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397A - 흡입기 - Google Patents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397A
KR20110134397A KR1020117020164A KR20117020164A KR20110134397A KR 20110134397 A KR20110134397 A KR 20110134397A KR 1020117020164 A KR1020117020164 A KR 1020117020164A KR 20117020164 A KR20117020164 A KR 20117020164A KR 20110134397 A KR20110134397 A KR 20110134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ster
housing
support member
slot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041B1 (ko
Inventor
매튜 폴 라이트
미카엘 쉘든
매튜 사카르
이반 밀리보제빅
로저 윌리암 클라크
엠마 레슬리 윌리엄슨
Original Assignee
벡투라 딜리버리 디바이시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벡투라 딜리버리 디바이시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벡투라 딜리버리 디바이시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34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43Containers with means for dispensing liquid medicaments in a filtered or sterile way, e.g. with bacterial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61M15/0026Hinged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8Cut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3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without arming or cocking, e.g. acting directly on the delivery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흡입할 약품의 복용량을 포함하는 단일 블리스터를 베이스로 삽입하는 슬롯(slot)를 가지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가 개시된다. 흡입기는 마우스피스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슬롯에 수용된 블리스터를 관통하도록 작동 가능한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를 수반하는 베이스에 장착된 마우스피스를 가진다.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로 흡입할 때, 복용량의 약품은 공기 흐름에 동반되어 마우스피스를 통해서 블리스터 밖으로 그리고 사용자의 기도로 이동한다.

Description

흡입기{Inhaler}
본 발명은 분말 형태의 약품의 구강 투여(oral delivery) 또는 경비 투여(nasal delivery)를 위한 흡입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파열가능한 뚜껑(breachable lid) 또는 베이스를 가지며 장치의 사용자가 흡입할 단일 복용량의 약품을 포함하는 단일 블리스터(blister)가 포함 또는 적재될 수 있는 단위-분량 흡입기(unit-dose inhaler)에 관한 것이다.
환자가 조심스럽고 공공연히 흡입 장치를 비교적 용이하게 사용하게 됨에 따라 흡입 장치를 이용한 약품의 구강 투여(oral delivery) 또는 경비 투여(nasal delivery)은 특히 매력적인 약물 투여 방법이 되고 있다. 기도의 국소성 질병(local disease) 및 다른 호흡기 문제를 치료하기 위하여 약품 투여뿐만 아니라, 최근에 폐를 통해 혈류로 약을 전달하는데 흡입 장치가 이용되었고 그로 인하여 피하 주사의 필요를 피하게 된다.
건조 분말 제제를 일반적으로 각각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측정된 단일 복용량의 분말을 포함하는 캡슐 또는 블리스터의 형태로, 개별 복용량으로 미리-포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블리스터(blister)는 일반적으로 연성 포일 라미네이트(ductile foil laminate) 또는 플라스틱 물질로 냉간 형성되며 제조하는 동안 그리고 블리스터(blister)로 복용량의 약품을 삽입한 후에 블리스터(blister)의 주변부의 주위를 열-봉인(heat-seal)하는 천공가능한(puncturable) 또는 벗길 수 있는(peelable) 뚜껑을 포함한다. 약품이 노출될 경우 흡입기의 투여 특징에 해로운 효과를 미칠 수 있는 빛 및 UV 방사선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각 복용량의 약품에 물이 들어오고 산소와 같은 가스가 침투하는 것을 막기 때문에 포일 블리스터(blister)는 폴리머 블리스터 또는 젤라틴 캡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블리스터(blister)는 우수하게 각 개별 약품 복용량을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흡입 장치를 사용할 때마다 장치를 열고 및/또는 블리스터(blister)를 삽입할 필요없이 장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 복용량을 유지할 수 있는 흡입기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 장치는 WO 2005/037353 a1로 공개된 본 출원인의 이전 국제특허출원에서 공지된다.
그러나, 한번에 단지 1개의 블리스터(blister)만 수용하는, 간단하고, 값이 싼 단위-분량(unit-dose)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일단 블리스터에 포함된 복용량의 약품을 흡입하면, 환자는 블리스터(blister)를 장치에서 제거하고 버린다. 그러고 나서 연속적인 복용량을 위하여 새 블리스터(blister)가 장치로 삽입된다. 이것은 스트립 인덱싱 기구(strip indexing mechanism)가 필요 없고 흡입장치의 전체적인 치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매우 간단하게 한다.
약품 투여를 위한 재사용가능한, 단위-분량(unit-dose), 수동적인 건조 분말 흡입기가 공지되어 있다. 복용량의 약품을 미리 측정하여 포일 블리스터(blister)에 포함시켜서 재현가능한 투여와 함께 약의 보호를 최대한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개별 블리스터(blister)에 탭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중공 또는 블리스터 볼(blister bowl)을 손상시키기 않고 블리스터를 용이하게 잡고 장치로 블리스터를 용이하게 삽입하고 이어서 흡입 후 장치에서 블리스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장치를 작동시키면 피어싱 요소(piercing element)가 삽입된 블리스터 볼을 파괴 또는 파열시켜서 장치의 마우스피스를 통해서 환자가 흡입을 때, 블리스터에 포함된 복용량의 약품을 동반시키기 위해 블리스터를 통해 공기가 이동하고 장치를 통해 블리스터 밖으로 운반된 복용량의 약품이 환자의 기도를 통해 아래의 폐로 전달된다.
본 발명은 공지된 단위-분량(unit-dose) 유형 흡입 장치를 개선시키고 사용하기 용이하며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단위-분량(unit-dose) 건조 분말 흡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흡입 장치를 사용하기 바로 전에 블리스터(blister)로 적재되는 구체예를 기재하더라도, 다른 '미리-적재가능한(pre-loadable)' 장치의 구체예 또한 기술된다. '미리-적재가능한(preloadable)'은 필요할 때 환자가 즉시 복용량의 약품에 접근하고 흡입 바로 전에 블리스터를 장치에 적재하지 않도록 블리스터를 장치에 삽입하고 나중에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천공된 상태(pre-punctured state)로 유지되도록 디자인된 장치를 의미한다. 많은 기존의 장치에서, 블리스터(blister)를 삽입하기 위해 장치를 준비 또는 개방해야 하고 원래 상태로 다시 이동할 때 블리스터가 관통되기 때문에, 복용량의 약품을 실제로 흡입하기 전에 수송하는 동안 블리스터가 부주의하게 관통되지 않고 블리스터를 미리 적재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그러나, 준비 상태에서 장치는 비교적 불안정하고 사고에 의해 용이하게 미리 관통될 수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쉽게 블리스터를 잡게 하기 위해 블리스터에 탭이 제공되는 경우, 블리스터 볼을 수월하게 운반하기 어렵게 하는 피어싱-준비 위치(piercing-ready position)에 블리스터 볼이 있을 때 탭이 장치에서 돌출할 수도 있고 블리스터 탭(blister tab)이 방해가 되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을 때 장치 위의 캡 또는 커버의 부착을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잇다.
분말 약품이 폐에서 효과적으로 흡수되기 위해서 입자 사이즈가 정확하게 제어된 범위로 분말 약품을 투여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환자의 기도로 들어가기 전에 흡입 장치를 통해 약품이 이동할 때 입자를 분쇄(deagglomeration)할 필요가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공동소유의 출원 중인 유럽특허출원번호 08100886.4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챔버, 상기 챔버를 통해 축 방향으로 입구 포트로 들어가서 출구 포트로 나오는 약을 실은 공기의 흐름을 위한 상기 챔버의 양쪽의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화(aerosolising) 장치를 포함하는 흡입기에 대해 기술한다. 흡입기는 또한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 사이를 이동하는 약을 실은 공기와 상호작용하는 챔버에서 사이클론을 형성하는 챔버로 깨끗한, 약을 실지 않은 공기의 흐름을 위한 접선 방향의 바이패스 공기 입구를 포함한다. 바이패스 공기가 장치 안에서 사이클론을 형성하기 때문에, 약을 실은 공기 흐름에 대한 사이클론의 효력 때문에 약을 실은 공기 흐름이 회전하고 출구 포트를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나선형 경로를 따르게 된다. 약을 실은 공기가 챔버를 통과하여 이동할 때 가속되고 전단력(shear force) 및 차등 속도(differential velocity)가 증가하여, 입자를 더 분쇄하여 방출되는 복용량의 약품의 미립자 분획(fine particle fraction)을 개선하기 때문에, 축 방향에서 챔버로 이동하는 약을 실은 공기에 대해 챔버 주위를 회전하는 바이패스 공기에서 형성된 소용돌이의 이 상호작용은 흡입기의 성능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단위-분량(unit-dose) 흡입 장치에 필수적이지 않지만, 상기 참조된 이전 출원에서 기술된 개념은 또한 단위-분량 흡입기의 투여된 복용량의 약품의 분쇄(deagglomeration) 및 미립자 분획의 연관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단위-분량 흡입기의 모든 구체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EP08100886.4에 기술된 유형의 바이패스 공기 사이클론이 통합된, 본 발명에 따른 단위-분량(unit-dose) 흡입기의 구체예를 기술하기 전에, 첨부된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서, EP08100886.4에 개시된 장치의 일반화된 구체예를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복용량의 약품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를 가지는 하우징 및 블리스터에 포함된 복용량의 약품을 수용하는 슬롯(slot)을 가지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으로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제1 위치 및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로 흡입할 때 복용량의 약품이 기류에 동반되어 블리스터 밖으로 마우스피스를 통해 사용자의 기도로 이동하도록 하우징에 수용된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blister piercing element)가 삽입된 블리스터를 관통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흡입기를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 관통된 위치로 하우징에 대하여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를 회전시키기 위해 블리스터 지지 부재가 하우징 안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하우징에서 돌출되어서 슬롯에 삽입되고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블리스터가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blister piercing element)에 의해 관통된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는 하우징의 벽에 형성된 컷-아웃부(cut-out section)에서 길게 형성되고 컷-아웃부(cut-out section)의 일부를 차지하는 레버부(lever portion)를 포함하여 하우징 및 레버부(lever portion)가 함께 그 사이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에 수용된 블리스터의 블리스터 탭(blister tab)이 상기 슬롯(slot)에서 상기 오목부로 돌출하도록 슬롯(slot)이 위치된다. 특히,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가 제1 위치에서 있을 때 상기 오목부로 돌출되는 블리스터 탭(blister tab)이 하우징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와 간격을 두도록 슬롯(slot)이 형성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가, 제2, 관통 위치로 회전하면, 어퍼쳐(aperture)에서 오목부로 돌출하는 블리스터 탭(blister tab)이 하우징에 대하여 놓여 있고 및/또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보다 덜 접근가능한 위치 또는 명백하게 보이는 위치에 있도록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 및 하우징을 구성한다. 블리스터 탭(blister tab)이 덜 접근가능하고 및/또는 보이기 때문에,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가 관통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장치 밖으로 블리스터(blister)를 제거하거나 당기는 일이 거의 없을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하우징은 양쪽 말단벽(opposite end wall)을 가지며 상기 말단벽 중 하나에 컷-어웨이부(cut-away section)가 형성되며, 컷-어웨이부(cut-away section)로 돌출하는 레버부(lever portion)가 상기 양쪽 말단벽의 비-컷-어웨이부(non-cut-away section)와 부분적으로 유사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은 마우스피스에서 떨어진 하부 말단을 가지며, 상기 하부 말단은 하우징 위에 위치한 방어 캡(protective cap)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 돌출 숄더(laterally protruding shoulder)를 포함한다. 이상적으로, 레버부(lever portion)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에서 숄더의 연장부(extension)를 형성하는 숄더를 레버부(lever portion)가 포함해서, 캡이 하우징의 숄더 및 레버부(lever portion)의 숄더 연장부, 둘 다에 의해 지지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하우징에 수용된 블리스터의 블리스터 탭(blister tab)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오목부로 돌출하지 않고 방어 캡은 하우징의 상기 컷-어웨이부(cut-away section) 및 상기 레버부(lever portion)에 의해 형성된 상기 오목부 위로 형성된다.
