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500B1 -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500B1
KR100911500B1 KR1020070041876A KR20070041876A KR100911500B1 KR 100911500 B1 KR100911500 B1 KR 100911500B1 KR 1020070041876 A KR1020070041876 A KR 1020070041876A KR 20070041876 A KR20070041876 A KR 20070041876A KR 100911500 B1 KR100911500 B1 KR 10091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terminal
ship
sensors
monitor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937A (ko
Inventor
어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1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50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67Control, human or man machine interface, interactive, HMI, MM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장착되는 다수의 센서들을 제어 및 감시하는 제어 단말을 통해 상기 센서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센서들 중 임의의 센서로부터 센싱 값이 제어 단말로 입력되면, 입력되는 센싱 값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상위 운용자 단말로 전송하면서 적외선 통신 기법을 통해 무선 감시제어 단말로 분석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고, 무선 감시제어 단말 내부의 MMI 프로그램을 로딩(loading)시켜 분석 데이터를 운용자가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 감시제어 시스템에 무선 감시제어 기술을 추가함으로써, 그 동안 선박 감시제어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로컬 문제 원인파악 해결을 위해 여러 명의 유지보수 인력이 동원되어 오던 것을 최소의 인력과 최소의 공간이동으로 비상상황에 대처함으로써 인력운영 효율의 극대화 및 문제원인 파악을 위한 불필요한 공수 및 시간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점차 비대해져 가는 인건비 및 선박 테스트 시간을 단축하여 선박건조 및 유지보수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MMI(Man Machine Interface), PDA(Portable Digital Assistance)

Description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MONITORING SCHEME FOR VESSEL}
도 1은 종래의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1∼200/N : 운용자 단말 202/1∼202/N : 제어 단말
204 : 전류센서 206 : 온도센서
208 : 접촉센서 210 : 무선 감시제어 단말
본 발명은 선박용 감시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력 및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현장 상황을 효율적으로 파악하는데 적합한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이란, 선박 내의 각종 설비에 장착된 센서(sensor)들, 예를 들면 전류 센서, 온도 센서, 접촉 센서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종류에 따라 선박 내의 각종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비상상황 발생 시, 적절한 대응방안을 취하는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일컫는다.
예컨대, 센서들로부터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입력신호를 받아들여 필드 버스(field bus)의 통신선을 통해 통신 중계 장치를 거쳐 상단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상단 시스템의 모니터 상에 각종 설비의 상태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단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통신 중계 장치를 거쳐 하단 시스템으로 필드 버스의 통신선을 통해 전송하면 하단 시스템은 상단 시스템의 통신상의 명령에 따라 각종 설비의 구동장치로 출력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로서, 운용자 단말(100/1∼100/N), 제어 단말(102/1∼102/N), 전류 센서(104), 온도 센서(106), 접촉 센서(108)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운용자 단말(100/1∼100/N)은, 예를 들면 MMI(Man Machine Interface) PC로 구성되며, 제어 단말(102/1∼102/N)을 통해 운용자가 각종 센서들(104)(106)(108)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단말(102/1∼102/N)은 상기 센서들(104)(106)(108)을 제어하거나 감시하는 역할을 하는데, 센서(104)(106)(108)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압력, 밸브 등의 신호를 처리(processing)하여 상위의 운용자 단말(100/1∼100/N)로 현재 상태 정보 를 전송한다.
각각의 센서들(104)(106)(108)을 통한 데이터는 아날로그 신호(전류, 전압)와 온/오프(On/Off) 접점 등으로 되어 있으며, 센서(104)(106)(108)에서 감지되는 정보들은 임의의 제어 단말, 예를 들면 제어 단말 #N(102/N)으로 제공된다.
