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790B1 - 복합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복합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790B1
KR101271790B1 KR1020110133227A KR20110133227A KR101271790B1 KR 101271790 B1 KR101271790 B1 KR 101271790B1 KR 1020110133227 A KR1020110133227 A KR 1020110133227A KR 20110133227 A KR20110133227 A KR 20110133227A KR 101271790 B1 KR101271790 B1 KR 101271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ilting
enter
disposed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호
이현성
손하예진
정가훈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6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배치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4방향 틸팅 동작 가능한 틸팅 스위치부; 상기 틸팅 스위치부의 중앙에 관통 배치되고 푸시 동작 가능한 엔터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스위치 유니트{COMPLEX SWITCHING UNI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는 스위치 유니트로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간편하여 더욱 안전한 주행 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조립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제작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은 경우에는,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되고, 각각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경우에는 다수개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로터리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위치 장치들은 하나의 스위치 장치에서 통상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윈도우 개폐 스위치 장치의 경우 하나의 윈도우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차량 오디오 시스템 제어 스위치의 경우 볼륨 조절을 위한 하나의 스위치 장치와 트랙 변경을 위한 다른 하나의 스위치 장치가 각각 별도로 배치되는 등의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차량 실내에는 각종 전자 장비 제어를 위한 스위치 장치가 다수개 장착되며, 최근에는 각종 편의 장비들의 증가로 인해 이러한 스위치 장치의 개수가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스위치 장치가 증가하게 되면, 차량 실내의 구성이 복잡해지게 되고, 특히 운전자가 주행 중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를 조작하게 되므로 그 조작 방법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한 주행에도 심각한 장애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틸팅 모션을 통한 시소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틸팅 스위치부와 푸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엔터 스위치부를 복합적으로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고, 조립성을 개선한 구조의 차량용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배치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4방향 틸팅 동작 가능한 틸팅 스위치부; 상기 틸팅 스위치부의 중앙에 관통 배치되고 푸시 동작 가능한 엔터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틸팅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이 일면이 노출 배치되고 상기 엔터 스위치부가 관통 가능한 틸팅 스위치 노브 관통구를 구비하는 틸팅 스위치 노브와, 상기 틸팅 스위치 노브가 일축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일축에 수직한 다른 축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과, 상기 틸팅 스위치 노브가 상기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틸팅 운동을 이루는 경우 가동되는 틸팅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틸팅 스위치 플런저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가압되어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틸팅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면 상으로 상기 틸팅 스위치 노브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틸팅 광원과, 상기 틸팅 광원의 상부로부터 상기 틸팅 스위치 노브의 하면까지, 상기 하우징에 연장 형성되는 틸팅 광원 차광 리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틸팅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기판 사이에는 러버 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러버 패드의 일면으로 상기 틸팅 광원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틸팅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투과시키는 러버 패드 틸팅 광원 윈도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틸팅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기판 사이에는 러버 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틸팅 스위치는: 상기 러버 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 스위치 플런저에 의하여 가동되고 탄성 복원되는 틸팅 스위치 러버부와, 상기 틸팅 스위치 러버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틸팅 스위치 가동부와, 상기 틸팅 스위치 가동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틸팅 스위치 고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엔터 스위치부는: 상기 틸팅 스위치부의 상기 틸팅 스위치 노브를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엔터 스위치 노브와, 상기 엔터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수직 가동되는 엔터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엔터 스위치 플런저에 의하여 가동되어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하는 엔터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엔터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기판 사이에는 러버 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엔터 스위치는: 상기 러버 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엔터 스위치 플런저에 의하여 가동되고 탄성 복원되는 엔터 스위치 러버부와, 상기 엔터 스위치 러버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엔터 스위치 가동부와, 상기 엔터 스위치 