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40028A - 자동차의 프런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프런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40028A
KR20110140028A KR1020100060203A KR20100060203A KR20110140028A KR 20110140028 A KR20110140028 A KR 20110140028A KR 1020100060203 A KR1020100060203 A KR 1020100060203A KR 20100060203 A KR20100060203 A KR 20100060203A KR 20110140028 A KR20110140028 A KR 20110140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nd carrier
coupled
supporter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589B1 (ko
Inventor
정성훈
이경록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6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589B1/ko
Publication of KR2011014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40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4Radia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프런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프런트 엔드 캐리어의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에 각각 지지되어 결합되는 상측지지부 및 하측지지부와, 상,하측 지지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지지부를 구비한 서포터부재를 포함하고, 범퍼 페시아 및 라디에이터 그릴은 서포터부재를 통해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자중 및 열해에 의한 라디에이터 그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프런트 구조{FRONT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범퍼, 범퍼서포트 및 그릴을 구비한 자동차의 프런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량의 프런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에는 라디에이터, 응축기, 팬 등의 냉각장치 및 주변장치를 장착하도록 차체의 양측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캐리어(1)와, 캐리어(1)의 전방에 설치되는 범퍼유닛(2)을 구비한다.
범퍼유닛(2)은 차체의 전방에서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에너지 업소버(3)의 외측을 덮어 차체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범퍼 페시아(4)를 구비한다.
범퍼 페시아(4)에는 라디에이터 그릴(5)이 일체로 형성되고, 범퍼 페시아(4)의 상단은 캐리어(1)의 상측에 결합되는 브라켓(6)에 스크류 등을 통해 체결되어 지지되고, 범퍼 페시아(4)의 하단은 프론트 스포일러(7) 뒤쪽의 로우 디플렉터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범퍼 페시아(4)는 라디에이터 그릴(5)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자중에 의하여 또는 엔진룸의 열해에 의해 브라켓(6)과 캐리어(1)의 체결부위(8)가 변형됨에 따라 라디에이터 그릴(5)이 하부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처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후드(9)와 범퍼 페시아(4)의 매칭구간이 벌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범퍼유닛 및 라디에이터 그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전방구조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런트 구조는 수평 방향으로 상하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을 구비한 프런트 엔드 캐리어와,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결합되는 범퍼 페시아 및 라디에이터 그릴을 구비한 차량의 프런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의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에 각각 지지되어결합되는 상,하측지지부와, 상기 상,하측지지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지지부를 구비한 서포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범퍼 페시아 및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은 상기 서포터부재를 통해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서포터부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부재에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사이드지지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지지부에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외기의 흐름을 상기 개구부측으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면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면은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차폭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서포터부재의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부재 및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고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서포터부재 및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위치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퍼 페시아는 상기 하부패널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측지지부의 상면에 안착된 후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지지부에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이 안착되는 그릴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단부는 상기 그릴안착부에 지지되어 결합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하단부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마련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하단부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프런트 구조는 냉각장치가 설치되도록 냉각장치 설치부가 마련된 프런트 엔드 캐리어와,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결합되는 범퍼 페시아와, 상기 범퍼 페시아의 상측에 결합되는 라디에이터 그릴을 구비한 차량의 프런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범퍼 페시아 및 상기 라이에이터 그릴이 지지되고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결합되는 서포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부재에는 상기 냉각장치 설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측으로 외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면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면은 상기 서포터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되되,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차폭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부재는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의 상부패널에 결합되는 상측지지부와,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의 하부패널에 결합되는 하측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지지부에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단이 지지되어 결합되는 그릴안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부재와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고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서포터부재와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위치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퍼 페시아의 상단은 상기 하측지지부의 상면에 안착된 후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고정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은 상단이 상기 그릴안착부에 지지되어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하단은 상기 범퍼 페시아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범퍼유닛의 자중 및 엔진룸의 열해에 의한 범퍼유닛 및 라디에이터 그릴의 처짐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차량의 외적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는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별도의 에어가이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프런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서포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런트 구조 조립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전방방향(화살표 F), 차폭방향인 좌우 양측방향(화살표 W), 상부방향(화살표 U)에 관하여는 차체(10)의 