그런데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운용자 단말은 사무실 안에 위치하고, 각종 센서와 제어 단말은 로컬(local)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로컬(센서나 제어 단말)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점검해야 할 상황이 생기면 2명의 유지보수 작업자가 무전기로 교신하면서 상황을 해결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시간과 인력 측면에서 크나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선박의 감시제어 시스템은 많은 인력과 시간을 요구하고, 이는 선박을 선주에게 인도하는 시간의 연장, 선박 설계 인력의 비효율적 운영으로 이어져 결국 선박의 제조와 운영 면에서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선박의 운영, 관리 측면에서 선박 감시제어 시스템의 효율적인 기술개발 및 유지 보수 시스템의 개발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사안을 감안한 것으로, 휴대용 무선 감시제어 단말을 이용하여 인력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로컬에서 현장 상황을 파악하고 시스템 운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들과, 운용자가 상기 센서들의 상태를 유선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운용자 단말과, 상기 센서들을 제어 및 감시하며,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값을 분석 처리하고 이를 상기 선박의 센싱 신호 분석 데이터로서 상기 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 단말과,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센싱 신호 분석 데이터를 적외선 통신으로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분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처리하는 무선 감시제어 단말을 포함하는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로서, 운용자 단말(200/1∼200/N), 제어 단말(202/1∼202/N), 전류 센서(204), 온도 센서(206), 접촉 센서(208)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운용자 단말(200/1∼200/N)은, 예를 들면 MMI(Man Machine Interface) PC로 구성되며, 제어 단말(202/1∼202/N)을 통해 운용자가 각종 센서들(204)(206)(208)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단말(202/1∼202/N)은 상기 센서들(204)(206)(208)을 제어하거나 감시하는 역할을 하는데, 센서(204)(206)(208)로부터 입력되는 온도, 압력, 밸브 등의 신호를 분석 처리하여 상위의 운용자 단말(200/1∼200/N)로 현재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단말(202/1∼202/N)에는 무선 지원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며, 센서(204)(206)(208)들로부터의 센싱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무선 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무선 전송한다. 무선 전송 기법으로는, 예를 들면 적외선 통신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센서들(204)(206)(208)을 통한 데이터는 아날로그 신호(전류, 전압)와 온/오프(On/Off) 접점 등으로 되어 있으며, 센서(204)(206)(208)에서 감지되는 정보들은 임의의 제어 단말, 예를 들면 제어 단말 #N(202/N)으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감시제어 단말(210)은, 예를 들면 PDA(Portable Digital Assistance)로서, 운용자가 이동하면서 선박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무선 감시제어 단말(210)은 제어 단말, 예컨대 제어 단말 #N(202/N)으로부터 센싱 신호 분석 데이터를 무선 전송받고, 그에 대응하여 분석 데이터를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무선 감시제어 단말(210) 내부에는 유지보수를 위한 기본 기능을 가진 MMI 프로그램이 인스톨(install)되어 있으며, 무선 감시제어 단말(210)은 이와 같은 MM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어 단말 #N(202/N)으로부터 무선 수신한 센싱 신호 분석 데이터를 운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감시제어 단말(210)은, 운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컬의 전류 센서(204), 온도 센서(206), 접촉 센서(208) 등의 센싱 값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무선 감시제어 단말(210)의 무선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 단말 #N(202/N)이 전류 센서(204)의 센싱 값을 변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변화되는 전류 센서(204)의 센싱 값은 다시 무선 감시제어 단말(210)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의 처리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각각의 센서(204)(206)(208)로부터 임의의 센싱값(예를 들어, 전류 센서(204)로부터의 임의의 전류값)이 제어 단말(예를 들어, 제어 단말 #N(202/N))로 입력되면, 제어 단말 #N(102/N)은 입력되는 전류값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상위 운용자 단말(예를 들어, 운용자 단말 #N(200/N))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 단말 #N(202/N)에는 무선 지원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상위 운용자 단말 #N(200/N)으로 전송하는 동시에, 적외선 통신 기법을 통해 무선 감시제어 단말(210)로도 분석 데이터를 무선 전송한다.
