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563Y1 - 판상체 반송 용기 - Google Patents

판상체 반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563Y1
KR200476563Y1 KR2020130008243U KR20130008243U KR200476563Y1 KR 200476563 Y1 KR200476563 Y1 KR 200476563Y1 KR 2020130008243 U KR2020130008243 U KR 2020130008243U KR 20130008243 U KR20130008243 U KR 20130008243U KR 200476563 Y1 KR200476563 Y1 KR 200476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aper angle
plate
suppor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2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264U (ko
Inventor
카츠히로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52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2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5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상체를 수용하여 반송하기 위한 반송 용기를 제공한다. 판상체가 용기 본체 내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면, 상기 홈의 테이퍼부의 길이가 직선부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테이퍼부의 도움에 의해, 판상체의 단부가 지지용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
상기 홈은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의 내면에 형성되고, 테이퍼부가 테이퍼각(x)를 갖는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과,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 상면의 볼록 형상 단부에 있어서 테이퍼부가 테이퍼각(y)을 갖는 가로 방향의 복수의 보조홈과, 바닥부 상면 중앙부의 바닥부 볼록 형상부에 형성되고, 테이퍼부가 테이퍼각(z)을 갖는 가로 방향의 제2 지지용 홈을 구비하고, 또한 100°≥z≥y≥x 또한 z≥y≥x≥5°를 만족한다. 상기 지지용 홈은 바닥부 상면 중앙부의 지지용 홈의 테이퍼각(z)이 바닥부 상면 단부의 보조홈의 테이퍼각(y)보다 크기 때문에, 용이하게 판상체의 하단부를 바닥부 상면의 상기 제2 지지용 홈에 삽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판상체 반송 용기{VESSEL FOR TRANSPORTING PLATE-SHAPED ARTICLES}
본 고안은 판상체의 반송, 보관에 사용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 유리 외에 액정 표시용이나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 기판, 터치 패널용 유리 기판, 그 밖의 주로 얇은 판상체의 반송, 보관에 사용하는 반송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액정 표시용이나 플라즈마 표시용의 비교적 대형 유리 기판을 복수장 병렬로 수용하여 반송하기 위한 반송 용기로서, 완충성을 갖는 합성 수지 발포체제의 용기 본체와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용기로, 용기 본체의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 내면에 등간격으로 세로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홈을 형성해 두고, 당해 지지용 홈에 유리 기판의 측단부를 삽입하여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수용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 내의 바닥판 상에 유리 기판의 하단부를 보호하는 가로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홈을 갖는 보텀 패드를 형성하는 것에 추가하여, 용기 본체의 상방에 돌출되는 유리 기판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가로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용 홈을 갖는 탑 패드를 형성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그러나, 최근 유리 기판 등 판상체의 박육화가 진행되어, 예를 들면 액정 표시용 패널은 약 0.7mm의 유리 기판, 터치 패널은 약 0.3mm의 매우 얇은 유리 기판을 사용하고 있고, 유리 기판 등 판상체는 얇은 것일수록 휘기 쉬우며, 또한 홈 안에서는 판상체와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이 매우 작아, 판상체에 따라서는 3∼10mm이다.