캡이 제2, 관통 위치에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와 함께 하우징에 위치할 경우, 캡이 레버부(lever portion)의 숄더에 접촉하여 하우징으로 캡이 더 이동하여 제1 위치로 다시 레버부(lever portion)를 회전시키도록 레버부(lever portion)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아치형 가이드면(arcuate guide surface)이 하우징에 형성되며 레버부(lever portion)는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레버부(lever portion)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공동 가이드 부재(cooperating guide member)를 가진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는 하우징의 내면에 대항하여 기울어진 자유 말단에 텅(tongue)을 가지는 탄성 암(resilient arm)을 가지며,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가 제1 및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텅(tongue)이 각 멈춤쇠(detent)에 위치하도록 하우징은 위치결정된 멈춤쇠를 가진다.
흡입기는 마우스피스에서 떨어진 하우징의 하부 말단에 근접한 베이스 부재(base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평면에 수직으로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한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레버부(lever portion)가 비-관통 위치에 있을 때 레버부(lever portion)가 베이스 부재의 상기 벽의 연속부(continuation)를 형성하는 밑면을 가져서, 흡입기가 평면에 수직으로 놓일 때, 흡입기가 상기 벽 및 레버부(lever portion)의 밑면에 의해 지지된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는 제1 위치에서 베이스 부재와 접촉하고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가 제2 위치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위치 너머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베이스 부재의 벽에서 하우징 안에서 위쪽으로 길게 형성되는 탄성 암(resilient arm)을 베이스 부재가 포함하고, 상기 암의 자유 말단은 하우징에 베이스를 부착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개구부에 연결되는 텅(tongue)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하우징 위에 위치한 캡에 접촉하기 위하여 텅(tongue)은 하우징의 외부면 너머로 개구부를 통해 돌출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가능(pivotable)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모든 구체예에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는 제1 위치에서 슬롯(slot)을 통해서 삽입된 블리스터(blister)를 지지하는 시트(seat)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의 하우징은 또한 한 말단에 챔버에서 관통된 블리스터로 약을 실은 공기를 이동시키는 입구 및 반대 말단에 마우스피스로부터 환자의 기도로 약을 실은 공기를 이동시키는 출구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챔버는 입구 및 출구 사이에서 형성되는 세로축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챔버는 입구와 출구 사이를 이동하는 약을 실은 공기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사이클론 챔버로 깨끗한 공기를 흐르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공기 입구를 가진다. 바이패스 공기 입구는 챔버와 접선 방향으로 만나서 약을 실은 공기의 흐름과 상호 작용하는 깨끗한 공기에서 사이클론 기류가 생성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챔버 및 바이패스 공기 입구는 하우징 안에 위치한 인서트(insert)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은 측벽 사이에 위치한 인서트와 서로 간격을 두는 한 쌍의 측변을 포함하며, 측벽은 바이패스 공기 입구의 끝 너머로 가로 방향으로 돌출한다.
일 구체예에서, 하우징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에 대항하여 하부 위치에 위치하는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를 가지며,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blister piercing element)에 의해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위치한 블리스터가 관통되는 위치에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가 위치한다. 하우징이 홈 위치 또는 저장 위치에서 하우징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대하여 각을 이루며 블리스터 피서싱 요소가 블리스터 관통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슬롯을 통해 관통될 블리스터를 블리스터 지지 부재로 삽입하고 제거하는 높은 위치로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전한 준비 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
일 구체예에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가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에 있을 때, 챔버의 세로축은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로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하우징이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에 있을 때에만 캡이 하우징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하우징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에 대하여 올라가고 슬롯(slot)으로 블리스터(blister)가 삽입되는 방향이 챔버의 세로축에 대하여 각을 이루는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를 하우징이 가진다. 그러면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에서,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blister piercing element)가 슬롯(slot)을 통해서 비스듬히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로 삽입된 블리스터를 관통하는 블리스터 관통 위치로 추정되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에 대하여 하부로 기울어진 위치로 하우징이 회전하는, 관통 위치를 하우징이 가질 것이다.
이 구체예에서, 하우징이 하부 블리스터 관통 위치에 있을 때, 챔버의 세로축은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로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일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블리스터(blister)를 관통하기 위하여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로 하강하기 위해 하우징이 회전운동을 하기 전에 하우징이 홈 위치(home position)에 있을 때 블리스터 볼을 둘러싼 블리스터의 평면부가 챔버의 세로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놓이도록 블리스터를 지지하기 위해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블리스터를 관통하기 위해 하우징이 홈 위치(home position)에서 하부 위치로 회전한 후에 챔버의 세로축이 블리스터 덮개의 평면부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놓인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는 사용하지 않을 때 하우징과 함께, 수평면(level surface)에 블리스터 지지 부재를 수직으로 세우는 하부 지지면을 가지며, 상기 블리스터를 관통하기 위해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하우징이 회전운동을 하기 전의 제1 위치에 하우징이 있을 때 챔버의 세로축이 하부 지지면의 평면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놓여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블리스터 시트(blister seat)는 블리스터 볼을 둘러싸는 블리스터의 주변을 지지하는 블리스터 지지면(blister support surface)을 포함한다. 이상적으로, 블리스터 지지면은 주위 벽의 아래에 위치하여 지지면에 위치한 블리스터의 가장자리가 지지면 및 주위 벽 사이에서 지지된다. 일 구체예에서, 블리스터 지지면은 블리스터 볼을 수용하는 U자형 컷아웃을 포함하며 활형(arcuate) 캔틸레버 암(cantilever arm)이 컷아웃에서 U자형 베이스까지 형성된다. 캔틸레버 암 (cantilever arm)은 확대된 헤드를 가지며, 블리스터 볼이 립(lip)과 연결되고 캔틸레버 암(cantilever arm)이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블리스터 볼이 헤드 위로 올라가고 장치 안에서 블리스터를 유지하기 위해 활형 캔틸레버 암(cantilever arm) 안에 위치시킨다.
일부 구체예에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는 미리 적재된 블리스터의 접힌 블리스터 탭을 수용하기 위해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의 측벽에 형성된 탭 수용 오목부(tab receiving recess)를 가진다.
일 구체예에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는 하우징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에 대하여 회전할 때 하우징의 오목형 지지면(concave shaped support surface)에 대응하는 볼록형 지지면(convex shaped support surface)을 가진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슬롯(slot)에서 돌출하는 블리스터 탭(blister tab)이 장치의 벽 너머로 돌출하지 않도록 슬롯(slot)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의 함몰부(depression)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흡입 장치는 블리스터가 슬롯(slot)으로 삽입된 후 그리고 하우징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를 실질적으로 덮도록 위치결정가능한 캡을 포함할 수 있고, 캡은 상기 슬롯(slot)에서 돌출하는 블리스터 탭(blister tab)을 방해하지 않고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사용자가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blister piercing element)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의 슬롯(slot)으로 삽입된 블리스터를 볼 수 있도록 하우징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 사이에 개구부가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흡입 장치는 또한 복용량의 약품을 포함하는 탭을 가지는 블리스터(blister)를 포함하여 블리스터(blister)가 슬롯(slot)으로 삽입될 때, 탭이 슬롯(slot)에서 돌출하고 흡입 후 슬롯(slot)에서 블리스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일부 구체예에서, 탭은 슬롯(slot)에 수용된 블리스터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접힐 수 있어서 블리스터가 슬롯에 수용될 때 탭은 베이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에 놓인다. 베이스는 접힌 탭을 위치시키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캡이 접힌 탭 위에 형성되어 접힌 탭을 덮도록 베이스 및 캡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중에 사용하도록 준비된 흡입 장치를 선적재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슬롯(slot)을 가지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 마우스피스를 가지는 하우징 및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하우징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를 덮는 캡을 포함하며,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 및 하우징은 캡을 제거한 후에, 블리스터가 상기 슬롯으로 삽입되는 제1 위치 및 하우징에 의해 운반된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blister piercing element)가 삽입된 블리스터(blister)를 관통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방법은 캡을 제거하는 단계, 마우스피스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복용량의 약품을 포함하는 블리스터를 슬롯(slot)으로 삽입하는 단계, 및 마우스피스가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고 복용량의 약품을 포함하는 블리스터가 슬롯에 수용되는 동안 캡이 실질적으로 하우징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를 덮도록 캡을 제자리로 돌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블리스터(blister)는 탭을 가지며, 블리스터가 슬롯으로 삽입될 때 탭이 슬롯에서 돌출하며 흡입 후 슬롯(slot)에서 블리스터를 용이하게 제거하며, 상기 방법은 슬롯에 수용된 블리스터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탭을 접는 단계를 포함하며 탭이 베이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에 있다. 베이스는 상기 슬롯(slot)에 수용된 블리스터의 블리스터 탭(blister tab)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방법은 하우징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 위에 커버를 놓기 전에 베이스의 오목부로 탭을 접히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건조 분말 흡입 장치용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blister piercing element)는 플레이트를 통해 약품 흐름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접힘선(fold line)을 따라 플레이트의 평면부 밖으로 굽은 복수의 주변 블리스터 피어싱 블레이드(peripheral blister piercing blade)를 가지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각 블레이드(blade)는 각각의 다른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peripheral piercing blade)에서 멀리 향하고 각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peripheral piercing blade)의 접힘선(fold line)이 나머지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peripheral piercing blade)의 접힘선(fold line)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놓인다.
일 구체예에, 4개의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peripheral piercing blade)가 있다.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blister piercing element)는 또한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peripheral piercing blade)로 둘러싸인 중앙 피어싱 블레이드(central piercing blade)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적으로, 중앙 피어싱 블레이드(central piercing blade)의 접힘선(fold line)은 각각의 4개의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peripheral piercing blade)의 접힘선(fold line)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된다. 일 구체예에서, 중앙 피어싱 블레이드(central piercing blade)의 접힘선(fold line)은 각 4개의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peripheral piercing blade)의 접힘선(fold line)에 45°로 기울어져 있다.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blister piercing element)의 일 구체예에서, 암은 플레이트의 평면부에 비스듬히 바깥쪽으로 매달려 있고 탭은 플레이트의 평면부에 평행한 평면부에서 암의 말단에서 길게 형성되며, 탭은 흡입 장치에 피어싱 요소(piercing element)를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한 홀을 가진다.
본 발명의 구체예를 첨부된 도면의 도 2a 내지 30을 참조하여, 예로서 기술한다.
