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126A - 자전거용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126A
KR20120000126A KR1020100060295A KR20100060295A KR20120000126A KR 20120000126 A KR20120000126 A KR 20120000126A KR 1020100060295 A KR1020100060295 A KR 1020100060295A KR 20100060295 A KR20100060295 A KR 20100060295A KR 20120000126 A KR20120000126 A KR 20120000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upper cylinder
support rod
coupl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492B1 (ko
Inventor
안왕기
Original Assignee
안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왕기 filed Critical 안왕기
Priority to KR2010006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4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mechanical damper or dynamic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21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서스펜션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는 지지봉으로서 상기 지지봉이 자전거의 핸들 스템의 구멍 및 자전거의 차대프레임 구멍을 관통함으로써 바깥 둘레에 자전거의 핸들 스템과 차대프레임이 결합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하부와 결합하고 상기 지지봉과 결합된 부위로부터 일측방으로 길게 뻗는 연결부와, 상부가 상기 연결부와 결합하여 하방으로 길게 뻗고, 내부에 하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길게 뚫린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외경 방향으로 키가 돌출 형성되는 상부 실린더와, 상기 상부 실린더의 하단부의 내주면에 고정 결합하고 오일 구멍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엔드부재와, 상기 엔드부재의 위쪽의 상기 상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서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과, 하단은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닿고 상단은 상기 상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의 상면에 닿아 상기 상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탄설 지지되는 보조 완충스프링과, 상기 상부 실린더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실린더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실린더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한 중간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의 아래쪽의 상기 상부 실린더의 상부 둘레에 결합되는 스프링 캡과, 상기 스프링 캡의 하면과 상기 중간결합부의 상면 사이에 탄설 지지되어 상기 상부 실린더 둘레에 설치되는 상부 완충 스프링과, 전륜 허브의 중심축과의 결합을 위한 허브 결합공이 형성된 부분과 디스크 브레이크와의 결합을 위한 디스크 브레이크 결합공이 형성된 부분이 하단부의 외측면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뚫린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실린더의 일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중간결합부와 고정결합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키가 끼워져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길게 키홈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는 오일이 채워지는 하부 실린더 및 상기 하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하부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서스펜션{omitted}
본 발명은 자전거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자전거용 서스펜션과 달리 하나의 축만으로 안전하게 운전자가 주행 중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고, 완충 스프링이 충격 진동 하중을 일차적으로 흡수하고 완충 스프링의 잔류 진동을 유압오일을 사용하여 완화함으로써 충격 흡수 기능이 매우 우수하고, 자전거의 수리가 용이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서스펜션포크는 이중의 중심축으로 이루어지며 서스펜션포크 하단에 유포크가 이루어져 있으며 전륜허브 중심축 좌·우를 유포크에 결합하며 운전자가 주행 중 타이어 파손 및 펑크시 전륜허브 중심축을 유포크에서 분리하여 수리 후 결합하는 방식인데, 운전자가 전륜허브 결합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 디스크 브레이크나 고무 브레이크가 잘 맞지 않아 재차 결합해야 하므로 소요 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주행 중 노면의 상태에서 따라 발생하는 충격 진동 하중을 서스펜션포크의 2중 중심축에 유압오일 스프링 에어 방식이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서스펜션포크의 중량이 무겁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의 자전거용 서스펜션과 달리 하나의 축만으로 안전하게 운전자가 주행 중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고, 완충 스프링이 충격 진동 하중을 일차적으로 흡수하고 완충 스프링의 잔류 진동을 유압오일을 사용하여 완화함으로써 충격 흡수 기능이 매우 우수하고, 자전거의 수리가 용이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서스펜션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는 지지봉으로서 상기 지지봉이 자전거의 핸들 스템의 구멍 및 자전거의 차대프레임 구멍을 관통함으로써 바깥 둘레에 자전거의 핸들 스템과 차대프레임이 결합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하부와 결합하고 상기 지지봉과 결합된 부위로부터 일측방으로 길게 뻗는 연결부와, 상부가 상기 연결부와 결합하여 하방으로 길게 뻗고, 내부에 하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길게 뚫린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외경 방향으로 키가 돌출 형성되는 상부 실린더와, 상기 