가동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엔터 스위치 고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면 상으로 상기 엔터 스위치 노브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엔터 광원과, 상기 엔터 광원의 상부로부터 상기 엔터 스위치 노브의 하면까지, 상기 하우징에 연장 형성되는 엔터 광원 차광 리브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엔터 광원 차광 리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엔터 스위치 플런저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소 동작을 이루는 틸팅 스위치부와 푸시 동작을 이루는 엔터 스위치부를 복합적으로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틸팅 스위치 노브 로테이팅 블록을 통하여 사방향 시소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하여 안정적인 스위칭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중앙에 배치되는 엔터 스위치 노브를 통하여 컴팩트한 장치를 통하여 스위칭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는 러버 패드를 통한 이물 이입 방지와 동시에 러버 패드 광투과 윈도우 및 차광 리브를 통하여 빛의 원활한 전달 및 누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틸팅 스위치부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선 B-B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8의 선 C-C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틸팅 스위치부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6 및 도 7에는 도 5의 선 B-B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9에는 도 8의 선 C-C를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100), 기판(200), 틸팅 스위치부(400), 엔터 스위치부(500)를 구비하는데, 엔터 스위치부(500)는 틸팅 스위치부(400)의 중앙에 관통 배치도어 푸시 동작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바디(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가 서로 체결되어 다른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각각의 내부 공간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에는 하기되는 틸팅 스위치부(400) 및 엔터 스위치부(50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커버 관통구(111)가 형성되는데, 이를 통하여 각각의 스위치부의 노브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운전자 등의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배치된다.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에는 하기되는 틸팅 스위치부(400)의 구성요소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바디 힌지(121)와 누광을 차단하기 위한 바디 틸팅 차광 리브(123)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배치된다.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 사이에는 각종 스위치부들의 스위치 노브가 배치되는데, 틸팅 스위치부(400)의 틸팅 스위치 노브(410), 엔터 스위치부(500)의 엔터 스위치 노브(510) 및 버튼 스위치부(600)의 버튼 스위치 노브(610) 등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130)는 하우징 바디(120)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 커버(110)와 대향하여 배치되는데,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는 기판(200) 및 러버 패드(300) 등의 구성요소가 안정적으로 위치 점유하여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130)의 내면에는 베이스 리브(131)이 배치되는데, 베이스 리브(131)는 기판(200) 등의 구성요소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기판(200)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의 사이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데, 기판(200)은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제어부 및 전원부 등의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판의 일면 상에는 하기되는 광원부(700)를 포함하는 각종 전기 소자들이 배치된다.
러버 패드(300)는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의 사이 공간으로 기판(200)과 하우징 바디(120)의 사이에 배치된다. 러버 패드(300)는 하우징 커버(110)와 각종 스위치 노브 사이의 유격을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로 인한 기판(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러버 패드(300)는 틸팅 스위치부(400)의 일부 구성을 형성하기 위한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틸팅 스위치부(400)는 하우징(100)에 배치되어 4방향 틸팅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데, 틸팅 스위치부(400)는 틸팅 스위치 노브(410)와,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420)과 틸팅 스위치(430)를 포함한다. 틸팅 스위치 노브(410)는 일면이 하우징(100), 즉 하우징 커버(110)의 커버 관통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틸팅 스위치 노브(410)는 틸팅 스위치 노브 관통구(411)를 구비하는데, 틸팅 스위치 노브 관통구(411)에는 하기되는 엔터 스위치부(500)의 엔터 스위치 노브(510)가 노출되어 배치된다.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420)은 틸팅 스위치 노브(41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420)은 틸팅 스위치 노브(410)와 일축에 대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420)은 하우징(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20)와 다른 일축에 대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420)은 블록 바디 힌지(421)와 블록 노브 힌지(423)를 포함한다. 블록 바디 힌지(421)는 한 쌍이 일축 상에 외측을 향하여 각각 배치되고, 블록 노브 힌지(423)는 블록 바디 힌지(421)가 배치되는 일축과 다른 일축으로 상호 직교 배치되는 위치로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420)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420)은 본 실시예에서 8각형 링 타입으로 구현되나. 이는 일예로서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은 원형 내지 사각 블록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블록 바디 힌지(421)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바디 힌지(121)가 배치되는데, 블록 바디 힌지(421)는 바디 힌지(121)와 상대 가능하게 맞물리어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420)은 하우징 바디(120)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다.
