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128U -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128U
KR20120001128U KR2020100008291U KR20100008291U KR20120001128U KR 20120001128 U KR20120001128 U KR 20120001128U KR 2020100008291 U KR2020100008291 U KR 2020100008291U KR 20100008291 U KR20100008291 U KR 20100008291U KR 20120001128 U KR20120001128 U KR 201200011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bar
disposed
rotation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895Y1 (ko
Inventor
유덕희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8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89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1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8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8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56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 H01H19/58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0Contact mounted so that its contact-making surface is flush with adjoining insulation
    • H01H2001/406Contact mounted so that its contact-making surface is flush with adjoining insulation with holes or recesses between adjacent contacts, e.g. to collect abrasion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2Application transmission, e.g.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 gear selector or automa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N 레인지를 포함하는 변속 레인지를 감지 출력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가동 단자를 구비하는 가동 단자부; 상기 가동 단자가 배치되는 회동 바아;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반경 상에 상기 가동 단자와 접촉 가능한 복수 개의 고정 단자가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가동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회동 바아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상태에 따른 변속 레인지를 표시하는 레인지 표시부;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N 레인지를 포함하는 변속 레인지를 감지 출력하고, 하나 이상의 가동 단자를 구비하는 가동 단자부; 상기 가동 단자가 배치되는 회동 바아;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반경 상에 상기 가동 단자와 접촉 가능한 복수 개의 고정 단자가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가동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회동 바아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상태에 따른 변속 레인지를 표시하는 레인지 표시부;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와, 상기 회동 바아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을 제한하는 템포러리 캡을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INHIBITOR SWITCH FOR A VEHICLE AND ASSEMBLY UNIT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인히비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공정을 보다 수월하고 신속하게 이루도록 하는 구조의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데, 차량의 핵심 구동 요소로서의 엔진 및 변속기에 대한 전자적 제어를 포함한 각종 구성 요소는 전자화되었거나 전자화 단계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도심에서의 복잡한 교통 상황에서의 원활하면서도 여유있는 주행을 위하여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의 비중이 급증하고 있는데,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통하여 원하는 변속 레인지를 설정하는 경우, 운전자의 설정 변속 레인지는 변속기의 제어를 담당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및 각종 제어부로 전달되어, 차량 시동시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고, 주행 중 설정된 변속 레인지에서의 변속단 설정, 해제 및 후진등 전장 제어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변속 레버를 통한 변속 레인지에 대한 운전자의 의도는 인히비터 스위치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로 전환되어 상기한 각종 전자적 구성 요소로 전달된다. 한국 공개 실용신안등록 공보 제2005-98617호에는 복수 개의 접점 및 셀렉트 레버와의 접속을 통하여 운전자가 설정한 해당 변속 레인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의 인히비터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는 단순한 하우징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하우징의 파손 뿐만 아니라, 내부 구성요소, 즉 가동 단자 등의 손상으로 인하여 인히비터 스위치의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많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는 단일의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발생하는 터미널 라인 들의 열변형 내지 내부 구성 요소의 불완전 형성이나 버어(burr) 등의 발생으로 인한 오작동을 유발하는 불량품 생성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문제되는 것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는 복잡한 배선 라인을 통하여 장치의 크기가 상당하여 컴팩트한 구성을 요하는 근래의 자동차 기술에 부합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 상에서 내부 단자의 위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 변속 레인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즉, 초음파 융착 내지 스크류 조립 등을 통하여 내부 구성요소가 조립된 상태에서 변속 레인지의 위치 변동 확인은 상당히 어려워, 별도의 검사기 등을 사용하는 등 복잡한 공정으로 인한 제조 공정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립 공정 중에서도 내부 구성요소의 상태 변화로 인한 변속 레인지 변동이 발생하더라도 현재 변속 레인지를 신속하게 파악 가능하여 차량 조립 공정시 신속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N 레인지를 포함하는 변속 레인지를 감지 출력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가동 단자를 구비하는 가동 단자부; 상기 가동 단자가 배치되는 회동 바아;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반경 상에 상기 가동 단자와 접촉 가능한 복수 개의 고정 단자가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가동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회동 바아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상태에 따른 변속 레인지를 표시하는 레인지 표시부;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표시부는: 상기 회동 바아에 배치되는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의 가동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레인지 표시 윈도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표시 윈도우는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에 대한 변속 레인지 마커가 표시되고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표시 윈도우는: 일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변속 레인지에 대한 변속 레인지 마커와, 상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의 가동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중심과 상기 변속 레인지 마커와의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 인디케이터 관통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바아 중심축이 배치되고, 상기 회동 바아 중심축에 배치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 측과 관통 연결되는 회동 바아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는 장방형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의 장방향 축선과,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의 중심과 상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를 연결하는 선분은 사전 설정된 중립 