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276B1 - 액티브 에어 플랩 - Google Patents

액티브 에어 플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276B1
KR102616276B1 KR1020190030479A KR20190030479A KR102616276B1 KR 102616276 B1 KR102616276 B1 KR 102616276B1 KR 1020190030479 A KR1020190030479 A KR 1020190030479A KR 20190030479 A KR20190030479 A KR 20190030479A KR 102616276 B1 KR102616276 B1 KR 10261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rotating body
air flap
activ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0944A (ko
Inventor
박성욱
민옥렬
소원섭
조용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27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범퍼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있어서, 도어부의 형상 변형을 통해 액티브 에어 플랩의 폐쇄 시에도 선택되는 양의 공기를 엔진측으로 공급하여 차량의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
본 발명은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범퍼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있어서, 도어부의 형상 변형을 통해 액티브 에어 플랩의 폐쇄 시에도 선택되는 양의 공기를 엔진측으로 공급하여 차량의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룸에는 냉각이 필요한 장치의 냉각 수행 및 차량의 실내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라디에이터, 인터쿨러, 증발기, 응축기 등 다양한 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된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는 열교환매체가 유동하며, 유동하는 열교환매체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됨으로써, 냉각 또는 방열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열교환부, 헤드램프, 범퍼 등이 조립되어 모듈화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론트 엔드 모듈은 전면패널(11) 및 전면패널(11)의 양단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가지고 연장되어 형성되는 서포트패널(12)을 포함하는 캐리어(10)를 포함하며, 캐리어(10)의 전면패널(11) 후방에는 열교환부(30)가 장착되고, 캐리어(10)의 전방에는 범퍼(20)가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열교환부(30)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쿨링모듈(cooling Module)로서, 전면패널(11) 후방에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열교환부(30)는 차량의 특징 및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구성과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범퍼(20)에는 캐리어(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열교환부(30)로 원활하게 외부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개구부(21)가 형성된다.
개구부(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물 형태나 그릴 형태의 구조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개구부(2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캐리어(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열교환부(30)로 유동하여 열교환매체와 열 교환된다.
이때,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게 될 경우, 개구부(2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역시 고속으로 유입되며, 이에 따른 필요 이상으로 유입된 공기를 저항으로 작용하므로, 차량의 주행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 저항이 증대되어 연비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구부(21)와 열교환부(30) 사이에 개구부(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이 구비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액티브 에어 플랩(40)은 관통되어 형성되는 에어덕트(41)와, 에어덕트(41) 내부에 구비되어 축회전 함으로써, 에어덕트(41)를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도어부(42) 및 도어부(42)를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미도시) 등을 포함하며, 에어덕트(41)는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에어덕트 등이 더 구비된다.
즉, 액티브 에어 플랩(40)은 도어부(42)가 에어덕트(41)에서 회동함으로써, 유동하는 공기와 평행하게 이동되면 개방되어 공기가 유동하고, 유동하는 공기와 수직하게 이동되면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에어 플랩(40)은 에어덕트(41)의 관통된 내측의 상측면에는 흡기부(45)가 형성되며, 흡기부(45)는 액티브 에어 플랩의 폐쇄 시에도 열교환부(30)로 일부 공기를 유동하도록 하여 열 교환되도록 한다.
