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089A -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089A
KR20140122089A KR20130038735A KR20130038735A KR20140122089A KR 20140122089 A KR20140122089 A KR 20140122089A KR 20130038735 A KR20130038735 A KR 20130038735A KR 20130038735 A KR20130038735 A KR 20130038735A KR 20140122089 A KR20140122089 A KR 20140122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controlling
power
shi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삼
Original Assignee
원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3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2089A/ko
Publication of KR2014012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박 계류시스템은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이 가능하고, 승선 위치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접안된 선박에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이 가능한 접안시설물; 및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을 위해 상기 접안시설물을 제어하고, 승선 위치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접안시설물을 제어하고,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위한 정산이 완료된 경우 전력원 및 수도공급원으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전력 및 수도가 상기 접안시설물을 통해 상기 접안된 선박에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계류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을 적용하고, 접안시설물의 승선 위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과 전력 및 수도 공급 기능 등을 계류관리장치에 통합함으로써 계류관리를 자동화 및 통합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Vessel mooring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선박의 계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선박 접안 구조를 제어하고, 선박 계류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계류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을 위한 계선장치를 이용하여 선박의 계류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선박 계류시스템은 예를 들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20-0453349)에 나타난 바와 같은 선박 접안 시설물에 선박이 계류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위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공개된 선박 접안 시설물은 선적이나 하역작업 및 선객의 승 하선이 용이하도록 접안부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선박 접안 시설물은 일반적인 이안 및 접안을 위한 시설 외에, 기계적 핸들의 조작에 의해 부유체에 물을 유입 및 유출시킴으로써 접안 시설물의 승선 위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선박의 계류시설의 편의성 증대 요구에 맞추고, 레저용 요트와 같은 값 비싼 선박의 계류를 위해서는, 자동화 및 통합화된 선박 계류시스템의 개발노력이 절실한 실정이다.
KR 20-0453349 B, 2011. 04. 18
본 발명의 목적은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을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선박 접안 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관리제어장치에 기존 계류제어 외에 다양한 기능을 통합화함으로써, 자동화 및 통합화된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은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이 가능하고, 승선 위치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접안된 선박에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이 가능한 접안시설물; 및 상기 접안시설물에 설치되어 계류를 관리하기 위한 계류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관리장치는,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을 위해 상기 접안시설물을 제어하기 위한 이안 및 접안모듈과, 승선 위치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접안시설물을 제어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모듈과,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위한 정산이 완료된 경우 전력원 및 수도공급원으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전력 및 수도가 상기 접안시설물을 통해 상기 접안된 선박에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전력 및 수도 공급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선반 계류시스템은 상기 계류관리장치와 사전에 설정된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이안 및 접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안 및 접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계류관리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승선 위치의 높낮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선 위치의 높낮이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계류관리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위한 정산 정보와 상기 전력 및 수도의 공급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계류관리장치로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이 가능하고, 승선 위치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접안된 선박에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이 가능한 접안시설물과 연동하여 계류를 관리하는 선박 계류시스템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선박 계류시스템의 운용방법은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을 위해 상기 접안시설물을 제어하는 단계; 승선 위치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접안시설물을 제어하는 단계; 및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위한 정산이 완료된 경우 전력원 및 수도공급원으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전력 및 수도가 상기 접안시설물을 통해 상기 접안된 선박에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접안시설물과의 연동 제어를 위해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을 적용하고, 접안시설물의 승선 위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과 전력 및 수도 공급 기능 등을 계류관리장치에 통합함으로써 계류관리의 자동화 및 통합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전에 설정된 네트워크를 통해 계류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공급하고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계류 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 계류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류관리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계류관리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들에 표시된 구성들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구성에 대한 설명 중 공지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류관리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1)은 접안시설물(110), 계류관리장치(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안시설물(110)은 선적이나 하역작업 및 승객의 승하선이 용이하도록 선박을 계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접안시설물(110)은 물위에 뜨는 부유체를 포함하며, 계류관리장치(120)의 제어에 의해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안시설물(110)은 계류관리장치(120)의 제어신호에 의해 부유체의 부력이 조절됨으로써 승선 위치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부유체는 물위에 뜰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플라스틱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부유체의 부력은 내측의 물을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외에도 부유체의 구조 및 부력을 조절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부유체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접안시설물(110)은 마리나용 푼툰(pontoon)의 용도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접안시설물(110)은 계류관리장치(120)의 제어에 의해, 계류된 선박에 전력 및 수도를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 및 파이프 등의 설비 및 구조를 갖출 수 있다.
