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4279A -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 Google Patents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4279A
KR20110134279A KR1020110052803A KR20110052803A KR20110134279A KR 20110134279 A KR20110134279 A KR 20110134279A KR 1020110052803 A KR1020110052803 A KR 1020110052803A KR 20110052803 A KR20110052803 A KR 20110052803A KR 20110134279 A KR20110134279 A KR 20110134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tainer
groove
side wal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6962B1 (ko
Inventor
카츠히로 사카모토
요시히사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261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017145A/ja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7Grooves, ribs, or the like, situated on opposed walls and between which the articles are loc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판형상체의 반송용기로서 판형상체의 측단부를 용기 본체의 측벽에 갖는 지지용 홈에 삽입하여 수납할 때, 하단부를 바닥부 상면의 횡방향의 지지용 홈에 쉽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한다.
대향하는 양측벽(12b)의 내면에 지지용 홈(13)을 갖는 용기 본체(1)와 측벽 상단부에 바깥쪽에서 끼워 맞추는 덮개(2)와 바닥 패드(4)를 구비하고, 용기 본체(1)의 종방향의 지지용 홈(13)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바닥부(11) 상면에 있어 안쪽으로 늘어나는 횡방향의 보조 홈(13a)을 형성하여, 판형상체(B)의 하단 코너부를 종방향의 지지용 홈(13)으로부터 연속하여 보조 홈(13a)에 의해 지지하도록 하고, 바닥부 안쪽에 있는 지지용 홈에 대해 확실히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판형상체의 반송용기{CONTAINER FOR TRANSPORTING PLATE-LIKE MEMBERS}
본 발명은 소판(素板) 유리 이외, 액정 표시용이나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 기판, 터치 패널용 유리 기판 그 외의 주로 얇은 두께의 판형상체(板狀體)의 반송, 보관에 사용하는 반송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액정 표시용이나 플라즈마 표시용의 비교적 대형 유리 기판을 복수매 병렬로 수용하여 반송하기 위한 반송용기로서 완충성을 갖는 합성수지 발포체제(發泡體製)의 용기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지는 용기로, 용기 본체의 한 쪽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 내면에 같은 간격의 종(縱)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홈을 형성하여 두고, 상기 지지용 홈에 유리 기판의 측단부를 삽입하여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수납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 내의 바닥판 상에 유리 기판의 하단부를 보호하는 횡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홈을 갖는 바닥 패드를 설치하는 것에 더하여, 용기 본체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유리 기판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횡(橫)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홈을 갖는 천정패드를 설치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2).
그런데, 최근, 유리 기판의 얇아짐이 진행되어, 예를 들면, 액정 표시용 패널에는, 0.7 mm 전후의 유리 기판이 사용되고, 또한 터치 패널용으로는, 0.3 mm 전후의 극히 얇은 두께의 유리 기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리 기판을 반송할 때 보호를 위해서, 완충성 있는 홈 부착 바닥 패드나 천정패드 등을 설치한 반송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리 기판이 얇을수록 휨 변형되기 쉬운 것도 있어, 유리 기판의 파손이 증가하고 있다.
이 문제는, 유리 기판을 얇게 만들기 위하여 수송시의 진동에 의한 휨이 커지게 되는 것에 더하여, 수송중의 진동이나 다른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한 용기 자체의 변형에 의해, 수납된 내부의 유리 기판이 크게 휘거나, 반동이 생기거나 해서, 유리 기판을 지지하는 좌우 측벽의 지지용 홈 혹은 바닥 패드나 천정패드의 지지용 홈으로부터 홈 어긋남이 발생하고, 그 결과, 유리 기판끼리 간섭하여 접촉하는 것이 큰 원인이라고 고려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유리 기판의 양측 단부 및 상하 단부를 지지용 홈에 삽입하여 일정 간격으로 병렬하여 지지한 상태로 반송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홈 어긋남을 용이하게 발생시키지 않도록 지지용 홈에 보다 안정성이 좋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특히 유리 기판의 수납 조작에 있어서도, 용기 본체의 양 측벽의 지지용 홈에 대하여 위쪽에서 삽입하여 내려 넣어 유리 기판의 하단부를 바닥부 상면에 있는 지지용 홈에 대해 쉽고 확실히 끼워넣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유리 기판의 수납 작업에 있어서, 유리 기판의 측단부를 용기 본체의 측벽 내면의 지지용 홈에 상단 개구부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지지용 홈을 따라 내려 넣도록 하고, 유리 기판의 하단부를 바닥부 상면에 갖는 지지용 홈에 끼워넣어 지지시키지만, 이때, 유리 기판이 얇은 것일수록 휨 변형이 생기기 쉽고, 또한 휨이 커지기도 하며, 유리 기판의 하단부가 바닥부 상면의 지지용 홈에 대하여 어긋날 우려가 있어,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주시하면서 수납 조작 한다고 해도, 극히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유리 기판의 두께에 따라 지지용 홈의 홈 폭이 작아지면, 상기 끼워 넣기 작업을 더 행하기가 어렵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2004-51131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특허공개 2006-199351호 공보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얇은 유리 기판 등의 판형상체를 용기 본체에 수납할 때, 그 양측 단부를 용기 본체의 측벽 내면의 종방향의 지지용 홈에 삽입하여 내려 넣도록 하여, 판형상체의 하단부를 바닥부 상면에 있는 횡방향의 지지용 홈에 대하여 쉽고 확실히 끼워넣게 할 수 있어, 터치 패널용으로 사용되는 얇은 유리 기판의 경우에서도, 그 수납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유리 기판 등의 판형상체의 보호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판형상체(板狀體)를 수용하여 반송하기 위한 합성수지 발포체제(發泡體製)의 평면 사각형의 용기이며, 상면이 개구(開口)하고, 또한, 한 쪽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兩側壁)의 내면에 판형상체의 측단부(側端部)를 지지하는 종방향의 복수의 지지용 홈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 상면에 배치되는 바닥 패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上端部)에 끼워 맞춰 피착(被着)되는 덮개를 구비하고 있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의 지지용 홈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바닥부 상면에 대해 안쪽을 향하여 늘어나는 횡방향의 보조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 상면의 보조 홈에 의해, 판형상체의 하단 코너부를 종방향의 지지용 홈으로부터 연속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송용기는, 상기와 같이, 용기 본체의 양 측벽 내면의 종방향의 지지용 홈의 하단으로부터 바닥부의 상면 안쪽을 향해 늘어나는 횡방향의 보조 홈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 기판 등의 판형상체의 수납 조작때, 상기 종방향의 지지용 홈에 삽입되어 떨어뜨려져서 판형상체의 하단 코너부가, 종방향의 지지용 홈에 연속하는 바닥부 상면의 보조 홈에 차이가 생기지 않게 끼워 넣고, 이것이 가이드가 되어, 판형상체의 하단부의 휨이 억제되는 것이 되고, 또한 바닥부 상면의 안쪽에 설정되는 지지용 홈에 대해서도 어긋나지 않고 확실히 끼워넣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판형상체가 매우 얇은 것이어도, 그 수납 조작을 쉽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있어서, 바닥부 상면에 대하여 상기 종방향의 지지용 홈을 갖는 측벽 측의 양단부(兩端部)에 볼록 형상 계단부(凸狀段部)가 설치되어, 그 볼록 형상 계단부에 종방향의 지지용 홈으로부터 연속하는 횡방향의 보조 홈이 형성되어, 상기 양 볼록 형상 계단부 사이에 있어 상기 보조홈에 지지된 판형상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바닥 패드가 장착 설치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볼록 형상 계단부의 보조 홈에 끼워넣은 판형상체의 하단부가, 그 안쪽의 바닥 패드에 의해 바닥부에 접촉하는 것이 없이 지지된다.
