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831A - 액티브 에어 플랩 - Google Patents

액티브 에어 플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831A
KR20110133831A KR1020100053456A KR20100053456A KR20110133831A KR 20110133831 A KR20110133831 A KR 20110133831A KR 1020100053456 A KR1020100053456 A KR 1020100053456A KR 20100053456 A KR20100053456 A KR 20100053456A KR 20110133831 A KR20110133831 A KR 20110133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air
door
discharge ho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385B1 (ko
Inventor
박성욱
김재용
공태윤
소원섭
권용성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38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60K11/085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with adjustable shutters 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각풍을 조절하기 위한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티브 에어 플랩의 덕트 하단에 배수 및 불순물 배출을 위한 배출부를 구비하여 덕트 하단에 불순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배출부 후단에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의 후방에서 역류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배출부 후단에 절곡면이 형성되어, 역류되는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게 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은 에어덕트 상의 불순물의 퇴적을 방지하기 때문에 도어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우천 또는 세차 시에 액티브 에어 플랩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도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배수부 구조로 인해 차량 정차 시 엔진룸 측에서 유입될 수 있는 뜨거운 공기를 차단하기 때문에, 뜨거운 공기로 인해 열교환기의 방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와 같은 열교환기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티브 에어 플랩 {Active Air Flap}
본 발명은 차량용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각풍을 조절하기 위한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티브 에어 플랩의 덕트 하단에 배수 및 불순물 배출을 위한 배출부를 구비하여 덕트 하단에 불순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 룸 내에는 엔진 등과 같은 구동을 위한 부품뿐만 아니라, 엔진 등과 같은 차량 내 각 부품을 냉각하거나 또는 차량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라디에이터, 인터쿨러, 증발기, 응축기 등과 같은 다양한 열교환기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들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통하며, 열교환기 내부의 열교환매체와 열교환기 외부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함으로써 냉각 또는 방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 엔진 룸 내의 다양한 열교환기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엔진 룸 내부로 외부 공기가 원활히 공급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부품 또는 차량 실내의 냉각을 위해 구비되는 열교환기들을 열교환기로 통칭한다.
한편, 최근 자동차 개발은 생산성 향상으로 위하여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중 다수의 부품을 각각 조립하여 집합체를 형성시켜 조립 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로써 열교환기, 헤드램프 및 범퍼 빔 스테이를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다.
도 1은 프론트 엔드 모듈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AAF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불순물이 퇴적된 종래의 AAF 사시도 이다.
도 1은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전면 패널(11) 및 상기 전면 패널의 양단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전면 패널(11) 후방에 열교환기(30)가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서포트 패널(12)에 형성되는 헤드램프 장착부(12a)에 헤드램프(미도시)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의 전방에 범퍼(20)가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상기 열교환기(30)는 열교환기(30)를 포함하는 쿨링모듈(Cooling Module)로 모듈화되어 상기 전면 패널(11) 후방에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도면상에서는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서, 상기 캐리어(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열교환기(30)로 원활하게 외부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기 범퍼(20) 측에는 공기 유입을 위한 개구부(21)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개구부(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개구부(2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21) 상에 그물이나 그릴 형태의 구조물을 더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차량이 주행을 하게 되면 상기 개구부(21)로 외부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캐리어(10)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열교환기(30)에서는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게 되면, 상기 개구부(2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역시 매우 고속이 되며, 이에 따라 공기 저항이 매우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주행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 저항이 증대되기 때문에 차량 엔진에서는 더 많은 에너지를 발생시켜야만 하며, 따라서 연비가 불량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상기 개구부(21)는 단지 구멍이 형성된 형태인 고정적인 구조였던 바, 고속 주행 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등의 제어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했으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 주행 시 엔진 룸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저항 증가로 인한 연비 감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1)와 열교환기(30) 사이에는 