상부 실린더의 하단부의 내주면에 고정 결합하고 오일 구멍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엔드부재와, 상기 엔드부재의 위쪽의 상기 상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서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과, 하단은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닿고 상단은 상기 상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의 상면에 닿아 상기 상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탄설 지지되는 보조 완충스프링과, 상기 상부 실린더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실린더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실린더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한 중간결합부와, 상기 연결부의 아래쪽의 상기 상부 실린더의 상부 둘레에 결합되는 스프링 캡과, 상기 스프링 캡의 하면과 상기 중간결합부의 상면 사이에 탄설 지지되어 상기 상부 실린더 둘레에 설치되는 상부 완충 스프링과, 전륜 허브의 중심축과의 결합을 위한 허브 결합공이 형성된 부분과 디스크 브레이크와의 결합을 위한 디스크 브레이크 결합공이 형성된 부분이 하단부의 외측면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뚫린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실린더의 일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중간결합부와 고정결합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키가 끼워져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길게 키홈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는 오일이 채워지는 하부 실린더 및 상기 하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하부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는 상면이 개구된 캡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캡 삽입공간의 바닥면에는 암나사부가 구비되며 상단부에 볼트머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의 암나사부와 결합하는 결합볼트 및 상기 결합볼트가 관통하도록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볼트의 볼트머리가 걸리도록 하는 볼트머리홈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지지봉의 캡 삽입공간에 삽입되고 상부는 외경이 상기 지지봉의 상단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의 상단부에 걸쳐지는 조임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단부는 상기 스프링 캡와 결합하고 하단부는 상기 중간결합부와 결합하며, 상기 상부 완충스프링을 둘러싸는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구조를 가지는 스프링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 수직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실린더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 실린더의 상면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공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공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관통공의 상단 둘레에 걸쳐지는 볼트머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볼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결합부와 상기 하부 실린더 사이에는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개스킷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에 의하면 유포크를 사용하지 않으며 전륜허브 중심과 단 한 번의 결합에 의해 조립할 수 있어서 조립이 간편하고, 바퀴와 이어지는 축이 두 개가 아닌 하나의 축만 존재하므로 타이어를 교체할 때 서스펜션을 바퀴 허브와 분리할 필요가 없어서 타이어 파손 및 펑크시 즉시 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 하나의 바퀴와 이어지는 축만으로도 안전하게 운전자가 주행 중 방향전환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완충 스프링이 충격 진동 하중을 일차적으로 흡수하고 완충 스프링의 잔류 진동을 유압오일을 사용하여 완화함으로써 서스펜션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서스펜션의 스프링이 과도하게 수축되지 않고서도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자전거의 주행 안정성에도 큰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의 하부 실린더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의 하부 실린더를 나타낸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의 상부 실린더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의 상부 실린더를 나타낸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서스펜션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의 하부 실린더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의 하부 실린더를 나타낸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의 상부 실린더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의 상부 실린더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지지봉(100)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는 원형 봉으로서, 자전거의 핸들 스템의 구멍 및 자전거의 차대프레임 구멍을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바깥 둘레에 자전거의 핸들 스템과 핸들 스템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자전거의 차대프레임이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지지봉(100)의 상부에는 상면이 개구된 캡 삽입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캡 삽입공간(110)의 바닥면에는 암나사부(120)가 구비된다. 지지봉(100)의 하부는 하면이 개구되고 속이 비어 있다. 지지봉(100)의 내부에 공간을 많이 형성해놓은 이유는 지지봉(100)의 무게를 경감시키기 위합니다.