상기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있어서, 바닥부 상면의 상기 양단부의 볼록 형상 계단부보다 안쪽으로 필요한 간격을 두고, 상기 측벽 내면의 종방향의 지지용 홈 및 상기 보조 홈과 같은 열에 병렬하는 복수의 횡방향의 지지용 홈을 갖는 볼록 형상부가 설치되고, 각 볼록 형상부의 오목부에 복수로 분할 형성된 바닥 패드가 장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종방향의 지지용 홈에 연속하는 바닥부 상면의 보조 홈의 가이드 작용으로, 상기 바닥부 안쪽의 볼록 형상부의 지지용 홈에 대해서도 쉽고 확실히 끼워넣어 지지할 수 있고, 그 지지용 홈에 의해 지지의 효과는 바닥 패드에 형성된 홈에 의한 경우보다도 크고, 판형상체를 더욱 안정성 좋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드는, 그 상면이 상기 볼록 형상부의 돌출 높이보다 낮고, 또한 상기 횡방향의 지지용 홈의 홈 바닥위치보다 위쪽 위치에 있는 판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보조 홈 및 볼록 형상부의 지지용 홈에 끼워넣은 판형상체의 하단부를, 홈 바닥에 접촉시키는 것이 없이 바닥 패드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각 발명의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측에서 판형상체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천정패드를 구비하여 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덮개의 내측에서 상기 천정패드를 지지하여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에 끼워 맞추는 중간 덮개(中蓋)를 구비하여 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고, 상기 천정패드를 중간 덮개와 함께 취급할 수 있다.
상기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덮개가, 상기 용기 본체의 종방향의 지지용 홈을 갖지 않는 다른 쪽의 대향하는 양측벽을 따르는 측의 천정판 하면의 양변에, 상기 측벽 상단부에 안쪽으로 끼워 맞추는 단부벽(端部壁)이 늘어뜨려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종방향의 지지용 홈을 갖는 양측벽에 따르는 측의 양변에서 측방에 개구하여 있어, 이 중간 덮개의 천정판 하면에 천정패드가 장착 설치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중간 덮개에 장착 설치된 천정패드를 개구측으로부터 확인하면서 피착(被着)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지지용 홈을 갖지 않는 용기 본체의 양 측벽의 안쪽으로의 휨 변형에 의한 변위를 상기 중간 덮개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덮개의 적어도 개구부 측의 양변 단부의 하면에 볼록 형상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그 볼록 형상부에, 중간 덮개를 상기 단부벽이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에 안쪽으로 끼워 맞춘 상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종방향의 지지용 홈과 같은 열에 병렬하는 복수의 횡방향의 지지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양변의 볼록 형상부의 오목부에 상기 지지용 홈에 끼워 넣어 지지된 판형상체의 상단부에 대해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천정패드가 장착 설치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변 단부의 볼록 형상부에 있는 지지용 홈이 측방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그 중간 덮개를 용기 본체에 병렬하여 수용한 판형상체의 상단부에 대해 피착할 때, 판형상체의 위치와 상기 지지용 홈의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를 맞추면서 쉽게 피착할 수 있다.
상기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양 측벽 내면의 지지용 홈과 바닥부의 볼록 형상부의 지지용 홈, 및 중간 덮개의 볼록 형상부의 지지용 홈은, 각각 양측면이 개구단으로부터 홈 바닥에까지 1면에서 연속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용 홈의 내측면에는 굴절되는 곳이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만일 지지용 홈에 단부가 끼워넣어져 지지되어 있는 얇은 판형상체에 휨 변형이 생겨도 국부적으로 강하게 접촉하는 부위가 없고, 단부가 파손하는 등의 우려가 없다.
상기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각 측벽의 상단부에는, 내외의 한 쪽측이 절결(切欠)되어 내외의 다른 쪽 측에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가 형성되어 덮개가 그 돌출 가장자리에 대해 내외의 한 쪽 측에 끼워 맞추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덮개의 끼워 맞춤에 의해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의 변형을 덮개에 의해 규제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보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의 상기 돌출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그 돌출 가장자리의 상단면을 덮는 상판부를 가지고 또한 용기 내외 방향으로 강성을 갖는 보강재가 장착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를 피착한 포장 상태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의 사방의 각 측벽의 상단부가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에 장착된 상기 보강재에 의해 보강 효과로, 합성수지 발포체의 경우에 비교하여 보형성이 높고, 측벽의 바깥쪽이나 안쪽으로의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판형상체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홈이 천정패드 또는 중간 덮개의 어긋남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용 홈이 용기 본체의 측벽 내면의 지지용 홈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용된 판형상체가 크게 휘거나, 홈이 빗나감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덮개를 구비하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덮개가, 용기 본체 및 덮개와 동일한 정도의 보형성 및 탄력성을 가지거나, 혹은 덮개보다 유연한 보형성 및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 발포체로 되어, 상기 천정패드가 중간 덮개보다 유연한 보형성 및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 발포체로 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의하면, 수납 대상의 유리 기판 등의 판형상체를 용기 본체에 수납할 때, 용기 본체의 한 쪽의 서로 대향 하는 측벽 내면의 종방향의 지지용 홈에 판형상체를 삽입하여 떨어뜨리는 것으로, 그 판형상체의 하단 코너부를 종방향의 지지용 홈에 연속하는 바닥부 상면의 보조 홈에 끼워넣을 수 있어, 이것이 가이드가 되고, 바닥부 상면의 안쪽에 설정되는 지지용 홈에 대해 어긋나지 않고, 확실히 끼워넣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판형상체가 터치 패널용 등에 사용하는 매우 얇은 유리 기판 등이어도, 그 수납 조작을 쉽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그 보호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의 일실시예의 용기 본체와 덮개, 천정패드 및 중간 덮개를 분리하여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술한 반송용기의 용기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C1-C1 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전술한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는 전술한 반송용기에서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의 보강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전술한 일부의 단차 형상의 볼록한 부분에 대응한 형상의 보강재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전술한 용기 본체에 보강재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전술한 보강재의 장착상태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전술한 일부의 보강재의 장착 전후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판형상체를 수납하여 덮개를 피착한 상태의 반부(半部)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전술한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전술한 반송용기에 사용하는 중간 덮개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대략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전술한 중간 덮개 부재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전술한 중간 덮개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전술한 중간 덮개 부재의 도 12의 C2 - C2 선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전술한 중간 덮개 부재의 도 14의 C3 - C3 선의 천정패드를 장착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전술한 천정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A,B 각각 전술한 중간 덮개와 천정패드의 배치 상태를 분리하여 나타낸 하면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덮개와 중간 덮개의 반부를 절제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전술한 반부 종단 정면도이다.
도 21은 A,B 각각 전술한 측벽의 지지용 홈의 단면형상을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A,B 각각 천정부(天部)의 지지용 홈의 단면형상을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A,B 각각 바닥부의 지지용 홈의 단면형상을 예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덮개를 나타낸 하면에서의 평면도(a)와 C4 - C4 선의 단면도(b)이다.
도 25는 전술한 실시예의 덮개를 용기 본체에 피착한 상태의 반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덮개를 나타낸 하면에서의 평면도(a)와 C5 - C5 선의 단면도(b)이다.
