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633B1 -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 Google Patents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633B1
KR101858633B1 KR1020120098742A KR20120098742A KR101858633B1 KR 101858633 B1 KR101858633 B1 KR 101858633B1 KR 1020120098742 A KR1020120098742 A KR 1020120098742A KR 20120098742 A KR20120098742 A KR 20120098742A KR 101858633 B1 KR101858633 B1 KR 101858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gateway
monitoring
inform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175A (ko
Inventor
문대근
민인규
오의석
염복진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2009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63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제1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선박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선박 모니터링 장비들,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기 선박의 조작을 수행하는 선박 조작 장비들 및 상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상기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 및 상기 선박의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로부터 선박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로부터 선박 조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선박 모니터링 정보와 상기 수신된 선박 조작 정보(이하, 저장 정보)를 저장하고, (i) 상기 외부로부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 정보 또는 상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에 요청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된 정보(이하, 실시간 정보)를 상기 외부에 전송하거나 또는 (ii) 상기 외부의 요청이 없더라도 상기 선박 모니터링 장비들 또는 상기 선박 조작 장비들에서 발생한 특정 이벤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에 알리는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SHIP CAPABLE OF REMOTE SUPERVISION}
본 출원은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성과 통합 통신망을 이용하여 선박 운항과 관련된 정보를 육상에서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는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IT 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조선산업에서도 선박 자동화에 대한 요구가 가속화되고 있다. 주요 선박 자동화 시스템은 통합 항해 시스템, 기관실 및 화물 감시 제어 시스템, 선박 자동 추진제어 시스템, 항해 정보 기록장치 등이 있으며, 이러한 선박 자동화 시스템이 항해정보 관리와 선내 각 설비의 감시 및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선박의 안정성 향상, 운항의 경제성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선박 자동화 시스템은 각 제품 제조사 고유의 통신망을 구성하고 있으며 외부 인터페이스를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므로 특정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해당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탑재된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해야 하는 애로사항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선박 자동화 시스템을 연결하는 표준화된 선박 통합 통신망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선박은 출항 이후에는 육상에서의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원격 감시를 위해서는 선박과 육상을 연결할 수 있는 위성통신 기반의 연계망 구축이 필요하다.
본 출원은 위성과 통합 통신망을 이용하여 선박 운항과 관련된 정보를 육상에서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는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선내의 다양한 선박 장비들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통합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은,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제1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선박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선박 모니터링 장비들,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기 선박의 조작을 수행하는 선박 조작 장비들 및 상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상기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 및 상기 선박의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로부터 선박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로부터 선박 조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선박 모니터링 정보와 상기 수신된 선박 조작 정보(이하, 저장 정보)를 저장하고, (i) 상기 외부로부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 정보 또는 상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에 요청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된 정보(이하, 실시간 정보)를 상기 외부에 전송하거나 또는 (ii) 상기 외부의 요청이 없더라도 상기 선박 모니터링 장비들 또는 상기 선박 조작 장비들에서 발생한 특정 이벤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에 알리는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로부터의 요청이 장비 구성 정보 요청에 상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는 상기 저장 정보를 상기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로부터의 요청이 실시간 운전 정보 요청 또는 실시간 상태 진단 요청에 상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는 상기 실시간 정보를 상기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들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형성되고, 상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및 상기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는 상기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와 동일한 프로토콜로 형성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를 통하지 않고 상기 외부와 통신을 직접적으로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는 상기 선박의 외부에서 호출될 수 있고 유한한 함수 집합으로 구성되는 인터워킹 함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은 위성통신을 이용하여 육상에서 운항 중인 선박을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개시된 기술은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를 사용하여 선내의 다양한 선박 장비들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통합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원격 감시 시스템이 구축된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인터워킹(Inter-Working) 함수 목록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출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원격 감시 시스템이 구축된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100)은 제1 선박 모니터링 장비(110), 제2 선박 모니터링 장비(120),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30), 제1 선박 조작 장비(140), 제2 선박 조작 장비(150),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160) 및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17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선박 모니터링 장비들(110,120)은 선박의 운전, 알람, 상태 정보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선박 모니터링 장비들(110,120)은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30)를 포함하고, 고유의 프로토콜로 제1 네트워크(610)를 형성하여 선박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30)는 제1 및 제2 선박 모니터링 장비들(110,120)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다.