도 1a는 참조된 본 출원인의 이전 출원에 설명 및 묘사된 것으로, 바이패스 공기 사이클론을 가지는 일반화된 흡입 장치의 일부의 횡단면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장치의 선 X-X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는 하우징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서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 또는 홈 위치(home position)에 있고 캡이 하우징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 위에 위치한, 본 발명의 단위-분량(unit-dose) 흡입 장치의 제1 구체예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캡이 제거되고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에서 관통될 블리스터의 삽입을 준비하는 준비 위치로 하우징이 회전하는, 도 2a에 도시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의 측면에서 슬롯(slot)을 통해서 관통될 블리스터(blister)를 삽입한 후의 도 2b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2d는 하우징이 삽입된 블리스터를 관통하기 위하여 도 2b에 도시한 준비 위치에서 홈 위치(home position)로 다시 회전한 후의 도 2a 및 2b에 도시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한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b는 사이클론 챔버 차단 플레이트를 제거한, 도 3a에 도시한 바이패스 공기 사이클론을 가지는 하우징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 및 3의 구체예에 사용된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에 도시한 하우징에 수용되는 바이패스 공기 사이클론 챔버 인서트(bypass air cyclone chamber insert)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바이패스 공기 사이클론 챔버 인서트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2 및 3a에 도시한 흡입 장치의 블리스터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한 블리스터 지지 부재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6c는 도 6a 및 6b에 도시한 블리스터 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d는 블리스터가 블리스터 지지면 및 주위 벽 사이에서 어떻게 유지되는지 설명하기 위하여, 블리스터 지지 부재의 일부를 관통하는 단순화된 측단면도이다;
도 7a는 하우징이 홈 위치 또는 저장 위치에 위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장치의 미리 적재가능한(pre-loadable) 제2 구체예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흡입 장치의 제2 구체예의 정면도이다;
도 7c는 도 7a 및 7b에 도시한 흡입 장치의 제2 구체예의 배면도이다;
도 8a는 하우징이 관통 위치에 위치한, 도 7a에 도시한 흡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하우징이 관통 위치에 위치한, 도 7b에 도시한 흡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c는 하우징이 관통 위치에 위치한, 도 7c에 도시한 흡입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9a는 하우징이 홈 위치 또는 저장 위치에 위치한,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장치의 제3 구체예의 측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한 흡입 장치의 제3 구체예의 정면도이다;
도 9c는 도 7a 및 7b에 도시한 미리 적재가능한(preloadable) 흡입 장치의 제3 구체예의 배면도이다;
도 10a는 하우징이 관통 위치에 위치한, 도 9a에 도시한 흡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b는 하우징이 관통 위치에 위치한, 도 9b에 도시한 흡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c는 하우징이 관통 위치에 위치한, 도 9c에 도시한 흡입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하우징이 제1 저장 위치 또는 홈 위치에 위치하고, 캡이 하우징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 위에 있는, 본 발명의 단위-분량(unit-dose) 흡입 장치의 제4 구체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캡이 제거되고 장치로 블리스터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 11에 도시된 흡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블리스터가 삽입된 도 11 및 12에 도시한 흡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블리스터가 삽입된 도 11 내지 13의 흡입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가 관통 위치로 회전한, 도 11 내지 14의 흡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블리스터 지지 부재 및 베이스가 제거된, 도 11 내지 16의 흡입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1 내지 16의 흡입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1 내지 17의 흡입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1에 도시한 캡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흡입 장치의 모든 구체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블리스터 피어싱 부재(blister piercing member)의 사시도이다;
도 20b는 도 20a에 도시한 블리스터 피어싱 부재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20c는 도 20a 및 20b에 도시한 블리스터 피어싱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a에, 본 출원인의 이전 출원에서 설명 및 묘사한 것과 같이, 복용량 약품을 분쇄를 돕는데 바이패스 기류를 이용하는, 흡입 장치(1)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a에서, 장치는 마우스피스(2a)를 포함하는 하우징(2), 챔버 벽(4)을 가지는 내부 챔버(3), 약을 실은 공기 입구 포트(5), 출구 포트(6) 및 바이패스 공기 입구(7)를 가진다. 도 1a의 선 X-X를 따른 횡단면도를 도 1b에 도시한다.
장치(1)는 챔버(3)를 닫는 마우스피스(2)의 하부 말단을 가로질러 형성된 사이클론 챔버 차단 플레이트(cyclone chamber closure plate; 8)를 포함한다. 약을 실은 공기 입구 포트(5)가 사이클론 차단 플레이트(8)에 형성되어 사이클론 차단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챔버(3)의 세로축(도 1a의 A-A)과 동축이다.
차단 플레이트(8)가 하우징(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더라도, 바람직하게 차단 플레이트(8)는 조립하는 동안 하우징(2)에 또는 챔버(3)의 말단에 부착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로 형성된다.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바이패스 또는 깨끗한, 약을 실지 않은 공기 입구(7)는 바람직하게 하우징(2)의 측면에 형성되는 활형의 채널에 접선 방향으로 향하고 차단 플레이트(8)는 가장 하부 벽을 형성하며 (약을 실은 공기 입구 포트(5)에서 떨어져서) 챔버(3)의 하부 말단을 둘러싸며, 또한 채널(7)의 하부면을 형성하여 채널(7)이 각각의 그 말단에서만 개구된다. 도 1a 및 1b에 2개의 채널(7)이 도시되어 있지만, 원하는 사이클론 효력을 생성하기 위해 1개의 채널(7)로도 충분할 수도 있다.
바이패스 공기 입구(7)가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접선 방향에서 바이패스 공기가 챔버(3)를 향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이 입구(7)를 통과하는 깨끗한 공기가 (도 1a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낸 것처럼) 챔버(3) 주위에서 회전하여 사이클론 또는 와동을 형성한다.
출구 포트(6)는 동반된 약이 챔버(3)로부터 환자의 기도로 이동될 수 있는 챔버(3)의 말단을 가로질러 형성되는 메시 형태일 것이다. 바람직하게, 마우스피스(2a)는 출구 포트(6) 너머로 길게 형성되는 유동 디퓨저(flow diffuser; 9)를 통합하고 마우스피스(2a)의 상부 가장자리(10)를 향해 서서히 증가하는 단면을 가진다. 디퓨저(9)의 벽(11)은 굽어 있다.
피어싱 장치(12)는 차단 플레이트(8)의 반대편에서 챔버(3) 아래에 배치되고 차단 플레이트(8)에서 형성 및/또는 차단 플레이트(8)에 연결될 수도 있다. 피어싱 장치(12)는 피어싱 헤드에 매달린 피어싱 요소(14, 15)를 가지는 피어싱 헤드(13)를 포함한다. 블리스터 볼(16a)의 덮개(16b)를 찌르도록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14, 15)가 형성되어 환자가 마우스피스(2)를 통해서 흡입을 때, (도 1a의 화살표 "C"의 방향으로) 깨끗한 공기가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blister piercing element; 14)에 의해 형성된 공기 입구 흐름 통로(air inlet flow passage)를 통해서 블리스터 볼(16a)로 들어가고 블리스터 볼(16a)에서 포함된 복용량의 약품을 끌고 나온다. 그러면 약을 실은 공기가 중앙의 약을 실은 공기 출구 통로(17)를 통해 블리스터(16a) 밖으로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한다. 약을 실은 공기 출구 통로(17)가 챔버(3)의 약을 실은 공기 입구 포트(5)에 연결되어 축 방향으로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챔버(3)로 이동한다. 동시에, 깨끗한 바이패스 공기는 접선 방향의 바이패스 공기 입구(7)를 통해서 챔버(3)로 들어가고 (화살표 "B" 방향으로) 챔버(3) 주위를 회전하여 와동 또는 사이클론을 형성한다.
도 2a 내지 2d에, 본 발명에 따른 단위-분량(unit-dose) 건조 분말 흡입기(19)의 제1 구체예를 도시하며, 흡입기는 일반적으로 블리스터 지지 부재(20), 마우스피스(21a)를 가지고,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하우징(21) 및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투명할 수 있는) 하우징(21)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20) 위에 형성된 캡(22)을 포함한다. 도 2a에서, 하우징(21)이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에 위치하며 장치를 보호하고 마우스피스(21a) 및 흡입시 환자의 입 안으로 삽입되는 마우스피스(21a)의 일부로 먼지가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캡(22)이 하우징(21)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20)를 덮는 저장 상태의 장치를 도시한다. 하우징(21)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에서 떨어져 회전하여 불안정한 준비 위치로 하우징(21)만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에서 떨어져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21)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에 부착된, 이 상태에서, 장치는 안정한 상태에 있다.
도 2b는 캡(22)이 제거되고,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의 측벽에서 슬롯(23)을 통해 관통될 블리스터의 삽입을 준비하는 (도 2b에서 축 "A"에 대해 화살표 "P"의 방향에서) 홈 위치에서 준비 상태로 하우징(21)이 회전한 후의 장치(19)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장치를 주머니나 가방 안에서 운반할 때, 이 상태에서 하우징(21)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부착된 홈 위치로 하우징(21)이 용이하게 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장치는 비교적 불안정한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이 구체예에서 기술된 장치는 이 상태에서 운반되지 않고 복용량의 약품을 흡입할 당시, 즉 관통하기 바로 전에 사용자가 장치로 블리스터를 삽입하도록 디자인된다.
도 2c는 블리스터를 장치(19)의 측면에서 슬롯(23)을 통해서 삽입한 후의 도 2b에 도시된 장치를 도시하며, 블리스터에 형성된 탭(16d)이 장치(19)의 측면에서 돌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복용량의 약품을 포함하는 블리스터 볼을 접촉 또는 손상시키기 않고 사용자가 블리스터 탭(blister tab)의 어느 한쪽에 놓인 손가락으로 블리스터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탭을 통해 블리스터를 장치로 용이하게 삽입하고 제거할 수 있다.
도 2d는 슬롯(23)을 통해서 블리스터를 삽입한 다음의 도 2b에서 도시한 위치에서 화살표 P'의 방향으로 홈 위치(home position)로 하우징(21)이 다시 회전한 후의 장치(19)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블리스터가 관통되고 환자가 마우스피스(21a)를 통해서 흡입하도록 장치가 준비된다.
이 제1 구체예에서, 캡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20) 위로 이동하면 돌출한 블리스터 탭이 캡(22)을 방해하기 때문에, 도 2a에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21)이 홈 위치(home position)에 위치하고 장치에 블리스터가 있지 않을 때에만 하우징(21)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20) 위로 캡(22)이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한 장치(19)를 관통하는 수직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a 및 1b에 관하여 기술된 것과 유사하게, 사이클론 챔버(24)가 하우징(21) 안에 배치되어 있다. 사이클론 챔버(24)는 하우징 안에 수용되고 하우징(21)에 장착되는, 도 5a 및 5b에 더 명확하게 도시된, 인서트(25)의 형태를 취한다. 메시의 형태일 수 있는, 사이클론의 출구 말단(26)은 마우스피스(21a)에 일체로 형성된, 굽은 디퓨저(27)의 하부 가장자리에서 연결되는 숄더(26a)를 가지며, 인서트(25)는 챔버(24)의 입구 말단을 가로질러 길게 형성되는 사이클론 차단 플레이트(28)에 의해 제자리에서 유지되고, 인서트(25)는 또한 흡입하는 동안 블리스터에서 챔버(24)로 약을 실은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어퍼쳐(aperture; 29)를 가진다. 차단 플레이트(28)는 인서트(25) 위로 길게 형성되고, 입구(29)에서 떨어진, 사이클론 챔버(24)의 하부 개구 말단을 폐쇄하며, 바이패스 공기 흐름 입구(30)의 하부 벽을 형성한다.