도 28은 전술한 실시예의 덮개를 용기 본체에 피착한 상태의 반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10에서, 본 실시예의 반송용기(A)는, 완충 효과가 있는 합성수지(合成樹脂) 발포체제(發泡體製)의 평면 사각형, 즉 평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용기이며, 상면이 개구되는 통로인 용기 본체(1)와 그 용기 본체(1)의 개구부(開口部)를 형성하는 측벽 상단부(1a)에 피착되는 덮개(2)와, 그 덮개(2)와 달리 덮개(2)의 내측에서 상기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단부(1a)에 대해 안쪽으로 끼워 맞춰 피착되는 중간 덮개(3)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용기 본체(1)의 바닥부(11)의 상면에서 수납되는 유리 기판 등의 판형상체(B)의 하단부를 보호하는 바닥 패드(4)와, 상기 덮개(2)의 내측에서 수납되는 판형상체(B)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천정패드(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용기 본체(1)는, 적당한 정도의 강성(剛性)이 있어 보형성(保形性)이 있는 합성수지 발포체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바닥부(11) 보다 솟아오른 사방의 각 측벽 전후좌우의 측벽(12a, 12a, 12b, 12b) 중, 한 쪽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 예를 들면 도면의 예에서, 짧은 변(短邊) 측의 좌우의 측벽(12b, 12b)의 안쪽 면에, 수납 대상의 판형상체(B)의 좌우측 단부를 삽입하여 지지하기 위해 종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홈, 즉 종방향(상하 방향)의 지지용 홈(13)이 같은 간격으로 복수 개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통상, 상기 바닥부(11) 상면의 안쪽에도, 후술하듯이 판형상체(B)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홈이 상기 지지용 홈(13)과 같은 열에 병렬하여 설정된다.
도시하는 실시예의 경우, 도 2 ∼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양측 벽(12b, 12b)의 지지용 홈(13)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바닥부(11)의 상면에서 안쪽을 향해 연장되는 횡방향(수평방향)의 보조 홈(13a)이 형성되어, 그 보조 홈(13a)에 의해 판형상체(B)의 하단부를 지지용 홈(13)으로부터 연속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바닥부(11)의 상면에는, 상기 종방향의 지지용 홈(13)을 갖는 양측 벽(12b, 12b)을 따르는 측의 양단부에 볼록 형상 계단부(15a, 15a)가 설치되어 상기 볼록 형상 계단부(15a, 15a)에 상기 지지용 홈(13)으로부터 연속하는 보조 홈(13a)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보조 홈(13a)은 바닥부(11)의 상면과 동일면의 홈 깊이를 이루고 있지만, 후술하는 안쪽의 볼록 형상부의 지지용 홈과 같은 깊이로서도 좋다.
또한, 상기 바닥부(11)의 상면에는, 상기 양단부의 볼록 형상 계단부(15a, 15a)보다 안쪽으로 상기 양측 벽(12b, 12b)의 대향 방향으로 필요한 간격을 두고, 상기 볼록 형상 계단부(15a)와 같은 높이의 볼록 형상부(15b)를 하나 혹은 복수의 오목부(16)를 선을 긋듯이 설치하여, 각 볼록 형상부(15b)에는, 각각 상기 지지용 홈(13) 및 상기 보조 홈(13a)과 같은 열에 병렬하는 복수의 지지용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록 형상부(15b)에 의해 그어진 하나 혹은 복수의 오목부(16)에 바닥 패드(4)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의 경우는, 복수의 패드편(41)으로 분할 형성되어 판 형상의 바닥 패드(4)가 끼워 맞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닥 패드(4)로서의 각 패드편(片)(41)은, 용기 본체(1)에 비교하여 유연한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 발포체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부(16)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 그 상면이 상기 볼록 형상 계단부(15a)의 보조 홈(13a) 및 볼록 형상부(15b)의 지지용 홈(14)의 홈 깊이의 범위 내에서 홈 바닥으로부터나 위쪽 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 바닥으로부터 홈 깊이의 1/3∼1/5 정도의 높이 위치에 있도록 설정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탄한 판 형상을 이루고 있어, 이것에 의해, 보조 홈(13a) 및 지지용 홈(14)에 끼워 넣어 지지를 받은 판형상체(B)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상, 판형상체(B)를 지지 한 상태에 있어서, 그 판형상체(B)의 하단과 오목부(16)의 바닥면, 즉 바닥부(11)의 상면과의 사이에, 5 mm 이상의 틈새 S를 지지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바닥 패드(4)의 장착 설치 수단으로서는, 상기 각 패드편(41)을 상기 오목부(16)에 단순히 끼워 맞춰 지지하는 것만으로도 좋지만, 각 패드편(41)의 외주면(外周面)과 상기 오목부(16)의 둘레 측면(周側面)에, 서로 끼워 맞춰 결합하는 요철 형상에 의한 결합 수단을 설치하여 둘 수 있다(도시 생략). 또한, 접착수단을 이용해 고정 설치하여 둘 수도 있다.
상기 볼록 형상 계단부(15a)에 근접하는 단부 위치의 볼록 형상부(15b)에 대해서는, 도면과 같이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하는 것 외에 볼록 형상 계단부(15a)와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둘 수도 있다. 즉, 상기 볼록 형상 계단부(15a)를 바닥 패드(4)로서의 각 패드편(41)을 지지하는 볼록 형상부(15b)를 겸하여 형성하여 둘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방향의 지지용 홈(13)의 하단으로부터 바닥부(11)의 상면 안쪽을 향해 연장되는 횡방향의 보조 홈(13a)을 연속하여 형성해 두는 것으로, 지지용 홈(13)에 삽입되어 내려 넣어지는 판형상체(B)의 하단 코너부가, 지지용 홈(13)에 연속하는 보조 홈(13a)에 끼워 넣어지고, 이것이 가이드가 되어 판형상체(B)의 하단부의 휨이 억제되게 되어, 안쪽의 지지용 홈, 예를 들어 상기 각 볼록 형상부(15b)에 갖는 지지용 홈(l4)에 대해서도, 벗어나거나 빗나가지 않고 확실히 끼워 넣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판형상체(B)가 매우 얇은 것이어도, 상기 수납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11)의 상면에 있어 판형상체(B)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홈을, 종래 같이 바닥 패드(4)의 각 패드편(41)에 형성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고(도시하지 않음), 이 경우, 상기 볼록 형상부(15b)의 높이를 낮게 하여, 바닥 패드(4)의 두께를 크게 하고, 그 볼록 형상부(15b) 보다 위쪽으로 돌출하게 되는 패드편(41)의 두께 상부에 지지용 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상은, 도면과 같이, 바닥부(11)와 일체의 볼록 형상부(15b)에 지지용 홈(14)을 설치하여 두는 것이, 측벽 내면의 지지용 홈(13)에 대해 오차나 차이를 거의 생기게 하지 않고서 성형할 수 있고, 또한 성형 후의 수축의 영향도 받지 않아서,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바닥 패드(4)에 지지용 홈을 형성한 경우도, 상기 볼록 형상 계단부(15a)에 있어서의 보조 홈(13a)에 의하여, 얇은 판 형상의 판형상체(B)의 하단부의 휨을 어느 정도 규제하면서, 그 하단부의 중앙부를 상기 지지용 홈에 대하여 끼워넣어 지지시킬 수 있어 수납 조작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상기 덮개(2)는, 상기 용기 본체(1)와 같은 합성수지 발포체에 의해 성형되어 있어 천정판(21)의 주연부(周緣部) 하면에, 상기 용기 본체(1)의 개구 단부, 즉 사방의 상기 각 측벽(12a, 12a, 12b, 12b)의 상단부에 끼워 맞추는 전후좌우의 수하(垂下) 측벽(22a, 22a, 22b, 22b)을 가지고 있어 용기 본체(1)에 대해 피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경우, 상기 용기 본체(1)에 대한 덮개(2)의 끼워 맞춤 구조로서, 상기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단부(1a), 즉 사방의 측벽(12a, 12a, 12b, 12b)의 상단부에는, 내외의 한 쪽 측,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외측을 절결하여 안쪽에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17)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덮개(2)의 수하 측벽(22a, 22a, 22b, 22b)의 하단부에는 내측을 절결하고 외측에 돌출 가장자리(23)가 형성되어 있어, 그 돌출 가장자리(23)가 상기 용기 본체(1)의 상기 돌출 가장자리(17)의 외측의 절결부(18)에 끼워 맞추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1b) 및 (24)는 밴드 걸림용 오목부를 나타낸다.