이때, 흡기부(45)는 흡기부몸체(45-1)와, 흡기부몸체(45-1)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흡기홀(45-2)을 포함하며, 액티브 에어 플랩의 폐쇄 시에도 흡기홀(45-2)을 통해 일부 공기가 열교환부(30) 즉,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흡기부(45)는 액티브 에어 플랩의 형상 및 크기, 도어부(42)의 위치에 따라 흡기홀(45-2)의 형성이 제한적이며, 흡기홀(45-2)의 면적이 부족할 경우에는 충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없어 차량의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094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범퍼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있어서, 도어부의 형상 변형을 통해 액티브 에어 플랩의 폐쇄 시에도 선택되는 양의 공기를 엔진측으로 공급하여 차량의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액티브 에어 플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은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범퍼와,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에 장착되며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은 상기 개구부의 후단에 위치하여 공기를 안내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며, 유입된 공기 일부가 배출되도록 상측면에 형성되는 흡기부를 포함하는 에어덕트; 및 상기 에어덕트 내부와 결합되어 축 회전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어 회동되는 회동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에어덕트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는 상기 회동몸체 중 상기 에어덕트의 상측면과 마주하여 회동하는 최상측회동몸체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기부는 상기 에어덕트 상측면에 형성되는 흡기부몸체와, 상기 흡기부몸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흡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기부는 상기 도어부의 폐쇄 시, 공기가 유입되는 전방으로부터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끝단까지의 전방영역과,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끝단으로부터 후방까지의 후방영역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형상에 의해 상기 전방영역의 흡기홀의 수가 상기 후방영역의 흡기홀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기부몸체는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회동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간섭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회동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섭방지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덕트는 내측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몸체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리브는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절곡된 각도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은 상기 도어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은 범퍼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있어서, 도어부의 형상 변형을 통해 액티브 에어 플랩의 폐쇄 시에도 선택되는 양의 공기를 엔진측으로 공급하여 차량의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은 도어부의 형상 변형을 통해 선택되는 양의 공기를 엔진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액티브 에어 플랩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액티브 에어 플랩을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을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을 부분 확대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을 단면도로 나타낸 또 다른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을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을 부분 확대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100)은 캐리어(10), 캐리어(10)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개구부(21)를 포함하는 범퍼(20) 및 캐리어(10)의 후방에 위치되는 열교환부(쿨링모듈)(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어 범퍼(20)의 개구부(21)를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캐리어(10)는 전면패널(11)과, 전면패널(11)의 양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서포트패널(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면패널(11)에는 외부의 공기가 열교환부(30)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흡기용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범퍼(20)는 상술된 개구부(21)를 포함하여 외부의 공기를 프론트 엔드 모듈 내부로 유동시킬 수 있으며, 개구부(21)를 통해 캐리어(10)의 후방으로의 열교환부(30)로 공랭되기 위한 공기가 유동된다.
개구부(21)는 상술된 바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어 열교환부(30)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형성되되,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 시에는 필요 이상의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필요 이상의 공기는 저항으로 작용함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100)은 개구부(21)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구성으로, 개구부(21)의 후단에 위치하여 개구부(21)를 통해 후방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100)은 크게 에어덕트(110) 및 도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에어덕트(110)는 개구부(21)의 후단에 위치하여 공기를 안내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며, 도어부(120)는 에어덕트(110) 내부에 형성되어 에어덕트(110)를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에어덕트(110)는 도어부(120)가 내부에 결합되어 회동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되, 상측면에는 유입된 공기 일부를 배출시켜 차량의 엔진측(열교환부(30)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흡기부(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흡기부(111)는 에어덕트(110) 상측면에 형성되는 흡기부몸체(111-1)와, 흡기부몸체(111-1)에 상하 방향 관통되어 형성되는 흡기홀(111-2)을 포함함으로써, 에어덕트(110)의 관통된 내측면과 에어덕트(110) 상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흡기부(111)는 선택되는 영역에 형성되거나, 전면패널(11)에 형성되는 흡기용개구의 위치에 대응하여 공기 일부를 배출하여 엔진측으로 유동하도록 한다.