지지봉(100) 내부의 암나사부(120)에는 상단부에 볼트머리(210)가 구비된 결합볼트(200)의 하단부가 나사결합한다. 결합볼트(200)는 조임캡(300)을 관통하는데, 조임캡(300)에는 결합볼트(200)가 관통하도록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볼트구멍의 상부에는 결합볼트(200)의 볼트머리(210)가 안착되도록 하는 볼트머리홈이 형성되며, 조임캡(300)의 하부는 상기 지지봉(100)의 캡 삽입공간(110)에 삽입되고, 조임캡(300)의 상부는 외경이 상기 지지봉(100)의 상단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100)의 상단부에 걸쳐진다. 조임캡(300)의 볼트구멍 중 결합볼트(200)의 볼트머리(210) 바로 위에는 마개(220)가 끼워져서 빗물 등이 볼트구멍에 고이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봉(100)의 하부 둘레는 연결부(400)의 구멍을 관통하여 연결부(400)와 용접됨으로써 서로 단단히 결합된다. 연결부(400)는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봉(100)과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길게 뻗는다. 연결부(400)의 중간 부분의 아래쪽 부분에 홈(410)이 뚫려 있는데 이것은 무게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연결부(400)의 왼쪽 부분에는 수직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 실린더(600)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400)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부 실린더(600)의 상면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공(620)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공(62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연결부의 관통공의 상단 둘레에 걸쳐지는 볼트머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볼트(500)가 구비되어 연결부(400)와 상부 실린더(600) 및 헤드볼트(500)가 서로 결합된다. 연결부(400)와 상부 실린더(600)를 분리시키려면 헤드볼트(500)만 풀어내면 된다. 헤드볼트(500)의 볼트머리 바로 위의 구멍에는 마개(510)가 끼워져서 빗물 등이 볼트구멍에 고이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캡(700)은 연결부(400)의 하단면에 접하면서 상부 실린더(600)를 둘러싸도록 상부 실린더(600)의 둘레에 설치된다.
또한, 중간결합부(800)는 링 형태의 부재로서 상부 실린더(600)의 하부를 둘러싸도록 상부 실린더(600)의 하부 둘레에 설치되는데 중간결합부(800)는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다. 중간결합부(800)의 상면에는 상부 실린더(600)를 둘러싸는 링 형태의 스프링 받침캡(710)이 설치된다. 상부 완충 스프링(900)은 스프링 캡(700)과 스프링 받침캡(710) 사이에 탄설 지지되고 상부 실린더(600)에 의해 관통된다.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의 스프링 커버(1000)가 상부 완충 스프링(900)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부 완충 스프링(9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스프링 커버(1000)의 상단 구멍은 스프링 커버(1000)의 둘레에 끼워지고 스프링 커버(1000)의 하단 구멍은 스프링 받침캡(710)의 둘레에 끼워진다.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실린더(600)의 하단부에는 바깥쪽 네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키(610)가 구비된다. 각 키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실린더(600)의 하단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오일 구멍(1120)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엔드부재(1100)가 상부 실린더(600)의 하단부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된다. 엔드부재(1100)의 하면에는 공구 삽입홈(1110)이 네 개 구비된다.
상부 실린더(600)의 내부 공간에는 위쪽에 보조 완충스프링(1200)이 설치되고 보조 완충스프링(1200)의 하단에 피스톤(13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스톤(1300)의 하면은 엔드부재(1100)의 위에 위치한다. 피스톤(1300)이 상승하면 보조 완충스프링(1200)은 수축하고 보조 완충스프링(1200)이 최대로 팽창하면 피스톤(1300)이 엔드부재(1100)에 닿을 때까지 하강한다. 피스톤(1300)의 둘레에는 오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피스톤 실링 구조(1310)가 구비된다. 피스톤(1300)의 하면 중심부에는 오목한 홈(13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결합부(800)는 하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실린더(1400)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중간결합부(800)의 하부와 하부 실린더(1400)의 상부가 서로 나사결합됨으로써 중간결합부(800)와 하부 실린더(1400)가 함께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하부 실린더(1400)에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네 군데에 키홈(1410)이 형성되며, 키홈(1410)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패임으로써 형성된다. 하부 실린더(1400)의 키홈(1410)에 상부 실린더(600)의 키(610)가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하여 상부 실린더(600)의 하부가 하부 실린더(14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하부 실린더(1400)의 내부에는 오일이 채워져 있으며, 하부 완충 스프링(1500)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 완충 스프링(1500)의 상단은 상부 실린더(600)의 하단에 닿고 하부 완충 스프링(1500)의 하단은 상부 실린더(600)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닿아서 탄설 지지된다.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실린더(1400)의 하부 앞쪽에는 디스크 브레이크 연결공(1600)이 형성된 플랜지부가 아래위로 두 개 결합된다. 또한, 하부 실린더(1400)의 하부 뒤쪽에는 자전거의 전륜 허브 중심축과 결합하기 위한 구멍(1700)이 형성된 플랜지부가 하나 결합된다. 또한, 하부 실린더(1400)의 하단면 중심에는 오일 주입 및 배출을 위한 구멍(1420)이 형성되며, 이 구멍에는 마개 역할을 하는 볼트(1800)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다.