상기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17)에는, 변형 방지를 위해서, 적어도 그 돌출 가장자리(17)의 상단면을 덮는 상판부를 가지고, 또한 용기 내외 방향으로 강성을 갖는 보강재(6)를 장착하여 둘 수 있다.
도시하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강재(6)를 장착하기 위해서, 상기 한 쪽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12b, 12b), 즉 지지용 홈(13)이 형성되어 있는 양측벽(12b, 12b)은, 상기 지지용 홈(13)을 갖는 내면 측벽부의 상단부가, 상기 돌출 가장자리(17)의 내측에 있고, 외측의 절결부(18)의 하면에 상당하는 높이 위치 정도까지 절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 가장자리(17)에, 금속재 혹은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역 U자 형상의 보강재(6)가, 상면 및 내외 측면을 포피(包被)하도록 장착되어 있다(도 5∼도 8 참조). 이것에 의해, 측벽 상단부의 용기 내외 방향으로의 휨 변형을 규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보강재(6)로서는, 최소한 돌출 가장자리(17)의 상단면을 덮는 상판부를 가져, 용기 내외 방향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진 물건이면 좋고, 예를 들면, 상기 돌출 가장자리의 상단면 및 내외 측면의 한 쪽을 덮는 단면이 역 L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보강재(6)의 장착 수단으로서는, 성형 후의 끼움 부착 수단에 의해 장착하여 고정하는 것 외에, 접착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인서트 성형의 수단에 의해, 성형과 동시에 장착하여 둘 수도 있다. 결국, 상기 보강재(6)는, 전체 둘레에 걸쳐 프레임 형상으로 연접(連接) 구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과 같이, 각 변의 직선 형상 부재(6a)와 L형을 이루는 코너 부재(6b)를 프레임 형상으로 연접한 보강재(6)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측벽 상단부의 보형성, 각 측벽(12a, 12a, 12b, 12b)의 변형 방지의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이것에 끼워 맞춰 피착되는 중간 덮개(3)나 덮개(2)의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6)의 장착에 의해 돌출 가장자리(17)의 파손 방지의 효과도 있다.
상기 보강재(6)로서는, 알루미늄재(알루미늄 합금을 포함) 등의 각종의 금속재나 강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알루미늄재 혹은 합성수지재가, 측벽 상단부의 돌출 가장자리에 끼워 부착할 수 있는 단면이 역 U자 형상, 단면이 역 L자 형상으로 가공, 성형하기 쉽고 또한 강성도 있어, 특히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중간 덮개(3)는, 상기 덮개(2)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발포체에 의해 성형되어, 상기 덮개(2)의 내측, 즉 상기 수하 측벽(22a, 22a, 22b, 22b)의 내측에서 상기 용기 본체(1) 및 수용된 판형상체(B)에 대해 피착 가능하다. 이 중간 덮개(3)는, 천정판(31)의 하면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의 지지용 홈(13)을 갖지 않는 다른 쪽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 예를 들면 도면과 같이 수용되는 판형상체(B)의 판면과 대향하는 전후의 측벽(12a, 12a)과 대응하는 양변에는, 그 측벽(12a, 12a)의 상단부에 안쪽에서 끼워 맞추도록 늘어뜨려 설치된 단부 벽(32a, 32a)을 가지고, 또한 상기 지지용 홈(13)을 갖는 측벽(12b, 12b)과 대응하는 측의 양변은 측방에 개구되어 있고, 도면과 같이 전체적으로 단면상 오목형(凹形)을 이루고 있다. 32b, 32b는 측방으로의 개구부를 나타낸다.
상기 중간 덮개(3)의 용기 본체(1)에 대한 끼워 맞춤 구조로서, 상기 양단부 벽(32a, 32a)의 하단부 외측에, 용기 본체(1)의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17)의 내측 반부와 끼워 맞추는 절결부(33)가 형성되어, 그 절결부(33)에 의해 상기 측벽 상단부에 안쪽에서 끼워 맞추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단부(1a)의 돌출 가장자리(17)에 상술한 보강재(6)가 장착되어 있지 않더라도, 측벽(12a, 12a)의 안쪽으로의 휨 변형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통상, 상기 중간 덮개(3)는, 상기 덮개(2)의 내측에 내접(內接)하여 끼워 맞추거나, 혹은 조그만 간격을 가지고 끼워 맞추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 덮개(3)의 용기 본체(1)에 대한 피착시의 위치 결정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중간 덮개(3)의 단부 벽(32a)의 용기 폭 방향의 길이를, 용기 본체(1)의 측벽(12a)을 따른 방향의 지름 안쪽 치수보다 약간 짧게 형성하고, 또한 중간 덮개(3)의 단부 벽(32a, 32a)이 안쪽에서 끼워 맞추는 용기 본체(1)의 측벽(12a, 12a)의 내측 면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용기 폭 방향(좌우 방향)의 양단부의 상기 돌출 가장자리(17)의 내측에, 그 중간 덮개(3)의 단부 벽(32a, 32a)의 하부 측단(側端)(개구부(32b) 측의 측단)이 결합하는 단차 형상 볼록부(19)를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의 경우, 상기 단차 형상 볼록부(19)는, 지지용 홈(l3)을 갖는 측벽(12b)의 내면 측의 벽부 상단의 절결부의 측단 위치에서 단차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있어서는, 상기 단차 형상 볼록부(19)가 측벽(12 a)의 용기 폭 방향의 양단부의 약간 안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중간 덮개(3)의 단부 벽(32a)의 측단이 그 단차 형상 볼록부(19)에 걸려 피착되고, 또한 덮개(2)가 피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돌출 가장자리(17)에 안쪽에서 끼워 맞추는 중간 덮개(3)의 단부 벽(32a)의 측단이 상기 단차 형상 볼록부(19)에 걸리는 것으로, 중간 덮개(3)를,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일정 위치에 피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차 형상 볼록부(19)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돌출 가장자리(17)의 보강재(6)의 코너 부재(6b)는, 도 5(b)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차 형상 볼록부(19)에 의한 형상의 변화에 대응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 덮개(3)의 천정판(31)의 하면(내면)에는, 상기 단부 벽(32a)에 따르는 좌우 방향에 간격을 두고, 적어도 개구부(32b, 32b) 측의 양변 단부를 포함한 복수의 개소에 볼록 형상부(34)가 형성되어, 각 볼록 형상부(34)에는, 상기 단부 벽(32a, 32a)이 측벽 상단부에 안쪽에서 끼워 맞춘 상태에 대해 상기 용기 본체(1)의 측벽 내면의 지지용 홈(13)과 같은 열에 병렬하는 복수의 지지용 홈(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록 형상부(34)에 의해 구분된 하나 혹은 복수의 오목부(36)에, 1개의 천정패드(5), 또는 복수의 패드편(51)으로서 분할 형성된 판상의 천정패드(5)가 끼워 맞춰져 장착 설치되어있다.
