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521B1 -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521B1
KR102548521B1 KR1020220180380A KR20220180380A KR102548521B1 KR 102548521 B1 KR102548521 B1 KR 102548521B1 KR 1020220180380 A KR1020220180380 A KR 1020220180380A KR 20220180380 A KR20220180380 A KR 20220180380A KR 102548521 B1 KR102548521 B1 KR 102548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formation
ship
mooring
mo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태
Original Assignee
서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태 filed Critical 서영태
Priority to KR1020220180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이안 및 접안에 대한 정보와, 계류중인 상기 선박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고, 계류중인 상기 선박에 수도와 전력을 공급하는 계류관리장치; 및 상기 계류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선박의 이안 및 접안과 계류중인 상기 선박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계류관리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안 시설물에 계류중인 선박으로의 수도 또는 전력의 공급을 원격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선박들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SYSTEM FOR MOORING SHIPS INTEGRATION MANAGEMENT}
본 발명은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류장에 계류중인 선박으로의 수도 또는 전력의 공급을 원격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선박들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리나(Marina)는 요트나 레저용 보트 등의 선박을 위한 계류 시설과 수역 시설을 통해 종합 해양레포츠를 제공하기 위해 조성된 구역을 말하며, 선박의 계류장, 상점, 식당가 및 숙박시설 등을 갖춘 항구를 기반으로 하는 항만시설이다.
이러한 마리나 시설과 마리나 관련 인프라는 여러 선진국에서 고급 해양레포츠의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로서 평가되며, 최근에는 우리나라에도 항구가 위치한 지역에서 마리나의 건설 및 운용이 크게 증가하였고, 점차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페데스탈이란 상술한 마리나의 계류장에 설치되어 선박에 수도 또는 전력 등을 공급하는 장치로, 그 기능에 따라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제품과 불가능한 제품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원격 제어가 가능한 페데스탈의 수도 또는 전력의 사용에 따른 과금 방식은 대부분 선불식 카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마트폰 또는 RFID 카드를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페데스탈 장치는 수도와 전력의 공급 자체만을 제공할 목적으로만 설계되어 있어, 마리나에서의 복수의 선박들에 대한 관리는 개별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복수의 선박들의 접안과 이안, 선박들의 배터리 상태, 선박들의 바닥에 고인 오수를 의미하는 빌지(bilge)의 정도, 선박들의 침수발생 유무, 화재발생 유무 등의 복수의 선박들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통합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1280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안 시설물에 계류중인 선박으로의 수도 또는 전력의 공급을 원격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선박들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선박의 이안 및 접안에 대한 정보와, 계류중인 상기 선박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고, 계류중인 상기 선박에 수도와 전력을 공급하는 계류관리장치; 및 상기 계류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선박의 이안 및 접안과 계류중인 상기 선박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계류관리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선박의 이안, 접안 또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인 이동정보와, 상기 선박의 배터리 상태에 대한 정보인 배터리정보와, 상기 선박의 빌지(bilge)에 대한 정보인 빌지정보와, 상기 선박의 침수발생 유무에 대한 정보인 침수정보와, 상기 선박의 화재발생 유무에 대한 정보인 화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류관리장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점등하는 조명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에 수도를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조명부, 상기 급수부 및 상기 급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부는, 수도를 외부로 토출하는 급수 밸브와, 상기 급수 밸브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수도를 계량하는 수도계량기와, 상기 수도계량기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급수를 차단하는 급수차단 밸브와, 상기 수도계량기와 상기 급수차단 밸브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도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차단 밸브 또는 상기 드레인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계류중인 상기 선박에 급수 또는 급전이 되고 있는 경우, 각각 다른 패턴으로 점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안 시설물에 계류중인 선박으로의 수도 또는 전력의 공급을 원격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선박들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절기에 급수부의 수도계량기의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계류관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계류관리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계류관리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계류관리장치의 구성간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계류관리장치의 급수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계류관리장치의 공기주입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고무패킹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플랫폼의 계류관리장치 관리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플랫폼의 선박 관리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플랫폼의 제어 관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각의 "부", "모듈" 또는 "단계"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및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리며, 각각의 "부", "모듈" 또는 "단계"는 전자 통신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기반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은 유무선 통신망으로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access), LoRa(Long Range) 및 그 밖의 다양한 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은 이동 통신망일 수 있으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WI-FI, Bluetooth, zigbee등 저전력 통신망과 유/무선 IP 망일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계류관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계류관리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계류관리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계류관리장치의 구성간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계류관리장치의 급수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계류관리장치의 공기주입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고무패킹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플랫폼의 계류관리장치 관리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플랫폼의 선박 관리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의 플랫폼의 제어 관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100)은, 선박(110)과, 게이트웨이(120)와, 계류관리장치(130)와, 관리서버(140)를 포함한다.