중간결합부(800)와 상부 실린더(600)의 키(610) 사이에는 위쪽에 와셔(1900), 아래쪽에 링 부재(2000)가 차례로 설치되고, 중간결합부(800)와 스프링 받침캡(710) 사이 및 와셔(1900)와 링 부재(2000) 사이에는 오일의 누출을 막기 위한 오일 패킹(210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서스펜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전거의 전륜에 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하부 실린더(1400)가 위로 올라가면서 상부 완충 스프링(900) 및 하부 완충 스프링(1500)을 수축시키며 충격을 흡수한다. 이와 함께 하부 실린더(1400) 내부의 오일이 오일 구멍(1420)을 통해 상부 실린더(6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피스톤(1300)을 밀어올려 보조 완충스프링(1200)을 수축시킨다. 상방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제거되면 보조 완충 스프링(1200)이 팽창하며 피스톤(1300)이 오일을 눌러서 오일을 하부 실린더(1400)로 되돌려보내며, 상부 완충 스프링(900) 및 하부 완충 스프링(1500)도 팽창된다. 이 과정에서 오일의 작용으로 인하여 잔류진동이 제거되며 급격한 스프링의 신축을 방지하여 안정된 댐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서tm펜션과 달리 바퀴의 한쪽 측방에만 서스펜션이 지나므로 타이어의 펑크 등으로 인해 타이어를 교체할 때도 서스펜션을 바퀴와 분리시킬 필요 없이 타이어만 교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지지봉 200: 결합볼트
300: 조임캡 400: 연결부
500: 헤드볼트 600: 상부실린더
700: 스프링캡 710: 스프링 받침캡
800: 중간결합부 900: 상부 완충스프링
1000: 스프링 커버 1100: 엔드부재
1200: 보조완충스프링 1300: 피스톤
1400: 하부실린더 1500: 하부 완충스프링
1600: 디스크브레이크 연결공 1700: 전륜허브축 구멍
1900: 와셔 2000: 링부재
2100: 오일 패킹

Claims (5)

  1. 수직 방향으로 길게 뻗는 지지봉으로서, 상기 지지봉이 자전거의 핸들 스템의 구멍 및 자전거의 차대프레임 구멍을 관통함으로써 바깥 둘레에 자전거의 핸들 스템과 차대프레임이 결합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하부와 결합하고 상기 지지봉과 결합된 부위로부터 일측방으로 길게 뻗는 연결부;
    상부가 상기 연결부와 결합하여 하방으로 길게 뻗고, 내부에 하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길게 뚫린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외경 방향으로 키가 돌출 형성되는 상부 실린더;
    상기 상부 실린더의 하단부의 내주면에 고정 결합하고, 오일 구멍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엔드부재;
    상기 엔드부재의 위쪽의 상기 상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서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
    하단은 상기 피스톤의 상면에 닿고 상단은 상기 상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의 상면에 닿아 상기 상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탄설 지지되는 보조 완충스프링;
    상기 상부 실린더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실린더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실린더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한 중간결합부;
    상기 연결부의 아래쪽의 상기 상부 실린더의 상부 둘레에 결합되는 스프링캡;
    상기 스프링 캡의 하면과 상기 중간결합부의 상면 사이에 탄설 지지되어 상기 상부 실린더 둘레에 설치되는 상부 완충 스프링;
    전륜 허브의 중심축과의 결합을 위한 허브 결합공이 형성된 부분과 디스크 브레이크와의 결합을 위한 디스크 브레이크 결합공이 형성된 부분이 하단부의 외측면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뚫린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실린더의 일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중간결합부와 고정결합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키가 끼워져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길게 키홈이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는 오일이 채워지는 하부 실린더; 및
    상기 하부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하부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서스펜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는 상면이 개구된 캡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캡 삽입공간의 바닥면에는 암나사부가 구비되며,
    상단부에 볼트머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의 암나사부와 결합하는 결합볼트; 및
    상기 결합볼트가 관통하도록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볼트의 볼트머리가 걸리도록 하는 볼트머리홈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지지봉의 캡 삽입공간에 삽입되고 상부는 외경이 상기 지지봉의 상단부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의 상단부에 걸쳐지는 조임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서스펜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단부는 상기 스프링 캡와 결합하고 하단부는 상기 중간결합부와 결합하며, 상기 상부 완충스프링을 둘러싸는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구조를 가지는 스프링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서스펜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수직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실린더의 상단부가 상기 연결부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 실린더의 상면에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공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공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관통공의 상단 둘레에 걸쳐지는 볼트머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헤드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서스펜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결합부와 상기 하부 실린더 사이에는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개스킷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서스펜션.