따라서, 홈을 가지며 또한 보텀 패드나 탑 패드를 구비한 반송 용기를 사용할 때도 반송 용기가 충격을 받으면 판상체가 홈 이탈을 일으키기 쉬워, 인접하는 홈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 밖에, 판상체는 중앙에 가까워질수록 크게 휘기 때문에, 반송 용기의 바닥부에 보조홈을 형성해도 바닥부 상면에 있는 지지용 홈에 삽입되기 어렵다는 사정이 있어, 추가적인 개량이 요구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5113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99351호
본 고안은 상기 판상체가 홈 이탈하기 쉽고, 바닥부 상면에 있는 지지용 홈에 삽입되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판상체를 용기 본체 내측에 있는 홈에 삽입할 때, 상기 홈의 개구단에 위치하는 테이퍼부의 길이는 각각의 직선부의 길이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고, 따라서, 상기 테이퍼부의 도움에 의해 판상체 단부의 홈 이탈을 막는다. 그 밖에 상기 홈은 바닥부 상면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지용 홈의 테이퍼부의 테이퍼각(z)이 바닥부 상면 단부의 보조홈의 테이퍼부의 테이퍼각(y)보다 크기 때문에, 판상체의 하단부를 용이하게 바닥부 상면에 있는 지지용 홈에 삽입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판상체를 수용하여 반송하기 위한 용기로서, 상면이 개구하고, 또한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의 내면에 판상체의 측단부를 지지하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제1 지지용 홈이 형성된 용기 본체와, 판상체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 상면의 일부에 장착되는 보텀 패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벽 상단부에 감합하여 피착되는 덮개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판상체 반송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용 홈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 상면의 일부에 있어서 판상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가로 방향의 복수의 제2 지지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용 홈은 홈을 구성하는 홈벽이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의 측벽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기립하는 제1 직선부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용 홈은 홈을 구성하는 홈벽이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기립하는 제2 직선부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제2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테이퍼부의 홈 깊이 방향의 길이가 제1 직선부의 길이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고, 또한 상기 제2 테이퍼부의 홈 깊이 방향의 길이는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 장착된 보텀 패드의 상면을 기준으로 한 제2 직선부의 길이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다.
상기 판상체 반송 용기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바닥부 상면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로 방향의 보조홈이 판상체의 하단 코너부를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으로부터 연속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로 방향의 보조홈은 홈을 구성하는 홈벽이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의 측벽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기립하는 제3 직선부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제3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테이퍼부의 홈 깊이 방향의 길이는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 장착된 보텀 패드의 상면을 기준으로 한 제3 직선부의 길이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다. 여기서, 보텀 패드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란, 보텀 패드의 상면을 기점(0점)으로 한다는 의미이다. 이로써, 반송 용기가 대폭의 진동 또는 충격을 받아 판상체가 휘어 변형되었기 때문에, 판상체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직선부가 매우 작기 때문에 직선부로만 판상체를 지지할 수 없을 때도, 테이퍼부의 길이를 직선부보다 길게 함으로써, 테이퍼부에 의해 판상체의 지지를 보조하여, 판상체의 홈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지지용 홈의 제1 테이퍼부의 테이퍼각(x), 상기 보조홈의 제3 테이퍼부의 테이퍼각(y) 및 상기 제2 지지용 홈의 제2 테이퍼부의 테이퍼각(z)은 각각 5°∼100°범위이다. 테이퍼 각도는 클수록 좋지만, 상한은 홈 사이의 피치의 제한을 받는다. 상기 제2 지지용 홈의 테이퍼각(z)은 상기 바닥부 상면의 보조홈의 테이퍼각(y)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며, 즉 다음의 식을 만족한다.
100°≥z≥y≥ 또한 z≥y≥5°
이로써, 판상체를 홈에 삽입하여 수용할 때, 판상체에 휨이 발생하여 변형되고, 중앙에 가까울수록 휨에 의한 변위가 커져도 바닥부 상면 중앙부에 있는 제2 지지용 홈의 테이퍼부의 테이퍼각(z)이 바닥부 상면 단부에 위치하는 보조홈의 테이퍼부의 테이퍼각(y)보다 크기 때문에, 판상체의 하단부를 상기 제2 지지용 홈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퍼각(x, y, z)을 다음의 식을 만족하도록 설정한다.
100°≥z≥y≥x 또한 z≥y≥x≥5°
즉, 바닥부 상면 단부의 보조홈의 테이퍼각(y)을 제1 지지용 홈의 테이퍼각(x)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게 설정한다.