특히, 도 1 ∼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중간 덮개(3)는, 상기 단부 벽(32a, 32a)에 따르는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 2개의 중간 덮개 부재(30a, 30a)에 분할 형성되어 있어, 각 중간 덮개 부재(30a, 30a)의 천정판(31)의 하면에는, 하나의 오목부(36, 36)를 구분하도록, 각각 개구 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지지용 홈(35)을 갖는 볼록 형상부(34)가 형성되어, 각 오목부(36, 36)에 천정패드(5)로서의 판상의 하나의 패드편(51)이 장착 설치되어있다.
상기 천정패드(5) 또는 천정패드로서의 각 패드편(51)은, 상기 바닥 패드(4)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 덮개(2) 및 중간 덮개(3)보다 유연한 탄력성이 있는 연질의 합성수지 발포체 등의 완충재료보다, 상기 오목부(36)에 장착 설치한 상태에 대해, 그 하면이 상기 볼록 형상부(34)의 지지용 홈(35)의 홈 깊이의 범위내에서 홈의 바닥으로부터 약간 하부 위치, 예를 들면 홈의 바닥으로부터 홈 깊이의 1/3∼1/5 정도의 위치에 있도록 설정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탄한 판상을 이루고 있어, 중간 덮개(3)의 피착 상태에 대해, 상기 볼록 형상부(34)의 지지용 홈(35)에 끼워넣어 지지된 판형상체(B)의 상단이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되어있다.
상기 천정패드(5)의 장착 설치수단으로는, 예를 들면, 중간 덮개 부재(30a)마다의 각 패드편(51)을 상기 오목부(36)에 단순히 끼워 맞춰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좋지만,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 12 ∼ 도 16과 같이, 상기 오목부(36)의 둘레 측면(周側面)과 각 패드편(51)의 외주면에, 서로 끼워 맞춰 결합하는 요조(凹條;36a)와 철조(凸條;51a)를 설치하여 두어 패드편(51)이 쉽게 빠지지 않게 끼워 부착하여 둘 수 있다. 이 결합 구조는, 상기한 바닥 패드(4)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 수단을 이용해 고정하여 둘 수도 있다.
상기 중간 덮개(3)의 개구부(32b, 32b) 측의 양변 단부의 볼록 형상부(34)에 지지용 홈(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그 볼록 형상부(34)의 지지용 홈(35)이 측방에 노출되어 바깥쪽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이루어지고, 그 중간 덮개(3)를 용기 본체(1)에 병렬하여 수용한 판형상체(B)의 상단부에 대하여 피착할 때, 판형상체(B)의 위치와 상기 지지용 홈(35)의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를 맞추면서 용이하게 피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2개로 분할 형성한 중간 덮개 부재(30a, 30a)를 이용함으로써, 용기 본체(1)에 일정 간격으로 병렬하게 수납한 판형상체(B)에 대해 중간 덮개(3)를 피착할 때, 각 판형상체(B)에 대한 지지용 홈(35)의 위치 맞춤, 및 피착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실시상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덮개(3)는, 상기와 같이 2개의 중간 덮개 부재(30a, 30a)에 분할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7의 실시예와 같이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천정판(31)의 하면에는, 도 18a과 같이, 개구부(32b) 측의 양변 단부에, 상기와 같은 지지용 홈(35)을 갖는 볼록 형상부(34)를 설치하고, 안쪽의 오목부(36)에 천정패드(5)를 장착 설치하여 두는 것 외에, 같은 도면의 (b)와 같이, 상기 천정판(31)의 하면에 있어서 적어도 개구부(32b) 측의 양변 단부와, 그 안쪽의 필요한 개소(個所), 예를 들면 중앙부에, 상기와 같은 지지용 홈(35)을 갖는 볼록 형상부(34)를 설치하여 복수의 오목부(36)를 형성하여, 각 오목부(36)에 각각 분할 형성한 천정패드(5)로서의 패드편(51)을 장착 설치하여 둘 수도 있다.
도 18a와 같이, 하나의 오목부(36)에 하나의 천정패드(5)를 장착 설치하여 실시했을 경우, 판형상체(B)의 상단부의 중앙부가 지지용 홈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게 되어, 휨 변형이 생기기 쉽게 되므로, 수납 조작시 및 포장 상태로 지지용 홈(35)에 대한 위치 어긋남이나 홈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는, 도 18b와 같이 단부 벽(32a, 32a)을 따른 방향의 중앙부 등의 안쪽의 개소에 하나 혹은 복수의 볼록 형상부(34)를 형성하고, 그 볼록 형상부(34)에 갖는 지지용 홈(35)에 의해 판형상체(B)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 덮개(3)의 천정판(31)의 하면에 있어 판형상체(B)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홈을, 종래와 같게 하고, 천정패드(5)의 각 패드편(51)에 형성하여 두는 것도 가능하고(도시하지 않음), 이 경우, 천정판(31) 하면의 볼록 형상부(34)의 높이를 낮게 하여, 천정패드(5)의 두께를 크게 하고, 상기 볼록 형상부(34)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게 되는 패드편(51)의 두께 하부에 지지용 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상은, 도면과 같이, 중간 덮개(3)와 일체의 볼록 형상부(34)에 지지용 홈(35)을 설치하여 두는 것이, 측벽 내면의 지지용 홈(13)과 오차를 거의 생기게 하지 않고서 성형할 수 있고, 또한 성형 후의 수축의 영향도 받지 않아,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의 반송용기(A)에 있어서, 용기 내부의 방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도 11의 실시예, 혹은 도 12 ∼ 도 16의 예와 같이, 상기 중간 덮개(3) 또는 분할된 중간 덮개 부재(30a)의 천정판(31)에 있어서 상기 패드편(51)의 장착 설치위치의 상면에,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제 등의 건조재(7)의 수납 오목부(37)를 형성하는 것과 아울러, 그 수납 오목부(37)의 바닥 벽에 환기용 관통 구멍(38)을 형성하고, 또한 그 천정판(31)의 하면에 장착 설치되는 합성수지 발포체제의 상기 천정패드(5) 또는 그 천정패드(5)를 구성하는 패드편(51)에, 상기 관통 구멍(38)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여 둘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런 종류의 유리 기판 등의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요구되는 건조재(7)를, 중간 덮개(3)의 구조를 이용하고, 또한 외측 덮개(2)에 의해 외부와 차단한 상태로 수납하여 둘 수 있어, 용기 본체(1)의 내부에는 건조재를 위한 특별한 수납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용기 본체 내부를 판형상체의 수납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반송용기(A)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좌우의 양측벽(12b, 12b)의 지지용 홈(13)에 대해서는, 도 21a로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양 내측면이 홈 깊이의 중간 혹은 중간보다 약간 홈 바닥 측의 위치로부터 개구단측이 V자형으로 넓혀진 테이퍼(taper) 형상을 이루는 것과 동시에, 이것보다 홈 바닥 측에서 양 내측면 사이가 일정한 폭의 간격에 의한 홈 형상을 이루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또한 같은 도면 b와 같이, 양 내측면이 홈 바닥으로부터 개구단까지 연속하여 일면에서 V자형으로 넓혀진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덮개(3)의 천정판(31)의 하면에 있어 판형상체(B)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홈(35), 및 용기 본체(1)의 바닥부(11)에 대해 판형상체(B)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보조 홈(13a) 혹은 지지용 홈(14)에 대해서도, 각각 도 22 및 도 23a 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양 내측면이 홈 깊이의 중간 혹은 중간 보다 약간 홈 바닥 측의 위치로부터 개구단측이 V자형으로 넓혀진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과 동시에, 이것보다 홈 바닥 측에서 양 내측면 사이가 일정한 폭의 간격에 의한 홈 형상을 이루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또한 같은 각 도면 b와 같이, 양 내측면이 홈 바닥으로부터 개구단까지 연속하여 일면에서 V자형으로 넓혀진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어느 경우도, 상기 테이퍼 형상의 양 내측면의 개방 각도α는, 판형상체(B)의 휨 변형의 정도를 고려하여 가장 무리가 걸리지 않는 각도로 설정하여 둔다. 