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502B1 -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502B1
KR101516502B1 KR1020130160430A KR20130160430A KR101516502B1 KR 101516502 B1 KR101516502 B1 KR 101516502B1 KR 1020130160430 A KR1020130160430 A KR 1020130160430A KR 20130160430 A KR20130160430 A KR 20130160430A KR 101516502 B1 KR101516502 B1 KR 101516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housing
disposed
switch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성
손하예진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0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동 가능한 다이얼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배치되고 외부 전기 연결을 위한 커넥터와 연결되는 터미널 라인이 인서트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유니트{SWITCHING UNI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스위치로서, 인서트 형성되고 분단되는 부분의 원치않는 전기적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회전 동작을 이루는 차량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차량에 배치되는데, 차량의 실내 조명 내지 전조등의 조명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 스위치도 배치되고, 사륜 자동차 차량의 사륜 구동을 실행하지 여부를 선택하는 사륜 구동 스위치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의 경우 내부에 터미널 단자가 매몰되는 인서트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있다. 인서트 사출 방식의 경우 터미널 단자를 이루는 도선이 인서트 사출 코어 내부에 배치되고 수지가 유입되어 소정의 인서트 사출 구조의 스위치 구성부분이 제조되는데, 제조 공정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최소화된 도선 라인이 코어의 내부에 배치되고, 코어를 통한 제조 과정 상에서 도선 라인을 분단, 즉 커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종래의 주지적인 기술에 따르면, 도선 라인의 펀칭을 통하여 도선 라인의 분단 구조를 형성하는데, 커팅된 부분들이 원활하게 외부 배출되지 않아 함께 사출 성형되어 제조 상의 불량품을 이루거나 또는 커팅된 부분의 파편으로 인하여 분단된 도선 라인의 부분간의 원치 않는 전기적 소통으로 인하여 신호 불량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회전 방식의 로터리 스위치의 경우 복잡한 구조를 취하여 제조 상의 어려움이 존재하였고, 복합적 기능의 증대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자동차용 스위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조 과정 상에서의 인서트되는 단자의 밀폐 포획 구조를 형성하여 불필요한 전기적 신호의 불량 발생으로 인한 오작동 내지 파손 가능성을 방지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동 가능한 다이얼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배치되고 외부 전기 연결을 위한 커넥터와 연결되는 터미널 라인이 인서트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라인은 일체를 이루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 수지에 인서트 형성되되, 상기 터미널 라인은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터미널 라인 메인부와, 상기 터미널 라인 메인부와 일단이 분단되고 타단은 연결되는 분단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분단부는 분단되는 일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터미널 라인 메인부와 연결되되, 상기 자유단은 V커팅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은 절곡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수지로 포획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과, 상기 자유단과 분단 대응되는 상기 터미널 라인 메인부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수지로 매입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위치 고정되는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칭부는; 상기 인디케이터 노브와 동심 배치되되 상기 인디케이터 노브의 외주에 배치되는 다이얼 스위칭 노브 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칭 노브 링과 연결되어 함께 회동하는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과, 상기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의 회동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키는 다이얼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스위치는: 상기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에 배치되는 다이얼 스위치 가동 접점과, 상기 다이얼 스위치 가동 접점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얼 스위칭 가동 접점의 가동 위치에 따라 전기적 신호의 단속을 이루는 다이얼 스위치 고정 접점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스위칭부는, 상기 다이얼 스위치 가동 블록의 가동 위치를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위치로 유지시키는 다이얼 스위치 캠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스위치 캠부는: 상기 다이얼 스위치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을 마주하는 내측에 배치되는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와, 상기 다이얼 스위치 캠 수용부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다이얼 스위치 캠 탄성부와, 상기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의 일면으로 상기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이얼 스위칭 캠블록과, 상기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다이얼 스위치 캠 탄성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도, 상기 다이얼 스위치 캠 