선박(110)은 마리나의 접안 시설의 각각의 계류장으로부터 이안(離岸)하거나, 계류장으로 접안(接岸)하여 계류(繫留)하는 것으로, 이러한 선박(110)에는 선박(11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111)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선박(110)에는 선박(110)의 이안, 접안을 포함하는 선박(11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정보를 생성하는 제1 센서와, 선박(110)의 배터리 상태를 감지하여 배터리정보를 생성하는 제2 센서와, 선박(110)의 바닥에 고인 오수를 의미하는 빌지(bilge)를 감지하여 빌지정보를 생성하는 위한 제3 센서와, 선박(110)의 침수발생 유무를 감지하여 침수정보를 생성하는 제4 센서와, 선박(110)의 화재발생 유무를 감지하여 화재정보를 생성하는 제5 센서가 선박(110)의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120)는 단수 또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술한 선박(110)의 복수의 센서(111)들로부터 생성된 선박(110)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계류관리장치(130)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태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박(110)의 이안, 접안 또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인 이동정보와, 선박(110)의 배터리 상태에 대한 정보인 배터리정보와, 선박(110)의 바닥에 고인 오수를 의미하는 빌지(bilge)에 대한 정보인 빌지정보와, 선박(110)의 침수발생 유무에 대한 정보인 침수정보와, 선박(110)의 화재발생 유무에 대한 정보인 화재정보와, 잔여 수도량에 대한 정보인 잔여수도량정보와, 잔여 전력량에 대한 정보인 잔여전력량정보 등을 포함하는데, 게이트웨이(120)는 이러한 상태정보를 후술하는 계류관리장치(130)의 제어부(135)로 전송하며, 계류관리장치(130)는 이를 후술하는 관리서버(140)로 전송하여 관리서버(140)가 전용 플랫폼을 통해 복수의 선박(110)들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계류관리장치(130)는 계류장에 설치되어 계류중인 선박(110)에 수도와 전력을 공급하고,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후술하는 관리서버(140)로 전송하는 것으로, 게이트웨이(120)와 관리서버(140)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계류관리장치(13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접안 시설의 복수의 계류장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계류관리장치(130)는 보다 상세하게, 케이스부(131)와, 조명부(132)와, 급수부(133)와, 급전부(134)와, 제어부(135)와, 도어부(136)와, 공기주입모듈(137)과, 통신부(138)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31)는 조명부(132), 급수부(133), 급전부(134), 제어부(135), 공기주입모듈(137) 및/또는 통신부(138)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각각의 계류장에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부(131)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조명부(132), 급수부(133), 급전부(134), 제어부(135), 공기주입모듈(137) 및/또는 통신부(138)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그 형상 또는 재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조명부(132)는 기 설정된 광을 발광하도록 점등하는 것으로, 케이스부(131)의 상부 또는 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명부(132)는 제어부(135)의 제어 또는 관리서버(140)에서의 제어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각각의 계류관리장치(130)별, 접안 시설 라인별, 접안 시설 전체의 계류관리장치(130)의 조명의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으며, 마리나의 위치별, 일자별 또는 일출, 일몰 시간에 따라 조명부(132)가 자동으로 온오프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32)는 계류관리장치(130)가 계류중인 선박(110)에 수도 또는 전력을 공급할 때 급수 또는 급전이 되고 있거나, 추가적인 금액 결제가 필요한 경우, 기 설정된 패턴으로 점등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132)는 급수 또는 급전이 되고 있는 경우 각각 서로 다른 방식의 패턴으로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수되고 있는 경우 조명부(132)는 2초 간격으로 점등될 수 있고, 급전되고 있는 경우 조명부(132)는 1초 간격으로 점등될 수 있다. 또한, 급수 또는 급전이 되고 있는 경우 각각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수되고 있는 경우 조명부(132)는 청색으로 점등될 수 있고, 급전되고 있는 경우 조명부(132)는 황색으로 점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명부(132)에 따르면, 사용자는 조명부(132)의 점등 색 또는 점등 패턴만으로도 급수 또는 급전이 되고 있거나, 추가적인 금액 결제가 필요한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급수부(133)는 선박(110)에 수도를 공급, 즉 급수(給水)하는 것으로, 케이스부(131)에 설치된다.