차단 플레이트(28)는 하우징(21)에 형성된 대응하는 포스트(32)에 대하여 일치하는 챔버(24) 밖에서 챔버를 따라 직립하는 한 쌍의 중공 원통형 포스트(31)를 포함한다(도 3a 및 3b 참조). (미도시한) 나사를 포스트(31)에서 고정시켜서 하우징(21)의 대응하는 포스트(32)와 나사 결합하고, 그로 인하여 차단 플레이트(28)를 하우징(21)에 안정하게 부착하며 그 사이에 사이클론 챔버 인서트(25)를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적당한 고정 방법을 이용하여 인서트(25)를 하우징(21) 안에 장착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차단 플레이트(28)는 공지된 부착 방법을 이용하여 인서트(25) 또는 하우징(2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리지(ridge; 33)(도 3b 및 4a 참조)가 하우징(21)의 내면의 양쪽에 형성되어 사이클론 챔버 인서트(25)가 흔들리지 않고 하우징(21) 안에서 중앙에 위치 결정하는 것을 돕는다. 하우징(21)에 대하여 차단 플레이트(28) 및 피어싱 요소(34)(하기 참조)를 정확하게 방향을 정하여 조립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리지(ridge; 33)는 또한 핵심적인 특징부로서 작용한다.
아래를 향하는 블레이드(35)를 가지는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34)(도 3a 참조)가 어퍼쳐(aperture; 29)의 밑의 차단 플레이트(28)에, 즉 챔버(24)의 반대쪽 차단 플레이트(28)에 장착된다. 도 3a에 명백하게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21)이 홈 위치(home position)에 있을 때, 블레이드(35)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에 수용된 블리스터의 덮개(미도시)에 의해 점유될 공간으로 아래쪽으로 길게 형성되어, 블리스터가 슬롯(23)을 통해 삽입되고 하우징(21)이 도 2b에 도시된 준비 위치에서 홈 위치로 되돌아오면, 블레이드(35)가 덮개를 천공해서 마우스피스(21a)를 통해 이어서 흡입하는 동안 복용량의 약품이 기류에 동반될 것이다.
도 4a 및 4b에서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21)(도 3b)은 일반적으로 'U'의 굽은 말단에 마우스피스(21a)를 가진 거꾸로 된 U자형을 가지며 'U'의 다리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의 중앙 부분을 둘러싼다. 사이클론 챔버 인서트(25)는 마주보는 측벽(21a, 21b) 사이에서 하우징(21) 안에 위치한다. 측벽(21a, 21b) 사이의 하우징(21)의 말단 영역에서 개방되도록 사이클론 챔버(24)의 바이패스 공기 입구(30)가 형성된다. 측벽(21a, 21b)이 바이패스 공기 입구(30)의 말단 너머로 측면에서 길게 형성되는 한, 장치를 잡은 손가락이 돌출된 측벽(21a, 21b)에 의해 바이패스 공기 입구 개구부에서 떨어져 위치하기 때문에, 장치를 잡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바이패스 공기 입구(30)를 막지 않을 것이다.
도 5a 및 5b에서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것처럼, 인서트(25)에 측벽(21a, 21b) 사이에서 길게 형성된 바이패스 공기 입구(30)의 말단에 아치형 플랜지(30a)가 제공된다.
하우징(21)(도 3b)은 ('U'자의 한 다리 중 먼 말단에서) 한 하부 말단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측벽(21a, 21b) 사이에서 옆으로 길게 형성된 허브(hub; 35a)를 포함한다. 하우징(21)은 홈 위치 및 준비 위치 사이에서 허브(35a)의 세로축 "A-A"에 대하여 회전한다.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허브(35a)는 일반적으로 그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높이 'H'가 폭 'W'보다 크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20)는 그 길이를 따라 길게 형성된 개구부 또는 마우스(37)를 가지는 부분 원통형 오목부(36)(도 6c 참조)를 포함한다. 개구부(37)의 높이는 허브(35a)의 폭 'W'와 같거나 약간 켜서 하우징(21)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에 대하여 허브(35a)의 폭 'W'이 개구부(37)의 높이에 맞아서 허브(35a)가 개구부(37)의 마우스를 안 닿게 지나가는 자리에서 회전할 때 허브(35a)가 개구부를 통해서만 오목부(36)에 삽입 또는 오목부(36)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일단 허브(35a)가 개구부(37)를 통해 오목부(36)로 삽입되고 하우징(21)이 베이스(30)에 대하여 회전하면, 하우징(21)이 동일한 방향으로 다시 돌 때까지 허브(35a)가 오목부(36)에서 제거될 수 없을 것이다.
허브(35a)에서 먼 하우징(21)의 반대 말단('U'의 다른 다리의 먼 말단)은 탄성력을 가지는 캐치(catch; 38)를 포함하며, 캐치(38)는 하우징(21)에 일체로 또는 조립하는 동안 하우징(21)에 부착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캐치(38)는 베이스(20)의 공동 표면(cooperating surface; 40)에 연결되는 후크형 말단(hooked end; 39)을 가져서, 피어싱 요소(34)의 블레이드(35)에 접하지 않고 블리스터가 슬롯(23)을 통해 블리스터 지지 부재(20)로 삽입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피어싱 블레이드(35)가 이동하기에 충분한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작은 각으로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에 대한 하우징(21)의 회전을 제한한다.
공동 표면(40)은 초기 램프 표면부(initial ramp surface section; 41), 중간 표면부(intermediate surface section; 42) 및 최종 램프 표면부(end ramp surface section; 43)를 포함하며, 초기 램프 표면부(41)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에 대한 하우징(21)의 회전 운동에 약간의 초기 저항을 제공하여 캐치(38)가 초기 램프 표면부(41) 위로 올라탐에 따라 약간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하우징(21)이 초기 홈 위치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고, 중간 표면부(42)는 하우징(21)이 더 회전하는 동안 캐치(38)의 변형이 일반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어느 정도의 마찰력을 제공해서 풀려서 하우징(21)이 그 홈 위치에서 약간 회전할 때에 하우징(21)이 그 무게 때문에 후퇴하지 않을 것이며, 최종 램프 표면부(43)는 하우징(21)이 블리스터를 삽입할 개방 위치로 완전히 회전하면 후크(39)가 연결될 스톱(44)에서 끝난다. 최종 램프 표면부(43)는 후크(39)가 스톱(44)에 도달하기 전에 적어도 일부의 캐치(38)의 변형이 해제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하우징(21)이 준비 위치에 남아 있고 환자가 회전시키기 전에 너무 쉽게 홈 위치(home position)로 후퇴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슬롯(23)은 확대된 블리스터 볼형 중앙 개구부(enlarged blister bowl-shaped central opening; 23b)를 가지는 좁은 슬릿(slit; 23a) 형태이다. 블리스터 덮개 및 블리스터 볼(16a)을 둘러싸는 평면 영역이 슬릿(23a)에 수용되어 블리스터 볼(16a)이 중앙 개구부(23b)를 통해 장치에 통과한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20)는 블리스터 볼(16a)을 둘러싸는 블리스터의 평면 영역이 장착되는 블리스터 지지면(45) 및 주위 벽(46)을 포함한다. 블리스터가 블리스터 지지면(45) 및 주위 벽(46) 사이에서 유지되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의 일부에 관통된, 간단한, 일부 측단면도를 도시하는, 도 6d에서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것처럼, 지지면(45)은 주위 벽(46)의 약간 아래에 있고, 블리스터가 블리스터 지지 부재(20)로 삽입되는 방향에서 직각으로 형성되는, 지지면의 폭이 블리스터의 폭보다 약간 작아서 블리스터(16)의 가장자리(16c)가 블리스터 지지면(45)의 측면 가장자리(45a) 위로 돌출한다. 주위 벽(46)이 지지면(45)의 측면 가장자리(45a) 위에서 그리고 측면 가장자리(45a)와 간격을 두고 끝나고 주위 벽(46)이 블리스터의 가장자리에서 돌출하여 효과적으로 블리스터 지지면(45) 및 주위 벽(46) 사이에서 양쪽을 따라 슬롯이 형성되어 블리스터 가장자리를 수용한다. 그러므로, 블리스터 가장자리(16c)는 블리스터 볼(16a)을 둘러싸는 블리스터 가장자리(16c)에 최대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지지면(45) 및 주위 벽(46) 사이에서 유지된다. (명확성을 위해 도 6d에 지지면(45) 및 블리스터 사이의 거리 및 블리스터와 주위 벽(46) 사이의 거리가 매우 과장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의 지지면(45) 및 주위 벽(46) 사이의 거리는 블리스터 가장자리가 지지면(45) 및 주위 벽(46) 사이에서 억지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주위 벽(46)이 부분적으로 지지면(45) 위로 돌출할 수도 있고 및/또는 지지면(45)의 폭이 다른 구체예의 블리스터의 폭과 같거나 더 클 수도 있다.
지지면(45)은 슬롯(23)을 향하여 'U'의 베이스로부터 길게 형성되는 탄성을 가지는 변형가능한 캔틸레버 암(cantilever arm; 47)을 가지는 평면도(도 6b 참조)에서 일반적으로 U자형 개방 영역(45b)을 가진다. 캔틸레버 암(47)의 길이를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에서, 캔틸레버 암(47)은 블리스터 볼(16a)의 형태에 대응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굽은 형태이다. 캔틸레버 암(47)의 자유 말단은 아래쪽으로 굽은 앞을 향하는 립(49)을 가지는 확대된 헤드 또는 탭(48)과 일체로 형성된다. 립(49)은 슬롯(23b)으로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동안 블리스터 볼(16a)의 표면과 처음 접촉한다. 일단 처음 접촉하면, 볼(16a)이 탭(48) 위로 올라감에 따라 캔틸레버 암(47)이 아래쪽으로 꺾여서 더 삽입된다. 일단 블리스터가 완전히 삽입되면, 탭(48)은 그 원위치로 블리스터 볼의 반대쪽을 따라서 다시 올라탄다. 그로 인하여 블리스터 볼(16a)는 관통될 캔틸레버 암(47)의 아치형 안의 위치에서 유지되거나 아늑하게 놓여 있다. 지지면(45)에 슬롯(23)으로 블리스터가 너무 많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리스터의 가장 뒤쪽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스톱(48a)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d에 도시된 것처럼, 탭(48)의 상부면은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방향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방향에서 아치형을 이루어서 블리스터 볼(16a)의 굽은 형태에 가능한 가깝게 일치한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20)는 편평한 하부 지지면(67)을 가져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에서 직립한 하우징(21)을 가지는 테이블에 블리스터 지지 부재(20)가 똑바로 서 있게 된다. 이것은 장치가 놓이는 표면과 하우징(21)이 접촉할 필요가 없는 것을 보장한다. 하우징(21)이 홈 위치(home position)에 있을 때, 챔버(24)의 세로축 A-A이 편평한 하부 지지면(67)의 평면부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장치의 제2 구체예를 도 7a 내지 8c을 참조하여 기술할 것이다. 이 구체예에서, 홈 위치 또는 저장 위치는 또한 장치로 블리스터가 삽입되는 위치, 즉 블리스터를 용이하게 삽입하게 위하여 피어싱 블레이드를 비키기게 하기 위해 하우징(60)을 준비 위치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는 위치이다. 반대로, 본 구체예의 하우징(60)은 블리스터를 관통하도록 블리스터를 삽입한 후에, 블리스터 지지 부재(61)에 대하여 홈 위치 또는 저장 위치에서만 회전한다. 일단 복용량의 약품을 흡입하면, 하우징(60)은 피어싱 블레이드(62)를 올리기 위해 그리고 사용된 블리스터를 장치에서 제거하고 연속 사용을 준비하기 위해 새로운 블리스터를 삽입할 수 있도록 그 홈 위치로 다시 회전한다. 하우징(60)의 벽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61)가 정렬되고 장치가 일반적으로 똑바로 유지되고, 반면에 제1 구체예에서 하우징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서 비스듬하게 기울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60)이 홈 위치에서 비교적 안정되어 있고 준비 위치에서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의 흡입기보다 안정되어 있다.