블록의 일면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다이얼 스위칭 캠 볼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스위칭 캠블록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인디케이터 노브를 향하여 빛을 출력하는 상기 광출력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하우징 광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하우징 광 가이드가 관통 삽입되는 기판 관통구가 구비되고,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기판 상에서 볼 때 상기 기판의 일면으로 상기 하우징 광 가이드의 내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하우징 광 가이드의 단부가 수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관통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실내 스티어링 휠 또는 콘솔 스위치 장치 등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 오디오 멀티미디어 장치 내지 공조 장치 등의 차량의 실내 사용되는 전기적 동작을 선택 내지 조정할 수 있도록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 유니트는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스위치 센서 등을 단일 기판 측으로 집중시켜 전기적 배선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킴과 아울러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 증진으로 인한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 유니트는, 단일 기판의 사용 등의 컴팩트한 구성 또는 다양한 동작의 배치 영역의 구획 등을 통하여 장착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구성요소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 유니트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의 하부에 스위치 샤프트 힌지가 배치되는 구조, 즉, 스위치 샤프트 힌지가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슬라이드부 및 디렉셔널 스위치를 로터리 스위치부 및 푸시 스위치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하여, 디렉셔널 스위치부의 작동을 위한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각을 최소화시켜 스위치 샤프트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는 노브 등이 하우징 등과의 접촉으로 인한 간섭 발생을 방지하여 노브와 하우징과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하우징 커버 관통구 등을 통한 이물 유입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고, 노브 등과의 간섭 가능성을 방지 내지 저하시켜 구성요소의 컴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A-A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기판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첩 상태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다이얼 스위칭부의 다이얼 스위칭 캠부의 개략적인 부분 작동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터미널 라인을 포함하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공정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부분적인 부분 확대 사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다른 시점에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 및 다이얼 스위칭 캠부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의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기판(200)과, 베이스 플레이트(300)와, 스위칭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대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구비하고, 하우징(100)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데, 베이스 플레이트(300)는 하우징(100)의 일단에 배치되고 하우징(100)과 맞물리어 하우징(100)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00)는 커넥터(330)가 형성되고, 커넥터(330)에는 커넥터 터미널(미도시)이 배치되어 외부 전기 장치와의 연결을 통하여 전기적 연결 상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스위칭 기능을 이루는 배선을 구비하는 기판(200)이 구비되는 구성을 취하나, 경우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300)는 다른 배선의 인서트를 통하여 형성되어 기판의 기능을 대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00)에는 커넥터 등과의 연결을 위한 배선 라인으로서의 터미널 라인(500)이 배치되는데, 터미널 라인(500)은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00)를 형성하는 하우징 수지에 인서트되는 구조를 형성하는데, 터미널 라인(50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전기적 일체 연결을 이루는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 물리적 절단을 이루는 분단부(510)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한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인서트되는 배선으로서의 터미널 라인(500)은 커넥터(330)와 연결되는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를 구비함과 동시에, 인서트 사출시 사출 형성을 위한 형틀 내지 코어(도 7 내지 12)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로부터 적어도 일단에서 분단되어 형성되는 분단부(510)가 구비되는 구성을 취하는데, 구체적으로 분단부(510)의 적어도 일단은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 사출 형성 전에는 연결되어 있었으나 사출 형성 과정에서 분단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도 7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선도가 도시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인서트되는 사출 형성 전의 터미널 라인(500a)이라 할 때, 터미널 라인(500a)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하여 커넥터(330)로 형성되는 부위와 연결되는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 사출 성형 전에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분단 예정되는 분단부(510a)를 구비한다. 