각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레인지 표시 윈도우는 일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변속 레인지에 대한 변속 레인지 마커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레인지 마커 중 N 레인지를 나타내는 N 변속 레인지 마커를 향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의 내측에 형성되는 커버 플레이트 N 체커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부는: 상기 회동 바아에 배치되는 가동 탄성 부재와, 상기 가동 탄성 부재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 단자 수평부 및 상기 가동 단자 수평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 바아에 수용 지지되는 가동 단자 수직부를 구비하는 가동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동 단자 리브와 접촉 가능한 상기 가동 단자 수평부의 하단은 라운딩 가공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N 레인지를 포함하는 변속 레인지를 감지 출력하고, 하나 이상의 가동 단자를 구비하는 가동 단자부; 상기 가동 단자가 배치되는 회동 바아;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반경 상에 상기 가동 단자와 접촉 가능한 복수 개의 고정 단자가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가동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회동 바아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상태에 따른 변속 레인지를 표시하는 레인지 표시부;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와, 상기 회동 바아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을 제한하는 템포러리 캡을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표시부는: 상기 회동 바아에 배치되는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의 가동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레인지 표시 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바아 중심축이 배치되고, 상기 회동 바아 중심축에 배치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 측과 관통 연결되는 회동 바아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는 장방형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의 장방향 축선과,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의 중심과 상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를 연결하는 선분은 사전 설정된 중립 각도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레인지 표시 윈도우는 일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변속 레인지에 대한 변속 레인지 마커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레인지 마커 중 N 레인지를 나타내는 N 변속 레인지 마커를 향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의 내측에 형성되는 커버 플레이트 N 체커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가 조립된 상태이더라도 레인지 표시부를 통하여 현재 회동 바아를 통한 변속 레인지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원활한 조립 공정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는, 템포러리 캠의 회동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회동 바아의 위치 변동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설정된 변속 레인지 위치를 안정적으로 확보 가능하게 하여 신속한 조립 공정을 통한 공정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레인지 표시부의 다른 일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레인지 표시부가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가 배치되는 회동 바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회동 바아가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의 템포러리 캡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의 템포러리 캡이 장착된 구조의 개략적인 절단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레인지 표시부의 다른 일예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레인지 표시부가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가 배치되는 회동 바아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도 4 및 도 5의 회동 바아가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의 템포러리 캡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8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의 템포러리 캡이 장착된 구조의 개략적인 절단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9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10)는 N 레인지를 포함하는 변속 레인지를 감지 출력한다.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가동 단자부(400)와, 회동 바아(200)와, 하우징부(100)와 레인지 표시부(50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부(100)는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커버 플레이트(110)를 구비한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인서트 사출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10)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상단에 배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커버 플레이트(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하기되는 회동 바아(200)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커버 플레이트(110)는 하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10)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지지하는 범위에서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10)의 하중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재료로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면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향한 하면에는 커버 플레이트 실러 장착부(114, 도 9 참조)가 배치되는데, 커버 플레이트 실러 장착부(114)에는 실러 링(115)이 배치된다. 즉, 실러 링(115)은 커버 플레이트 실러 장착부(114)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커버 플레이트(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상호 체결되는 경우 커버 플레이트(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20) 간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외부 이물 등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10)에는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111)가 형성되는데, 이를 통하여 변속기 측으로부터의 구성요소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여 내부에 배치되는 회동 바아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121)가 형성되는데, 커버 플레이트(110)는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121)를 상부에 배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121)를 폐쇄시키도록 배치된다.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121)의 내주에는 커버 플레이트 안착부(미도시) 및 커버 플레이트 장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커버 플레이트(110)가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121)를 덮고 안정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일측에는 하우징 커넥터부(125)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커넥터부(125)에는 하기되는 고정 단자(300)와 연결되는 고정 단자의 커넥터 영역이 배치되고 TCU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일면 상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10)가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외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 장착부(124)가 구비되어 차량(미도시)의 내부에 고정 장착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121) 내부의 일면 상에는 복수 개의 고정 단자(310,320)가 배치되고, 커버 플레이트(110)와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회동 바아(200)와 가동 단자부(400)가 배치된다.