이러한 급수부(133)는 보다 상세하게, 급수 밸브(133a)와, 수도계량기(133b)와, 급수차단 밸브(133c)와, 드레인 밸브(133d)를 포함한다.
급수 밸브(133a)는 수도를 외부로 토출하는 것으로, 복수개로 마련되어 케이스부(13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수도계량기(133b)는 외부로 토출되는 수도를 계량하는 것으로, 복수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급수 밸브(133a)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부(1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급수차단 밸브(133c)는 선택적으로 급수를 차단하는 것으로, 각각의 수도계량기(133b)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메인 급수 밸브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급수차단 밸브(133c)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될 수 있는데, 제어부(135)는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드레인 밸브(133d)는 동절기에 수도계량기(133b)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으로, 수도계량기(133b)와 급수차단 밸브(133c)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급수차단 밸브(133c)와 마찬가지로 드레인 밸브(133d)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될 수 있는데, 제어부(135)는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급수부(133)는 급수차단 밸브(133c)를 폐쇄하고 드레인 밸브(133d)를 개방한 후 별도의 에어펌프장치 등을 이용하여 계류관리장치(130)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수도계량기(133b) 내부의 수도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즉,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급수 밸브(133a)에 에어펌프장치 등을 연결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수도계량기(133b) 내부의 수도가 드레인 밸브(133d)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드레인 밸브(133d)에 에어펌프장치 등을 연결한 후 공기를 주입하여 수도계량기(133b) 내부의 수도가 급수 밸브(133a)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드레인 밸브(133d)에 따르면, 동절기에 급수부(133)의 수도계량기(133b)의 동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계류관리장치(130)는 공기주입모듈(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모듈(137)은 동절기에 수도계량기(133b)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계류관리장치(130)의 내부에서 수도계량기(133b)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주입모듈(137)은 보다 상세하게 하우징부(137a)와, 에어펌프(137b)와, 회전모터(137c)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37a)는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에어펌프(137b)와 회전모터(137c)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드레인 밸브(133d)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제1 유로(P1) 또는 제2 유로(P2)가 드레인 밸브(133d)와 연통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유로(P1)는 하우징부(137a)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드레인 밸브(133d)와 연통되는 경우 수도가 하우징부(137a)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유로(P2)는 하우징부(137a)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되 하단부가 후술하는 에어펌프(137b)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드레인 밸브(133d)와 연통되는 경우 에어펌프(137b)에서 발생된 공기가 드레인 밸브(133d)를 지나 수도계량기(133b)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에어펌프(137b)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우징부(137a)의 내부에 제2 유로(P2)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에어펌프(137b)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공지의 에어펌프모듈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모터(137c)는 하우징부(137a)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우징부(137a)의 중심 부분에 설치된다. 즉, 평상시에는 제1 유로(P1)가 드레인 밸브(133d)와 연통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수도가 제1 유로(P1)를 통해 하우징부(137a)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동절기에 수도계량기(133b) 내부의 수도를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하우징부(137a)가 회전하여 제2 유로(P2)가 드레인 밸브(133d)와 연통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에어펌프(137b)에서 발생된 공기가 제2 유로(P2)와 드레인밸브를 지나 수도계량기(133b)로 주입되어 수도계량기(133b) 내부의 수도가 급수 밸브(133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35)는 주기적으로 수도계량기(133b) 내부의 수도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주입모듈(137)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주입모듈(137)에 따르면, 동절기에 계류관리장치(130)의 수도계량기(133b) 내부의 수도를 별도의 에어펌프(137b)를 이용하여 일일이 배출시킬 필요 없이, 수도계량기(133b)가 동파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급전부(134)는 선박(110)에 전력을 공급, 즉 급전(給電)하는 것으로, 케이스부(131)에 설치된다. 