제1 및 제2 선박 조작 장비들(140,150)은 선박의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선박 조작 장비들(140,150)은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160)를 포함하고, 고유의 프로토콜로 제2 네트워크(620)를 형성하여 선박의 조작을 수행한다.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160)는 제1 및 제2 선박 조작 장비들(140,150)로부터 선박 조작 정보를 수신한다.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170)는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30),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160) 및 선박의 외부에 있는 육상 지원시스템(190)과 통신을 수행하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선박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160)로부터 선박 조작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선박 모니터링 정보와 수신된 선박 조작 정보(이하, 저장 정보)를 저장한다.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170)에 저장되는 정보는 선박 시스템의 장비 구성 정보 등과 같이 거의 변하지 않는 정적 정보와 선박 모니터링 정보 및 선박 조작 정보로 구성되고 선박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실시간 운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170)는 저장 정보 또는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30) 또는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160)에 육상 지원시스템(190)의 요청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된 정보(이하, 실시간 정보)를 육상 지원시스템(190)에 전송하거나 또는 육상 지원시스템(190)의 요청이 없더라도 제1 및 제2 선박 모니터링 장비들(110,120) 또는 제1 및 제2 선박 조작 장비들(140,150)에서 발생한 특정 이벤트(예를 들면, 선내 시스템 변경, 주요 알람, 기타 운항 중 발생한 특이사항 등과 같이 긴급하게 육상으로 정보를 전달해야 할 경우)를 수신하여 육상 지원시스템(190)에 알린다. 육상 지원시스템(190)에 전달된 특정 이벤트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보된다.
일 실시예에서, 육상 지원시스템(190)으로부터의 요청이 장비 구성 정보(정적 정보) 요청에 상응하는 경우에는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170)는 저장 정보를 육상 지원시스템(19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육상 지원시스템(190)으로부터의 요청이 실시간 운전 정보 요청 또는 실시간 상태 진단 요청에 상응하는 경우에는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170)는 실시간 정보를 육상 지원시스템(19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610) 및 제2 네트워크(620)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610) 및 제2 네트워크(620)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화될 수 있다. 이중화된 네트워크는 도 1에서 두 개의 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중화된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두 개의 경로 중 어느 하나와 연결이 끊어져도 나머지 하나를 통하여 네트워킹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130) 및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160)는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170)와 동일한 프로토콜로 형성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170)를 통하지 않고 외부와의 통신(즉, 육상 지원시스템(190)과의 통신)을 직접적으로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박 원격 감시 시스템(200)은 선박 모니터링/조작 장비(210),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220) 및 육상 지원시스템(240)을 포함한다.
선박 원격 감시 기능 수행을 위한 선박과 육상 간의 정보 흐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제1 타입은 육상 지원시스템(240) 및 사용자의 요청이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220)에서 처리되는 형태이다. 사용자는 육상 지원시스템(240)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고, 육상 지원시스템(240)은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위성(230)통신을 사용하여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220)에 요청한다.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220)는 저장 정보 중에서 육상 지원시스템(240) 및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정적 정보 및 실시간 운전 정보 포함)를 처리하여 육상 지원시스템(240)에 응답하고, 육상 지원시스템(240)은 사용자에게 응답한다.
제2 타입은 선박 모니터링/조작 장비(210)에서 발생한 정보를 육상 지원시스템(240)으로 일방 통보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정보 흐름은 선내에서의 시스템 변경이나 주요 알람 등과 같이 긴급하게 육상 지원시스템(240)으로 정보를 전달해야 할 경우에 발생한다. 육상 지원시스템(240)에 전달된 이벤트는 SMS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보될 수 있다.
제3 타입은 사용자 및 육상 지원시스템(240)에서의 요청이 특정 선박 모니터링/조작 장비(210)에서 처리되는 형태이다. 선박 모니터링/조작 장비(210)는 사용자 및 육상 지원시스템(240)에서 요청한 정보에 대한 응답이나 명령에 대한 결과를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220)를 통하여 육상 지원시스템(240)에 전달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제공하는 인터워킹(Inter-Working) 함수 목록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170)는 선박(100)의 외부에서 호출될 수 있고 유한한 함수 집합으로 구성되는 인터워킹(Inter-Working) 함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워킹 함수는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170) 내에 포함된 인터워킹 모듈이 사용한다. 인터워킹 모듈은 선박 원격 감시 기능과의 연동을 통해 선내의 다양한 선박 장비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인터워킹 함수는 선박 정보 통합 관리 및 원격 감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체계화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함수의 집합이며, 콜백함수를 통한 비동기 호출을 지원한다.