한편,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금속 보강 플레이트(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는데, 금속 보강 플레이트는 커버 플레이트(110)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단일의 철제 강판과 같은 금속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하여 형성되어 외부 충격등으로부터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를 보호하는 구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동시에, 박판 형태의 금속 보강 플레이트 구조를 취하여 커버 플레이트 전체를 금속재로 형성하여 발생 가능한 과도한 중량으로 인한 자중 증대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충분한 강성을 구비하여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외부로 노출된 영역에 대한 충격 보호 등을 안정적으로 이루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회동 바아(200)와 가동 단자부(400)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베이스 플레이트 개구(121)에 의하여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데, 가동 단자부(400)는 하나 이상의 가동 단자(420)를 포함한다.
회동 바아(200)는 회동 바아 중심축(220)과, 회동 바아 중심축(22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동 바아 프레임(230)이 배치된다. 회동 바아 중심축(220)은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회동 바아 중심축(220)의 외주에는 회동 바아 중심축 실러(240, 도 3 및 도 5 참조)가 배치되어 외부 이물이 하우징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에는 회동 바아 중심축 장착구(123)가 배치되고, 회동 바아 중심축 장착구(123)의 외주에는 수 개의 돌기 장착부가 배치된다. 회동 바아 중심축(220)은 회동 바아 중심축 장착구(12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 개의 돌기 장착부와 맞물리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커버 플레이트(110)가 형성한 내부 공간에서 안정적인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회동 바아 중심축(220)의 상단에는 회동 바아 연결구(210)가 구비되는데, 회동 바아 연결구(210)는 커버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111) 및/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관통구(123)를 통하여 외부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미도시)와 기구적 연결을 이룸으로써, 변속 레버의 동작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회동 바아(200)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커버 플레이트(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회동 바아(200)가 대응되는 위치로 회동하는데, 이에 대하여는 본 기술분야에서 명백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회동 바아 연결구(210)의 내측에는 회동 바아 연결 장착부(211)가 더 구비되어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 측과의 맞물림 연결을 이루어 양자 간의 상대 회동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변속 레인지 쉬프팅 기능을 확보할 수도 있다.
회동 바아(200)의 회동 바아 프레임(230)의 내측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일면을 향한 영역에는 가동 단자부(400)가 배치되는데, 가동 단자부(400)는 하나 이상의 가동 단자(420)를 포함한다. 가동 단자(420)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의 고정 단자(300)와 접촉하여 전기적 변화를 발생시키는데, 회동 바아 프레임(230)의 내측에는 가동 단자 수용 돌기(231)가 회동 바아 프레임(230)의 일면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가동 단자 수용 돌기(231)는 가동 단자 수용홈(233)을 형성하는데, 가동 단자(420)는 가동 단자 수용홈(233)에 수용된다. 여기서 가동 단자(420)는 한 개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 단자는 두 개가 배치되는데, 두 개의 가동 단자는 회동 바아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이한 반경 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가동 단자(420)는 두 개의 가동 단자 수직부(421)와 한 개의 가동 단자 수평부(423)를 포함하는데, 가동 단자 수평부(42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가동 단자 수직부(421)의 일측으로, 각각의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향한 단부로부터 커버 플레이트(110)를 향한 상측 부위에 연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두 개의 가동 단자 수직부(421)와 가동 단자 수평부(423)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두 개의 서로 평행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두 개의 가동 단자 수직부(421)는 가동 단자 수평부(423)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즉, 가동 단자 수직부(421)의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 단자(300)와 각각 개별적인 접속을 이루는데, 서로 이격된 고정 단자(300)의 각각의 부위와 접촉하는 각각의 가동 단자 수직부(421)의 단부는 가동 단자 수평부(423)를 통하여 전기적 소통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가동 단자(420)가 베이스 플레이트(12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가동 단자(420)와 고정 단자(300) 간의 접속이 해제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한 전기적 흐름이 변화되어 소정의 신호 변화를 유발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N(중립), P(주차), D(주행), R(후진) 등과 같은 소정의 변속 레인지에 대한 신호를 출력한다.