상기 판상체 반송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용 홈은 보텀 패드가 장착됨으로써 분단된다. 또한, 상기 장착된 보텀 패드의 상면은 상기 제2 지지용 홈 및 상기 보조홈의 가로 방향의 홈의 홈 바닥면보다 상위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판상체 반송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용 홈, 상기 바닥부 상면의 보조홈 및 상기 제2 지지용 홈은 테이퍼부와 직선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각 홈은 테이퍼부에서만 직선부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갖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홈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부분의 내측에 급하게 절곡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홈에 끼워 넣어져 지지되고 있는 판상체가 휨 변형되어도, 판상체와 홈 사이가 국부적으로 강하게 접촉되는 부위가 없어, 판상체의 단부가 파손되는 등의 우려가 없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판상체 반송 용기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각 홈의 테이퍼부 길이를 직선부보다 길게 설정했으므로, 판상체의 홈 이탈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바닥부 상면에 있는 중앙부의 제2 지지용 홈의 테이퍼부의 테이퍼각(z)을 바닥부 상면 단부의 보조홈의 테이퍼부의 테이퍼각(y)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판상체의 하단부를 상기 제2 지지용 홈에 삽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용기 본체에 판상체를 삽입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용기 본체(보텀 패드를 감합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용기 본체(보텀 패드를 포함하지 않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C1-C1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C2-C2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C3-C3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보텀 패드(2)를 포함함)이다.
도 7은 도 3에 있어서의 P1 영역에 판상체를 삽입한 제1 지지용 홈의 제1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에 있어서의 P2 영역에 보텀 패드와 판상체를 삽입한 제2 지지용 홈의 제1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5에 있어서의 P3 영역의 판상체를 삽입한 보조홈의 제1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제1 지지용 홈의 제2 실시형태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제2 지지용 홈의 제2 실시형태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보조홈의 제2 실시형태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용기 본체 및 덮개체를 조합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덮개체(탑 패드를 끼워 넣음)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보텀 패드 및 탑 패드가 맞춰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판상체 반송 용기의 보텀 패드 및 탑 패드가 맞춰지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반송 용기(A)의 용기 본체(1)에 판상체(B)를 끼워 넣은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반송 용기(A)는 판상체(B)를 수용하고, 상기 반송 용기(A)는 용기 본체(1)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1)는 사면의 측벽(측벽(1s))을 포함함) 및 바닥부를 갖고, 상부에 개구를 형성하여 판상체(B)를 삽입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의 상이한 종류의 홈,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1a), 가로 방향의 보조홈(1b) 및 가로 방향의 제2 지지용 홈(1c)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반송 용기(A)의 용기 본체(1)에 보텀 패드(2)를 삽입한 사시도이다. 상기 용기 본체(1)는 적당히 강성이 있으며 보형성이 있는 합성 수지 발포체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고, 바닥부로부터 기립한 사방의 각 측벽 중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1s)의 내면(11)에 상기 용기 본체(1)의 세로 방향(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지지용 홈(1a)이 형성되어, 도 1에 있어서의 판상체(B)의 양측 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용기 본체(1)의 바닥부 상면 중앙부에 바닥부 볼록 형상부(13)가 형성되고, 바닥부 볼록 형상부(13)에 복수의 제2 지지용 홈(1c)이 제1 지지용 홈(1a)과 같은 열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용 홈(1c)은 상기 용기 본체(1)의 