상기 중간 덮개(3)의 천정판 하면에 있어서의 지지용 홈(35)의 테이퍼 형상의 개방 각도α를, 바닥부(11)의 지지용 홈(14)의 개방 각도α보다도 크게하여 두는 편이, 중간 덮개(3)를 용기 본체(1)에 피착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또한, 양 내측면이 홈 바닥으로부터 개구단까지 일면의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지지용 홈의 경우, 판형상체에 휨이 생길 때에 국부적으로 강하게 접촉하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판형상체의 파손 방지의 효과가 커진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덮개(2)가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단부에 대하여 바깥쪽에서 끼워 맞추는 구조로, 그 덮개(2)의 내부에서 천정패드(5)를 지지하는 중간 덮개(3)를 구비하여 되는 용기의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 외에도, 중간 덮개(3)를 갖지 않는 용기, 혹은 덮개(2)가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단부에 대해 안쪽에서 끼워 맞추는 구조의 용기에 대해서도, 용기 본체(1)의 종방향의 지지용 홈(13)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바닥부(11) 상면에 있고 안쪽을 향해 늘어나는 횡방향의 보조 홈을 형성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 ∼ 도 26의 실시예는, 덮개(2)가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단부(1a)에 대해 바깥쪽에서 끼워 맞추는 구조로, 중간 덮개를 갖지 않는 용기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부재, 같은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교부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상기 용기 본체(1)에 대한 덮개(2)의 끼워 맞춤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어, 덮개(2)의 수하 측벽(22a, 22a, 22b, 22b)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출 가장자리(23)가, 용기 본체(1)의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17)의 외측의 절결부(18)에 끼워 맞추도록(바깥쪽에서 끼워 맞추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도, 도 26과 같이, 상기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17)에는, 적어도 그 돌출 가장자리(17)의 상단면을 덮는 상판부를 가지고 또한 용기 내외 방향으로 강성을 갖는 보강재, 예를 들어 단면이 역 L 자 형상 혹은 단면이 역 U 자 형상을 이루는 보강재(6)를 장착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2)의 수하 측벽(22a, 22a, 22b, 22b)보다 안쪽의 천정판(21)의 하면에, 1개의 천정패드(5), 또는 복수의 패드편(51)으로서 분할 형성된 판상의 천정패드(5)가 중간 덮개의 경우와 같이 장착 설치되어있다. 도면의 예의 경우, 상기 천정판(21)의 하면에는, 덮개(2)를 용기 본체(1)에 피착한 상태에 대하여 지지용 홈(13)을 갖는 양측벽(12b, 12b)의 대향 방향(좌우 방향)으로 필요한 간격을 두고, 상기 지지용 홈(13)과 같은 열에 병렬하는 복수의 지지용 홈(25)을 갖는 볼록 형상부(26)가 형성되어 있어, 그 볼록 형상부(26, 26) 사이의 복수의 오목부(27)에, 천정패드(5)로서의 복수의 평탄한 판상의 패드편(51)이 장착 설치되어있다. 이 예에서도, 상기 오목부(26)에 장착 설치된 천정패드(5)의 하면이 상기 볼록 형상부(26)의 지지용 홈(25)의 홈 깊이의 범위 내에서, 예를 들면 홈 바닥으로부터 홈 깊이의 1/3∼1/5 정도의 위치에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7 ∼ 도 29의 실시예는, 덮개(2)가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단부(1a)에 대해 안쪽에서 끼워 맞추는 구조로, 중간 덮개를 갖지 않는 용기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 부재, 같은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교부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상기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단부(la), 즉 사방의 측벽(12a, 12a, 12b, 12b)의 상단부에는, 안쪽을 절결하여 외측에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17-a)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2)의 수하측 벽부(22a, 22a, 22b, 22b)의 하단부에는, 외측에 상기 돌출 가장자리(17-a)에 끼워 맞추는 절결부(28)가 설치되어, 그 절결부(28)보다 내측 부분이 상기 용기 본체(1)의 돌출 가장자리(17-a)의 내측의 절결부(18-a)에 끼워 맞추도록(안쪽에서 끼워 맞추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도 29와 같이, 상기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17-a)에는, 적어도 그 돌출 가장자리(17)의 상단면을 덮는 상판부를 가지고 또한 용기 내외 방향으로 강성을 갖는 보강재, 예를 들면 단면이 역 L 자 형상 혹은 단면이 역 U 자 형상을 이루는 보강재(6)를 장착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2)의 수하측 벽부(22a, 22a, 22b, 22b)보다 내측의 천정판(21)의 하면에, 상기 도 24 ∼ 도 26의 실시예와 같이, 천정패드(5), 또는 복수의 패드편(51)으로서 분할 형성된 판상의 천정패드(5)가 장착 설치되어있다.
어느 실시예의 경우도, 용기 본체(1)의 바닥부(11)의 상면에 있고, 용기 본체(1)의 양측벽(12b, 12b)의 내면의 지지용 홈(13)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안쪽으로 늘어나는 보조 홈을 계단형상 볼록부(15a)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 외에, 지지용 홈(l4)을 갖는 볼록 형상부(15b) 및 바닥 패드(4)를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 및 덮개(2)는, 임의의 발포수지 성형체에 의해 제작할 수 있지만, 열가소성 수지의 발포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에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젖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이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스티렌과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복합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포체의 발포 배율은 3 ∼ 50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 덮개(3)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발포수지 성형체로 제작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상기 덮개(2)와 같은 정도의 보형성 및 탄력성을 갖는 발포체가 이용된다. 예를 들면, 덮개(2)와 중간 덮개(3)가 같은 소재가 되는 것의 경우, 중간 덮개(3)로서는 기본적으로 덮개(2)와 같은 발포배율의 발포체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 바닥 패드(4)나 천정패드(5)로서는, 상기와 같은 합성 수지의 비즈 성형 발포체로, 주로, 상기 용기 본체(1)나 덮개(2) 및 중간 덮개(3)에 비교하여 약간 유연한 보형성 및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 발포체가 이용된다.