가동 단자(420)와 회동 바아(200)의 회동 바아 프레임(230) 사이에는 가동 탄성 부재(410)가 구비되는데, 가동 탄성 부재(420)는 일단이 회동 바아 프레임(230)의 일면과 타단은 가동 단자(420)의 가동 단자 수평부(423)와 접촉을 이룬다. 회동 바아 프레임(230)에는 가동 단자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가동 단자 수용홈의 내면에는 탄성 부재 수용홈(미도시)가 형성되고 가동 단자 수평부(423)의 외주에는 탄성 부재 수용 수평부 홈(미도시)이 형성되는데, 가동 탄성 부재(410)의 일단은 탄성 부재 수용홈에 장착되고 가동 탄성 부재(410)의 타단은 탄성 부재 수용 수평부 홈에 수용된다. 가동 탄성 부재(410)는 길이 방향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가동 단자(420)가 가동 단자 수용홈의 내부에서 가동 가능하도록 가동 단자(420)를 탄성 지지한다.
또한, 하우징부의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내부 일면면으로 복수 개의 고정 단자가 배치되는 영역의 사이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가동 단자 리브(126)가 배치되는데, 가동 단자 리브(126)는 소정의 단차 구조를 이루어 설계 사양에 따라 정해지 위치에서 가동 단자를 커버 플레이트 측으로 상승시켜 해당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 간의 접촉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단속을 발생시켜 해당 변속 레인지에 대한 대응 신호를 출력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동 단자 리브(126)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 단자(420)의 가동 단자 수평부(433)의 하단에는 가동 단자 수평부 라운더(434)가 배치되는데, 가동 단자 수평부 라운더(434)는 라운딩 가공 처리됨으로써 회동 바아(200)가 회동하여 가동 단자(410)가 회동 바아(200)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선회 운동을 이루어 가동 단자 수평부 라운더(434)와 가동 단자 리브(126) 간의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가동 단자(420)의 안정적인 상승 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동 저항을 방지 내지 최소화하여 원활한 변속 레인지 선택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300)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하우징부,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0)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고정 단자(300)는 고정 단자 접지 터미널(320)과 복수 개의 고정 단자 출력 터미널(310)을 구비한다. 고정 단자 출력 터미널(310)은 회동 바아(200)의 회동 상태에 따른 N,P,D,R 등의 변속 레인지 신호를 형성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일면 상에 회동 바아(200)에 배치되는 가동 단자(420)와 접촉하도록 노출 배치되고, 고정 단자 접지 터미널(320)은 고정 단자 출력 터미널(310)과 이격되어 하우징부(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일면 상에 가동 단자(420)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하우징부(100)에 인서트 사출되어 배치되는데, 고정 단자 접지 터미널(320)은 가동 단자(420)를 통하여 고정 단자 출력 터미널(310)과 접속 상태 형성 가능, 즉 전기적 소통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고정 단자 출력 터미널 및 고정 단자 접지 터미널(320)은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호상(弧狀) 라인으로 구성되고 입체적 구조를 이룸으로써 고정 단자 출력 터미널 커넥터 영역(313)과 고정 단자 접지 터미널 커넥터 영역(323)의 복수 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단자 출력 터미널(310)과 고정 단자 접지터미널(320)은 개별적인 구성을 취하는데, 각각의 고정 단자 출력 터미널(130)은 가동 단자(420)와 접촉 가능한 고정 단자 출력 터미널 접촉 영역(311)와 고정 단자 출력 터미널 커넥터 영역(313)을 구비한다. 각각의 고정 단자 출력 터미널 커넥터 영역(313)은 하우징 커넥터부(125)에 배치되고 하우징 커넥터부(125)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고정 단자 접지 터미널(320)은 고정 단자 접지 티미널 접촉 영역(321)과 고정 단자 접지 터미널 커넥터 영역(323)을 구비하는데, 양자는 서로 연결되고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고정 단자 접지 터미널 커넥터 영역(323)은 하우징 커넥터부(125)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고정 단자 접지 터미널 접촉 영역(321)은 하우징부(100)의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내부 일면 상에 가동 단자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본 고안의 고정 단자 접지 터미널 접촉 영역(321)은 호상(弧狀) 라인과 연결 영역의 입체적 구조를 통하여 회동 바아의 반경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궁극적으로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크기를 컴팩트화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10)는 레인지 표시부(500)를 구비하는데, 레인지 표시부(500)는 하우징부(100) 및 회동 바아(200)에 배치되어 운전자의 변속 레버 조작을 통하여 전달되는 조작력에 의하여 회동 운동을 이루는 회동 바아(200)의 회동 상태에 따라 D,N,R,P 등의 변속 레인지를 표시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표시부(500)는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10)와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를 포함하는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10)는 회동 바아(200)에 배치되고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는 하우징부(100)의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10)의 가동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10)는 회동 바아(200), 보다 구체적으로 회동 바아 중심축(220)의 외측으로 회동 바아 프레임(230)의 커버 플레이트(110)를 향한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10)는 회동 바아 프레임(23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10)에는 회동 바아 프레임(230)과는 상이한 색상으로 배색 구조를 형성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회동 바아 중심축에 의하여 지시되는 방향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는 하우징부(100)에 배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는 하우징부(100)의 커버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커버 플레이트 윈도우 장착부(113)에 배치된다. 