가로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판상체(B)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용기 본체(1)의 바닥부 상면의 양단부에 양측벽(1s)의 내면(11)에 연속하는 볼록 형상 단부(12)가 형성되고, 이 볼록 형상 단부(12)에 복수의 보조홈(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홈(1b)은 상기 제1 지지용 홈(1a)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바닥부 상면의 내측으로 연신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가로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조홈(1b)에 의해, 판상체(B)의 하단부가 가이드되어, 상기 바닥부 볼록 형상부(13)의 제2 지지용 홈(1c)에 삽입된다. 그 밖에, 보텀 패드(2)는 상기 바닥부 볼록 형상부(13)의 오목부(13h)(도 3을 참조, 상기 오목부(13h)는 상기 제2 지지용 홈(1c)을 복수단으로 구분한다)에 감합되고, 판상체(B)의 하단부를 받아 지지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반송 용기(A)의 용기 본체(1)의 평면도이다(보텀 패드(2)를 포함하지 않음). 도 3으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양측벽(1s)의 내면(11)에 복수의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1)의 상기 바닥부 상면의 양단부에 양측벽(1s)의 내면(11)에 연속하는 볼록 형상 단부(12)가 형성되고, 이 볼록 형상 단부(12)에 복수의 가로 방향의 보조홈(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본체(1)의 바닥부 상면 중앙부에는 바닥부 볼록 형상부(13)가 형성되고, 이 바닥부 볼록 형상부(13)에 복수의 가로 방향의 제2 지지용 홈(1c)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보조홈(1b)과 제2 지지용 홈(1c)은 같은 열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 볼록 형상부(13)에는 오목부(13h)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용 홈(1c)를 복수단으로 분단하고, 상기 오목부(13h)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보텀 패드(2)가 감합된다. 상기 보텀 패드(2)는 용기 본체(1)에 비하여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합성 수지 발포체 등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반송 용기(A)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C1-C1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보텀 패드(2)는 미삽입)로서, 도 4에 있어서 복수의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1a)이 용기 본체(1)의 내면(11)에 형성되고, 복수의 가로 방향의 제2 지지용 홈(1c)이 바닥부 볼록 형상부(13)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C2-C2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도 5에 있어서 복수의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1a)은 용기 본체(1)의 양측벽(1s)의 내면(11)에 형성되고, 복수의 가로 방향의 보조홈(1b)이 볼록 형상 단부(1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3의 C3-C3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로서(보텀 패드(2)를 포함함), 도 6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양측벽(1s) 내측에 내면(11)이 형성되고, 바닥부 상면의 상기 내면(11)에 연속하여 볼록 형상 단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 상면 중앙부에 바닥부 볼록 형상부(13)가 형성되고, 또한 바닥부 볼록 형상부(13)에 오목부(13h)가 형성되어 있다. 보텀 패드(2)는 상기 오목부(13h)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 상면이 상기 볼록 형상 단부(12)의 보조홈(1b) 및 바닥부 볼록 형상부(13)의 제2 지지용 홈(1c)의 홈 깊이 범위 내에서 홈의 바닥으로부터 다소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각 홈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홈은 테이퍼부와 직선부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3에 있어서의 P1 영역에 판상체(B)를 삽입한 제1 지지용 홈(1a)의 제1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제1 지지용 홈(1a)의 홈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용기 본체(1)의 양측벽(1s)의 내면(11)에 복수의 제1 지지용 홈(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지지용 홈(1a)은 홈을 구성하는 홈벽이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1)의 측벽(1s)에 대해서 수직으로 기립하는 제1 직선부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지지용 홈(1a)은 깊이(e), 테이퍼각(x)의 제1 테이퍼부와, 길이(d), 판상체(B)의 좌우 단부 바닥면과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제1 직선부를 갖는다.