제어 단말 #N(202/N)으로부터 분석 데이터를 무선 수신한 무선 감시제어 단말(210)은 내부 MMI 프로그램을 로딩시켜 분석 데이터를 운용자가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처리한다. 이때, 무선 감시제어 단말(210)은, 해당 분석 데이터에 문제가 발생시(예를 들어, 실제 입력값과 화면에 표시되는 측정값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운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컬의 전류 센서(204)의 센싱 값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변화되는 센싱 값은 다시 무선 감시제어 단말(210)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용자 단말, 제어 단말, 각종 센서들이 내부 유선 네트워크만을 통해서 처리되는 기존의 모니터링 환경을 탈피하여, 제어 단말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감시제어 단말을 통해 운용자가 무선으로 선박의 각종 센서들의 상태 정보를 무선 모니터링할 수 있게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 감시제어 시스템에 무선 감시제어 기술을 추가함으로써, 그 동안 선박 감시제어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로컬 문제 원인파악 해결을 위해 여러 명의 유지보수 인력이 동원되어 오던 것을 최소의 인력과 최소의 공간이동으로 비상상황에 대처함으로써 인력운영 효율의 극대화 및 문제원인 파악을 위한 불필요한 공수 및 시간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점차 비대해져 가는 인건비 및 선박 테스트 시간을 단축하여 선박건조 및 유지보수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당업자로부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선박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들과,
    운용자가 상기 센서들의 상태를 유선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운용자 단말과,
    상기 센서들을 제어 및 감시하며,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값을 분석 처리하고 이를 상기 선박의 센싱 신호 분석 데이터로서 상기 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 단말과,
    상기 제어 단말로부터 센싱 신호 분석 데이터를 적외선 통신으로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분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처리하는 무선 감시제어 단말
    을 포함하는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감시제어 단말 내부에는 유지보수를 위한 기본 기능을 갖는 MMI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감시제어 단말은, 운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들의 센싱값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감시제어 단말은, P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KR1020070041876A 2007-04-30 2007-04-30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KR100911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876A KR100911500B1 (ko) 2007-04-30 2007-04-30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876A KR100911500B1 (ko) 2007-04-30 2007-04-30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937A KR20080096937A (ko) 2008-11-04
KR100911500B1 true KR100911500B1 (ko) 2009-08-07

Family

ID=4028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876A KR100911500B1 (ko) 2007-04-30 2007-04-30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5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207B1 (ko) * 2011-07-07 2013-08-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육상건조 선박/해양구조물의 로드아웃시 진수바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39928B1 (ko) 2012-04-25 2013-12-10 주식회사 마린디지텍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240044671A (ko) 2022-09-29 2024-04-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Lng 연료 추진 선박용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701B1 (ko) * 2008-11-11 2011-01-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 메시지 전송 장치, 비상 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29599B1 (ko) * 2009-03-25 2009-12-03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선박 표적 제어 방법
KR101228058B1 (ko) * 2010-06-30 2013-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센서 어셈블리
KR101149018B1 (ko) * 2010-10-12 2012-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상태 판정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810Y1 (ko) 2002-04-10 2002-07-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감시제어 시스템의 원격 단말 장치용 아날로그 출력모듈
JP2003198439A (ja) 2001-12-26 2003-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中継器、無線中継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船舶内監視システム
KR100655899B1 (ko) * 2004-09-20 2006-1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웹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37067A (ko) * 2005-09-30 2007-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mi 프로그램상에서의 ncc 모듈 및 그 구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8439A (ja) 2001-12-26 2003-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中継器、無線中継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船舶内監視システム
KR200282810Y1 (ko) 2002-04-10 2002-07-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감시제어 시스템의 원격 단말 장치용 아날로그 출력모듈
KR100655899B1 (ko) * 2004-09-20 2006-12-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웹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37067A (ko) * 2005-09-30 2007-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mi 프로그램상에서의 ncc 모듈 및 그 구현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207B1 (ko) * 2011-07-07 2013-08-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육상건조 선박/해양구조물의 로드아웃시 진수바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39928B1 (ko) 2012-04-25 2013-12-10 주식회사 마린디지텍 위치기반의 통합형 무선 선박 관리 시스템
KR20240044671A (ko) 2022-09-29 2024-04-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Lng 연료 추진 선박용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937A (ko) 200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500B1 (ko)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KR100652876B1 (ko) 건설기계의 무선전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기계메인터넌스 시스템
US7043310B2 (en) Device and process for operation of automation components
US7486997B2 (en) Safety condition setting support device, program product and device control method for obtaining safety condition for safety network
KR102044328B1 (ko) 풀코드 스위치 모니터링 방법, 풀코드 스위치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콘베어 시스템
JP2007286798A (ja) プロセス制御装置およびプロセス制御方法
US8401678B2 (en) Mobil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KR102080533B1 (ko) 지하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진단 시스템
CN103220829A (zh) 无线网关设备、通信系统、及无线通信方法
JP2015103043A (ja) I/oモジュール及び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
US20080258906A1 (en) Integration System, System Integr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System Integration Program
KR20120018530A (ko)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
KR101149018B1 (ko) 선박 상태 판정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03873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operating mdi
JP5385821B2 (ja) 無線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
JP2013187737A (ja) 分析装置用携帯端末及びそれを用いた分析システム
JP2020188379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方法、データ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プログラム
CN207557737U (zh) 一种工业远程监控系统
KR102082858B1 (ko) 밀폐공간 저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217467522U (zh) 一种实验室远程监控系统
US20200380850A1 (en)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program
JP2008087899A (ja) エレベータの機能可変型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方法
JP2018191119A (ja) 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現場操作盤
KR102077335B1 (ko) 현장조작반
KR200211196Y1 (ko) 무선통신과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