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530A -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530A
KR20120018530A KR1020100081437A KR20100081437A KR20120018530A KR 20120018530 A KR20120018530 A KR 20120018530A KR 1020100081437 A KR1020100081437 A KR 1020100081437A KR 20100081437 A KR20100081437 A KR 20100081437A KR 20120018530 A KR20120018530 A KR 20120018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maintenance
land
vesse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대근
민인규
박동호
배정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8530A/ko
Publication of KR20120018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의 단면적 계산방법은, 선박의 운항을 제어하며, 선박 자동화 시스템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선박 통합 통신망이 구비되는 선박 자동화부와, 상기 선박에 구비되며, 상기 선박 자동화부와 상기 선박 통합 통신망을 연결하는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ISIG, Intra-Ship Integrated Gateway) 및,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와 위성으로 연결되며, 상호 요청되는 신호에 따른 정보를 웹 기반으로 무선 통신으로 처리하여 선박의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육상 지원부를 포함한다.
또한, 선박의 원격 접속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 등급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한 모니터링 기능 또는 진단 기능의 접근 권한을 제한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와, 접속하고자 하는 선박을 선택하고 실제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로, 인증된 사용자에 따라 접속 가능한 선박이 지도 상에 표시되는 선박 연결 단계와, 사용자 인증 및 선박 연결을 통해 선박과 연결되면 접근하고자 하는 선박 자동화 시스템을 선택하는 시스템 선택 단계와, 선내 설비의 운전상태 감시를 위한 모니터링 기능과, 해당 시스템의 분석 및 조치를 위한 진단 기능을 선택하는 유지보수 기능 선택 단계와, 선택된 유지보수 기능에 따라 세분화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세 기능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REMOTE SHIP MAINTENANC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의 유지보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을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진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용이하게 조치할 수 있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유지보수는 시스템이 설치된 후 행해지는 모든 작업으로 정의되며, 해당 시스템을 설치한 운영회사 예산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유지보수 기능은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가용성 및 안전성을 유지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므로 그 중요성이 계속 커지고 있다. 그리고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서비스 엔지니어의 이동 문제가 시간/비용적 측면에서 유지보수의 핵심 요소로 인식되면서 원격 유지보수의 필요성 또한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 원격 유지보수에 대한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인터넷 등의 표준화된 통신 인프라가 갖춰진 육상 자동화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선내 통신망과 육상과의 연계망이 체계적으로 확립되지 않은 선박의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그리고 IT 기술 적용시점이 상대적으로 늦었던 조선산업의 특수성으로 인해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또한, 선박은 운항 중에는 접근이 쉽지 않고 입출항 장소와 시간이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 서비스 엔지니어의 방선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서비스 엔지니어의 방선 대기시간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와 문제 발생에 대한 조치 지연으로 선주/선원의 불만 증가를 피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육상에서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 기능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선박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은, 선박의 운항을 제어하며, 선박 자동화 시스템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선박 통합 통신망이 구비되는 선박 자동화부와, 상기 선박에 구비되며, 상기 선박 자동화부와 상기 선박 통합 통신망을 연결하는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ISIG, Intra-Ship Integrated Gateway) 및,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와 위성으로 연결되며, 상호 요청되는 신호에 따른 정보를 웹 기반으로 무선 통신으로 처리하여 선박의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육상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는, 상기 육상 지원부의 요청신호가 송수신 되도록 하는 위성 모뎀 및, 상기 위성 모뎀으로 상기 육상 지원부의 요청신호에 대한 위성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위성 안테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육상 지원부는, 위성과 상기 육상 지원부를 연결하여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의 응답신호가 송수신 되도록 하는 위성 기지국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박 원격 유지보수를 위한 선박과 육상 간의 데이터 흐름은, 상기 육상 지원부의 요청신호를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처리하는 형태와, 상기 선박 자동화부에서 발생된 정보를 육상으로 일방 통보하는 형태 및, 상기 육상 지원부의 요청신호를 특정 선박 자동화부에서 처리하는 형태가 결합되어 운용될 수 있다.