터미널 라인(500a)은 형틀에 배치되는데,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관련된 복수 개의 코어를 구비하는 형틀의 일부 구성만이 도시된다. 터미널 라인(500a)은 하부 코어(BC)와 상부 코어(미도시)의 사이에 배치되되, 하부 코어(BC)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코어(미도시) 측에는 가동 가능한 구조의 분단 커터 코어(CC)를 구비하고, 분단 커터 코어(CC)는 상하 가동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그런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코어(BC)에 안착된 터미널 라인(500a)은 분단 커터 코어(CC)의 가동에 의하여 분단된다. 분단 커터 코어(CC)의 단부 형상에 의하여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의 일부가 분단되어 분단부(510)가 형성된다. 이때, 분단 커터 코어(CC)는 쐐기 형상의 커터 단부를 갖는 커터 코어로 형성되고, 분단 커터 코어(CC)는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코어(BC)와 소정의 클리어런스(간극)을 유지하면서 하강하는 방식을 취하되, 분단 커버 코터(CC)의 쐐기 단면 형상의 경사 구조로 인하여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로부터 분단되어 분단부(510)의 분단 자유단(511)을 형성하는 반대쪽은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 연결되는 분단 연결부(515)를 형성하고, 자유단으로서의 분단 자유단(511)과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 연결되는 분단 연결부(515)의 사이에는 분단 절곡부(513)가 배치되어 경사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여, 분단 커터 코어(CC)와 하부 코어(BC)의 사이에서 높이차를 갖는 분단 자유단(511)과 분단 연결부(515)가 절곡된 형상을 이루는 분단 절곡부(513)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그런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단 커터 코어(CC)가 상방향(E)으로 이동하여 후퇴하되, 분단부(510)의 형성을 위하여 진입 상태를 유지했던 위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소정의 높이(D)를 이루는 위치까지 후퇴하는 구조를 취한다. 즉,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300)에 배치되는 터미널 라인(500)의 분단부(510)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단 커터 코어(CC)는 분단 동작 후에 D위치까지만 후퇴하는 구조를 취한다.
그런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수지(300a)가 코어로 구성된 형틀의 내부로 투입되는데, 분단 커터 코어(CC)는 완전 후퇴 구조를 이루지 않고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는 구조를 취하여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로부터 분단된 분단부(510)의 상부에 위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 수지(300a)의 유동을 저지하는 소정의 형틀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 후,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어(미도시) 및 분단 커터 코어(CC)가 상승하여 제거되고 터미널 라인(500)이 인서트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300)가 완성되는데, 본 발명의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터미널 라인(500)은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 분단부(510)를 구비하되, 분단부(510)는 일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 연결되되,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V커팅 형성되고, 분단부(510)의 타단은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 연결 상태를 이루되 분단부(510)는 전체적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취하여 분단 자유단(511)과 분단 연결부(515)가 높이 단차를 갖는 구조를 취한다. 즉, 분단부(510)는 일단은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 분단되는 분단 자유단(511)을 이루고, 타단은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 연결되는 분단 연결부(515)의 구조를 취하고, 분단 자유단(511)과 분단 연결부(515)는 분단 절곡부(513)를 통하여 연결되되, 분단 자유단(511)과 분단 연결부(515)의 높이차를 이루도록 분단 절곡부(513)는 소정의 경사 배치 구조, 즉 절곡 상태를 형성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일단을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로부터 분단되되, 타단은 연결된 구조를 취하는 분단부(510)로 절곡 형상을 통하여 분단된 부분으로 인한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의 접촉 내지 분단시 발생하는 파편들에 의하여 불필요한 전기적 연결 상태 형성 등으로 인한 쇼트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분단부(510)는 절곡된 배치되는 형상의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분단 자유단(511)이 베이스 플레이트 수지의 유입 성형 과정 상에서 분단 커터 코어(CC)가 완전 후퇴되지 않고 소정의 위치를 점유하여 수지 성형 과정에서 하나의 형틀 기능을 이룸으로써 분단부(510)의 상부에도 베이스 플레이트 수지의 성형을 허용함으로써, 분단부(510)가 베이스 플레이트(300)를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수지(300a)에 의하여 포획되는 구조를 취하여 인접 터미널 라인 메인부(520)와의 전기적 소통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한편, 기판(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기판(200)은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으로 형성되나,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인쇄회로 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기판(200)은 베이스 플레이트(300)와 연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00)의 커넥터와 전기적 