도 8은 도 4에 있어서의 P2 영역에 보텀 패드(2)와 판상체(B)를 삽입한 제2 지지용 홈(1c)의 제1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제2 지지용 홈(1c)의 홈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바닥부 볼록 형상부(13)에 복수의 제2 지지용 홈(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지지용 홈(1c)은 홈을 구성하는 홈벽이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1)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기립하는 제2 직선부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제2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테이퍼부는 깊이(h)와 테이퍼각(z)을 갖는다. 테이퍼부의 하단에 길이(i)의 제2 직선부가 형성되어, 판상체(B)의 전후 표면을 지지한다. 상기 바닥부 볼록 형상부(13)에는 보텀 패드(2)가 감합되어, 상기 판상체(B)의 하단부 바닥면을 지지한다. 상기 보텀 패드(2)는 반송 용기(A)의 바닥면이 낙하했을 때 판상체(B)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판상체(B)의 파손을 방지하며, 또한 반송시의 진동 등에 의한 마찰 및 분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있어서의 P3 영역의 판상체(B)를 삽입한 보조홈(1b)의 제1 실시형태의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보조홈(1b)의 홈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볼록 형상 단부(12)에 복수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로 방향의 보조홈(1b)이 형성되고, 판상체(B)의 하단부를 가이드하여 상기 바닥부 볼록 형상부(13)의 제2 지지용 홈(1c)에 삽입한다. 상기 보조홈(1b)은 홈을 구성하는 홈벽이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의 측벽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기립하는 제3 직선부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제3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3 테이퍼부는 깊이(f) 및 테이퍼각(y)을 갖는다. 상기 테이퍼부의 하단에 길이(g)의 제3 직선부를 형성하여, 판상체(B)의 전후 표면을 지지한다. 판상체(B)의 하단부 바닥면은 도 8의 보텀 패드(2)에 의해 지지되므로, 도 9에 있어서는, 판상체(B)는 공중에 뜬 것 같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판상체(B)의 하단 코너부는 보조홈(1b)의 바닥부와는 접촉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용기 본체(1)의 네 모서리의 각 혹은 바닥 가장자리가 낙하 등의 충격을 받았을 때 판상체(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있어서 각 홈의 테이퍼부의 깊이 방향의 길이는 각 직선부의 길이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도 7에 있어서의 제1 지지용 홈(1a)에 있어서 제1 테이퍼부의 길이(e)가 제1 직선부의 길이(d)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다. 도 8의 제2 지지용 홈(1c)에 있어서 제2 테이퍼부의 길이(h)는 용기 본체의 바닥면에 장착된 보텀 패드(2)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직선부의 길이(i)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다. 그리고, 도 9에 있어서의 보조홈(1b)에 있어서 제3 테이퍼부의 길이(f)는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 장착된 보텀 패드(2)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제3 직선부의 길이(g)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다. 여기서, 보텀 패드(2)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란, 상면을 기점(0점)으로 간주한다는 의미이다. 즉, 제3 직선부의 길이는 보텀 패드(2)의 상면을 0점으로 하여 홈의 개구 방향을 향한 직선부의 길이를 측정한 길이이다. 이로써, 반송 용기(A)가 대폭의 진동 또는 충격을 받아 판상체(B)가 휨 변형되어, 판상체(B)의 전후 표면의 직선부가 매우 작기 때문에 직선부만으로 판상체(B)를 지지할 수 없는 경우에도, 테이퍼부의 길이가 직선부보다 길기 때문에, 테이퍼부에 의해 판상체(B)의 지지를 보조하여, 판상체(B)가 홈 이탈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표 1에서, 특정 홈의 피치 길이(p)에 있어서 용기 본체(1)를 형성했을 경우의, 홈의 테이퍼부의 테이퍼각의 설정 수치를 나타낸다. 즉, 용기 본체(1)를 형성할 때는 홈 사이에 필요한 최소 두께를 고려하여 테이퍼각을 설정한다. 설계상 이상적인 것은 직선부, 테이퍼부의 길이 및 테이퍼각 세 가지가 모두 클수록 바람직하다. 그러나, 홈 사이에 충분한 두께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하면, 테이퍼부의 길이가 길수록 설정할 수 있는 테이퍼각은 보다 작아진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각(x, y, z)의 최소값은 5°, 최대값은 100°이다. 최소값 5°이하에서는 테이퍼각은 형성하기 어렵다. 또한 최대값 100°의 테이퍼각은 홈 사이에 충분한 두께를 형성할 수 있는 경우에, 실제로는 테이퍼각은 5°이상이면 된다. 그 밖에, 홈 사이의 피치 길이(p)가 클수록 테이퍼각은 크게 설정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판상체 수량이 적어진다.