KR20100060295A 2010-06-25 2010-06-25 자전거용 서스펜션 KR10118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0295A KR101189492B1 (ko) 2010-06-25 2010-06-25 자전거용 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0295A KR101189492B1 (ko) 2010-06-25 2010-06-25 자전거용 서스펜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126A true KR20120000126A (ko) 2012-01-02
KR101189492B1 KR101189492B1 (ko) 2012-10-15

Family

ID=4560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0295A KR101189492B1 (ko) 2010-06-25 2010-06-25 자전거용 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4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233B1 (ko) * 2018-01-28 2019-01-24 김원봉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KR20200083888A (ko) * 2019-01-01 2020-07-09 김원봉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KR20210068946A (ko) * 2019-12-02 2021-06-10 김원봉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068B1 (ko) 2017-10-16 2018-10-05 한국기계연구원 장애물 극복을 위한 안전 서스펜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4714A (en) 1991-06-11 1999-07-20 Cannondale Corporation Bicycle suspension system
WO2000035686A2 (en) 1998-12-18 2000-06-22 General Dynamics Ordnance And Tactical Systems, Inc. Motorcycle suspension components
KR100868875B1 (ko) 2007-03-16 2008-11-14 조덕환 충격완충용 자전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233B1 (ko) * 2018-01-28 2019-01-24 김원봉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KR20200083888A (ko) * 2019-01-01 2020-07-09 김원봉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KR20210068946A (ko) * 2019-12-02 2021-06-10 김원봉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492B1 (ko) 201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492B1 (ko) 자전거용 서스펜션
CN202518055U (zh) 一种汽车减震器上支座总成
CN206984002U (zh) 弹性件、转向架及轨道车辆
CN201944179U (zh) 一种车辆减震器
CN104500638A (zh) 一种转向用减震器
KR100820484B1 (ko) 자동차 쇽업소버 장착구조
KR101162309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CN202510610U (zh) 带缓冲减震器
CN211820532U (zh) 一种耐磨汽车减震器
CN101929521A (zh) 一种双油缸汽车减振器
CN219954073U (zh) 一种电动车的并列双阻尼器后减震装置
CN211423247U (zh) 一种稳定性高的汽车减震器
CN220015916U (zh) 一种储油缸
CN212028402U (zh) 一种汽车减震器用隔震块
CN219472622U (zh) 一种单筒氮气减振器及其液压缓冲机构
JP2005054863A (ja) 油圧緩衝器
CN103032502A (zh) 一种汽车减震器隔振块
CN217481843U (zh) 一种新型三轮汽车减震器
CN216200066U (zh) 一种具有新型防尘罩的汽车减振器
KR100489424B1 (ko) 가스 쇽 업소버의 가스 주입부 실링장치
KR100478908B1 (ko) 쇽 업소버의 상부캡 지지구조
KR101162304B1 (ko) 에어 서스펜션 장치
CN208010837U (zh) 一种用于减震器的可拆卸式缓冲机构
CN205654765U (zh) 轿车前后减振器
CN206329668U (zh) 一种减震器连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