개구부(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40)(이하 AAF)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AAF(40)는 상기 개구부(21)의 후단에 위치하여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1에어덕트(41);와 상기 제 1에어덕트(41) 상에 위치하여 좌우 길이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 1에어덕트(4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42);와 상기 제 1에어덕트(41)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42)가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제 2에어덕트(43);와 상기 제 2에어덕트(43)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42)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4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AAF(40)를 적용함에 따라 공기의 유입은 제어할 수 있게 되었지만, 상기 도어(42)가 닫혀 있는 경우, 도어 전면부에 불순물이 유입되어 퇴적될 수 있다. 퇴적된 불순물 사이에 수증기가 섞이게 되면 응고되거나, 동절기에는 얼어붙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2)의 전면 회동부에 불순물이 퇴적 응고될 경우 도어 작동 시 과부하가 발생하거나, 도어의 회동이 불가능해지며, 동절기에 퇴적된 불순물이 얼어붙을 경우 도어의 작동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덕트부 하단에 배수 및 불순물 배출을 위한 배출부를 구성하고 상기 배출부를 향하도록 경사면을 구성하여 에어덕트 상에 불순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천 또는 세차 시에 상기 에어덕트 상에 유입되는 물이 신속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상기 배출부는 엔진룸 측에서 역류되는 뜨거운 공기의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은 전면 패널(11) 및 상기 전면 패널(11)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와, 상기 캐리어(10)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개구부(21)가 형성된 범퍼(20)와,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전면 패널(11) 후방에 장착되며, 코어가 형성되는 열교환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400)(Active Air Flap)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400)은, 상기 개구부(21)의 후단에 위치하여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덕트(430); 상기 에어덕트(43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덕트(43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420); 및 상기 에어덕트(430)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4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덕트(430)는 하측면(432)에 형성되는 배출홀(500)과, 상기 하측면(432)과 배출홀(500)을 연결하되 상기 배출홀(500)이 상기 하측면(432)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하측면(432)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사부(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측면(432)은, 상기 배출홀(500)의 후단을 하방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는 제 1절곡면(4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절곡면(433)은 전단이 상기 에어덕트(430)의 외측을 향하도록, 후단에 제 1절곡부(43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측면(432)은, 상기 배출홀(500)의 전단을 상방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는 제 2절곡면(4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절곡면(434)은 후단이 상기 에어덕트(430)의 내측을 향하도록, 전단에 제 2절곡부(43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510)는, 상기 배출홀(500)의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는 종경사부(510a)와, 상기 배출홀(500)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횡경사부(510b)로 구성되며, 상기 종경사부(510a)의 후단(510c)은, 상기 도어(420) 폐쇄 시 상기 도어(420)의 하단(420a)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은 에어덕트 상의 불순물의 퇴적을 방지하기 때문에 도어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우천 또는 세차 시에 액티브 에어 플랩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도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배수부 구조로 인해 차량 정차 시 엔진룸 측에서 유입될 수 있는 뜨거운 공기를 차단하기 때문에, 뜨거운 공기로 인해 열교환기의 방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와 같은 열교환기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프론트 엔드 모듈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AAF 분해사시도
도 3은 불순물이 퇴적된 종래의 AAF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AAF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덕트 사시도
도 6은 차량전방부(FEM) 및 엔진룸 단면개략도
도 7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제 2실시예의 AA' 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면 패널(11) 및 상기 전면 패널(11)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와, 상기 캐리어(10)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개구부(21)가 형성된 범퍼(20)와,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전면 패널(11) 후방에 장착되며 코어가 형성되는 열교환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2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400)(이하 AAF)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범퍼(20)에는 상기 캐리어(10)의 후방으로 열교환기(30)가 공냉되도록 하기 위해 공기가 유통되는 개구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1)는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기(30)가 원활히 작동되도록 상기 범퍼(200)에 형성되는 구성이나, 차량의 고속 주행 시 유입되는 공기의 양 역시 필요 이상으로 증가되고, 유입된 공기가 저항으로 작용되어 차량 연비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 개구부(21)는 범퍼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개구부(Upper Grill)와, 범퍼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개구부(Lower Grill)로 나뉘며, 도면상에는 상기 AAF(400)가 하나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AAF(400)는 