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처리되는 신호는, 상기 선박 자동화부의 장비 구성 정보 등과 같이 시스템에서 거의 변하지 않는 정적 정보 및, 모니터링 기능을 위해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운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육상으로 통보되는 신호는, 선박 자동화부 내부에서의 시스템 변경이나 중요 알람 등과 같이 긴급하게 육상으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선박 자동화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는, 진단 기능을 위해 선박 자동화부의 분석 및 조치를 수행하는 상기 육상 지원부의 요청신호 대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원격 선박 유지보수 방법은, 선박의 원격 접속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 등급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한 모니터링 기능 또는 진단 기능의 접근 권한을 제한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와, 접속하고자 하는 선박을 선택하고 실제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로, 인증된 사용자에 따라 접속 가능한 선박이 지도 상에 표시되는 선박 연결 단계와, 사용자 인증 및 선박 연결을 통해 선박과 연결되면 접근하고자 하는 선박 자동화 시스템을 선택하는 시스템 선택 단계와, 선내 설비의 운전상태 감시를 위한 모니터링 기능과, 해당 시스템의 분석 및 조치를 위한 진단 기능을 선택하는 유지보수 기능 선택 단계와, 선택된 유지보수 기능에 따라 세분화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세 기능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지보수 기능 선택 단계(S400)에서, 상기 모니터링 기능은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통합 화면으로 구성되거나 메뉴체계 기반의 공정도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단 기능은, 시스템 각 장비의 기본 구성정보, 현재 상태, 장비 간의 통신 상태, 시스템 파일 설치 정보, 각 장비의 구성정보 변경, 재기동, 데이터베이스 변경, 다운로드 및 시스템 파일 갱신 등의 분석 및 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통합적인 정보 수집, 분석 및 가공을 지원하는 선박 통합 통신망 기반의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를 육상과 연계하여 원격 감시, 진단 및 조치 등의 차세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선주사, IT 기자재 업체, 선박 A/S 업체 및 정보 서비스 업체 등에 선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육상에서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직접 선박에 승선하지 않고도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 필요한 조치 사항들을 즉각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에서 선박과 육상 간의 데이터 흐름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선박 유지보수 방법 대한 각 단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은,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인 HiDS(Hyundai Intelligent Doctor System)의 유지보수 기능 수행을 위한 선박과 육상 간 데이터 흐름과 계층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체계 정립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선박 통합 통신망과 선박-육상 연계망을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서 선박 통합 통신망은 선박 자동화 시스템을 연결하는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인 ISIG(Intra-Ship Integrated Gateway)에 의해 구축되며, 선박-육상 연계망은 위성통신을 통해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ISIG)와 연결된 웹 기반 육상 지원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은, 선박의 운항을 제어하며, 선박 자동화 시스템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선박 통합 통신망이 구비되는 선박 자동화부(100)와, 상기 선박에 구비되며, 상기 선박 자동화부(100)와 상기 선박 통합 통신망을 연결하는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ISIG, 210) 및,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210)와 위성(400)으로 연결되며, 상호 요청되는 신호에 따른 정보를 웹 기반으로 처리하여 선박의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육상 지원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210)는, 상기 육상 지원부(300)의 요청신호가 송수신 되도록 하는 위성 모뎀(220) 및, 상기 위성 모뎀(220)으로 상기 육상 지원부(300)의 요청신호에 대한 위성(400)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위성 안테나(230)가 구비되고, 상기 육상 지원부(300)는, 위성(400)과 상기 육상 지원부(300)를 연결하여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210)의 응답신호가 송수신 되도록 하는 위성 기지국(5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에서 선박 원격 유지보수를 위한 선박과 육상 간의 데이터 흐름은, 상기 육상 지원부(300)의 요청신호를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210)에서 처리하는 형태와, 상기 선박 자동화부(100)에서 발생된 정보를 육상으로 일방 통보하는 형태와, 상기 육상 지원부(300)의 요청신호를 특정 선박 자동화부(100)에서 처리하는 형태가 결합되어 운영된다.