계류관리장치(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안 및 접안모듈(122)과, 높낮이 조절모듈(124)과, 전력 및 수도 공급모듈(126)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안 및 접안모듈(122)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이 이루어지도록 접안시설물(110)을 제어할 수 있다.
높낮이 조절모듈(124)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외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승선 위치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접안시설물(110)의 제어한다. 예를 들면, 높낮이 조절모듈(124)은 접안시설물(110)의 부력이 조절되도록 접안시설물(110)을 제어함으로써 승선 위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력 및 수도 공급모듈(126)은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위한 정산이 완료되는 지를 판단하고, 정산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력원 및 수도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및 수도가 접안시설물(110)을 통해 접안된 선박에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계류관리장치에 대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200)은 접안시설물(210), 계류관리장치(220), 사용자 단말장치(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안시설물(21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안시설물(11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계류관리장치(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안 및 접안모듈(222)과, 높낮이 조절모듈(224)과, 전력 및 수도 공급모듈(226)과 통신모듈(22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안 및 접안모듈(222)과, 높낮이 조절모듈(224)과, 전력 및 수도 공급모듈(226)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계류관리장치(110)와 기능 상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서 추가된 통신모듈(228)은 사전에 설정된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230)와 연결하기 위한 기능모듈이다. 네트워크(N)는 별도로 구축된 유 무선 네트워크 망을 사용하거나, 상용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장치(230)는 계류관리장치(220)와 네트워크(N)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30)는 연결된 네트워크(N)를 통해 이안 및 접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안 및 접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계류관리장치(2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계류관리장치(220)가 이안 및 접안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230)는 연결된 네트워크(N)를 통해 승선 위치의 높낮이 정보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승선 위치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계류관리장치(2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계류관리장치(220)가 승선 위치의 높낮이 조절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230)는 연결된 네트워크(N)를 통해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위한 정산 정보와 전력 및 수도의 공급 상황정보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계류관리장치(2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계류관리장치(220)가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30)와 계류관리장치(22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N)는 무선 및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용 이동통신망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30)는 임베디드 OS기반에서 동작하는 휴대용 단말기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계류관리장치(22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계류관리장치(22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임베디드 OS 기반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230)는 계류관리장치(220)를 통해 선박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통제 센터의 메인 서버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230)는 메인 서버로서 기상, 소방 관련 정부 기관 및 금융 기관 등의 서버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100, 200)은 접안시설물(110, 210)과의 연동 제어를 위해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을 적용하고, 접안시설물(110, 210)의 승선 위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과 전력 및 수도 공급 기능 등을 계류관리장치(120, 220)에 통합함으로써 계류관리의 자동화 및 통합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100, 200)은 사전에 설정된 네트워크(N)를 통해 계류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230)로 공급하고 사용자 단말장치(230)를 통해 계류 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 계류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100, 200)의 운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선박 계류시스템(100, 200)은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을 위해 접안시설물(110, 210)을 제어하고(S510), 선박의 이안 및 접안 시 승선 위치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접안시설물(110, 210)을 제어한다(S520).
그리고, 선박 계류시스템(100, 200)은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위한 정산이 완료된 경우 전력원 및 수도공급원으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전력 및 수도가 접안시설물(110, 210)을 통해 접안된 선박에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한다(S53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200: 선박 계류시스템
110, 210: 접안시설물
120, 220: 계류관리장치
122, 222: 이안 및 접안모듈
126, 226: 전력 및 수도 공급모듈
228: 통신모듈
230: 사용자 단말장치

Claims (3)

  1.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이 가능하고, 승선 위치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접안된 선박에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이 가능한 접안시설물; 및
    상기 접안시설물에 설치되어 계류를 관리하기 위한 계류관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관리장치는,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을 위해 상기 접안시설물을 제어하기 위한 이안 및 접안모듈과, 승선 위치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접안시설물을 제어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모듈과,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위한 정산이 완료된 경우 전력원 및 수도공급원으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전력 및 수도가 상기 접안시설물을 통해 상기 접안된 선박에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전력 및 수도 공급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관리장치와 사전에 설정된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이안 및 접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안 및 접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계류관리장치로 송신하며,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승선 위치의 높낮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선 위치의 높낮이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계류관리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위한 정산 정보와 상기 전력 및 수도의 공급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계류관리장치로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시스템.