상기 상부개구부 및 하부개구부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AAF는 하부개구부에 설치되는 AAF에 적용할 경우 그 효과가 뚜렷해지므로, 본 발명은 하부개구부에 설치되는 AAF를 위주로 기재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AAF(400)는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부(21)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개구부(21)의 후단에 위치하여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덕트(430); 상기 에어덕트(430) 내에 형성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43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420); 및 상기 에어덕트(430)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AF(400)는 상기 에어덕트(430)의 전방에 구비되는 가이드덕트(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덕트(410)는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덕트(410)는 상기 개구부(21)의 후방에 위치하며 개구부(21)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덕트(410)와 개구부(21)의 결합면에는 고무재질의 루버부(450)가 끼워져 씰링될 수 있다. 상기 루버부(450)는 상기 가이드덕트(410)와 개구부(21)의 결합부위를 밀폐하며 결합단차를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에어덕트(430)는 상기 가이드덕트(410)의 후단에 결합되며, 양측에는 상기 도어(42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전축의 양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430)에는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4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420)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통상의 도어의 구성이 적용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420)는 상기 에어덕트(430)상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공기 유동방향과 평행을 이루면 개방되고, 수직을 이루면 폐쇄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440)는 상기 에어덕트(430)의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440)는 상기 도어(42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440)의 일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켜 상기 에어덕트(430)를 개방시키고,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켜 상기 에어덕트(430)를 폐쇄 시킬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44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터의 구성이 적용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에어덕트(430)는 배출홀(500) 및 경사부(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430)가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상측에 위치하는 면을 상측면(431)이라 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면을 하측면(432)이라 정의할 때, 상기 배출홀(500)은 상기 에어덕트(430)의 하측면(432)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500)은 상기 하측면(432)이 관통되도록 프레스, 절삭, 절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에어덕트 내부에 퇴적 또는 고일 수 있는 불술물이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 배출홀(500)은 2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에어덕트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이상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500)은 상기 도어(420)가 에어덕트(430)를 밀폐하고 있을 때 상기 도어(420) 전면에 퇴적될 수 있는 불순물을 에어덕트(430) 외부로 배출시키게 하여 도어(420) 전방에 불순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우천이나 세차 시에 상기 에어덕트(430) 내부에 고일 수 있는 물을 신속하게 배출시키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불순물의 배출과 물의 배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상기 배출홀(500)의 전측, 후측 및 양측에는 경사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510)는 종경사부(510a)와 횡경사부(510b)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홀(500)의 전단 및 후단에는 종경사부(510a)가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횡경사부(510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510)는 상기 에어덕트(430)의 하측면(432)이 상기 배출홀(500)을 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510)는 상기 배출홀(500)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배출홀(500)이 상기 하측면(432)의 최하단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510)는 불순물이나 물이 경사부(510)를 통해 흘러내려 상기 배출홀(500)로 안내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종경사부(510a)의 후단(510c)은 상기 도어(420) 폐쇄 시 상기 도어(420)의 하단(420a)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도어 폐쇄 시 에어덕트(43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견고하게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덕트(430)의 하측면(432)을 관통하는 배출홀(500)이 형성되면, 엔진룸 측에서 팬슈라우드(F), 라디에이터(R) 및 컨덴서(C)를 지나 역류되는 고온의 공기가 배출홀(500)을 통해 에어덕트(4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AAF(400)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게 된다.
상기 에어덕트(430)의 하측면(432)은 제 1절곡면(4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절곡면(433)은 상기 배출홀(500)의 후단을 하방으로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절곡면(433)은 전단이 상기 에어덕트(430)의 외측을 향하도록, 후단에 제 1절곡부(433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단은 차량의 전방쪽 단부를 , 후단은 차량의 후방쪽 단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엔진룸 측 즉 배출홀(500)의 후측에서 역류되는 고온의 공기는 상기 제 1절곡면(433)을 통해 하방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홀(500)을 통해 에어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에어덕트(430)는 유입되는 냉각풍이 상기 배출홀(500)을 통해 에어덕트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제시한다.