직진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차체(10)의 전방에는 엔진룸(11)을 덮는 후드(12)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하여 차체(10) 및 탑승자를 보호하는 범퍼유닛(30)과, 라디에이터(미도시)측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범퍼유닛(30)의 상부에 배치된 라디에이터 그릴(5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범퍼유닛(30) 및 라디에이터 그릴(50)은 차체(10)의 전면부 틀을 형성하는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결합되는 서포터부재(7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프런트 엔드 캐리어(20)는 엔진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를 방열하여 엔진을 냉각하도록 라디에이터, 응축기, 팬 등의 냉각장치 및 주변장치를 장착하도록 차체의 양측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런트 엔드 캐리어(20)는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격되어 배치되며, 차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패널(21) 및 하부패널(22)과, 상부패널(21)과 하부패널(22)을 서로 연결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결패널(23)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패널(23)은 좌우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패널(23a,23b)과, 사이드패널(23a,23b)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패널(23c)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패널(23c)은 후드(12)를 개폐하는 후드래치(미도시) 등이 설치되도록 상,하부패널(21,22)의 중앙부분에서 상,하부패널(21,22)을 서로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결패널(23)은 차량의 혼 스피커 등이 고정되도록 센터패널(23c)과 사이드패널(23a,23b)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패널(23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패널(23a,23b)과 센터패널(23c)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은 개방되어 냉각장치(미도시)가 설치되는 냉각장치 설치부(2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의 상부 양측, 즉 사이드패널(23a,23b)의 양측으로는 헤드램프(13)가 설치되는 헤드램프 장착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패널(21)의 양측에는 서포터부재(70)가 결합되는 경우 서포터부재(70)가 용이하게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서포터부재(70)의 조립위치를 정의하는 위치고정돌기(25)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돌기(25)는 상부패널(21)의 표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패널(21) 및 하부패널(22)에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결합홀(26) 및 복수개의 제2결합홀(27)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범퍼유닛(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고정되는 범퍼 스테이(미도시)와, 범퍼 스테이의 전방에 결합되는 범퍼 빔(31)과, 범퍼 빔(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에너지 업소버(32)와, 차체(10)의 전방 외측면을 형성하며 에너지 업소버(32)의 외측을 커버하는 범퍼 페시아(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에너지 업소버(32)는 차체(10)의 전방에서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범퍼 빔(31)은 그 충격을 받아 내는 작용을 하는 부재이다.
범퍼 페시아(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재질의 판재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범퍼 페시아(40)는 에너지 업소버(32) 및 범퍼 빔(31)의 전방 및 양측면을 덮는 전면부(41)와, 전면부(41)의 하측에 폭방향으로 개구된 그릴부(42)와, 로우 디플렉터(14)의 전방을 덮도록 전면부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범퍼 페시아(40)의 전면부(41) 양측에는 램프장착부(44)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범퍼 페시아(40)는 후방 상부가 서포터부재(70)에 고정되고, 하부가 프론트 스포일러(15)에 지지되어 차체(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범퍼 페시아(40)의 전면부(41) 상면 중앙영역에는 범퍼 페시아(40)의 상면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부(45)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45)는 차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끼움홈(46)이 마련된 지지면(47)과, 지지면(47)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49)이 마련된 복수의 플랜지(48)를 구비할 수 있다.
끼움홈(46)은 라디에이터 그릴(50)과 결합될 수 있고, 플랜지(48)에 마련된 체결홈(49)은 서포터부재(70)와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48)는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와 범퍼 페시아(40) 사이를 소정간격 이격시켜 완충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충돌시 좌굴변형에 따른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범퍼 페시아(40)의 하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스포일러(15)와 결합되도록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돌출부(43)가 마련되고, 돌출부(43)의 내측에는 로우 디플렉터(14)가 배치될 수 있다.
로우 디플렉터(14)는 보행자가 차체 전면에 충돌한 때에 입력되는 충격 하중에 대한 반력을 보행자의 하부 부위에 작용하게 하여 보행자를 후드(12) 상부로 넘어지게 하여 후드(12) 등에 의한 충격 흡수 부재에 의해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범퍼 페시아(40)는 서포터부재(70)를 매개로 하여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서포터부재(70)는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서포터부재(70)는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격되고, 차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측지지부(71) 및 하측지지부(72)와, 상,하측지지부(71,72)를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지지부(73)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지지부(73)는 서포터부재(7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지지부(73a) 및 서포터부재(7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는 센터지지부(73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지지부(73a)와 서포터부재(70)의 사이에는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의 냉각장치 설치부(24)와 대응하도록 차체(10)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74)가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지지부(73a)에는 냉각장치 설치부(24)에 설치된 냉각장치(미도시)측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면(75)이 마련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면(75)은 차체(10)의 전방으로부터 라디에이터 그릴(50)을 통해 개구부(74)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각장치의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차체(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차폭방향(W) 내측을 향해 경사진 면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터부재(70)는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결합되는 경우 서포터부재(70)의 상,하측지지부(71,72)는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의 상,하부패널(21,22)에 각각 안착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안착 지지된 서포터부재(70)의 상,하측지지부(71,72)에는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결합되는 체결부(76,77)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76,77)는 서포터부재(70)가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안착 지지되는 경우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의 제1결합홀(26)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제1관통홀(76)과,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의 하부패널(22)에 결합되도록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복수의 제2관통홀(77)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측지지부(71)의 양측에는 서포터부재(70)가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조립되는 경우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의 상부패널(21)에 마련된 위치고정돌기(25)가 삽입되는 위치고정홈(78)이 마련될 수 있다.