Figure 112013090590191-utm00001
표 1에 있어서, 각 테이퍼각(x, y, z)은 5°∼100°범위이다. 또한, 판상체(B)가 도 3에 나타내는 휨 변형을 일으켜 변위했을 경우에도, 바닥부 볼록 형상부(13)의 제2 지지용 홈(1c)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 볼록 형상부(13)의 제2 지지용 홈(1c)의 테이퍼각(z)은 상기 바닥부 상면의 보조홈(1b)의 테이퍼각(y)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다음의 식을 만족한다.
100°≥z≥y≥x 또한 z≥y≥x≥5°
도 10 내지 도 12는 각 홈의 제2 실시형태이다. 도 10은 제1 지지용 홈(1a)이 직선부에 있어서의 판상체(B)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갖지 않는 제2 실시형태이다. 도 11은 제2 지지용 홈(1c)이 직선부에 있어서의 판상체(B)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갖지 않는 제2 실시형태이다. 도 12는 보조홈(1b)이 직선부에 있어서의 판상체(B)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갖지 않는 제2 실시형태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각 홈은 테이퍼부만을 갖고, 직선부에 있어서의 판상체(B)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즉, 직선부에 있어서의 판상체(B)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부분(d, i, g)의 길이는 0). 이로써, 홈에 있어서의 판상체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부분의 내측에 급하게 절곡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끼워 넣어져 홈에 지지된 판상체(B)가 휨 변형을 일으켜도, 판상체(B)와 홈 사이에 국부적으로 강하게 접촉되는 부위가 없어, 판상체(B)의 단부가 파손되는 등의 우려가 없다.
이하의 표 2는 본 고안의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의 각 홈의 제2 실시형태인 테이퍼부의 테이퍼각의 설정 수치표이다. 각 홈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선부에 있어서의 판상체(B)의 전후 표면을 지지하는 부분을 갖지 않기 때문에, 표 2에 있어서의 직선부가 길이(d, i, g)는 0이다. 표 2에 있어서 테이퍼각(x, y, z)의 최소값은 5°, 최대값은 100°이다.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테이퍼각(x, y, z) 사이의 관계는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z≥y 또한 z≥y≥5°
보다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식을 만족한다.
100°≥z≥y≥x≥ 또한 z≥y≥x≥5°
Figure 112013090590191-utm00002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송 용기(A)는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의 상부에 감합되는 덮개체(3)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체(3)의 내측에 감합되어 판상체(B)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탑 패드(4)를 구비해도 된다. 이 때, 탑 패드(4)도 용기 본체(1)의 바닥부와 동일하게 홈을 복수단으로 분할하여 덮개체(3)에 감합된다. 또한, 홈의 형상도 용기 본체(1)의 바닥부에 형성된 제2 지지용 홈(1c)과 동일하게 형성됨과 함께, 테이퍼부 및 직선부의 길이 규정도 동일한 조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탑 패드(4)와 보텀 패드(2) 양자는 상하로 맞추어도 되고,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가 맞춰지지 않아도 되며, 필요에 따라서 판상체(B)의 상하 양단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 및 덮개체(3)는 임의의 발포 수지 성형체에 의해 제작할 수 있지만, 열가소성 수지의 발포 성형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에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락트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스티렌과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복합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포체의 발포 배율은 3∼50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텀 패드(2)나 탑 패드(4)로는, 상기 동일한 합성 수지의 비즈 성형 발포체로, 주로 상기 용기 본체(1)나 덮개체(3)에 비하여 다소 유연한 보형성 및 탄력성을 갖는 합성 수지 발포체가 사용된다.
본 고안의 반송 용기는 기판 유리, 액정 표시 또는 플라즈마 표시용 유리 기판 및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얇은 유리 기판, 그 밖의 충격에 약한 각종 판상체의 반송, 보관에 매우 적합하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도 본 고안에 포함된다.