여기서,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210)에서 처리되는 신호는, 상기 선박 자동화부(100)의 장비 구성 정보 등과 같이 시스템에서 거의 변하지 않는 정적 정보와, 모니터링 기능을 위해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운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육상으로 일방 통보되는 신호는, 선박 자동화부(100) 내부에서의 시스템 변경이나 중요 알람 등과 같이 긴급하게 육상으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선박 자동화부(100)에서 처리되는 신호는, 진단 기능을 위해 선박 자동화부(100)의 분석 및 조치를 수행하는 상기 육상 지원부(300)의 요청신호 대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갱신은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의 진단 기능에 해당하므로, 상기 시스템 갱신 요청신호는 특정 선박 자동화부(100)에서 처리되는 형태의 데이터 흐름을 따르며, 육상 측의 엔지니어와 선내 선원과의 상호 인지과정이 필요하므로, 갱신 요청 - 허락 - 갱신 수행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요청은 진행 과정 중에 선내 선원에 의해 취소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원격 선박 유지보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박의 원격 접속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 등급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한 모니터링 기능 또는 진단 기능의 접근 권한을 제한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S100)가 진행된다. 상기 사용자 인증 단계(S100)는 선박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유지보수를 실시하기 위하여 최초에 진행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접속하고자 하는 선박을 선택하고 실제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로, 인증된 사용자에 따라 접속 가능한 선박이 지도상에 표시되는 선박 연결 단계(S200)가 진행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인증 및 선박 연결을 통해 선박과 연결되면 접근하고자 하는 선박 자동화 시스템을 선택하는 시스템 선택 단계(S300)가 진행된다.
다음으로, 선내 설비의 운전상태 감시를 위한 모니터링 기능과, 해당 시스템의 분석 및 조치를 위한 진단 기능을 선택하는 유지보수 기능 선택 단계(S400)가 진행된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유지보수 기능에 따라 세분화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세 기능 제공 단계(S500)가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유지보수 기능 선택 단계(S400)에서, 상기 모니터링 기능은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통합 화면으로 구성되거나 메뉴체계 기반의 공정도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단 기능은, 시스템 각 장비의 기본 구성정보, 현재 상태, 장비 간의 통신 상태, 시스템 파일 설치 정보, 각 장비의 구성정보 변경, 재기동, 데이터베이스 변경, 다운로드 및 시스템 파일 갱신 등의 분석 및 조치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통합적인 정보 수집, 분석 및 가공을 지원하는 선박 통합 통신망 기반의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210)를 육상과 연계하여 원격 감시, 진단 및 조치 등의 차세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선주사, IT 기자재 업체, 선박 A/S 업체 및 정보 서비스 업체 등에 선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육상에서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직접 선박에 승선하지 않고도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 필요한 조치 사항들을 즉각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선박 자동화부 210: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ISIG)
220: 위성 모뎀 230: 위성 안테나
300: 육상 지원부 400: 위성
500: 위성 기지국

Claims (9)

  1. 선박의 운항을 제어하며, 선박 자동화 시스템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선박 통합 통신망이 구비되는 선박 자동화부;
    상기 선박에 구비되며, 상기 선박 자동화부와 상기 선박 통합 통신망을 연결하는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ISIG, Intra-Ship Integrated Gateway); 및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와 위성으로 연결되며, 상호 요청되는 신호에 따른 정보를 웹 기반으로 무선 통신으로 처리하여 선박의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육상 지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는, 상기 육상 지원부의 요청신호가 송수신 되도록 하는 위성 모뎀; 및
    상기 위성 모뎀으로 상기 육상 지원부의 요청신호에 대한 위성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위성 안테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지원부는, 위성과 상기 육상 지원부를 연결하여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의 응답신호가 송수신 되도록 하는 위성 기지국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원격 유지보수를 위한 선박과 육상 간의 데이터 흐름은, 상기 육상 지원부의 요청신호를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처리하는 형태와, 상기 선박 자동화부에서 발생된 정보를 육상으로 일방 통보하는 형태 및, 상기 육상 지원부의 요청신호를 특정 선박 자동화부에서 처리하는 형태가 결합되어 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내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처리되는 신호는, 상기 선박 자동화부의 장비 구성 정보 등과 같이 시스템에서 거의 변하지 않는 정적 정보 및, 모니터링 기능을 위해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운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으로 통보되는 신호는, 선박 자동화부 내부에서의 시스템 변경이나 중요 알람 등과 같이 긴급하게 육상으로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선박 자동화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는, 진단 기능을 위해 선박 자동화부의 분석 및 조치를 수행하는 상기 육상 지원부의 요청신호 대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8. 선박의 원격 접속 여부를 결정하고, 사용자 등급에 따라 유지보수를 위한 모니터링 기능 또는 진단 기능의 접근 권한을 제한하는 사용자 인증 단계(S100);
    접속하고자 하는 선박을 선택하고 실제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로, 인증된 사용자에 따라 접속 가능한 선박이 지도 상에 표시되는 선박 연결 단계(S200);
    사용자 인증 및 선박 연결을 통해 선박과 연결되면 접근하고자 하는 선박 자동화 시스템을 선택하는 시스템 선택 단계(S300);
    선내 설비의 운전상태 감시를 위한 모니터링 기능과, 해당 시스템의 분석 및 조치를 위한 진단 기능을 선택하는 유지보수 기능 선택 단계(S400);
    선택된 유지보수 기능에 따라 세분화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세 기능 제공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기능 선택 단계(S400)에서, 상기 모니터링 기능은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통합 화면으로 구성되거나 메뉴체계 기반의 공정도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단 기능은, 시스템 각 장비의 기본 구성정보, 현재 상태, 장비 간의 통신 상태, 시스템 파일 설치 정보, 각 장비의 구성정보 변경, 재기동, 데이터베이스 변경, 다운로드 및 시스템 파일 갱신 등의 분석 및 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방법.