서포터부재(70)를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조립시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의 위치고정돌기(25)가 서포터부재(70)의 위치고정홈(78)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서포터부재(70)의 체결부(76,77)는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의 제1,2결합홀(26,27)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놓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서포터부재(70)를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조립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포터부재(70)에 위치고정홈(78)을 마련하고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위치고정돌기(25)가 마련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위치고정돌기(25) 및 위치고정홈(78)은 서로 변경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서포터부재(70)의 상측지지부(71)의 전방에는 라디에이터 그릴(50)이 지지되는 그릴안착부(79)가 마련되고, 그릴안착부(79)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그릴체결홀(79a)이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라디에이터 그릴(50)은 서포터부재(70)를 통해 범퍼 페시아(4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라디에이터 그릴(50)은 단품으로 제작된 후 범퍼 페시아(4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라디에이터 그릴(50)은 차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수평리브(51)와, 복수의 수평리브(51) 사이에 형성되며 차폭방향으로 개구된 외기유입공(52)을 구비하고, 외부의 공기는 라디에이터 그릴(50)의 외기유입공(52)을 통해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 그릴(50)의 하측에는 범퍼 페시아(40)의 지지면(47)에 마련된 끼움홈(46)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끼움리브(53)가 구비될 수 있다.
끼움리브(53)는 라디에이터 그릴(50)의 하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차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라디에이터 그릴(50)의 하단은 범퍼 페시아(4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충돌에 의하여 범퍼 페시아(40)가 밀리게 되면 라디에이터 그릴(50)도 함께 밀려 들어간 후 다시 원래대로 복원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라디에이터 그릴(50)의 하단이 범퍼 페시아(40)를 제외한 그 외의 구조물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충돌에 의해 범퍼 페시아(40)가 밀려 들어갈 때 라디에이터 그릴(50)은 밀리지 않게 되므로 파손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라디에이터 그릴(50)의 상측에는 서포터부재(70)의 그릴안착부(79)에 지지되는 서포터지지면(54)이 마련되고, 서포터지지면(54)에는 서포터부재(70)의 그릴체결홀(79a)과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홀(55)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런트 구조 조립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프런트 구조 조립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차체(10)의 전방에 마련된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서포터부재(70)를 장착한다. 이때, 서포터부재(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부재(70)의 위치고정홈(78)에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의 상부패널(21)에 마련된 위치고정돌기(25)에 삽입시키는 작업에 의해 서포터부재(70)는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조립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놓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서포터부재(70)를 장착하기 위한 조립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은 향상되게 된다.
서포터부재(70)가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안착된 후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서포터부재(70)를 고정한다.
이후, 범퍼유닛(30)을 서포터부재(70)에 장착한다. 이때, 범퍼유닛(30)의 범퍼 페시아(40)의 지지면(47)은 서포터부재(70)의 하측지지부(72) 상측에 안착되고, 범퍼 페시아(40)의 지지면(47)에 마련된 체결홈(49)은 서포터부재(70)의 제2관통홀(77) 및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의 제2결합홀(27)과 연통되게 되고,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됨으로써 범퍼유닛(30)은 서포터부재(70)에 고정된다.
그 다음, 서포터부재(70)에 라디에이터 그릴(50)을 장착한다. 이때, 라디에이터 그릴(50)의 서포터지지면(54)은 서포터부재(70)의 그릴안착부(79)에 안착 지지되고, 라디에이터 그릴(50)의 하측에 마련된 끼움리브(53)는 범퍼 페시아(40)의 지지면(47)에 마련된 끼움홈(46)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라디에이터 그릴(50)은 서포터부재(70)를 통해 차체(10)의 전방에 결합됨으로써 자중 및 열해에 의한 라디에이터 그릴(5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후드(12)와 라디에이터 그릴(50) 사이의 갭 발생을 방지하여 차량의 외적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서포터부재(70)에는 라디에이터 그릴(50)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프런트 엔드 캐리어(20)에 결합되는 냉각장치 측으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면(75)이 일체로 마련됨으로써 별도의 에어가이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10: 차체, 20: 프런트 엔드 캐리어,
25: 위치고정돌기, 30: 범퍼유닛,
40: 범퍼 페시아, 50: 라디에이터 그릴,
70: 서포터부재, 71,72: 상,하측지지부,
73a: 사이드지지부, 74: 개구부,
75: 에어가이드면, 78: 위치고정홈,
79: 그릴안착부.