A: 반송 용기
B: 판상체
C1, C2, C3: 단면선
d: 제1 직선부의 길이
e: 제1 테이퍼부의 길이
f: 제3 테이퍼부의 길이
g: 제3 직선부의 길이
h: 제2 테이퍼부의 길이
i: 제2 직선부의 길이
p: 지지용 홈 사이의 피치 길이
P1, P2, P3: 확대 영역
x: 제1 지지용 홈의 테이퍼각
y: 보조홈의 테이퍼각
z: 제2 지지용 홈의 테이퍼각
1: 용기 본체
1a: 제1 지지용 홈
1b: 보조홈
1c: 제2 지지용 홈
1s: 용기 본체와 대응하는 일방의 두 개의 측벽
11: 용기 본체와 대응하는 일방의 두 개의 측벽의 내면
12: 볼록 형상 단부
13: 바닥부 볼록 형상부
13h: 바닥부 볼록 형상부의 오목부
2: 보텀 패드
3: 덮개체
4: 탑 패드

Claims (10)

  1. 판상체(B)를 수용하여 반송하기 위한 용기로서, 상면이 개구하고, 또한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1s)의 내면에 판상체(B)의 측단부를 지지하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제1 지지용 홈(1a)이 형성된 용기 본체(1)와, 판상체(B)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1)의 바닥부 상면의 일부에 장착되는 보텀 패드(2)와, 상기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단부에 감합하여 피착되는 덮개체(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판상체 반송 용기(A)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용 홈(1a)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 본체(1)의 바닥부 상면의 일부에 있어서 판상체(B)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가로 방향의 복수의 제2 지지용 홈(1c)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용 홈(1a)은 홈을 구성하는 홈벽이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1)의 측벽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기립하는 제1 직선부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제1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용 홈(1c)은 홈을 구성하는 홈벽이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1)의 바닥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기립하는 제2 직선부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제2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테이퍼부의 홈 깊이 방향의 길이(e)가 제1 직선부의 길이(d)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고, 또한 상기 제2 테이퍼부의 홈 깊이 방향의 길이(h)는 용기 본체(1)의 바닥부에 장착된 보텀 패드(2)의 상면을 기준으로 한 제2 직선부의 길이(i)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고,
    상기 제1 지지용 홈(1a)의 테이퍼부의 테이퍼각(x)과 상기 제2 지지용 홈(1c)의 테이퍼부의 테이퍼각(z)은 5°∼100°범위 내이고, 상기 테이퍼각(z)과 상기 테이퍼각(x)이 식:100°≥z≥x≥ 또한 z≥x≥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1a)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바닥부 상면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로 방향의 보조홈(1b)이 판상체(B)의 하단 코너부를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1a)으로부터 연속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홈(1b)은 홈을 구성하는 홈벽이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1)의 측벽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기립하는 제3 직선부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제3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테이퍼부의 홈 깊이 방향의 길이(f)는 용기 본체(1)의 바닥부에 장착된 보텀 패드(2)의 상면을 기준으로 한 제3 직선부의 길이(g)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용 홈(1a)의 제1 테이퍼부의 테이퍼각(x), 상기 보조홈(1b)의 제3 테이퍼부의 테이퍼각(y), 상기 제2 지지용 홈(1c)의 제2 테이퍼부의 테이퍼각(z)이 각각 5°∼100°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각(z)과 상기 테이퍼각(y)이 식:100°≥z≥y 또한 z≥y≥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각(x, y, z)이 식:100°≥z≥y≥x≥ 또한 z≥y≥x≥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용 홈(1c)은 보텀 패드(2)가 장착됨으로써 분단되는 판상체 반송 용기.