본 구체예는 환자가 복용량의 약품을 급하게 투여하고 장치에 적재할 시간이 없을 때 또는 질병에 관한 증상 등 때문에 투여할 당장 복용량의 약품이 필요 없어서 장치에 적재할 수 없을 때와 같이 차후 사용을 위해 장치가 미리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가 흡입기와 분리하여 복용량의 약품을 운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전 구체예의 문제는 미리 적재한 상태에서 흡입기를 유지하기 때문에, 하우징(21)은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블리스터 지지 부재(20)에서 멀리 회전하는, 비교적 불안정한, 준비 위치로 유지되어야 하고, 피어싱 블레이드(35)를 삽입된 블리스터에서 떨어뜨려 유지해야 한다. 이것은 하우징(21)이 준비 위치에 있을 때 장치에 캡(22)을 장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21)이 홈 위치로 다시 부주의하게 회전하는 것을 막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예를 들면, 흡입기를 주머니 또는 핸드백에 넣어 운반하고 그로 인하여 미리 적재된 블리스터를 찌를 때, 문제가 된다.
본 구체예에서, 하우징(60)이 홈 위치에 있을 때 슬롯(63)이 하우징(60) 안의 피어싱 부재 및/또는 사이클론 챔버의 세로축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어서 하우징(60)이 홈 위치에서 회전한 후에 블리스터 지지 부재(61)의 측벽의 슬롯(63)을 통해서 옆으로 블리스터를 삽입하기보다, 블리스터가 도 7a에 도시된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챔버의 그리고 피어싱 부재(62)의 세로축 A-A에 대하여 비스듬히,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장치의 방향에서 아래를 향하여 비스듬히 삽입된다.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마우스피스(60a)가 통합된, 하우징(60)이 축 'A'에 대해 회전하기 위해 장치의 긴 쪽을 따라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6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서 하우징이 도 7a 내지 7c에 도시된 직립 위치에서 도 8a 내지 8c에 도시된 아래로 기울어진 위치로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하여 삽입된 블리스터를 관통할 것이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61)는 블리스터가 삽입되는 슬롯(63)과 동일한 각으로 수평면에서 기울어져 있는 상부 주변 벽(65)을 가진다. 하우징(60)은 또한 하우징(60)이 홈 위치에 있을 때 수평하고 블리스터 지지 부재(61)의 상부 주변 벽(65)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되는 하부 주변 벽(64)을 가진다. 하우징(60)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61)에 대하여 회전할 때, 블리스터 지지 부재(61)의 상부 주변 벽(65) 및 하우징(60)의 하부 주변 벽(64)이 서로 만나고 서로에 대하여 동일 평면에 놓인다. 이 위치에서, 사이클론 챔버의 세로축 A-A은 블리스터 덮개의 평면부 및 블리스터 볼을 둘러싸는 블리스터의 일부에 실질적으로 직각이고 피어싱 요소가 블리스터 덮개의 평면부를 통해서 블리스터 볼로 삽입된다. 내부 스커트부(inner skirt; 66)가 하부 주변 벽(64)의 범위 내에서 하우징(60)에서 매달려 있고, 도 8a 내지 8c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60)이 관통 위치로 회전할 때 블리스터 지지 부재(61) 내에 수용된다.
제1 구체예와 같이, 장치의 블리스터 지지 부재(61)는 장치가 테이블 또는 수평면에 똑바로 서 있을 수 있게 하는 하부 지지면(67)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리스터는 탭(16d)을 가져서 블리스터를 장치로 용이하게 삽입 및 장치에서 제거할 수 있다. 장치를 즉시 쓸 수 있도록 미리 적재되는 경우, 블리스터 지지 부재(61)의 측벽에 대하여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장치에서 돌출하는 탭의 일부를 접을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블리스터 지지 부재(61)의 측벽은 접힌 탭(16d)을 수용하는 오목부(68)를 포함하고 오목부의 가장자리는 블리스터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까지 블리스터 지지 부재(61)의 측벽에 대하여 제자리에서 블리스터를 유지하기 위하여 탭을 뒤로 밀 수 있는 립(69)을 가질 것이다.
개구부(70)가 하우징(60) 및 블리스터 지지 부재(61) 사이의 스커트부(66)에 형성되어서 환자가 장치 안을 보고 블리스터가 장치 안에 있는지, 또한 블리스터가 이미 관통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눈으로 확인하고 또한 피어싱 요소(62)가 손상되었는지 더러워졌는지 체크하기 위해 볼 수 있다.
흡입 장치의 제3 구체예를 도 9a 내지 10c를 참조하여 기술할 것이다. 본 구체예는 제2 구체예와 유사해서 동일한 특징은 다시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본 구체예에서, 마우스피스(85a)가 통합된 하우징(85)이 장치의 긴 쪽을 따라서 형성되는 축을 따라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82)에 여전히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지만, 블리스터는 홈 위치 또는 저장 위치에 있는 사이클론 챔버의 수평축(horizontal axis) 또는 세로축에 대해 비스듬히 삽입되지만 슬롯(80)은 더 긴 앞 벽 또는 뒷벽보다 장치의 짧은 측벽에 있다.
게다가, 슬롯(80)이 블리스터 지지 부재(82)에 형성된 볼 또는 반구체 형상의 함몰부(81) 안으로 후퇴해서 블리스터가 장치로 삽입될 때 블리스터의 탭(16d)이 장치의 측벽 너머로 돌기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구체예에서는 방해되지 않게 이동시키기 위해 블리스터 탭(16d)을 접을 필요가 없다. 볼 또는 함몰부(81)는 탭(16d)을 잡고 장치에서 블리스터를 제거하도록 환자가 블리스터 탭(16d)의 양쪽으로 엄지와 검지를 삽입할 수 있는 사이즈 및 구조를 가진다.
제3 구체예에서, 장치의 블리스터 지지 부재(82)에, 하우징(85)에 형성된 대응하도록 아래를 향하게 형성된 오목면(84)과 짝짓는 위를 향하여 형성된 지지벽(83)이 제공된다. 블리스터가 삽입된 후에 하우징(85)이 (도 9a 내지 9c에 도시된 홈 위치에서, 도 10a 내지 10c에 도시된 관통 위치로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할 때, 하우징(85)의 오목면(84)이 볼록한 형태의 지지면(83) 위로 올라타고, 그로 인하여 하우징(85)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의 전 범위를 통해 하우징을 완전하게 지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전 구체예와 같이, 하우징(85)은 블리스터 지지 부재(82) 안에 수용되고 하우징(85)의 회전 운동 동안 그 안에서 미끄러지는 스커트부(86)를 가진다. 스커트부(86)는 또한 사용자가 피어싱 요소(88)를 보고 장치 안에 위치한 블리스터가 이미 관통되었는지 여부를 판명하게 하기 위한 어퍼처(aperture; 87)를 가진다.
제4 구체예를 첨부된 도면 중 도 11 내지 19를 참조하여 기술할 것이다. 본 구체예에서, 하우징 및 베이스가 서로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고 블리스터는 하우징 안에서 형성된 레버부(lever portion)를 가지고 하우징 및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수용된다. 이전 구체예에 대해 본 구체예의 이점은 블리스터를 관통하기 위하여 바이패스 사이클론과 함께, 하우징이 움직이지 않고, 거기에 장착된 블리스터와 함께, 블리스터 지지 부재만 회전한다는 것이다. 이전 구체예 및 도 1a 및 1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이 바이패스 사이클론 및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를 포함하고 이들을 장착한다.
도 11은 제4 구체예에 따른 흡입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흡입 장치(100)는 마우스피스(101a)를 포함하는 하우징(101), 하우징(101)에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되는 베이스(102)(도 14 참조) 및 하우징(101) 안에 수용되고 베이스(102)에 의해 고정되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를 포함한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는 하우징(101)의 벽에 형성된 컷-아웃(101a)에서 돌기하는 레버부(103a)를 가진다. (도 11에서 투명한 것으로 도시된) 캡(104)이 하우징(101) 위에 형성되고 하우징(101)의 가장 낮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 부분(105a) 및 하우징(101)에서 돌기하는 레버부(103a)의 가장 낮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 부분(105b)를 가지는 숄더(105)에 위치한다. 그로 인하여 캡(104)은 숄더(105)로부터, 실질적으로 장치의 전부를 덮는다.
도 11 및 12는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 'I' 방향의 기울어진 방향으로,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에 형성된 슬롯(106)을 통해서 장치로 블리스터를 삽입해서 블리스터(16)를 수용하게 준비되어 있는 홈 위치 또는 저장 위치에 있는 레버부(103a)를 가지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13은 블리스터(16)가 슬롯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지만 관통되기 이전의 장치를 도시한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 및 하우징(101)이 함께 장치의 측면에서 거의 반구체 형태의 오목부 'R'을 형성하고 블리스터(16)가 장치(100)로 완전히 삽입되면 블리스터의 탭(16d)이 이 오목부에서 돌출된다. 이것은 장치 안에 블리스터(16)가 수용될 때라도 블리스터 탭이 캡(104)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 상기 오목부 안에서 돌출하면서, 솔뎌(105)에 대하여 위치되도록 캡이 장치(10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4의 횡단면도에서 볼 수 있듯이, 블리스터 탭(16d)은 하우징(101) 또는 레버부(103a)의 외부면 너머로 돌출되지 않아서 캡(104)과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장치(100)는 캡(104)을 제거하고, 장치로 블리스터(16)를 삽입하고 캡(104)을 제자리로 돌려서 차후 사용을 위해 (즉, 미리 적재하여) 준비할 수 있다. 블리스터(blister)가 장치에 삽입될 때에도 장치는 안정된 위치에 있고 장치를 준비 즉, 블리스터를 삽입할 수 있는 불안정한 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없을 없다.