상기한 도 1 ∼ 도 10의 실시예의 반송용기(A)의 사용에 대해서는, 용기 본체(1)의 바닥부(11)의 상면의 볼록 형상부(15b, 15b) 사이의 오목부(16)에 바닥 패드(4)(각 패드편(41))를 배치하고, 또한, 중간 덮개(3)의 천정판(31)의 하면의 볼록 형상부(34, 34) 사이의 오목부(36)에, 천정패드(5)(각 패드편(51))를 배치하여 장착 설치하여 둔다. 또한, 유리 기판 등의 판형상체(B)의 수납 조작에 대해서는, 판형상체(B)의 측단부를 용기 본체(1)의 좌우의 측벽(12b, 12b)에 있는 지지용 홈(13)에 삽입하고, 그 측단부를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여 바닥부(11)에 까지 떨어뜨려 수납한다. 이때, 수납되는 판형상체(B)의 하단 코너부가, 그 지지용 홈(13)의 하단에 연속하여 바닥부(11)의 상면에 있어서의 볼록 형상 계단부(15a)에 대해 안쪽으로 늘어나고 있는 보조 홈(13a)에 끼워넣고, 또한, 이것이 가이드가 되어, 판형상체(B)의 하단부가 휨이 규제되면서 안쪽의 각 볼록 형상부(15b)에 있는 지지용 홈(14)에 대해 어긋나는 일 없이 용이하게 끼워넣어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바닥 패드(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보호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지지용 홈(13)에 대응한 일정 간격으로 병렬하여 수납한 판형상체(B) 위에, 상기 천정패드(5)를 장착 설치한 중간 덮개(3)를, 상기 용기 본체(1)의 상기 판형상체(B)의 판면(板面)과 대향하는 양측벽(12a, 12a)의 상단부에 대하여, 그 측벽(12a, 12a)과 대응하는 양변에 갖는 단부벽(32a, 32a)을 안쪽에서 끼워 맞춰 피착한다. 이때, 상기 단부벽(32a, 32a)과 교차하는 양변에 있어서 측방으로의 개구부(32b)에 있어서, 볼록 형상부(34)를 갖는 지지용 홈(35)이 측방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그 지지용 홈(35)의 위치와 판형상체(B)의 양측 단부의 병렬 상태나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 맞춤을 하면서, 쉽게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피착할 수 있다.
이 후, 덮개(2)를 상기 중간 덮개(3)의 외측에 씌워 주연부의 수하 측벽(22a, 22a, 22b, 22b)의 하단부를, 상기 용기 본체(1)의 네 둘레의 각 측벽(12a, 12a, 12b, 12b)의 측벽 상단부(1a)의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17)에 바깥쪽에서 끼워 맞춰 피착한다. 이렇게하여 포장한 용기 외측에, 필요에 따라서 밴드를 걸리게(도시하지 않음)하여 수송에 제공한다.
상기 중간 덮개(3) 및 덮개(2)를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단부(1a)에 안쪽에서 끼워 맞추고 바깥쪽에서 끼워 맞춰 피착한 상태에 대해서는, 용기 본체(1)의 각 측벽(12a, 12a, 12b, 12b)의 바깥쪽 방향으로의 휨 변형에 의한 변위가 덮개(2)에 의해 규제되고, 또한 상기 지지용 홈(13)을 갖는 양측벽(12b, 12b)의 안쪽 방향으로의 휨 변형에 의한 변위가 판형상체(B)에 의해 규제될 뿐만 아니라, 상기 판형상체(B)의 판면과 대향하는 양측벽(12a, 12a)의 안쪽 방향으로의 휨 변형에 의한 변위가 상기 중간 덮개(3)에 의해 규제되게 된다. 특히, 상기 덮개(2) 및 중간 덮개(3)가 끼워 맞추는 돌출 가장자리(17)를 갖는 측벽 상단부(1a)에 있어서, 그 돌출 가장자리(17)에 장착된 보강재(6)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경우는, 용기 내외 방향으로의 휨 변형이 억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수송, 운반시 취급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지지용 홈(13)과 중간 덮개(3)를 갖는 지지용 홈(35)과 위치 어긋남이 생겨, 위치 어긋남에 의한 판형상체(B)의 휨 변형이나 홈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판형상체(B)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홈(35)이 중간 덮개(3)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지지용 홈(35)에 의한 유지의 효과는 천정패드(5)에 형성된 홈에 의한 경우보다 크게 되어, 그 지지용 홈(35)에 삽입된 판형상체(B)를 안정성이 좋게 지지할 수 있어, 얇은 두께의 판형상체(B)의 휨 변형의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중간 덮개(3)는 용기 본체(1)와 같은 소재에 의해 성형할 수 있으므로, 성형 후의 수축 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만일, 판형상체(B)의 판면과 대향하는 용기 본체(1)의 측벽(12a, 12a)에 안쪽 방향으로의 휨 변형이 생겼을 경우, 그 측벽(12a, 12a)에 안쪽에서 끼워 맞추고 있는 상기 중간 덮개(3)도 용기 본체(1)에 추종하여 변위할 수 있기도 하고, 판형상체(B)의 상단부가 지지용 홈(35)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중간 덮개(3)의 천정판(31)의 하면에 갖는 지지용 홈(35)과 용기 본체(1)의 측벽 내면의 지지용 홈(13)과의 상대 위치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이 없다.
따라서, 지지용 홈(13)에 끼워넣어져 일정 간격으로 병렬하여 유지되어 있는 판형상체(B)에 큰 휨이나 홈이 어긋나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판형상체(B)가 큰 휨 변형에 수반되는 판형상체끼리의 간섭에 기인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나아가서는 판형상체(B)의 박육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도 24 ∼ 26의 실시예, 및 도 27 ∼ 도 28의 실시예등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도, 판형상체(B)를 용기 본체(1)의 지지용 홈(13)에 삽입하여 내려서 수납할 때, 지지용 홈(13)의 하단에 연속하고 안쪽으로 늘어나 있는 보조 홈(13a)을 가이드로 하고, 판형상체(B)의 하단부를 안쪽의 각 볼록 형상부(15b)에 갖는 지지용 홈(14)에 쉽고 또한 확실히 끼워넣어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송용기는, 소판유리, 액정 표시용이나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 기판 또는 터치 패널용 얇은 유리 기판, 그 밖의 충격에 약한 각종의 판형상체의 반송, 보관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A : 반송용기
B : 판형상체
1 : 용기 본체
1a : 측벽 상단부
1b : 밴드 걸림용 오목 부분
11 : 바닥부
12a, b : 측벽
13 : 지지용 홈
13a : 보조 홈
14 : 지지용 홈
15a : 볼록 형상 계단부(凸狀段部)
15b : 볼록 형상부
16 : 오목부
17, 17a :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
18, 18a : 절결부
19 : 단차 형상 볼록부
2 : 덮개
21 : 천정판
22a, b : 수하 측벽(垂下側壁)
23 : 돌출 테두리
24 : 밴드 걸림용 오목부
25 : 지지용 홈
26 : 오목 형상부
27 : 오목부
28 : 절결부
3 : 중간 덮개(中蓋)
31 : 천정판
32a : 단부벽
32b : 개구부
33 : 절결부
34 : 돌출 형상부
35 : 지지용 홈
36 : 오목부
37 : 수납 오목부
38 : 관통 구멍
4 : 바닥 패드
41 : 패드편
5 : 천정패드
51 : 패드편
52 : 관통 구멍
6 : 보강재
7 : 건조재

Claims (14)

  1. 판형상체(板狀體)를 수용하여 반송하기 위한 합성수지 발포체제(發泡體製)의 평면 사각형의 용기이며, 상면이 개구(開口)되고, 또한, 한 쪽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兩側壁)의 내면에 판형상체의 측단부(側端部)를 지지하는 종방향의 복수의 지지용 홈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 상면에 배치되는 바닥 패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上端部)에 끼워 맞춰 피착(被着)되는 덮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의 지지용 홈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바닥부 상면에 대해 안쪽을 향하여 늘어나는 횡방향의 보조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 상면의 보조 홈에 의해, 판형상체의 하단 코너부를 종방향의 지지용 홈으로부터 연속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부 상면에 대하여 상기 종방향의 지지용 홈을 갖는 측벽 측의 양단부(兩端部)에 볼록 형상 계단부(凸狀段部)가 설치되어, 상기 볼록 형상 계단부에 종방향의 지지용 홈으로부터 연속하는 횡방향의 보조 홈이 형성되어, 상기 양 볼록 형상 계단부 사이에 있어 상기 보조홈에 지지된 판형상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바닥 패드가 장착 설치되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바닥부 상면의 상기 양단부의 볼록 형상 계단부보다 안쪽으로 필요한 간격을 두고, 상기 측벽 내면의 종방향의 지지용 홈 및 상기 보조 홈과 같은 열에 병렬하는 복수의 횡방향의 지지용 홈을 갖는 볼록 형상부가 설치되고, 각 볼록 형상부의 오목부에 복수로 분할 형성된 바닥 패드가 장착 설치되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드는, 그 상면이 상기 볼록 형상부의 돌출 높이보다 낮고, 또한 상기 횡방향의 지지용 홈의 홈 바닥위치보다 위쪽 위치에 있는 판상을 이루고 있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측에서 