연결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스위칭부(400)는 조작자, 예를 들어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출력부(미도시)의 작동 상태 내지 모드의 변화를 형성할 수 있는데, 스위칭부(400)는 기본적으로 하우징(100)에 배치되고,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회동 동작을 통하여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형성하는 다이얼 스위칭부(4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부(400)는 인디케이터 노브(410)를 더 구비하는데, 인디케이터 노브(410)는 일단이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되, 인디케이터 노브(410)는 하우징(100)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고, 다이얼 스위칭부(420)는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와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과 다이얼 스위치(427)를 포함한다.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는 인디케이터 노브(410)와 동심 배치되되 인디케이터 노브(410)의 외주에 배치되는데,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는 하우징(100)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노브(410)와 상대 회동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는 다이얼 스위칭 노브 링(4211)와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4213)를 포함하는데,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4213)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4213)의 외주에는 다이얼 스위칭 노브 링(4211)이 배치되는데, 다이얼 스위칭 노브 링(4211)의 중앙에는 다이얼 스위칭 노브 링 관통구(4212)가 배치되고,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4213)는 다이얼 스위치 노브 링 관통구(4212)에 관통하여 수용 배치된다. 다이얼 스위치 노브 링(4211)의 외주에는 소정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운전자 등의 조작자가 원활한 그립 상태를 형성하여 조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4213)의 중앙에는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 관통구(4214)가 형성되고,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 관통구(4214)에 인디케이터 노브(410)가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4213)과의 상대 회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된다.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4213)는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 홀더(4215)를 포하는데,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 홀더(4215)는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4213)의 하단에 배치된다.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 홀더(4215)는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4213)의 회동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 홀더(4215)는 하기되는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와 체결되어,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가 회동하는 경우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도 함께 회동하는 구성을 취한다.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 홀더(4215)는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배치되는데, 본 발명의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의 회동은 일정한 각도 제한을 구비하는바,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 홀더(4215)가 관통하는 하우징의 부분도 일정한 원주각을 갖는 관통구(미도시)로 형성되고, 관통구(미도시)는 하우징(100)의 중앙에 배치되는 하우징 광 가이드(110)의 외측 주변에 각분할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다이얼 스위치 가동 블록(425)의 일면 상에는 다이얼 스위치 가동 블록 홀더 장착부(4241)가 배치되어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42130의 다이얼 스위칭 노브 바디 홀더(4215)와의 맞물림을 통하여 다이얼 스위칭 노브의 조작을 통하여 축회동을 일체로 이룰 수 있다.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의 중앙에는 가동 블록 관통구(4253)가 형성되어 하우징 광 가이드의 관통을 허용한다.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의 일면 상에는 하기되는 다이얼 스위칭 캠부(427)의 다이얼 스위칭 캠 블록(4271)이 배치된다.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의 하면에는 다이얼 스위치(423)의 다이얼 스위치 가동 접점(4231)이 배치되어 다이얼 스위칭 가동 노브(421) 및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와 함께 축회동을 이룰 수 있다.
다이얼 스위치(423)는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과 기판(200)에 배치되어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의 회동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키어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장치들, 예를 들어 전자적 상시 사륜 구동 동작의 실행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 선택 여부에 대한 제어를 이룰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스위칭적 동작 구현이 가능하다.
다이얼 스위치(423)는 다이얼 스위치 가동 접점(4231)과 다이얼 스위치 고정 접점(4233)이 구비되는데, 다이얼 스위치 가동 접점(4231)은 다이얼 스위치 가동 블록(425)에 배치된다.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의 하단에는 다이얼 스위치 가동 접점 장착부(429, 도 17 참조)가 배치되는데, 다이얼 스위치 가동 접점(4231)은 다이얼 스위칭 가동 접점 장착부(429)에 일단이 고정되어 배치된다.