블록 노브 힌지(423)는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420)의 내측에 형성되고, 블록 노브 힌지(423)의 대응되는 위치로 틸팅 스위치 노브(410)의 내측에는 노브 힌지(413)가 배치되는데, 블록 노브 힌지(423)와 노브 힌지(413)는 서로 가동 가능하게 맞물림으로써 틸팅 스위치 노브(410)는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420)에 대하여 상대 회동 운동 가능하다.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420)을 통하여 틸팅 스위치 노브(410)는 4방향 틸팅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틸팅 스위치 노브(410)가 4방향 틸팅 가동되는 경우 하부에 배치되는 틸팅 스위치 플런저(430)와 접촉한다. 틸팅 스위치 플런저(430)는 틸팅 스위치 노브(410)와 틸팅 스위치 스위치(440)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틸팅 스위치 플런저(430)는 수직 가동되는 구조를 취한다. 하우징 바디(120)에는 바디 틸팅 플런저 가이드(125)가 배치되는데, 바디 틸팅 플런저 가이드(125)를 따라 틸팅 스위치 플런저(430)가 수직 가동된다.
틸팅 스위치(440)는 틸팅 스위치 플런저(430)에 의하여 가동되어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키는데, 틸팅 스위치(440)는 기판(200)의 일면 상부에 배치된다. 틸팅 스위치(440)는 푸시 가동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 따른 틸팅 스위치(440)는 러버 패드 푸시 스위치로 구현된다. 러버 패드(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판(200)과 하우징 바디(120) 사이에 배치되는데, 러버 패드(300)의 일부는 틸팅 스위치(44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 형성된다. 틸팅 스위치(440)는 틸팅 스위치 러버부(441)와 틸팅 스위치 가동부(443)와 틸팅 스위치 고정부(445)를 포함하는데, 틸팅 스위치 러버부(441)는 러버 패드(300)에 형성된다. 틸팅 스위치 가동부(443)는 틸팅 스위치 러버부(441)의 하면으로 기판(200)을 향하여 형성되고, 틸팅 스위치 고정부(445)는 틸팅 스위치 가동부(443)의 대응되는 위치로 기판(200)의 일면에 형성된다. 틸팅 스위치 러버부(441)는 탄성 복원력을 구비하여 외력이 제거된 후 원위치 복귀된다.
도 4에는 바디 힌지(121)과 블록 바디 힌지(421)에 의하여 회동을 이루는 일축이 선 I-I로 지시되고, 노브 힌지(413)와 블록 노브 힌지(423)가 회동을 이루는 다른 일축은 선 II-II로 지시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도 5의 선 B-B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틸팅 스위치부(4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된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틸팅 스위치 노브는 정상 상태를 이룬다. 외력(Push)이 인가된 후 틸팅 스위치 노브(410)는 가압된 방향으로 수직력이 발생하고 틸팅 스위치 노브(410),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420)을 통하여 하우징 바디(12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θ)만큼 회동을 이루며 틸팅 동작을 이룰 수 있는데, 이들의 틸팅 동작은 선 I-I 및 선 II-II의 일축 및 다른 일축을 중심으로 회동 동작을 이룰 수 있다.