KR1020100081437A 2010-08-23 2010-08-23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 KR20120018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37A KR20120018530A (ko) 2010-08-23 2010-08-23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37A KR20120018530A (ko) 2010-08-23 2010-08-23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30A true KR20120018530A (ko) 2012-03-05

Family

ID=4612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437A KR20120018530A (ko) 2010-08-23 2010-08-23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853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564B1 (ko) * 2013-03-15 2014-10-02 (주)네트 통신 네트워크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및 제어방법
KR20180058063A (ko) * 2016-11-23 2018-05-3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플랜트 비상 정지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20190045107A (ko) * 2019-04-08 2019-05-02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도선 운용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에 의한 도선 운용 시스템
KR20200080588A (ko) * 2018-12-27 2020-07-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20220090694A (ko) 2020-12-23 2022-06-30 엔지엘 주식회사 선박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20230059313A (ko) 2021-10-26 2023-05-03 (주)이노시뮬레이션 선박 원격 유지 보수 지원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564B1 (ko) * 2013-03-15 2014-10-02 (주)네트 통신 네트워크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및 제어방법
KR20180058063A (ko) * 2016-11-23 2018-05-3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플랜트 비상 정지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101881224B1 (ko) * 2016-11-23 2018-07-2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플랜트 비상 정지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KR20200080588A (ko) * 2018-12-27 2020-07-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사물인터넷 연계 클라우드 기반의 재기화 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20190045107A (ko) * 2019-04-08 2019-05-02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도선 운용을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에 의한 도선 운용 시스템
KR20220090694A (ko) 2020-12-23 2022-06-30 엔지엘 주식회사 선박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20230059313A (ko) 2021-10-26 2023-05-03 (주)이노시뮬레이션 선박 원격 유지 보수 지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8530A (ko)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
KR101236838B1 (ko)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EP2208188B1 (en) System for collection and distribution of machine data via a cellular device
US6941202B2 (en) Diagnostics/prognostics using wireless links
US20030176968A1 (en) Method of and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maintenance vehicle and service personnel tracking information with the remote monitoring of the location, status, utilization and condition of widely geographically dispersed fleets of vehicular construction equip
JP4014108B2 (ja) 船舶運航監視システム
US8868289B2 (en) Vehicle location navigation system
KR102113918B1 (ko) IoT 플랫폼과 증강현실을 이용한 도시가스 시설물 유지보수 작업지시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50046841A (ko) 컨테이너 감시 시스템
KR102055984B1 (ko) 도시가스 기반 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플랫폼 시스템 제어방법
KR100911500B1 (ko) 선박용 감시제어 시스템
KR20190056683A (ko) 클라우드 기반의 선박의 구역별 감지 및 네트워크 시스템
US20210123784A1 (en) Automations device for monitoring field level sensors in oil and gas industry
US10798172B2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o use the data processing system
WO2021035281A1 (en) Cathodic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KR101476740B1 (ko)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KR101179987B1 (ko) 선박의 ais를 이용한 도선 안내 시스템 및 도선 안내 방법
KR102085213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원격진단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
RU2703850C1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H10124790A (ja) 移動体通信を用いる検査システム
BG1487U1 (bg) Мобилен комплект за позициониране, сигнализация, навигация и комуникация
KR20170133037A (ko) 선박의 로컬 유지보수 및 재고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로컬 유지보수 및 재고관리 방법
CN204948121U (zh) 一种终端监控装置和中心监控装置
KR101858633B1 (ko)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US20100231412A1 (en) Device, in particular a power quality meter and a power quali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