상기 에어덕트(430)의 하측면(432)은 제 1절곡면(433)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 2절곡면(4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절곡면(434)은 상기 배출홀(500)의 전단을 상방으로 절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절곡면(434)은 후단이 상기 에어덕트(430)의 내측을 향하도록, 전단에 제 2절곡부(434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21)에서 유입되는 냉각풍이 상기 제 2절곡면(434)을 통해 상방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홀(500)을 통해 에어덕트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캐리어 11 : 전면패널
12 : 서포트 패널
20 : 범퍼 21 : 개구부
30 : 열교환기
400 : 액티브 에어 플랩
410 : 가이드덕트
420 : 도어
430 : 에어덕트 431 : 상측면
432 : 하측면 433 : 제 1절곡면
434 : 제 2절곡면
440 : 액추에이터
500 : 배출홀 510 : 경사부

Claims (4)

  1. 전면 패널(11) 및 상기 전면 패널(11)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와, 상기 캐리어(10)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개구부(21)가 형성된 범퍼(20)와,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전면 패널(11) 후방에 장착되며, 코어가 형성되는 열교환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400)(Active Air Flap)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400)은,
    상기 개구부(21)의 후단에 위치하여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덕트(430);
    상기 에어덕트(43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덕트(43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420);
    상기 에어덕트(430)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4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덕트(430)는 하측면(432)에 형성되는 배출홀(500)과, 상기 하측면(432)과 배출홀(500)을 연결하되 상기 배출홀(500)이 상기 하측면(432)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하측면(432)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되는 경사부(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면(432)은,
    상기 배출홀(500)의 후단을 하방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는 제 1절곡면(4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절곡면(433)은 전단이 상기 에어덕트(430)의 외측을 향하도록, 후단에 제 1절곡부(43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면(432)은,
    상기 배출홀(500)의 전단을 상방으로 절곡시켜 형성되는 제 2절곡면(4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절곡면(434)은 후단이 상기 에어덕트(430)의 내측을 향하도록, 전단에 제 2절곡부(43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510)는,
    상기 배출홀(500)의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는 종경사부(510a)와, 상기 배출홀(500)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횡경사부(510b)로 구성되며,
    상기 종경사부(510a)의 후단(510c)은, 상기 도어(420) 폐쇄 시 상기 도어(420)의 하단(420a)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0100053456A 2010-06-07 2010-06-07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626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456A KR101626385B1 (ko) 2010-06-07 2010-06-07 액티브 에어 플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456A KR101626385B1 (ko) 2010-06-07 2010-06-07 액티브 에어 플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831A true KR20110133831A (ko) 2011-12-14
KR101626385B1 KR101626385B1 (ko) 2016-06-01

Family

ID=4550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456A KR101626385B1 (ko) 2010-06-07 2010-06-07 액티브 에어 플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614B1 (ko) 2018-12-07 2023-10-1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액티브 에어 플랩
KR20210105231A (ko) 2020-02-18 2021-08-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액티브 에어 플랩
KR20210119049A (ko) 2020-03-24 2021-10-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액티브 에어 플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196Y1 (ko) * 1995-12-26 1998-12-01 김태구 자동차용 카울 가니시 빗물제거구조
JP2004299522A (ja) * 2003-03-31 2004-10-28 Calsonic Kansei Corp 車両前部のダクト構造
JP2009274648A (ja) * 2008-05-16 2009-11-26 Honda Motor Co Ltd アンダカバー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196Y1 (ko) * 1995-12-26 1998-12-01 김태구 자동차용 카울 가니시 빗물제거구조
JP2004299522A (ja) * 2003-03-31 2004-10-28 Calsonic Kansei Corp 車両前部のダクト構造
JP2009274648A (ja) * 2008-05-16 2009-11-26 Honda Motor Co Ltd アンダカバー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385B1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4838A1 (en) Cooling device for use on a vehicle
KR101631565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JP2005053464A (ja) 車両の前端構造
KR10189445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693348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JP2012001060A (ja) 車両用熱交換器
KR20190012363A (ko) 차량용 그릴
KR20110002149A (ko) 에어 플랩
KR101680825B1 (ko) 자동차용 프론트 엔드 모듈
KR20110133831A (ko) 액티브 에어 플랩
JP6105851B2 (ja) 可変ダクト取付構造
KR101714585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714381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JP2017100669A (ja) 車両用冷却装置
KR20110107706A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616276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CN113022255A (zh) 一种空调
KR101576889B1 (ko) 보행자 보호형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635820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0617462B1 (ko) 팬쉬라우드
US20220297532A1 (en) Cooling module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a tangential flow turbomachine
KR20120062056A (ko) 액티브 에어 플랩
CN209852076U (zh) 一种用于车辆的进气格栅及车辆
KR20240082659A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0683210B1 (ko) 자동차의 열교환기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