이러한 급전부(134)는 선박(110)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35)는 직접 조명부(132), 급수부(133) 및 급전부(134)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관리서버(14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조명부(132), 급수부(133) 및 급전부(134)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케이스부(131)에 설치되며 관리서버(140)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135)에는 조명부(132), 급수부(133) 및 급전부(13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들로 구성된 버튼부와, RFID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하고 급수 및 급전의 비용 결제를 위한 RFID인식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부(136)는 제어부(13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부(131)에 설치된다. 한편, 해안의 접안 시설에 설치되는 계류관리장치(130)의 특성상 동절기에 도어부(136)가 얼어 열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131)의 부분 중 도어부(136)의 모서리가 접하는 부분에는(즉, 네 모서리 부분) 고무패킹(131a)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무패킹(131a)의 내부에는 열선(H)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열선(H)은 관리서버(140)의 제어 신호를 받은 제어부(135)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고무패킹(131a)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제어부(135)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과 동시에 도어부(136)가 얼어 열리지 않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신부(138)는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선박(110)의 상태정보를 전송받고, 관리서버(140)로 해당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게이트웨이(120)와 관리서버(140)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제어부(1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관리서버(140)는 각각의 계류관리장치(130)의 점등, 급수 및 급전 동작을 관리하고, 계류관리장치(130)로부터 선박(110)들의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선박(110)의 이안 및 접안과 계류중인 선박(110)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으로, 계류관리장치(130) 및 사용자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140)는 각각의 계류관리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전용 플랫폼을 통해 점등, 급수 및 급전 동작을 관리할 수 있고, 선박(110)들의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선박(110)의 이안 및 접안, 선박(110)의 배터리 상태, 선박(110)의 빌지 상태, 선박(110)의 침수발생 유무, 선박(110)의 화재발생 유무, 선박(110)의 잔여 수도량, 선박(110)의 잔여 전력량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해당 계류관리장치(130)에서의 사용량에 따른 결제를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전용 플랫폼은 PC 뿐만 아니라 모바일 장치와 같은 사용자단말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모바일 장치와 같은 사용자단말을 통해서도 계류관리장치(130)를 관리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게이트웨이(120)와, 계류관리장치(130)와, 관리서버(14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100)에 따르면, 접안 시설물에 계류중인 선박(110)으로의 수도 또는 전력의 공급을 원격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선박(110)들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절기에 급수부(133)의 수도계량기(133b)의 동파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110 : 선박
111 : 센서
120 : 게이트웨이
130 : 계류관리장치
131 : 케이스부
131a : 고무패킹
H : 열선
132 : 조명부
133 : 급수부
133a : 급수 밸브
133b : 수도계량기
133c : 급수차단 밸브
133d : 드레인 밸브
134 : 급전부
135 : 제어부
136 : 도어부
137 : 공기주입모듈
137a : 하우징부
P1 : 제1 유로
P2 : 제2 유로
137b : 에어펌프
137c : 회전모터
138 : 통신부
140 : 관리서버

Claims (6)

  1. 선박의 이안 및 접안에 대한 정보와, 계류중인 상기 선박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고, 계류중인 상기 선박에 수도와 전력을 공급하는 계류관리장치; 및
    상기 계류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선박의 이안 및 접안과 계류중인 상기 선박의 현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계류관리장치의 동작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관리장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점등하는 조명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에 수도를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부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조명부, 상기 급수부 및 상기 급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는,
    수도를 외부로 토출하는 급수 밸브와, 상기 급수 밸브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수도를 계량하는 수도계량기와, 상기 수도계량기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급수를 차단하는 급수차단 밸브와, 상기 수도계량기와 상기 급수차단 밸브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도계량기 내부의 수도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파를 방지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계류중인 상기 선박에 급수 또는 급전이 되고 있는 경우, 각각 서로 다른 패턴으로 점등하고,