  3.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이 가능하고, 승선 위치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접안된 선박에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이 가능한 접안시설물과 연동하여 계류를 관리하는 선박 계류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선박의 이안 및 접안을 위해 상기 접안시설물을 제어하는 단계;
    승선 위치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접안시설물을 제어하는 단계; 및
    전력 및 수도의 공급을 위한 정산이 완료된 경우 전력원 및 수도공급원으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전력 및 수도가 상기 접안시설물을 통해 상기 접안된 선박에 각각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시스템의 운용방법.
KR20130038735A 2013-04-09 2013-04-09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40122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735A KR20140122089A (ko) 2013-04-09 2013-04-09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735A KR20140122089A (ko) 2013-04-09 2013-04-09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089A true KR20140122089A (ko) 2014-10-17

Family

ID=5199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8735A KR20140122089A (ko) 2013-04-09 2013-04-09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20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456B1 (ko) 2016-05-11 2016-09-05 (주)백산에스엔케이 해양 플랫폼의 무어링 시스템 자산 무결성 관리 방법
KR101713230B1 (ko) 2016-09-21 2017-03-07 주식회사 티원아이티 선박 원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713321B1 (ko) 2016-09-27 2017-03-22 주식회사 바론시스템 해양 플랫폼의 모니터링 데이터 관리 방법
WO2020013365A1 (ko) * 2018-07-13 2020-01-16 이산 주식회사 Iot 기술 기반 유비쿼터스 스마트 통합 계류 플랫폼
KR102548521B1 (ko) * 2022-12-21 2023-06-26 서영태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456B1 (ko) 2016-05-11 2016-09-05 (주)백산에스엔케이 해양 플랫폼의 무어링 시스템 자산 무결성 관리 방법
KR101713230B1 (ko) 2016-09-21 2017-03-07 주식회사 티원아이티 선박 원격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713321B1 (ko) 2016-09-27 2017-03-22 주식회사 바론시스템 해양 플랫폼의 모니터링 데이터 관리 방법
WO2020013365A1 (ko) * 2018-07-13 2020-01-16 이산 주식회사 Iot 기술 기반 유비쿼터스 스마트 통합 계류 플랫폼
KR102548521B1 (ko) * 2022-12-21 2023-06-26 서영태 계류 선박의 통합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2089A (ko) 선박 계류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N109153433B (zh) 远程控制拖船、陆基控制中心、系统以及控制拖船的方法
CN106314733B (zh) 一种无人驾驶水下摄影机器人
CN109741635B (zh) 一种船舶控制方法和系统
KR102073846B1 (ko) 사고 선박의 위치추적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4184555U (zh) 一种新型浮船坞
CN204480049U (zh) 一种自动泊船系统
EP3781471B1 (en) Rov deployed power buoy system
CN106741782A (zh) 一种基于风能驱动的无人船及其航行控制方法
CN104781140A (zh) 系泊船只的方法和实现这种方法的布置
EP4164919B1 (en) Autonomous seagoing power replenishment watercraft
US1162891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ying, deploying and operating subsea robotic systems
KR20140122088A (ko) 정보통신 기반의 스마트제어가 가능한 계류관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292563B2 (en) Methods for subsea vehicles supervised control
CN111122985A (zh) 一种自主式水下电磁信号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10362097A (zh) 水质采样无人艇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140107034A (ko) 선회식 추진기 설치용 수중 바지선
Gucma et al. Optimization of LNG terminal parameters for a wide range of gas tanker sizes: the case of the port of Świnoujście
CN112572733A (zh) 一种无人机水下存储装置
CN112068546A (zh) 一种船舶无人自主航行控制系统及方法
EP4183619A1 (en) A resource supply management device of a vessel and a method for managing the resource supply
KR101524214B1 (ko) 하역 위치의 제어가 용이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CN203996827U (zh) 一种改进的两用船
KR102095414B1 (ko) 휴대단말장치를 이용한 선박의 위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9559561A (zh) 船舶交通流诱导信息显示设备及交通流诱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