도 14는 블리스터(16)가 삽입된 장치의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블리스터 볼(16a)이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35)의 밑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다. 블리스터(16)를 관통하기 위하여, 화살표 'T'의 방향에서 도 15에 도시한 위치로 레버부(103a)를 회전해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가 회전한다. 이것은 레버 요소(103)의 밑면(103b)에 엄지를 두고 오목부(R)의 반대편에서 하우징(101)에 형성된 반응면(107)에 검지를 두어서 달성될 수 있다. 엄지와 검지를 함께 눌러서, 블리스터(16)와 함께,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가 도 15에 도시한 위치로 회전한다. 도 15에 도시한 위치에 도달할 때, 블리스터 탭(16d)이 마우스피스(101)의 컷-아웃의 상부를 향하여 반응면(107)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탭(16d)이 이 위치에서 비교적 접근하기 어려울 때, 사용자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가 관통 위치에 위치한 동안 장치에서 블리스터(16)를 제거하기 위하여 탭을 덜 당길 것이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는 블리스터 및 블리스터 볼을 위한 지지 구조물을 가지며 이 지지 구조물은 (도 6a 내지 6d을 참조하여) 이전 구체예에서 기술된 것과 유사해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본 구체예에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는 블리스터 시트에서 형성된 한 쌍의 간격을 둔 평행한 레그(leg; 108) 및 양쪽에서 형성된 돌기부(109a)를 가지는 레그(108) 사이에서 형성된 축(109)을 가진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가 제1, 안정 또는 홈 위치 및 제2, 관통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는 축(A)을 형성하도록 사이클론 요소 차단 플레이트(111)(도 14 참조)에 매달려 있는 대응하는 쌍의 레그(110)에 형성된 개구부에 돌기부(109a)가 위치한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에 또한 양쪽에 매달려 있는 한 쌍의 탄성 암(112)이 제공된다. 각 암(112)은 그 자유 말단에 텅(tongue; 113)을 가진다. 한 쌍의 간격을 둔 멈춤쇠(114)가 또한 하우징(101)의 내벽에서 양쪽에 형성되고 (도 18 참조) 위치결정되어서,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가 홈 위치에 있을 때, 각 암(112)의 텅(tongue; 113)은 하나의 멈춤쇠(114)에 수용되고,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가 관통 위치에 있을 때, 텅(tongue; 113)이 다른 멈춤쇠(114)에 수용되며,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가 회전할 때 암(112)이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관통 위치에 도달하면 텅(tongue; 113)이 한 멈춤쇠(114) 밖으로 상승하고 다른 멈춤쇠(114)로 떨어진다. 텅(tongue; 113) 및 멈춤쇠 사이의 협력은 홈 또는 관통 위치에서의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를 유지하고 암(112)의 탄력을 극복하고 멈춤쇠(114) 밖으로 텅(tongue; 113)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힘이 적용될 때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가 회전하는 것을 보장한다. 텅(tongue; 113)이 멈춤쇠(114) 사이의 하우징(101)의 내벽에 대하여 미끄러질 때, 이것은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가 관통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해제되는 경우, 자신의 무게에 의해 아래의 홈 위치로 다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을 생성한다.
도 13 및 17에서 가장 명확하게 볼 수 있듯이, 하우징(101)은 아치형 가이드면(115)을 가지며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는 하우징(101)에 대한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의 회전 운동을 인도하기 위하여 가이드면(115)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slideably) 협력하는 대응하는 가이드 부재(116)를 가진다.
베이스(102)는 하우징(101)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특히, 베이스(102)에 양쪽에 한 쌍의 탄성 직립부(upright; 117)가 제공되며, 각 직립부는 하우징(101)의 연장된 어퍼처(119)에 위치하는 헤드부(118)를 가진다. 헤드부(118a) 중 하나는 어퍼처(119)를 통해서 돌출해서 하우징(101)의 외부면의 위로 약간 상승하고 장치 위에서 제자리에 캡(104)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것은 캡(104)이 하우징(101)의 외부면과 마찰 맞춤(friction fit)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장치에서 캡(104)을 제거할 때, 하우징(101)을 관통하여 돌기하는 탄성 직립부(117)의 헤드부(118a)에서만 압력이 적용되어서 직립부(117)를 변형시키고 하우징(101) 자체는 변형되지 않는 것을 또한 보장한다.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캡(104)이 장치(100)에 있을 때 헤드부(118a)를 수용하도록 내부면에 형성된 멈춤쇠(120)를 캡(104)이 가진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가 관통 위치에 있을 때 캡(104)이 장치(100) 위에 존재할 수 없다.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가 관통 위치에 위치한 동안 장치(100) 위에 캡(104)을 위치시킨다면, 캡(104)은 블리스터 지지 부재(103)를 밀어서 캡(104)이 장치 위로 미끄러짐에 따라 블리스터 지지 부재를 홈 위치로 다시 회전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흡입 장치를 포함하여, 모든 흡입 장치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블리스터 피어싱 부재(34)를 도 20a 내지 20c에 도시하고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피어싱 부재(34)를 평평한 플레이트(50)에서 찍어내어 플레이트(50)의 평면부 바깥쪽으로 아래로 매달린 피어싱 블레이드(35)를 형성한다. 설치 암(51)이 또한 플레이트(50)의 평면부에 비스듬히 플레이트(50)의 가장자리에서 옆으로 형성된다. 탭(52)이 플레이트(50)의 평면부에 평행한 평면부에서 암(51)의 자유 말단으로부터 형성되고 조립하는 동안 차단 플레이트(28)에 피어싱 부재(34)가 용이하게 접촉하도록 탭(52)에 홀(53)이 형성되어서 플레이트(50)가 사이클론 챔버 인서트 차단 플레이트(28)의 표면에서 간격을 둔다. 도 20a 및 20b에 명백하게 도시된 것처럼, 피어싱 부재(34)가 중앙의 약을 실은 공기 출구 개구부(55) 주위에서 등간격으로 그리고 대칭으로 간격을 둔 4개의 깨끗한 공기 입구 흐름 개구부(54)를 가져서 깨끗한 공기가 공기 입구 흐름 개구부(54)를 통해 블리스터 볼(16a)로 들어가고 블리스터 볼(16a)에 포함된 복용량을 끌고 나온다. 그러면 약을 실은 공기는 중앙의 약을 실은 공기 출구 개구부(55)를 통해 블리스터 볼(16a) 밖으로 이동한다. 약을 실은 공기 출구 개구부(55)가 챔버(24)의 약을 실은 공기 입구 포트(29)에 연결되어 약을 실은 공기가 챔버(24)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피어싱 부재(34)가 차단 플레이트(28)에 장착되면 주변 깨끗한 공기 입구 흐름 개구부(54)가 중앙의 약을 실은 공기 출구 개구부(55)에서 격리되어서, 모든 약을 실은 공기가 약을 실은 공기 출구 개구부(55)를 통과하여 약을 실은 공기 입구 포트(29)를 통해 챔버(24)로 이동한다.
도 20a와 20b에, 주변 약 흐름 입구 개구부(54)의 블레이드(35)가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이며 블레이드가 플레이트(50)에 연결되는 가장자리 또는 접힘선(56)을 따라서 플레이트의 평면부 바깥쪽으로 그것들을 구부려서 형성된다. 각 블레이드(35)는 약 45°의 동일한 각으로 플레이트(50)의 평면부에서 접힌다. 반대쪽의, 인접하지 않은 블레이드(35)의 접힘선(56)은 서로 평형하고, 반면 인접한 블레이드(35)의 접힘선은 서로에 대하여 90°의 각으로 배열되어서 블레이드는 대칭으로 향하게 된다. 중앙의 약을 실은 공기 출구 개구부(55)를 형성하는 블레이드(35a)는 또한 접힘선(57)을 따라서 플레이트(50)의 평면부에 매달려 있다. 바람직하게 접힘선(57)은 약 흐름 입구 개구부(54)의 접힘선(56)의 각각에 45°로 형성된다. 약 흐름 출구 개구부(55) 및 그것의 대응하는 블레이드(35a)는 각각의 약 흐름 입구 개구부(54) 및 그들의 대응하는 블레이드(35)보다 클 수도 있다.
상술한 것처럼, 도 7a 내지 19의 구체예에 따른 장치는 미리 적재가능한(preloadable) 것으로 예정되더라도, 사용 바로 전에 블리스터를 장치로 삽입하는 도 2a 내지 6d의 제1 구체예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10c의 구체예에서 나타나지 않았지만, 제1 구체예와 같이 장치에 캡이 제공될 수도 있다. 캡은 블리스터가 나중에 관통되도록 장치에 삽입되어 있는지와 상관없이 장치의 마우스피스 및 베이스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앞선 설명은 단지 예로서 주어진 것이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해 변형될 수 있다.

Claims (64)

  1. 사용자가 복용량의 약품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를 가지는 하우징 및 복용량의 약품을 포함하는 블리스터를 수용하는 슬롯(slot)을 가지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를 포함하는 흡입기로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는 상기 슬롯(slot)으로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 운반되는 블 리스터 피어싱 요소(blister piercing element)가 삽입된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제2, 관통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해서,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피스로 흡입할 때, 복용량의 약품이 기류에 동반되어 상기 마우스피소를 통해 상기 블리스터에서 사용자의 기도로 이동하는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하여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슬롯(slot)으로 삽입되고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블리스터가 상기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에 의해 관통되는 흡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blister support member)는 상기 하우징의 벽에 형성된 컷-아웃부(cut-out section)로 돌출하는 레버부(lever portion)를 포함하는 흡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lever portion)는 상기 하우징 벽의 컷-아웃부(cut-out section)의 일부만 채워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레버부의 사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흡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수용된 블리스터의 블리스터 탭(blister tab)이 상기 슬롯(slot)에서 상기 오목부로 돌기하도록 상기 슬롯(slot)이 형성되는 흡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오목부로 돌출하는 블리스터 탭(blister tab)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와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슬롯(slot)이 형성되는 흡입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가 상기 제2, 관통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보다 상기 슬롯에서 상기 오목부로 돌기한 블리스터 탭에 접근하기 어렵게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이 형성되는 흡입기.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쪽에 말단벽을 가지며, 상기 말단벽 중 하나에 컷-어웨이부(cut-away section)가 형성되며, 상기 컷-어웨이부로 돌출하는 상기 레버부가 상기 말단벽 중 컷-어웨이부가 없는 부분과 일부 유사하게 형성되는 흡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마우스피스와 떨어진 하부 말단을 가지며, 상기 하부 말단은 측면으로 돌출하는 숄더(shoulder)를 가져서 상기 하우지 위에 위치하는 방어 캡(protective cap)을 지지하는 흡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버부는 상기 숄더의 연장부(extension)를 형성하는 숄더를 상기 하우징에 포함해서, 캡이 상기 하우징의 숄더 및 상기 레버부의 숄더 연장부 둘 다에 의해 지지되는 흡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어 캡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컷-어웨이부(cut-away section)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에서 돌출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블리스터의 블리스터 탭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오목부에서 돌출하는 흡입기.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제2, 관통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 위에 위치할 때, 상기 캡이 상기 레버부의 숄더와 접촉하여 상기 캡이 상기 하우징에서 더 이동하여 상기 캡이 제1 위치로 상기 레버부를 다시 회전시키도록 상기 레버부가 형성되는 흡입기.
  13.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형 가이드 면(arcuate guide surface)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레버부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레버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공동 가이드 부재(cooperating guide member)를 포함하는 흡입기.
  14.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는 탄성 암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암은 상기 탄성 암의 자유 말단에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텅(tongue)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은 멈춤쇠(detent)를 가져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가 제1 및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텅(tongue)이 각 멈춤쇠(detent)에 위치하는 흡입기.