엔터 스위치부(500)는 틸팅 스위치부(400)의 중앙에 관통 배치되고 푸시 동작 가능한데, 엔터 스위치부(500)는 엔터 스위치 노브(510)와 엔터 스위치 플런저(530)와 엔터 스위치(540)를 포함한다. 엔터 스위치 노브(510)는 틸팅 스위치부(400)의 틸팅 스위치 노브(410)에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데, 이는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틸팅 스위치 노브(410)에 형성되는 틸팅 스위치 노브 관통구(411)를 통하여 엔터 스위치 노브(510)가 노출되어 배치된다. 엔터 스위치 노브(510)의 하단에는 쐐기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엔터 스위치 노브 스톱퍼가 구비될 수 있는데, 엔터 스위치 노브 스톱퍼는 하우징 바디(120)와 맞물리어 엔터 스위치 노브(510)의 수직 가동은 허용하되 하우징 바디(12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엔터 스위치 노브(510)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바디(120)의 일면에는 바디 엔터 플런저 가이드(129)가 배치되는데, 바디 엔터 플런저 가이드(129)에는 엔터 스위치 플런저(530)가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엔터 스위치 노브(510)의 측하단에는 엔터 스위치 가동부(520)가 배치되는데, 엔터 스위치 가동부(520)는 기판(200)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엔터 스위치 플런저(530)와 교차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엔터 스위치 노브(510)가 수직 가동하는 경우, 엔터 스위치 노브(510)의 측하단에 형성되는 엔터 스위치 가동부(520)는 엔터 스위치 플런저(530)를 가압하고, 엔터 스위치 플런저(530)는 바디 엔터 플런저 가이드(129)를 따라 수직 가동되고, 엔터 스위치 플런저(530)는 기판(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엔터 스위치(540)를 수직 가압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틸팅 동작과 엔터 푸시 동작을 하나의 스위치 유니트에서 구현하는데,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각각의 동작을 위한 스위치 노브에 대하여 빛을 출력하는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광원부(700)를 구비하는데, 광원부(700)는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LED로 구현된다. 광원부(700)는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광원부(700)는 틸팅 광원(720)과 엔터 광원(710)을 포함한다. 틸팅 광원(720)은 틸팅 스위치 노브(4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아이콘(미도시)의 대응되는 위치로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엔터 광원(710)은 엔터 스위치 노브(51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아이콘(미도시)의 대응되는 위치로 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200)과 하우징 바디(120)의 사이에는 러버 패드(300)가 구비되는데, 러버 패드(300)에는 광원부(700)로부터의 빛의 출사를 허용하기 위한 러버 패드 엔터 광투과 윈도우(301)와 러버 패드 틸팅 광투과 윈도우(303)를 포함한다. 러버 패드 엔터 광투과 윈도우(301)와 러버 패드 틸팅 광투과 윈도우(30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 패드(300)의 두께가 광투과를 허용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러버 패드 엔터 광투과 윈도우(301)와 러버 패드 틸팅 광투과 윈도우(303)는 관통구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광원부(700)로부터위 빛의 전달을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복합 스위치 유니트(10)는 광원부(700)로부터의 빛의 원활한 전달을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하우징 바디(120)에는 광원 차광 리브(123,127)를 포함하는데, 광원 차광 리브(123,127)는 바디 틸팅 차광 리브(123)와 바디 엔터 차광 리브(127)를 포함한다. 광원 차광 리브(123,127)는 하우징 바디(120)로부터 광원부(700)의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각각의 스위치 노브의 하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은 광원 차광 리브를 통하여 빛의 누광을 방지하여 야간 주행시 시각 저해를 방지하고 스위치 유니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적으로 배치 구현되는 틸팅 스위치부와 엔터 스위치부의 외측에는 버튼 스위치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버튼 스위치부는 버튼 스위치 노브와 버튼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버튼 스위치부는 각종 메뉴 선택 등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복합 스위치부의 조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200...기판
300...러버 패드 400...틸팅 스위치부
500...엔터 스위치 부 600...버튼 스위치부
700...광원부

Claims (9)

  1. 차량에 배치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4방향 틸팅 동작 가능한 틸팅 스위치부; 상기 틸팅 스위치부의 중앙에 관통 배치되고 푸시 동작 가능한 엔터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틸팅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이 일면이 노출 배치되고 상기 엔터 스위치부가 관통 가능한 틸팅 스위치 노브 관통구를 구비하는 틸팅 스위치 노브와, 상기 틸팅 스위치 노브가 일축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일축에 수직한 다른 축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과,상기 틸팅 스위치 노브가 상기 틸팅 스위치 로테이션 블록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대 틸팅 운동을 이루는 경우 가동되는 틸팅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틸팅 스위치 플런저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가압되어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틸팅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기판의 일면 상으로 상기 틸팅 스위치 노브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틸팅 광원과, 상기 틸팅 광원의 상부로부터 상기 틸팅 스위치 노브의 하면까지, 상기 하우징에 연장 형성되는 틸팅 광원 차광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기판 사이에는 러버 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러버 패드의 일면으로 상기 틸팅 광원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틸팅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투과시키는 러버 패드 틸팅 광원 윈도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기판 사이에는 러버 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틸팅 스위치는:
    상기 러버 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 스위치 플런저에 의하여 가동되고 탄성 복원되는 틸팅 스위치 러버부와,
    상기 틸팅 스위치 러버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틸팅 스위치 가동부와,
    상기 틸팅 스위치 가동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틸팅 스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 스위치부는:
    상기 틸팅 스위치부의 상기 틸팅 스위치 노브를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엔터 스위치 노브와,
    상기 엔터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수직 가동되는 엔터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엔터 스위치 플런저에 의하여 가동되어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생성하는 엔터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기판 사이에는 러버 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엔터 스위치는:
    상기 러버 패드에 배치되고 상기 엔터 스위치 플런저에 의하여 가동되고 탄성 복원되는 엔터 스위치 러버부와,
    상기 엔터 스위치 러버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엔터 스위치 가동부와,
    상기 엔터 스위치 가동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엔터 스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면 상으로 상기 엔터 스위치 노브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엔터 광원과,
    상기 엔터 광원의 상부로부터 상기 엔터 스위치 노브의 하면까지, 상기 하우징에 연장 형성되는 엔터 광원 차광 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스위치 유니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엔터 광원 차광 리브의 외측에 배치되는 엔터 스위치 플런저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복합 스위치 유니트.
KR1020110133227A 2011-12-12 2011-12-12 복합 스위치 유니트 KR101271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227A KR101271790B1 (ko) 2011-12-12 2011-12-12 복합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227A KR101271790B1 (ko) 2011-12-12 2011-12-12 복합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790B1 true KR101271790B1 (ko) 2013-06-07

Family

ID=4886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227A KR101271790B1 (ko) 2011-12-12 2011-12-12 복합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7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957B1 (ko) 1997-01-10 2002-06-20 가타오카 마사타카 복합조작형스위치
JP2009170196A (ja) 2008-01-15 2009-07-30 Panasonic Corp 多方向操作スイッチ
KR100992425B1 (ko) 2008-02-29 2010-11-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오동작 방지구조를 갖는 휠리모컨 스위치
JP2011096632A (ja) 2009-09-30 2011-05-12 Panasonic Corp 多方向操作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957B1 (ko) 1997-01-10 2002-06-20 가타오카 마사타카 복합조작형스위치
JP2009170196A (ja) 2008-01-15 2009-07-30 Panasonic Corp 多方向操作スイッチ
KR100992425B1 (ko) 2008-02-29 2010-11-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오동작 방지구조를 갖는 휠리모컨 스위치
JP2011096632A (ja) 2009-09-30 2011-05-12 Panasonic Corp 多方向操作スイッ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1091B1 (en)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CN101906908B (zh) 门锁致动器
CN105359240A (zh) 切换操作装置
KR101373972B1 (ko) 차량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JP6302805B2 (ja) 位置検出装置
KR101271790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KR20170041336A (ko) 스크롤 푸시 스위치 모듈
JP2001351497A (ja) 開閉器の電動操作装置
KR200471416Y1 (ko) 차량용 다방향 스위치 장치
EP2755218B1 (en) Combined operation type switch device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0468483Y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CN109585205A (zh) 手持电子设备及其滑动键装置
KR200465490Y1 (ko) 스위치 유니트
KR101602142B1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KR200469355Y1 (ko) 차량용 도어락 스위치 장치
KR101271313B1 (ko) 레버 스위치 유니트
JP6729849B2 (ja)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KR101721578B1 (ko) 복합조작 구조를 가지는 리모트 스위치
JP2010232140A (ja) 多方向操作部品
KR101155265B1 (ko) 다방향 스위치 장치
KR20120074819A (ko) 로터리 스위치 유니트
KR20180083189A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110006821U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KR101155282B1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