Claims (16)

  1. 상하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을 구비한 프런트 엔드 캐리어와,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결합되는 범퍼 페시아 및 라디에이터 그릴을 구비한 차량의 프런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의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에 각각 지지되어 결합되는 상측지지부 및 하측지지부와, 상기 상,하측 지지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지지부를 구비한 서포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범퍼 페시아 및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은 상기 서포터부재를 통해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서포터부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재에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사이드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지지부에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외기의 흐름을 상기 개구부측으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면은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차폭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서포터부재의 중앙에 배치되는 센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재 및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고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서포터부재 및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위치고정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페시아는 상기 하부패널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측지지부의 상면에 안착된 후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지지부에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이 안착되는 그릴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단부는 상기 그릴안착부에 지지되어 결합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하단부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마련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하단부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끼움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11. 냉각장치가 설치되도록 냉각장치 설치부가 마련된 프런트 엔드 캐리어와,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결합되는 범퍼 페시아와, 상기 범퍼 페시아의 상측에 결합되는 라디에이터 그릴을 구비한 차량의 프런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범퍼 페시아 및 상기 라이에이터 그릴이 지지되고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결합되는 서포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부재에는 상기 냉각장치 설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측으로 외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면은 상기 서포터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마련되되,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차폭방향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재는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의 상부패널에 결합되는 상측지지부와,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의 하부패널에 결합되는 하측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지지부에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단이 지지되어 결합되는 그릴안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재와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 중 어느 하나에는 위치고정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서포터부재와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위치고정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페시아의 상단은 상기 하측지지부의 상면에 안착된 후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고정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은 상단이 상기 그릴안착부에 지지되어 상기 프런트 엔드 캐리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하단은 상기 범퍼 페시아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런트 구조.
KR20100060203A 2010-06-24 2010-06-24 자동차의 프런트 구조 KR101112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0203A KR101112589B1 (ko) 2010-06-24 2010-06-24 자동차의 프런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0203A KR101112589B1 (ko) 2010-06-24 2010-06-24 자동차의 프런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40028A true KR20110140028A (ko) 2011-12-30
KR101112589B1 KR101112589B1 (ko) 2012-02-15

Family

ID=4550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0203A KR101112589B1 (ko) 2010-06-24 2010-06-24 자동차의 프런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5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8256A1 (en) * 2014-09-26 2016-03-31 Tofaş Türk Otomobil Fabrikasi Anonim Şirketi A grill connection system
CN113581111A (zh) * 2021-08-30 2021-11-02 惠州市车之骄汽车用品有限公司 汽车前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896B1 (ko) * 2007-02-07 2013-06-1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344524B1 (ko) * 2007-07-25 2013-12-2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362342B1 (ko) * 2008-01-09 2014-02-1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프론트 엔드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8256A1 (en) * 2014-09-26 2016-03-31 Tofaş Türk Otomobil Fabrikasi Anonim Şirketi A grill connection system
CN113581111A (zh) * 2021-08-30 2021-11-02 惠州市车之骄汽车用品有限公司 汽车前杠
CN113581111B (zh) * 2021-08-30 2024-02-20 惠州市车之骄汽车用品有限公司 汽车前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589B1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5582B2 (ja) 車両のグリルシャッタ構造
JP5965272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5096684A (ja) 車体前部の導風構造
US20130134740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JP2009083687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2014198509A (ja) 車両のグリルシャッタ構造
JP2017087867A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KR101112589B1 (ko) 자동차의 프런트 구조
JP4266739B2 (ja) 自動車のフィニッシャカバー
KR100629422B1 (ko) 차량 범퍼 충격흡수 조립체
US10131303B2 (en) Bumper assemblies and vehicles with integrated air deflectors
KR102092139B1 (ko) 차량용 캐리어
KR101497312B1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KR101297559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JP2001138840A (ja) バンパ配設部構造
CN211641828U (zh) 车辆的导风结构
JP7467879B2 (ja) 車両の前部構造
CN215284367U (zh) 一种汽车前端进气系统及汽车
JP6296418B2 (ja) 導風板
EP3808606B1 (en) Vehicle front structure, and vehicle
JP5706733B2 (ja) 車両の冷却風導入装置
JP4718932B2 (ja)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パネル構造
KR101545680B1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CN102689588A (zh) 汽车散热器挡风板
CN109383634B (zh) 车辆前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