유로를 차폐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할 경우, 스트로우(200)는 스트로우절취부(400)가 사용자에 의해 절취되면서 상단부가 팩본체(100)에서 분리된 후,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내측면(200a)이 벌어지면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로우 연결부(300)를 구성하는 상단날개부(150) 또는 하단날개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절곡부위가 펴지면서 스트로우(200)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음료를 섭취하지 않을 경우, 스트로우 연결부(300)를 구성하는 상단날개부(150) 또는 하단날개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삼각형태로 접히면서 스트로우(200)의 입구를 차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10)은 스트로우(200)가 팩본체(100)와 동일체로 구비됨으로써 플라스틱 빨대에 의한 환경오염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스트로우 연결부(300)에 의해 스트로우(200)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음료가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100 : 팩본체
150 : 상단날개부
160 : 하단날개부
200 : 스트로우
200a : 내측면
300 : 스트로우 연결부
400 : 스트로우 절취부
500 : 추가 스트로우
600 :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
700 : 추가 스트로우 절취부

Claims (11)

  1. 음료가 담기는 팩본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체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팩본체에 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음료를 배출하는 스트로우;
    상기 스트로우와 상기 팩본체의 연결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연결부위의 개폐를 허용하는 스트로우 연결부;
    상기 스트로우와 동일한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팩본체의 벽면 중 상기 스트로우가 연결된 벽면의 반대쪽 벽면에 배치되고, 길이방향 중 일단부가 상기 팩본체에 소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음료를 배출하는 추가 스트로우; 및
    상기 추가 스트로우와 상기 팩본체의 연결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연결부위의 개폐를 허용하는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는,
    상기 팩본체의 수용공간이 육면체를 이루도록 상기 팩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 양측에 각각 삼각형태로 접히는 한 쌍의 상단날개부 및 한 쌍의 하단날개부 중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스트로우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일단부가 소통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단날개부 및 상기 하단날개부는,
    각각 삼각형태로 접힌 상태로 절곡되어 상기 팩본체의 벽면에 각각 밀착되면서 상기 팩본체의 수용공간과 차단되고, 절곡부위가 외력에 의해 펴지면서 상기 팩본체의 수용공간과 소통되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팩은,
    상기 스트로우의 양단부 중 타단부를 절취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스트로우를 상기 팩본체의 벽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스트로우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절취부는,
    상기 스트로우의 일단부가 연결된 상기 상단날개부 및 상기 하단날개부 중 나머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는,
    관체를 이루는 내측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상기 스트로우절취부에 의해 상기 팩본체의 벽면에 고정되고, 상기 스트로우절취부에서 분리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내측면이 벌어지면서 관체를 형성하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는,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기 한 쌍의 상단날개부 및 상기 한 쌍의 하단날개부 중 상기 스트로우가 연결되지 않은 방향에 구비된 상기 상단날개부 및 상기 하단날개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하단날개부 중 하나로 구성되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상단날개부 중 하나로 구성되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스트로우 연결부는,
    상기 추가 스트로우의 양단부 중 타단부를 절취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추가 스트로우를 상기 팩본체의 벽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추가 스트로우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스트로우절취부는,
    상기 추가 스트로우의 일단부가 연결된 상기 상단날개부 및 상기 하단날개부 중 나머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KR1020190005377A 2019-01-15 2019-01-15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KR102107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77A KR102107540B1 (ko) 2019-01-15 2019-01-15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PCT/KR2019/016869 WO2020149524A1 (ko) 2019-01-15 2019-12-02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77A KR102107540B1 (ko) 2019-01-15 2019-01-15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540B1 true KR102107540B1 (ko) 2020-05-07

Family

ID=7073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377A KR102107540B1 (ko) 2019-01-15 2019-01-15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7540B1 (ko)
WO (1) WO20201495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200A (ko) 2020-11-13 2022-05-20 황창희 더 편하게 물을 마실 수 있는 주스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360A (ja) * 2001-09-26 2003-04-09 Noboru Nakamura 注出管付液体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180950U (ja) * 2012-10-31 2013-01-17 ユニバーサル・デザイン株式会社 ストロー付き紙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79177B1 (en) * 1995-05-29 2002-03-06 Smart Cup Ltd. Beverage container and bottom closure therefore
KR100870696B1 (ko) * 2007-08-29 2008-11-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봉 지퍼 빨대를 구비한 용기
CN201961675U (zh) * 2010-12-31 2011-09-07 上海市静安区青少年活动中心 自带吸管的牛奶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360A (ja) * 2001-09-26 2003-04-09 Noboru Nakamura 注出管付液体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180950U (ja) * 2012-10-31 2013-01-17 ユニバーサル・デザイン株式会社 ストロー付き紙パ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5200A (ko) 2020-11-13 2022-05-20 황창희 더 편하게 물을 마실 수 있는 주스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524A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461B1 (ko) 접착제가 없는 영역과 접착제 라벨을 가진 용기
US10065762B2 (en) Dispenser having a tower portion and an insert portion
ES2621811T3 (es) Artículo envasado
KR20110008147U (ko) 일회용 컵 뚜껑
KR102107540B1 (ko) 일체형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팩
KR20130037917A (ko) 젖은 티슈와 마른 티슈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 티슈
KR102086096B1 (ko) 인출 방지막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캡
KR20070054655A (ko) 위생 담배 케이스의 이너 라이너 및 이너 라이너를 구비한위생 담배 케이스
ES2961273T3 (es) Contenedor con caja y manguito con mecanismo de bloqueo
KR200440723Y1 (ko) 선물세트용 포장박스
US20090266725A1 (en) Cigarette pack
US20070102305A1 (en) Ophthalmic lens package with a frangible pouch and methods of its use
CN1321865C (zh) 带有可折叠式底壳的烟草制品包装
KR20140001528U (ko) 혼합수단이 내장된 포장박스
JP2004099177A (ja) 飲用物包装用パウチ
KR102127915B1 (ko) 양방향 음용부를 가지는 식품용기
KR200420867Y1 (ko)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기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JP2008174286A (ja) 密封袋
KR101927997B1 (ko) 스틱이 구비된 커피믹스
KR20140010810A (ko) 우유팩 밀폐 기능이 구비된 빨대 고정클립
CN208868473U (zh) 一种环保折叠包装盒
KR101257312B1 (ko) 물티슈용 포장팩
KR200430223Y1 (ko) 포장용 파우치
WO2007002501A2 (en) Collapsible receptacle f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
KR101309992B1 (ko)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