즉, 커버 플레이트(110)의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111)의 외측에 커버 플레이트 윈도우 장착부(113)가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 및 커버 플레이트 윈도우 장착부(113)는 호상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에는 변속 레인지 마커(525)가 형성되는데, 변속 레인지 마커(525)는 D,N,R,P와 같은 변속 레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글자 등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변속 레인지 마커(525)는 돌출 양각 구조를 이루는데, 음각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조작되는 변속 레버에 의하여 자동 변속기에서의 변속 레인지에 대응되는 소정의 각도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투명 구조를 통하여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동 바아(200) 상에 배치되는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10)의 육안 확인이 가능한 구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작업자는 소정의 작업 과정 중에 현재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와 자동 변속기를 연결시키는 공정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인지 표시 윈도우(500)는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20)의 동작의 육안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a)는 반투명 재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a)에는 변속 레인지 마커(525)와 더불어 윈도우 인디케이터 관통구(523a)를 구비할 수 있다. 윈도우 인디케이터 관통구(523a)는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a)를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윈도우 인디케이터 관통구(523a)는 회동 바아(200)가 형성하는 회동 평면 상에서 볼 때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20)가 가동되는 영역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작업자 또는 운전자에 의하여 변속 레버가 조작되는 경우 연결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인지 변화시 변속 레버/자동 변속기 측과 연결되는 회동 바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동 바아가 회동하는 경우,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a)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인디케이터 관통구(523a)를 통하여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10)를 육안 식별 가능함으로써 변속 레인지 마커(510)를 통하여 소정의 변속 레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10)는 변속 레버 내지 자동 변속기 측과의 연결 구조 상 안정적인 동작을 이루고 조립 공정 과정에서 신속한 장치 세팅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바아(200)의 회동 바아 중심축(220)가 배치되고, 회동 바아 중심축(220)에는 회동 바아 연결구(210)가 배치되어 자동변속기 측 내지는 변속 레버 측과 기계적 연결을 이루는데, 회동 바아 연결구(210)는 장방형 관통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회동 바아 연결구(210)의 장방형 구조를 통하여 자동변속기 측 내지는 변속 레버 측과의 기계적 연결부(미도시)와 회동 바아 사이에 상대 회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방형 관통구 구조의 회동 바아 연결구(210)의 장방향 축선과, 회동 바아 연결구(210)의 중심 및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10)를 연결하는 선분은 사전 설정된 중립 각도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바아 연결구(210)의 장방향 축선을 선 A-A, 회동 바아(200)의 회동 중심점을 도면 부호 O, 회동 중심점 O와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10)를 연결하는 선분을 선 O-O"라 할 때, 선 A-A 및 선 O-O"는 도면 부호 α로 지시되는 중립 각도를 구비하는데, 중립 각도(α)는 대략 0° 내지 30°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다른 변속 레인지와의 간섭없이 형성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 한편, 본 고안은 조립 공정 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의 변속 레인지 변화로 인한 조립 상의 난점을 해결하고 신속하고 안정적인 조립 공정을 이루도록 소정의 변속 레인지로 위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와 같은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를 포함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바아 연결구(210, 도 2 참조)의 대응되는 위치로 커버 플레이트(110)에는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111)가 형성되고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111)의 외측에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가 배치되는데, 레인지 표시 윈도우(520)에는 변속 레인지 마커(525)가 배치된다.