다이얼 스위치 고정 접점(4233)은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다이얼 스위칭 고정 접점(4233)은 다이얼 스위치 가동 접점(4231)의 가동 경로 상에 알부가 중첩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다이얼 스위칭 가동 접점(4231)의 가동 위치에 따라 전기적 신호의 단속을 이룬다. 본 실시에에서 다이얼 스위치(423)는 물리적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접촉식 스위치로 구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자기 센서 내지 홀센서/마그네트 구성 등의 비접촉식 스위치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다이얼 스위칭 캠부(427)는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 및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 및 궁극적으로 다이얼 스위치(423)의 회동 동작을 운전자와 같은 조작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후 소정의 위치로 복귀 내지 유지시키거나 또는 소정의 디텐팅 감을 제공하여 조작자로 하여금 조작 상태를 촉각적으로 감지 가능하게 한다. 즉, 다이얼 스위칭부(400)는 다이얼 스위칭 캠부(427)를 더 구비하는데, 다이얼 스위치 캠부(427)는 다이얼 스위치 가동 블록(425)의 가동 위치를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위치로 유지시킨다. 다이얼 스위칭 캠부(427)는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4277)와 다이얼 스위칭 캠 블록(4271)과 다이얼 스위칭 캠 볼(4273)과 다이얼 스위치 캠 탄성부(4275)를 포함한다.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4277)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하단을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데(도 6 참조),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4277)는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4277)는 하우징(100)의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을 마주하는 내측에 배치되고, 다이얼 스위칭 캠 블록(427)은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의 일면으로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4277)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다이얼 스위칭 캠 탄성부(4275)는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4277)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고, 다이얼 스위칭 캠 볼(4273)은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4277)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 가능하되 다이얼 스위칭 캠 탄성부(4275)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고, 다이얼 스위칭 캠 블록(4271)의 일면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가 R 방향으로 축 회동을 이루는 경우(도 6 참조), 다이얼 스위칭 캠 볼(4273)의 적어도 일부는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4277)에 수용되고 다이얼 스위칭 캠 탄성부(4275)에 의햐여 탄성 지지되는데,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의 회동에 따라 다이얼 스위칭 캠 볼(4273)과 다이얼 스위칭 캠블록(4271)의 접촉 위치는 변화하여 다이얼 스위칭 캠 볼(4273)은 B방향으로 가동된다. 도 6에서, 다이얼 스위칭 캠 블록과 접촉하는 다이얼 스위칭 캠 볼의 위치 변화를 극대화하여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가 R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서의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4277)의 도시는 생략되었으며 간섭 사항은 배제되었으나, 실제 본 발명의 설계 상의 다이얼 스위칭 캠 블록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구비하여 회동 동작을 이루더라도 하우징에 배치되는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와의 접촉 간섭을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이얼 스위칭 캠 블록(4271)은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425)의 일면으로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를 향하여 배치되는데, 다이얼 스위칭 캠 블록(4271)은 소정의 돌출 형상을 구비하는데, 다이얼 스위칭 캠 블록(4271)은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구비한다(도 6 및 도 15 및 도 16 참조).