판형상체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천정패드를 구비하여 되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내측에서 상기 천정패드를 지지하여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에 끼워 맞추는 중간 덮개(中蓋)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덮개가, 상기 용기 본체의 종방향의 지지용 홈을 갖지 않는 다른 쪽의 대향하는 양측벽을 따르는 측의 천정판 하면의 양변에, 상기 측벽 상단부에 안쪽에서 끼워 맞추는 단부벽(端部壁)이 늘어뜨려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종방향의 지지용 홈을 갖는 양측벽을 따르는 측의 양변에서 측방에 개구되어 있고, 이 중간 덮개의 천정판 하면에 천정패드가 장착 설치되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덮개의 적어도 개구부 측의 양변 단부의 하면에 볼록 형상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볼록 형상부에, 중간 덮개를 상기 단부벽이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에 안쪽에서 끼워 맞춘 상태에서, 용기 본체의 종방향의 지지용 홈과 같은 열에 병렬하는 복수의 횡방향의 지지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양변의 볼록 형상부의 오목부에 상기 지지용 홈에 끼워 넣어 지지된 판형상체의 상단부에 대해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천정패드가 장착 설치되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양 측벽 내면의 지지용 홈과 바닥부의 볼록 형상부의 지지용 홈, 및 중간 덮개의 볼록 형상부의 지지용 홈은, 각각 양측면이 개구단으로부터 홈 바닥에까지 1면에서 연속하는 테이퍼(taper) 형상을 이루고 있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각 측벽의 상단부에는, 내외(內外)의 한 쪽측이 절결(切欠)되어 내외의 다른 쪽 측에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가 형성되어 덮개가 상기 돌출 가장자리에 대해 내외의 한 쪽 측에 끼워 맞추도록 설치되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각 측벽의 상단부에는, 내외의 한 쪽 측이 절결되어 내외의 다른 쪽 측에 끼워 맞춤용 돌출 가장자리가 형성되어 덮개가 상기 돌출 가장자리에 대해 내외의 한 쪽 측에 끼워 맞추도록 설치되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의 상기 돌출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상기 돌출 가장자리의 상단면을 덮는 상판부를 가지고 또한 용기 내외 방향으로 강성을 갖는 보강재가 장착되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의 상기 돌출 가장자리에는, 적어도 상기 돌출 가장자리의 상단면을 덮는 상판부를 가지고 또한 용기 내외 방향으로 강성을 갖는 보강재가 장착되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덮개가, 용기 본체 및 덮개와 동일한 정도의 보형성(保形性) 및 탄력성을 가지거나, 혹은 덮개보다 유연한 보형성 및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정패드가 중간 덮개보다 유연한 보형성 및 탄력성을 갖는 합성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KR1020110052803A 2010-06-07 2011-06-01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KR101776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0229 2010-06-07
JPJP-P-2010-130229 2010-06-07
JPJP-P-2011-026160 2011-02-09
JP2011026160A JP2012017145A (ja) 2010-06-07 2011-02-09 板状体の搬送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279A true KR20110134279A (ko) 2011-12-14
KR101776962B1 KR101776962B1 (ko) 2017-09-08

Family

ID=45480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803A KR101776962B1 (ko) 2010-06-07 2011-06-01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6962B1 (ko)
CN (1) CN10232878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56Y1 (ko) * 2013-03-28 2015-02-12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판상체 반송 용기
KR200476563Y1 (ko) * 2013-03-28 2015-03-10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판상체 반송 용기
KR200476562Y1 (ko) * 2013-03-28 2015-03-10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판상체 반송 용기
CN109573267A (zh) * 2017-09-29 2019-04-05 远大住宅工业(天津)有限公司 预制混凝土墙板的整体存放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7997A (zh) * 2013-10-21 2014-02-12 安徽华印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搁置丝印机网版的支撑架
CN107539595A (zh) * 2017-09-25 2018-01-05 长兴恒通彩印包装有限公司 一种便于储运轻薄面板的瓦楞纸箱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1354A (ja) * 1995-05-12 1996-11-19 Asahi Chem Ind Co Ltd 板状ガラス部品搬送箱
JP2001010693A (ja) * 1999-06-28 2001-01-16 Sekisui Plastics Co Ltd 基板輸送容器
JP4091432B2 (ja) * 2000-12-27 2008-05-2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ガラス基板用緩衝体
JP2004051131A (ja) * 2002-07-17 2004-02-19 Yodogawa Hu-Tech Kk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2004149166A (ja) * 2002-10-31 2004-05-27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4510673B2 (ja) * 2005-03-17 2010-07-28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板状体の搬送容器
CN201082802Y (zh) * 2007-06-27 2008-07-09 真豪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易碎板片包装保护装置
JP5096209B2 (ja) * 2008-03-27 2012-12-1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板状体搬送用ボック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56Y1 (ko) * 2013-03-28 2015-02-12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판상체 반송 용기
KR200476563Y1 (ko) * 2013-03-28 2015-03-10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판상체 반송 용기
KR200476562Y1 (ko) * 2013-03-28 2015-03-10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판상체 반송 용기
CN109573267A (zh) * 2017-09-29 2019-04-05 远大住宅工业(天津)有限公司 预制混凝土墙板的整体存放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28789A (zh) 2012-01-25
CN102328789B (zh) 2015-07-01
KR101776962B1 (ko)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4279A (ko)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KR101573301B1 (ko) 유리 기판용 용기
CN111071597B (zh) 用于运载显示面板的托盘
KR200476256Y1 (ko) 판상체 반송 용기
CN104648842B (zh) 承载装置与承载装置及被载物的组合
JP2010215262A (ja) ガラス基板の搬送容器
KR101934963B1 (ko) 판형 부품용 트레이
US20140332432A1 (en) Packag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Glass
JP2008044636A (ja) 収納用トレー
US20230339652A1 (en) Display device packaging box
JP2011255912A (ja) ガラス基板の搬送容器
JP2012017145A (ja) 板状体の搬送容器
CN101850880A (zh) 包装结构
JP5649924B2 (ja) 板状体の搬送容器
JP5357261B2 (ja) 収納トレイ
US20220344186A1 (e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KR200476562Y1 (ko) 판상체 반송 용기
KR200476563Y1 (ko) 판상체 반송 용기
JP2011255911A (ja) ガラス基板の搬送容器
JP2012140159A (ja) 縦置き薄板パネルの搬送ユニット
KR20150003698U (ko) 판상체 반송 용기
US20230070970A1 (en) Substrate tray
JP2017190159A (ja) 梱包体
JP6421045B2 (ja) 箱型容器
JP6408923B2 (ja) 箱型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