  15. 제3항 내지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에서 떨어진 하우징의 하부 말단을 폐쇄하는 베이스 부재(base member)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평평한 표면에 직립한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벽을 가지는 흡입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레버부가 비-관통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벽의 연속부(continuation)를 형성하는 밑면부(underside)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기는 상기 벽 및 상기 레버부의 밑면부(underside)에 의해 지지되는 흡입기.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접촉하며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를 넘어 상기 제2 위치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가 방지하는 흡입기.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하우징 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벽으로 윗 방향으로 형성되는 탄성 암을 포함하며, 상기 암의 자유 말단은 상기 베이스가 상기 하우징에 부착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와 연결되는 텅(tongue)을 가지는 흡입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텅(tongue)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 너머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하여 상기 하우징 위에 위치한 캡과 접촉하는 흡입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회전가능한 흡입기.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슬롯(slot)을 통해 삽입된 블리스터를 지지하는 시트(seat)를 포함하는 흡입기.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한 말단에 관통된 블리스터로부터 상기 챔버로 약을 실은 공기를 위한 입구 및 반대 말단에 상기 마우스피스로부터 환자의 기도로 약을 실은 공기를 위한 출구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챔버를 포함하는 흡입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 사이에 형성된 세로축을 가지는 흡입기.
  24.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인 원통형 챔버는 상기 입구 및 출구 사이를 이동하는 약을 실은 공기와 상호작용시키기 위해 상기 사이클론 챔버로 깨끗한 공기를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공기 입구를 가지는 흡입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공기 입구는 상기 챔버와 접선 방향으로 만나서 상기 약을 실은 공기 흐름 주위에서 상기 깨끗한 공기에서 사이클론 공기 흐름이 생성되는 흡입기.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및 상기 바이패스 공기 입구는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한 인서트(insert)를 포함하는 흡입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한 쌍의 간격을 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는 상기 측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바이패스 공기 입구의 말단 너머로 측면에서 형성되는 흡입기.
  28. 제20항을 인용할 때, 제2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이 하부 위치에 위치하는 안정한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를 가지며, 상기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는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위치한 블리스터가 상기 피어싱 요소에 의해 관통되는 위치에 있는 흡입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상기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에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대하여 각을 이루고 삽입될 블리스터가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로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가 블리스터 관통 위치에서 이동하는 높은 위치로 상기 하우징이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는 불안정한 준비 위치를 가지는 흡입기.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가 안정한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상기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에 있을 때 상기 챔버의 세로축은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로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흡입기.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안정한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상기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에 있을 때에만 상기 캡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 위에 위치할 수 있는 흡입기.
  32. 제20항을 인용할 때,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대하여 높은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상기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를 가지며 상기 슬롯으로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방향은 상기 챔버의 세로축에 대하여 각을 이루는 흡입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이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상기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에서 하부의 기울어진 위치로 회전하며 상기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가 상기 슬롯을 통해 기울어져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로 삽입되는 블리스터를 관통할 블리스터 관통 위치로 추정되는 관통 위치를 가지는 흡입기.
  34.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하부의 블리스터 관통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챔버의 세로축은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로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흡입기.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리스터를 지지하도록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블리스터를 관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이 하부 위치에서 회전하기 전에 상기 하우징이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상기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에 있을 때 블리스터 볼을 둘러싸는 블리스터의 평면부가 상기 챔버의 세로축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는 흡입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를 관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이 홈 위치(home position) 또는 상기 저장 위치(storage position)에서 하부 위치로 회전한 후에 상기 챔버의 세로축은 블리스터의 덮개의 평면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흡입기.
  3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는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우징과 함께, 수평면(level surface)에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를 수직으로 세우는 하부 지지면을 가지는 흡입기.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를 관통하기 위해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이 회전운동을 하기 전의 제1 위치에 상기 하우징이 있을 때 상기 챔버의 세로축이 상기 하부 지지면의 평면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흡입기.
  39. 상기 블리스터 시트(blister seat)는 상기 블리스터 볼을 둘러싸는 블리스터의 주변부를 지지하는 블리스터 지지면을 포함하는 흡입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면은 지지벽(surrounding wall) 아래에 위치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면에 위치한 블리스터의 가장자리가 상기 블리스터 지지면 및 상기 지지벽 사이에서 지지되는 흡입기.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면은 블리스터 볼을 수용하는 일반적으로 U자형 컷-아웃부(cut out)를 포함하며, 활형의 캔틸레버 암(arcuately shaped cantilever arm)이 U자형의 베이스에서 상기 컷-아웃부(cut out)로 형성되는 흡입기.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 암은 블리스터 볼이 립에 연결되는 확대된 헤드를 가지며, 블리스터 볼이 상기 헤드 위로 올라타고 상기 흡입기 안에서 블리스터가 유지되도록 상기 활형 캔틸레버 암 안에 위치시키기도록 상기 캔틸레버 암이 탄성 변형하는 흡입기.
  43. 제2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는 미리 적재된 블리스터의 접힌 블리스터 탭을 수용하는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의 측벽에 형성된 탭 수용 오목부(tab receiving recess)를 가지는 흡입기.
  44. 제32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하우징의 대응하는 오목형 지지면(concave shaped support surface)과 협력하는 볼록형 지지면(convex shaped support surface)을 가지는 흡입기.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slot)은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의 후퇴부(depression)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slot)에서 돌출한 블리스터 탭이 상기 흡입기의 벽 너머로 돌기하지 않는 흡입기.
  46.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리스터가 상기 슬롯(slot)에 삽입된 후 상기 하우징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를 실질적으로 덮도록 위치가 결정된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슬롯(slot)에서 돌출하는 블리스터 탭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위치 결정되는 흡입기.
  47. 제4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 및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의 상기 슬롯(slot)으로 삽입된 블리스터를 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흡입기.
  48.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탭을 가지는 복용량의 약품을 포함하는 블리스터를 포함하여 상기 블리스터가 상기 슬롯(slot)에 삽입될 때, 상기 탭이 상기 슬롯(slot)에서 돌기하고 흡입한 후에 상기 슬롯(slot)에서 용이하게 제거되는 흡입기.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탭이 상기 슬롯(slot)에 수용되는 블리스터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접힐 수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가 상기 슬롯(slot)에 수용될 때 상기 탭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인 흡입기.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접힌 탭이 위치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흡입기.
  51. 제49항 또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접힌 탭 위에서 형성되고 상기 접힌 탭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캡이 형성되는 흡입기.
  52. 사후 사용을 준비하는 흡입기를 미리 적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흡입기는 슬롯을 가지는 블리스터 지지 부재, 마우스 피스를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흡입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를 덮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을 제거한 후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롯으로 상기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제1 위치 및 하우징에 의해 운반되는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가 삽입된 블리스터를 관통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캡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피스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롯으로 복용량의 약품을 포함하는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마우스피스는 저장 위치에 유지되고 복용량의 약품을 포함하는 블리스터가 상기 슬롯애 수용되는 동안 상기 캡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를 실질적으로 덮도록 상기 캡을 되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는 탭을 가지며, 상기 블리스터가 상기 슬롯에 삽입될 때 상기 탭이 상기 슬롯에서 돌출하여 흡입한 후 상기 블리스터를 상기 슬롯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슬롯에 수용된 블리스터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상기 탭을 접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탭이 베이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놓이는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슬롯에 수용되는 블리스터의 블리스터 탭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캡을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블리스터 지지 부재 위로 되돌리기 전에 상기 베이스의 상기 오목부로 상기 탭을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6. 건조 분말 흡입 장치용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로서,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약 흐름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접힘선을 따라 상기 플레이트의 평면부에서 굽은 복수의 주변 블리스터 피어싱 블레이드(peripheral blister piercing blade)를 포함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각 블레이드는 각각의 다른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에서 멀어지게 향하며 각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의 접힘선은 각각의 나머지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의 접힘선에 실질적으로 90°인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
  57. 제56항에 있어서,
    4개의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
  58. 제56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로 둘러싸인 중앙 피어싱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피어싱 블레이드는 접힘선을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의 평면부 바깥쪽으로 굽은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피어싱 블레이드의 접힘선은 각각의 상기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의 상기 접힘선에 대하서 기울어져 형성되는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피어싱 블레이드의 상기 접힘선은 각각의 상기 주변 피어싱 블레이드의 상기 접힌선에 45°로 기울어져 있는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
  61. 제56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이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평면부에서 바깥쪽으로 매달려 있고 탭이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평면부에 평행인 상기 암의 말단에서 형성되며, 상기 탭은 상기 흡입 장치에 상기 피어싱 요소를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한 홀을 가지는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
  62.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상술한 것과 같은 흡입 장치.
  63. 첨부된 도면 중 도 11a 내지 11c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상술한 것과 같은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
  64. 베이스로 흡입될 복용량의 약품을 포함하는 단일 블리스터를 삽입하는 슬롯(slot)을 가지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마우스피스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슬롯에 수용된 블리스터를 관통하도록 작동가능한 블리스터 피어싱 요소를 수반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해서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피스로 흡입할 때, 복용량의 약품이 기류에 동반되어 나오고 상기 마우스피스를 통해 상기 블리스터로 부터 사용자의 기도로 이동하는 흡입 장치.
KR1020117020164A 2009-01-30 2010-01-25 흡입기 KR101738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901520.7A GB0901520D0 (en) 2009-01-30 2009-01-30 Inhaler
GB0901520.7 2009-01-30
GB0909606.6A GB2467388B (en) 2009-01-30 2009-06-04 Inhaler
GB0909606.6 2009-06-04
PCT/EP2010/050790 WO2010086285A2 (en) 2009-01-30 2010-01-25 Inha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397A true KR20110134397A (ko) 2011-12-14
KR101738041B1 KR101738041B1 (ko) 2017-05-19

Family

ID=4046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164A KR101738041B1 (ko) 2009-01-30 2010-01-25 흡입기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2) US8522776B2 (ko)
EP (2) EP2398537B1 (ko)
JP (2) JP5564515B2 (ko)
KR (1) KR101738041B1 (ko)
CN (2) CN104225740B (ko)
AR (1) AR075350A1 (ko)
AU (1) AU2010209852B2 (ko)
BR (1) BRPI1008346B8 (ko)
CA (2) CA2920833C (ko)
DK (1) DK2398537T3 (ko)
ES (2) ES2603556T3 (ko)
GB (2) GB0901520D0 (ko)
HK (1) HK1165342A1 (ko)
HU (1) HUE030942T2 (ko)
IL (1) IL214250A0 (ko)
MX (1) MX2011007979A (ko)
NZ (1) NZ595157A (ko)
PL (1) PL2398537T3 (ko)
PT (1) PT2398537T (ko)
RU (1) RU2529691C2 (ko)
SG (1) SG173063A1 (ko)
SI (1) SI2398537T1 (ko)
TW (1) TWI492771B (ko)
WO (1) WO201008628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7711D0 (en) 2005-04-15 2005-05-25 Vectura Group Plc Improved blister piercing
WO2009079078A1 (en) 2007-12-14 2009-06-25 Labogroup S.A.S. Delivering aerosolizable food products
GB0901520D0 (en) 2009-01-30 2009-03-11 Vectura Delivery Devices Ltd Inhaler
TW201304822A (zh) 2010-11-15 2013-02-01 Vectura Ltd 組成物及用途
WO2012073025A1 (en) 2010-11-30 2012-06-07 Vectura Limited Glucosaminoglucans such as hepari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pulmonary inflammation such as copd
US8528569B1 (en) 2011-06-28 2013-09-10 Kyle D. Newton Electronic cigarette with liquid reservoir
DE102012103482A1 (de) * 2012-04-20 2013-10-24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US10099024B2 (en) 2012-06-28 2018-10-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sal dry powder delivery system for vaccines and other treatment agents
SG11201408411VA (en) * 2012-07-05 2015-01-29 Glaxo Group Ltd Inhaler device
WO2014106727A1 (en) 2013-01-03 2014-07-10 Vectura Limited Inhaler and formulation
GB201301192D0 (en) 2013-01-23 2013-03-06 Vectura Delivery Devices Ltd A blister piercing element for a dry powder inhaler
US10638792B2 (en) 2013-03-15 2020-05-05 Juul Labs, Inc. Securely attaching cartridges for vaporizer devices
GB201305813D0 (en) 2013-03-28 2013-05-15 Vectura Ltd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307552B2 (en) 2013-09-06 2019-06-04 Breathe Technologies, Inc. Jet pump adaptor for ventilation system
US10980273B2 (en) 2013-11-12 2021-04-20 VMR Products, LLC Vaporizer, charger and methods of use
HUE053511T2 (hu) 2013-12-23 2021-07-28 Juul Labs Int Inc Párologtató eszközt tartalmazó rendszer
US10058129B2 (en)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076139B2 (en) 2013-12-23 2018-09-18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TWI684414B (zh) 2014-02-06 2020-02-11 美商尤爾實驗室有限公司 汽化裝置系統及方法
US10709173B2 (en) 2014-02-06 2020-07-14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ES2701202T3 (es) * 2014-11-26 2019-02-21 Vectura Delivery Devices Ltd Dispositivo de apertura de envases tipo blíster para inhalador de polvo seco
EP3268364A1 (en) 2015-03-10 2018-01-17 Vectura Limited Crystalline form of a jak3 kinase inhibitor
SE1550964A1 (sv) * 2015-07-03 2016-12-27 Iconovo Ab Dry powder inhaler
USD858869S1 (en) 2016-02-08 2019-09-03 Juul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CA173518S (en) 2016-02-08 2017-09-01 Nicoventures Holdings Ltd Cartridg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MX2018009702A (es) 2016-02-11 2019-07-08 Juul Labs Inc Cartucho rellenable de vaporizador y metodo de relleno.