즉, 다이얼 스위칭 캠 블록(4271)은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의 하나 이상의 위치 유지 내지 복귀를 위한 다이얼 스위칭 캠 볼(4273)과 접촉 위치를 형성하는데, 다이얼 스위칭 캠 블록(4271)의 캠 블록 스타팅 포인트(4271a), 캠 블록 1차 경사부(4271b), 캠 블록 1차 티핑 포인트(4271c), 캠 블록 1차 스테이블 포인트(4271d) 및 캠 블록 2차 경사부(4271e) 및 캠 블록 2차 엔드 포인트(4271f)와 같은 복수 개의 접촉 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외력이 존재하지 않고 최초 시작 위치를 안정적인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다이얼 스위칭 캠 볼(4273)과 캠 블록 스타팅 포인트(4271a)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캠 블록 1차 경사부(4271b) 및 캠 블록 1차 티핑 포인트(4271c)를 넘어 캠 블록 1차 스테이블 포인트(4271d)와의 접촉을 통하여 1차 디텐트 유지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런후, 동일한 방향으로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의 추가적인 회동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다이얼 스위칭 캠 볼(4273)은 캠 블록 2차 경사부(4271e) 및 캠 블록 2차 엔드 포인트(4271f)와 접촉하여 소정의 위치 상태를 형성한 후 캠 블록 1차 스테이블 포인트(4271d)로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디텐팅 동작에 대응하여 다이얼 스위치(423)의 접점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형성하여 소정의 스위칭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의 회동 동작시 안정적인 디텐팅 동작을 이루도록, 다이얼 스위칭 캠부(427)는 다이얼 스위칭 노브(421)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쌍을 이루는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다이얼 스위칭 캠부는 최초의 위치 이외에 1개의 스테이블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복수 개의 스테이블 상태를 형성하도록 디텐트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적어도 인디케이터 노브, 경우에 따라 인디케이터 노브 및 다이얼 스위치 노브(421)를 향하여 빛을 출력하는 광출력부(6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광출력부(600)는 인디케이터 광출력부(610)와 다이얼 스위칭 노브 광출력부(620)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광출력부(600)는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광출력부(600), 특히 인디케이터 광출력부(610)는 기판(200)의 일면 상으로 중앙에 배치되고, 하우징(100)은 내측에 하우징 광 가이드(110)를 포함한다. 하우징 광 가이드(110)는 하우징(100)의 중앙에 배치되는데, 하우징 광 가이드(110)는 상단에 배치되어 인디케이터 노브(410)와 맞물림 체결되는 하우징 광 가이드 체결부(111)와, 하우징(100)의 하단에 쌍을 이루며 이격되어 병렬 배치되는 하우징 광 가이드 관통부(115)와, 하우징 광 가이드 체결부(111)와 하우징 광 가이드 관통부(115)의 사이로 두 개가 병렬 배치되는 하우징 광 가이드 관통부(115)의 측면을 감싸 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광출력부(610)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누광을 방지하는 하우징 광 가이드 차폐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0)에는 인디케이터 광출력부(610)가 배치되는 위치의 측면에 쌍을 이루어 기판 관통구(210)가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300)에는 기판 관통구(210)의 대응되는 위치에 베이스 플레이트 관통구(310)가 배치되는데, 하우징 광 가이드 관통부(115)는 기판 관통구(210) 및 베이스 플레이트 관통구(310)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안정적인 강성 구조를 형성 및 유지할 수도 있다.
하우징 광 가이드(110)의 인근에는 추가적인 하우징 광 가이드 보강부(120)가 더 구비하는데, 하우징 광 가이드 보강부(120)는 하우징 광 가이드(110)와 평행하게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하우징 광 가이드 보강부(120)는 기판(200)에 형성된 다이얼 스위칭 노브 광 출력부(620)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다이얼 스위칭 노브(210)로 전달하여 운전자 내지 조작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부
110...하우징 광 가이드 200...기판
300...베이스 플레이트 400...스위칭부
410...인디케이터 노브 420...다이얼 스위칭부
421...다이얼 스위칭 노브 423...다이얼 스위치
425...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
427...다이얼 스위칭 캠부 500...터미널 라인
510...분단부 520...터미널 라인 메인부
600..광출력부

Claims (1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동 가능한 다이얼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배치되고 외부 전기 연결을 위한 커넥터와 연결되는 터미널 라인이 인서트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 라인은 일체를 이루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 수지에 인서트 형성되되, 상기 터미널 라인은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는 터미널 라인 메인부와, 상기 터미널 라인 메인부와 일단이 분단되고 타단은 연결되는 분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단부는 분단되는 일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터미널 라인 메인부와 연결되되,
    상기 자유단은 V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은 절곡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수지로 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과, 상기 자유단과 분단 대응되는 상기 터미널 라인 메인부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수지로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7.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축으로 회동 가능한 다이얼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배치되고 외부 전기 연결을 위한 커넥터와 연결되는 터미널 라인이 인서트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위치 고정되는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칭부는; 상기 인디케이터 노브와 동심 배치되되 상기 인디케이터 노브의 외주에 배치되는 다이얼 스위칭 노브 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칭 노브 링과 연결되어 함께 회동하는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과, 상기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의 회동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키는 다이얼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칭부는, 상기 다이얼 스위치 가동 블록의 가동 위치를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사전 설정된 위치로 유지시키는 다이얼 스위치 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스위치는:
    상기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에 배치되는 다이얼 스위치 가동 접점과,
    상기 다이얼 스위치 가동 접점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기판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얼 스위칭 가동 접점의 가동 위치에 따라 전기적 신호의 단속을 이루는 다이얼 스위치 고정 접점을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스위치 캠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을 마주하는 내측에 배치되는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와,
    상기 다이얼 스위치 캠 수용부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다이얼 스위치 캠 탄성부와,
    상기 다이얼 스위칭 가동 블록의 일면으로 상기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이얼 스위칭 캠블록과,
    상기 다이얼 스위칭 캠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다이얼 스위치 캠 탄성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도, 상기 다이얼 스위치 캠 블록의 일면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다이얼 스위칭 캠 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스위칭 캠블록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인디케이터 노브를 향하여 빛을 출력하는 광출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하우징 광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하우징 광 가이드가 관통 삽입되는 기판 관통구가 구비되고, 상기 광출력부는 상기 기판 상에서 볼 때 상기 기판의 일면으로 상기 하우징 광 가이드의 내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하우징 광 가이드의 단부가 수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관통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유니트.

KR1020130160430A 2013-12-20 2013-12-20 스위치 유니트 KR101516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30A KR101516502B1 (ko) 2013-12-20 2013-12-20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30A KR101516502B1 (ko) 2013-12-20 2013-12-20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502B1 true KR101516502B1 (ko) 2015-05-04

Family

ID=5339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430A KR101516502B1 (ko) 2013-12-20 2013-12-20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4487A (ko) *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닛시상사 자동차용 점화스위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989A (ja) * 1999-12-28 2001-07-06 Asahi Denso Co Ltd 多回路切替用スイッチ
KR20110057689A (ko) * 2009-11-24 2011-06-0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모듈
KR20120001128U (ko) * 2010-08-09 2012-02-1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
KR20120046804A (ko) * 2010-10-27 2012-05-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컴포지트 스위치 유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4989A (ja) * 1999-12-28 2001-07-06 Asahi Denso Co Ltd 多回路切替用スイッチ
KR20110057689A (ko) * 2009-11-24 2011-06-0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모듈
KR20120001128U (ko) * 2010-08-09 2012-02-1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히비터 스위치 장치 어셈블리
KR20120046804A (ko) * 2010-10-27 2012-05-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컴포지트 스위치 유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4487A (ko) *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닛시상사 자동차용 점화스위치
KR102706448B1 (ko) * 2022-05-02 2024-09-13 주식회사 닛시상사 자동차용 점화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5283B2 (en) Multifunction rocker switch
KR20050118887A (ko) 통합형 스티어링휠 리모콘 스위치
US6570105B1 (en) Retractable rotary switch cell
US20080211609A1 (en) Lever switch
KR101516502B1 (ko) 스위치 유니트
EP1655754B1 (en) Automotive combination switch
JPH1064645A (ja) 回転コネクタ
KR200468483Y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JP4053821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並びにこれを用いたワイパースイッチ及びランプスイッチ
EP2781414B1 (en) Mechanical steering lock for vehicles
JP2013045503A (ja) 入力装置
US6596950B2 (en) Rotary switch
KR101271313B1 (ko) 레버 스위치 유니트
JP2003263938A (ja) レバー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KR20020044808A (ko) 안개등 스위치 겸용 헤드램프 스위치 장치
KR20100006654U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155282B1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KR20140076350A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KR100947171B1 (ko) 비접촉 로터리 스위치 유니트
KR101271790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KR100670022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KR100862003B1 (ko) 레버 스위치 장치
JP2005129238A (ja) レバースイッチ
KR100366213B1 (ko) 정속 주행 스위치
KR20110006821U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