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111)의 내측에는, 변속 레인지 마커(525) 중 N 레인지를 나타내는 N 변속 레인지 마커(525N)를 향하여 형성되는 커버 플레이트 N 체커(1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바아 중심으로부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를 향한 선분에 대하여 장방향 축선이 중립 각도(α)를 이루는 회동 바아 연결구(210)를 구비하는 회동 바아(200)가 커버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회동 바아(200)가 N 변속 레인지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510)는 윈도우 인디케이터 관통구(523a)를 통하여 외부 인식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작업자는 현재 변속 레인지가 N 변속 레인지인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템포러리 캡(600)을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111)를 관통하여 회동 바아 연결구(210)에 장착시킬 수 있는데, 템포러리 캡(600)는 커버 플레이트 N 체커(112)와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여 회동 바아(200)의 원치 않는 회동 상태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템포러리 캡(600)은 캡 바디(601)와 캡 헤드(603) 및 캡 스톱퍼(604)를 구비하는데, 캡 헤드(603)는 캡 바디(601)의 일단에 배치되고 캡 스톱퍼(604)는 캡 헤드(603)의 일측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캡 바디(601)는 회동 바아(200)의 회동 바아 연결구(2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캡 바디(601)도 장방형 구조를 형성한다. 캡 바디(601)의 일단에 캡 헤드(603)가 배치되고, 캡 헤드(603)의 외측에는 캡 스톱퍼(605)도 커버 플레이트 N 체커(112)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방형 구조의 캡 바디(601)의 장방향 축선을 선 B-B, 캡 헤드(603)의 중심으로부터 캡 스톱퍼(604)를 향한 선분을 선 C-C라 할 때, 선 B-B와 선 C-C는 사이각(β)을 이루며 형성되는데, 사이각(β)은 상기한 중립 각도(α)와 동일한 값을 갖는다. 따라서, 조립 공정의 작업자가 템포러리 캡(600)을 회동 바아 측에 장착하는 경우 N 변속 레인지의 중립 상태를 형성하며 원치 않는 변속 레인지 변동 발생이 제거됨으로써 조립 장착 공정의 신속성을 이룰 수도 있다.
도 8에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10)에 템포러리 캡(600)이 배치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1)의 개략적인 부분 절단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템포러리 캡(600)은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111)를 관통하여 회동 바아 연결구(210)에 장착된 상태를 형성한다. 템포러리 캡(600)의 일단에는 캡 스톱퍼(604)가 배치되고 캡 스톱퍼(604)는 커버 플레이트 N 체커(112)와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회동 바아(200)의 하우징부(100) 내에서의 원치 않는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1)를 차량에 장착하는 경우, 자동 변속기 측 또는 변속 레버 측으로부터의 기계적 연결을 위한 샤프트(미도시)가 관통 삽입 장착됨과 동시에 템포러리 캡(600)이 샤프트의 인입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거됨으로써 별도의 N 변속 레인지 등을 맞추기 위한 공정을 요하지 않고 신속한 조립 공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100...하우징부
110...커버 플레이트 120...베이스 플레이트
200..회동 바아 300...고정 단자
310...고정 단자 출력 터미널 320...고정 단자 접지 터미널
321...고정 단자 접지 티미널 접촉 영역
323...고정 단자 접지 터미널 커넥터 영역
400...가동 단자부 410...가동 탄성 부재
420...가동 단자 500...레인지 표시부
510...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 520...레인지 표시 윈도우
600...템포러리 캡

Claims (9)

  1. N 레인지를 포함하는 변속 레인지를 감지 출력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가동 단자를 구비하는 가동 단자부;
    상기 가동 단자가 배치되는 회동 바아;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반경 상에 상기 가동 단자와 접촉 가능한 복수 개의 고정 단자가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가동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회동 바아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상태에 따른 변속 레인지를 표시하는 레인지 표시부;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표시부는:
    상기 회동 바아에 배치되는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의 가동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레인지 표시 윈도우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표시 윈도우는 사전 설정된 변속 레인지에 대한 변속 레인지 마커가 표시되고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표시 윈도우는:
    일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변속 레인지에 대한 변속 레인지 마커와,
    상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의 가동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중심과 상기 변속 레인지 마커와의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 인디케이터 관통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바아 중심축이 배치되고, 상기 회동 바아 중심축에 배치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 측과 관통 연결되는 회동 바아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는 장방형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의 장방향 축선과,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의 중심과 상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를 연결하는 선분은 사전 설정된 중립 각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레인지 표시 윈도우는 일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변속 레인지에 대한 변속 레인지 마커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레인지 마커 중 N 레인지를 나타내는 N 변속 레인지 마커를 향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의 내측에 형성되는 커버 플레이트 N 체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부는:
    상기 회동 바아에 배치되는 가동 탄성 부재와,