EP3777573A1 (en) 2016-02-25 2021-02-17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GB201605102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Mechanical connector for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0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605105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apparatus
GB201605101D0 (en) 2016-03-24 2016-05-11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RU2641842C2 (ru) * 2016-05-23 2018-01-22 Межрегиональное обще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Институт инженерной физики" Ингалятор
AR108513A1 (es) 2016-05-25 2018-08-29 Vectura Delivery Devices Ltd Inhalador de polvo seco con dispositivo de ruptura de blíster
EP3487776A1 (en) 2016-07-22 2019-05-29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Case for a vapour provision device
DE202017102334U1 (de) * 2016-08-25 2017-11-29 Alfred Von Schuckmann Vorrichtung zum Inhalieren pulverförmiger Substanzen
TWI694845B (zh) * 2016-09-30 2020-06-01 艾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藥物傳遞裝置及其系統
CN110062765A (zh) 2016-10-31 2019-07-26 维克特拉有限公司 包括il-13抗体的可吸入粉末组合物
KR102494208B1 (ko) * 2016-11-30 2023-02-02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소용돌이 단부 플러그를 갖는 흡입기
CN111526747B (zh) * 2018-02-19 2023-11-07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干粉吸入器
EP3833412A4 (en) * 2018-07-10 2022-06-15 Mylan Inc. COUNTER FOR DEVICE
USD903192S1 (en) 2019-02-21 2020-11-24 Juul Labs, Inc. Vaporizer accessory
USD943161S1 (en) 2019-11-14 2022-02-08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USD943158S1 (en) 2019-11-14 2022-02-08 Juul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D943159S1 (en) 2019-11-14 2022-02-08 Juul Labs, Inc. Component for a vaporizer cartridge
USD943160S1 (en) 2019-11-14 2022-02-08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USD917093S1 (en) * 2020-01-15 2021-04-20 2334271 Ontario Ltd. Capsule for use in a vaporizer device
MX2023002040A (es) 2020-08-25 2023-03-15 Vectura Delivery Devices Ltd Inhalador de dosis unitaria de polvo seco.
USD983354S1 (en) 2020-12-21 2023-04-11 Rpc Formatec Gmbh Inhaler
RU2748203C1 (ru) * 2021-01-12 2021-05-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спытательный институт военной медицины"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ФГБУ "ГНИИИ ВМ" МО РФ) Ингалятор
WO2022234065A1 (en) 2021-05-07 2022-11-10 Vectura Delivery Devices Limited Unit dose dry powder inhaler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6914C3 (de) * 1973-09-18 1980-10-16 Paul Ritzau Pari-Werk, Gmbh & Co, 8130 Starnberg Inhalator für pulverförmige Substanzen
BR8305562A (pt) * 1982-10-08 1984-05-15 Glaxo Group Ltd Dispositivo para administrar medicamento a pacientes e embalagem
GB8314308D0 (en) * 1983-05-24 1983-06-29 Matburn Holdings Ltd Medical administration devices
NZ212911A (en) * 1984-07-31 1988-06-30 Glaxo Group Ltd Aerosol dispensing device; actuator lever acts when cover in open position
NZ217006A (en) * 1985-07-30 1989-04-26 Glaxo Group Ltd Inhaler for finely divided medicament includes plunger to open medicament container
AT393979B (de) 1989-11-07 1992-01-10 Kufstein Schablonentech Gmbh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hohlzylindern mittels eines lasers
GB9012870D0 (en) * 1990-06-08 1990-08-01 Glaxo Group Ltd Device
NL9002706A (nl) * 1990-12-10 1992-07-01 Pharmachemie Bv Inrichting ten gebruike bij het inhaleren van in staafvormige capsules verpakte poedervormige stoffen.
GB2264237A (en) * 1992-02-05 1993-08-25 Robert Edward Newell An inhaler
US5785049A (en) * 1994-09-21 1998-07-28 Inhale Therapeutic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on of dry powder medicaments
RU2146153C1 (ru) * 1994-09-21 2000-03-10 Инхейл Терапьютик Системз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аспыл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в виде сухого порошка (варианты)
DE19523516C1 (de) * 1995-06-30 1996-10-31 Asta Medica Ag Inhalator zum Verabreichen von Medikamenten aus Blisterpackungen
US6470884B2 (en) * 1996-01-29 2002-10-29 Aventis Pharma Limited Capsule opening arrangement for use in a powder inhaler
NZ332242A (en) * 1996-04-25 2000-04-28 Schuckmann Alfred Von Inhaler including a suction tube, for insertion into a blister pack, and a support unit for the suction tube and blister pack
GB2340758A (en) * 1998-08-21 2000-03-01 Bespak Plc Drug dispensing system
US20010035184A1 (en) * 1999-12-17 2001-11-01 Carlos Schuler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packaged powders
US6668827B2 (en) * 2000-05-16 2003-12-30 Nektar Therapeutic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opening receptacles having a powder to be fluidized
EP1658872B2 (en) 2002-07-31 2019-08-21 CHIESI FARMACEUTICI S.p.A. Powder inhaler
GB2405798A (en) * 2003-09-15 2005-03-16 Vectura Ltd Dry powder inhaler with primary and secondary piercing elements and a medicament pack for use with an inhalation device.
GB2407042B (en) * 2003-10-17 2007-10-24 Vectura Ltd Inhaler
GB0427028D0 (en) * 2004-12-09 2005-01-12 Cambridge Consultants Dry powder inhalers
GB0507711D0 (en) * 2005-04-15 2005-05-25 Vectura Group Plc Improved blister piercing
DE102006010089A1 (de) 2006-02-24 2007-10-18 Aha-Kunststofftechnik Gmbh Trockenpulver-Inhalator
GB0611656D0 (en) * 2006-06-13 2006-07-19 Cambridge Consultants Dry powder inhalers
CN101484201B (zh) 2006-06-27 2011-06-15 大冢制药株式会社 粉末吸入器
WO2008051621A2 (en) * 2006-10-25 2008-05-02 Novartis Ag Powder dispersion apparatus,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that can be used on the apparatus and other devices
GB0621957D0 (en) * 2006-11-03 2006-12-13 Vectura Group Plc Inhaler devices and bespok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O2009004465A1 (en) * 2007-07-02 2009-01-08 Pfizer Limited Dry powder inhaler and inhaling system comprising such dry powder inhaler
EP2210638B1 (en) 2009-01-26 2013-03-2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er
GB0901520D0 (en) 2009-01-30 2009-03-11 Vectura Delivery Devices Ltd Inha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67388A (en) 2010-08-04
CN104225740B (zh) 2016-11-30
US20130125885A1 (en) 2013-05-23
US20100192949A1 (en) 2010-08-05
GB0901520D0 (en) 2009-03-11
US8522776B2 (en) 2013-09-03
HK1165342A1 (zh) 2012-10-05
US8739785B2 (en) 2014-06-03
IL214250A0 (en) 2011-09-27
CN102438684A (zh) 2012-05-02
MX2011007979A (es) 2011-09-06
CA2750974A1 (en) 2010-08-05
TW201105370A (en) 2011-02-16
BRPI1008346A2 (pt) 2016-02-23
ES2603556T3 (es) 2017-02-28
CA2750974C (en) 2017-02-14
HUE030942T2 (en) 2017-06-28
EP2398537A2 (en) 2011-12-28
EP3002023B1 (en) 2017-05-31
GB0909606D0 (en) 2009-07-15
EP2398537B1 (en) 2016-08-31
TWI492771B (zh) 2015-07-21
BRPI1008346B1 (pt) 2020-10-20
CN104225740A (zh) 2014-12-24
SI2398537T1 (sl) 2017-02-28
EP3002023A1 (en) 2016-04-06
GB2467388B (en) 2014-01-08
SG173063A1 (en) 2011-08-29
JP5564515B2 (ja) 2014-07-30
DK2398537T3 (en) 2016-12-12
JP2014195717A (ja) 2014-10-16
RU2529691C2 (ru) 2014-09-27
WO2010086285A2 (en) 2010-08-05
JP5819483B2 (ja) 2015-11-24
CA2920833C (en) 2017-02-14
AU2010209852B2 (en) 2014-06-12
AU2010209852A1 (en) 2011-08-18
CA2920833A1 (en) 2010-08-05
CN102438684B (zh) 2014-11-12
PL2398537T3 (pl) 2017-02-28
AR075350A1 (es) 2011-03-23
RU2011135995A (ru) 2013-03-10
KR101738041B1 (ko) 2017-05-19
PT2398537T (pt) 2016-10-25
ES2633785T3 (es) 2017-09-25
GB2467388A8 (en) 2013-05-15
NZ595157A (en) 2014-04-30
JP2012516169A (ja) 2012-07-19
WO2010086285A3 (en) 2011-12-29
BRPI1008346B8 (pt)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041B1 (ko) 흡입기
EP1283731B1 (en) Medicament dispensing system with a medicament container with same side airflow inlet and outlet
KR101797100B1 (ko) 힌지식 캡슐 흡입기
US9283336B2 (en) Delivery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20170106154A1 (en) Dry powder inhaler
DK3099364T3 (en) Powder chamber for high-dose drug administration
JP2001524363A (ja) 乾燥粉末吸入器
CN114949483A (zh) 一种干粉吸入器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