    상기 조명부는,
    계류중인 상기 선박에 급수 또는 급전이 되고 있는 경우, 각각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선박의 이안, 접안 또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인 이동정보와, 상기 선박의 배터리 상태에 대한 정보인 배터리정보와, 상기 선박의 빌지(bilge)에 대한 정보인 빌지정보와, 상기 선박의 침수발생 유무에 대한 정보인 침수정보와, 상기 선박의 화재발생 유무에 대한 정보인 화재정보를 포함하는,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차단 밸브 또는 상기 드레인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6. 삭제
KR1020220180380A 2022-12-21 2022-12-21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548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380A KR102548521B1 (ko) 2022-12-21 2022-12-21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380A KR102548521B1 (ko) 2022-12-21 2022-12-21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521B1 true KR102548521B1 (ko) 2023-06-26

Family

ID=8694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0380A KR102548521B1 (ko) 2022-12-21 2022-12-21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52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174A (ko) * 2012-04-19 2013-10-29 주식회사 네오텍 해상 계류장 페데스탈의 원격제어시스템
KR20140032175A (ko) * 2012-09-06 2014-03-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KR101379821B1 (ko) * 2013-09-16 2014-04-07 주식회사 헤드터너 원격관제시스템을 이용한 선박 계류 서비스시스템
KR20140122089A (ko) * 2013-04-09 2014-10-17 원시스템주식회사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044868B1 (ko) * 2018-06-29 2019-11-14 김창영 로라 무선 통신 기반의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8043A (ko)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한스마린 계류 선박의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8174A (ko) * 2012-04-19 2013-10-29 주식회사 네오텍 해상 계류장 페데스탈의 원격제어시스템
KR20140032175A (ko) * 2012-09-06 2014-03-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격 감시가 가능한 선박
KR20140122089A (ko) * 2013-04-09 2014-10-17 원시스템주식회사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379821B1 (ko) * 2013-09-16 2014-04-07 주식회사 헤드터너 원격관제시스템을 이용한 선박 계류 서비스시스템
KR102044868B1 (ko) * 2018-06-29 2019-11-14 김창영 로라 무선 통신 기반의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8043A (ko)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한스마린 계류 선박의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9567A (en) Method of controlling an apparatus, which is operated by a solid-state processor and powered by an electric mains, in case of a power failure and apparatus employing said method
KR102548521B1 (ko)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US20090127119A1 (en) Electronic components associated and apparatus for deionization and electrochemical purification and regeneration of electrodes
EP1363834A2 (en) Marine vesse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111331B1 (ko) 실시간 무선 통신을 이용한 수중펌프 제어장치
CN105223975B (zh) 一种船模试验水池液位自动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10136211A (ko) 선박 평형수 동결 방지 장치 및 방법
US4662563A (en) Center pivot irrigation system
JP5184417B2 (ja) 水中ポンプの制御装置、マンホールポンプ装置、及び水中ポンプの制御方法
KR20160060800A (ko) 전해액 저장장치
KR102042568B1 (ko) 양변기용 물탱크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CN108729537A (zh) 水泵站排水控制方法
WO2013156945A1 (en) Static gas meter with measures transmission system and related transmission method
CN108264111A (zh) 缺水保护方法和净水器
AU2002100385B4 (en) Modified buchholz relay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gas generated by transformer internal faults
WO2013156946A1 (en) Static gas meter with improved electronics
US6731487B2 (en) Method and device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trip units containing microprocessors
EP2426565B1 (en) Grinder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CN106089756B (zh) 潜水泵控制装置
KR102200486B1 (ko) 방폭형 잔류 염소농도 측정장치
KR101122770B1 (ko) 선박 냉각 시스템용 해수 공급 장치
JP6946980B2 (ja) 燃料供給装置および燃料供給装置の制御方法
US20070051173A1 (en) System for fault-tolerant fluid level sensing and switching
JPH0658264A (ja) 自動給水装置
US20220270835A1 (en) Lock out and tag out control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