    상기 가동 탄성 부재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 단자 수평부 및 상기 가동 단자 수평부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회동 바아에 수용 지지되는 가동 단자 수직부를 구비하는 가동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동 단자 리브와 접촉 가능한 상기 가동 단자 수평부의 하단은 라운딩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8. N 레인지를 포함하는 변속 레인지를 감지 출력하고, 하나 이상의 가동 단자를 구비하는 가동 단자부; 상기 가동 단자가 배치되는 회동 바아;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반경 상에 상기 가동 단자와 접촉 가능한 복수 개의 고정 단자가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가동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 및 상기 회동 바아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상태에 따른 변속 레인지를 표시하는 레인지 표시부;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와,
    상기 회동 바아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을 제한하는 템포러리 캡을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 표시부는:
    상기 회동 바아에 배치되는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의 가동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레인지 표시 윈도우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바아의 회동 바아 중심축이 배치되고, 상기 회동 바아 중심축에 배치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 측과 관통 연결되는 회동 바아 연결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는 장방형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의 장방향 축선과,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의 중심과 상기 레인지 표시 인디케이터를 연결하는 선분은 사전 설정된 중립 각도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바아 연결구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레인지 표시 윈도우는 일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변속 레인지에 대한 변속 레인지 마커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레인지 마커 중 N 레인지를 나타내는 N 변속 레인지 마커를 향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 관통구의 내측에 형성되는 커버 플레이트 N 체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


KR2020100008291U 2010-08-09 2010-08-09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 KR2004608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291U KR200460895Y1 (ko) 2010-08-09 2010-08-09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291U KR200460895Y1 (ko) 2010-08-09 2010-08-09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128U true KR20120001128U (ko) 2012-02-17
KR200460895Y1 KR200460895Y1 (ko) 2012-06-14

Family

ID=4593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291U KR200460895Y1 (ko) 2010-08-09 2010-08-09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8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502B1 (ko) * 2013-12-20 2015-05-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KR20190050661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디아이씨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990B1 (ko) 2014-03-25 2015-10-08 주식회사 상지정밀 인히비터스위치용 콘텍터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795Y1 (ko) 1999-07-08 2000-02-15 윤여관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JP2003090418A (ja) * 2001-09-18 2003-03-28 Niles Parts Co Ltd インヒビタスイッチ
JP2005282673A (ja) * 2004-03-29 2005-10-13 Suzuki Motor Corp インヒビタスイッチの位置合わせ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502B1 (ko) * 2013-12-20 2015-05-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KR20190050661A (ko) * 2017-11-03 2019-05-13 주식회사 디아이씨 전자식 레인지 전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895Y1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41289B2 (ja) インパクト工具
EP3056768B1 (en) Shift device
KR200460895Y1 (ko)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
KR100253602B1 (ko) 엔진 스타터
KR101363189B1 (ko) 차량 변속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24324A (ko) 차량 변속 레인지 쉬프팅 모듈 및 이의 제어 방법
EP3054196B1 (en) Shift device
KR20110005117U (ko)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CN103851175A (zh) 换挡装置
JP4891872B2 (ja) 自動変速機のインヒビタスイッチ
JP5226934B2 (ja) 自動変速機用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JP2014053001A (ja) シフト装置
JP6389796B2 (ja) 電子制御装置及び車載変速機
KR20090069518A (ko)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JP4921398B2 (ja) 操作位置検出装置及びシフト装置
JP4729509B2 (ja) 車両運転席の衝撃吸収構造
KR200471327Y1 (ko)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KR20030006388A (ko) 자동차의 변속단 감지장치
JP4142565B2 (ja) 電気接続箱
CN111911617B (zh) 用于车辆的换挡杆装置
JP2010161860A (ja) 減速装置付きモータ
CN217130233U (zh) 一种增加挡位警示功能的机械式取力器
JP5758265B2 (ja) 車両用計器
JP6723070B2 (ja) シフト装置
CN115111357A (zh) 换挡装置、换挡装置的控制方法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