도 3을 참조하면, API 함수는 장비 구성 및 기본 정보를 위한 시스템 기초 그룹, 장비 상태 및 통신라인 정보를 위한 상태 진단 그룹, 모니터링 정보를 위한 운전 감시 그룹,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위한 파일 관리 그룹, 시스템 구성 정보 및 소프트웨어 갱신을 위한 시스템 적용 그룹, 이벤트 등록 및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 처리 그룹, 시스템 전용 서비스 그룹 등의 7개 그룹으로 구분된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선박 110 : 제1 선박 모니터링 장비
120 : 제2 선박 모니터링 장비 130 :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140 : 제1 선박 조작 장비 150 : 제2 선박 조작 장비
160 :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 170 :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
180 : 위성 190 : 육상 지원시스템
200 : 선박 원격 감시 시스템 610 : 제1 네트워크
620 : 제2 네트워크

Claims (6)

  1.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제1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선박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선박 모니터링 장비들;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제2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기 선박의 조작을 수행하는 선박 조작 장비들; 및
    상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상기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 및 상기 선박의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로부터 선박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로부터 선박 조작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선박 모니터링 정보와 상기 수신된 선박 조작 정보(이하, 저장 정보)를 저장하고, (i) 상기 외부로부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 정보 또는 상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에 요청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된 정보(이하, 실시간 정보)를 상기 외부에 전송하거나 또는 (ii) 상기 외부의 요청이 없더라도 상기 선박 모니터링 장비들 또는 상기 선박 조작 장비들에서 발생한 특정 이벤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에 알리는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들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형성되고, 상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및 상기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는 상기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와 동일한 프로토콜로 형성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화되는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의 요청이 장비 구성 정보 요청에 상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는 상기 저장 정보를 상기 외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의 요청이 실시간 운전 정보 요청 또는 실시간 상태 진단 요청에 상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는 상기 실시간 정보를 상기 외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는
    상기 선박의 외부에서 호출될 수 있고 유한한 함수 집합으로 구성되는 인터워킹 함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모니터링 게이트웨이 및 상기 선박 조작 게이트웨이는
    상기 선박 통합 게이트웨이를 통하지 않고 상기 외부와 통신을 직접적으로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KR1020120098742A 2012-09-06 2012-09-06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KR101858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742A KR101858633B1 (ko) 2012-09-06 2012-09-06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742A KR101858633B1 (ko) 2012-09-06 2012-09-06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175A KR20140032175A (ko) 2014-03-14
KR101858633B1 true KR101858633B1 (ko) 2018-05-17

Family

ID=5064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742A KR101858633B1 (ko) 2012-09-06 2012-09-06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521B1 (ko) * 2022-12-21 2023-06-26 서영태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8136A (ja) * 2007-02-15 2008-08-2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の情報処理方法及び船舶の情報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8136A (ja) * 2007-02-15 2008-08-28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の情報処理方法及び船舶の情報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175A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70855B (zh) 一种物联网平台接入设备的方法
Rødseth et al. A system architecture for an unmanned ship
US20170078142A1 (en) Avionics calculator with integrated routing module, related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on installation, and aircraft comprising such a communication installation
US20130080903A1 (en) Plant communication network
JP2005027289A (ja) 作業機械においてサーバ動作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6280198A (ja) 電力系統保護制御システム
KR101707401B1 (ko) 자율 운항 선박을 위한 메시지 교환시스템
US9373199B2 (en) Autonomous system, device and method to provide data of the autonomous system
EP3575905A1 (en) Safety system and safety controller
EP3304289B1 (en) Safe aircraft avionics system interface
KR101858633B1 (ko)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JP5700370B2 (ja) ノード
WO2006030643A1 (ja) 統合システム、システム統合方法およびシステム統合プログラム
US20140215101A1 (en) Display device
KR20120018530A (ko)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유지보수 방법
KR101849297B1 (ko) 원격 접속이 가능한 선박
US20040076429A1 (en) Network component for an optical network comprising an emergency operation function, especially for an optical network in ring topology
US10798172B2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o use the data processing system
KR101476740B1 (ko)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JP2022071825A (ja) 機器診断装置、遠隔機器監視方法、遠隔機器監視システム及び機器診断プログラム
KR101060006B1 (ko) 운항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144026B2 (en) Plant-monitoring autonomous control system
JP6418320B2 (ja) 情報処理装置、クラウドサーバ装置、中継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55806B1 (ko) 상태 검사를 수행하는 통합항해시스템
KR20240062346A (ko) 선박 내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선박 내 로봇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