  7. 판상체(B)를 수용하여 반송하기 위한 용기로서, 상면이 개구하고, 또한 일방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벽(1s)의 내면에 판상체(B)의 측단부를 지지하는 세로 방향의 복수의 제1 지지용 홈(1a)이 형성된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1)의 측벽 상단부에 감합하여 피착되는 덮개체(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판상체 반송 용기(A)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용 홈(1a)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 본체(1)의 바닥부 상면의 일부에 있어서 판상체(B)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가로 방향의 복수의 제2 지지용 홈(1c)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용 홈(1a) 및 제2 지지용 홈(1c)은 각각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용 홈(1a)의 테이퍼부의 테이퍼각(x)과 상기 제2 지지용 홈(1c)의 테이퍼부의 테이퍼각(z)이 5°∼100°범위 내이고, 상기 테이퍼각(z)과 상기 테이퍼각(x)이 식:100°≥z≥x≥ 또한 z≥x≥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1a)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바닥부 상면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로 방향의 보조홈(1b)이 판상체(B)의 하단 코너부를 세로 방향의 제1 지지용 홈(1a)으로부터 연속하여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홈(1b)은 홈의 개구를 향해 홈폭이 넓어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이 테이퍼부의 테이퍼각(y)이 5°∼100°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각(z)과 상기 테이퍼각(y)이 식:100°≥z≥y 또한 z≥y≥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각(x, y, z)이 식:100°≥z≥y≥x 또한 z≥y≥x≥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체 반송 용기.
KR2020130008243U 2013-03-28 2013-10-07 판상체 반송 용기 KR20047656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2111228 2013-03-28
TW102111228A TWI571415B (zh) 2013-03-28 2013-03-28 板狀體之搬運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64U KR20140005264U (ko) 2014-10-08
KR200476563Y1 true KR200476563Y1 (ko) 2015-03-10

Family

ID=5211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243U KR200476563Y1 (ko) 2013-03-28 2013-10-07 판상체 반송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6563Y1 (ko)
TW (1) TWI571415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9166A (ja) * 2002-10-31 2004-05-27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2006256663A (ja) * 2005-03-17 2006-09-28 Sekisui Plastics Co Ltd 板状体の搬送容器
KR20060124924A (ko) * 2005-06-01 2006-12-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수납용 팩킹
KR20110134279A (ko) * 2010-06-07 2011-12-14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6620A (ko) * 2010-10-19 2013-11-20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웨이퍼 쿠션을 구비한 전면 개방형 웨이퍼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9166A (ja) * 2002-10-31 2004-05-27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2006256663A (ja) * 2005-03-17 2006-09-28 Sekisui Plastics Co Ltd 板状体の搬送容器
KR20060124924A (ko) * 2005-06-01 2006-12-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수납용 팩킹
KR20110134279A (ko) * 2010-06-07 2011-12-14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264U (ko) 2014-10-08
TWI571415B (zh) 2017-02-21
TW201437117A (zh)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544B2 (en) Container
KR101573301B1 (ko) 유리 기판용 용기
KR200476256Y1 (ko) 판상체 반송 용기
KR101776962B1 (ko) 판형상체의 반송용기
US11735450B2 (e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KR101934963B1 (ko) 판형 부품용 트레이
KR200476563Y1 (ko) 판상체 반송 용기
JP2011246170A (ja) 板状体の搬送用容器
WO2017006406A1 (ja) 基板収納容器
JP2010120691A (ja) 板材搬送用トレイの緩衝部材、およびその緩衝部材が取付けられた板材搬送用トレイ
JP2010215262A (ja) ガラス基板の搬送容器
US20140332432A1 (en) Packag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Glass
KR200476562Y1 (ko) 판상체 반송 용기
JP4964065B2 (ja) 板状体の搬送容器
TWM526999U (zh) 板狀體之運送容器
KR20150003698U (ko) 판상체 반송 용기
JP2011162235A (ja) 板状体搬送用ボックス
JP2011255912A (ja) ガラス基板の搬送容器
KR200477851Y1 (ko) 보강 부재 및 패널 반송 용기
JP6013939B2 (ja) 梱包材及び梱包体
TWM524334U (zh) 板狀體之運送容器
JP2022139061A (ja) ガラス板の角部補助部材
JP2011255911A (ja) ガラス基板の搬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