즉, 도어부(120)가 에어덕트(110)를 폐쇄할 때에도 일부 공기는 열교환부(30)의 열 교환 작용을 위해 공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에어덕트(110)는 상측면에 흡기부(111)를 포함함으로써, 액티브 에어 플랩(100)의 폐쇄 작동에도 흡기부(111)를 통해 일부 공기를 배출하여 열교환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도어부(120)는 에어덕트(110)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동축(121)을 포함하며, 회동축(121)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회동몸체(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어부(120)는 회동축(121)의 회전에 의해 회동몸체(122)가 회동되고, 회동몸체(122)를 통해 에어덕트(110)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이때, 회동몸체(12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음과 함께, 개방 시 유동하는 공기를 방해하지 않도록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어부(120)는 회동축(121)의 축 회전에 따른 회동에 의해 회동몸체(122)가 회동축(121)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회동몸체(122)가 유입되는 공기와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경우에는 개방됨으로써, 공기가 열교환부(30)로 유입되고, 회동축(121)의 축 회전에 의한 회동에 의해 회동몸체(122)가 유입되는 공기와 수직하게 될 경우에는 공기가 열교환부(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어부(120)는 회동축(121)이 축 회전되도록 하는 회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회동부는 액추에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100)의 도어부(120)는 에어덕트(110)의 상측면과 마주하여 회동하는 최상측회동몸체(122-1)를 포함하며, 최상측회동몸체(122-1)는 선택되는 위치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흡기부(111)는 도어부(120)의 폐쇄 시, 공기가 유입되는 전방으로부터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끝단까지의 전방영역과, 최상측회동몸체(122-1)로부터 후방까지의 후방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최상측회동몸체(122-1)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전방영역의 면적이 후방영역의 면적보다 커지게 되므로, 종래의 액티브 에어 플랩에 비해 전방영역에서의 흡기홀(111-2)의 수는 후방영역에서의 흡기홀(111-2)의 수보다 크며, 이는 전방으로부터 유동하는 공기의 흡기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후방으로 절곡되는 형상의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형상에 의해 전방영역의 면적이 증대되는 형상이므로 도어부(120)를 기준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전방영역의 흡기홀(111-1)의 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액티브 에어 플랩(100)의 폐쇄 시에도, 종래에 비해 많은 유량의 공기를 열교환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액티브 에어 플랩(100)의 흡기부(111)는 에어덕트(110)와 흡기용개구의 형상 및 위치에 따라 제한적으로 적용되며, 이를 통해 흡기부(111)의 크기 및 위치를 제어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100)의 도어부(120)는 에어덕트(110)의 상측면과 마주하여 회동하는 최상측회동몸체(122-1)를 후방으로 절곡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흡기부(111)의 전방영역 면적 증대에 따라 전방영역에서의 흡기홀(111-2)의 수를 후방영역에서의 흡기홀(111-2)의 수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흡기부(111)의 형상 변형이나 크기 변형에 상관없이 기존의 액티브 에어 플랩(100)에 비해 많은 유량의 공기를 열교환부(30)로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흡기부(111)의 형상 변형 및 크기 변형을 수행하지 않고도 많은 유량의 공기를 열교환부(30)로 안내할 수 있어, 차량의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100)은 후방으로 절곡된 형상의 최상측회동몸체(122-1)를 포함하는 도어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기부(111)로 안내하는 역할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액티브 에어 플랩에 비해 많은 유량의 공기를 흡기부(111)를 통해 배출시켜 열교환부(30)로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1000)은 흡기부(111)가 후방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회동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흡기부몸체(111-1)는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회동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간섭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간섭방지부는 흡기부몸체(111-1)로부터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절곡된 길이를 에어덕트(110)의 최상측면과 최대한 근접하도록 형성할 경우,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절곡된 형상에 따라 에어덕트(100)의 상측면과의 간섭이 발생하며, 이는 도어부(120)의 동작에 따른 에어덕트(110) 내측면의 손상 또는 도어부(120)의 손상 및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100)은 흡기부몸체(111)는 최상측회동몸체(122-1)와 간섭되지 않도록 간섭방지부가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흡기부몸체(111-1)의 간섭방지부는 최상측회동몸체(122-1)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경우, 액티브 에어 플랩(100)의 폐쇄 동작에도 최상측회동몸체(122-1)와 에어덕트(110)의 최상측면과의 간격을 통해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액티브 에어 플랩(100)의 폐쇄 동작에도 공기의 차단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1000)은 흡기부몸체(111-1)의 간섭방지부가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간 간섭을 방지하되,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회동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절곡된 형상에도 불구하고 에어덕트(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제어를 완벽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에어덕트(110)의 상측면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절곡된 형상의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회동 영역에 대응하여, 흡기부(111)의 간섭방지부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흡기부(111)의 흡기부몸체(111-1)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간섭방지부를 포함함으로써, 후방으로 절곡된 형상의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회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흡기부에 비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른 흡기홀(111-2)의 면적 증대를 통해 많은 유량의 공기를 엔진측으로 유동하도록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100)의 에어덕트(110)는 내측면에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회동몸체(122)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리브(11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리브(112)는 에어덕트(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회동몸체(120)의 끝단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액티브 에어 플랩(100)의 폐쇄 시에 에어덕트(110)의 내측면과 회동몸체(122)와의 간극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리브(112)는 도어부(120)가 유동하는 공기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 시, 접촉되어야 하므로, 에어덕트(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리브(112)는 에어덕트(110)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상측리브를 포함하며, 상측리브는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절곡된 각도와 대응하여 형성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에어 플랩(100)은 에어덕트(110)의 하부에 형성된 리브(112)는 수직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액티브 에어 플랩(100)의 폐쇄 동작 시 회동몸체(122)와 면접하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반면, 에어덕트(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리브(112) 즉, 상측리브는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절곡된 각도에 대응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최상측회동몸체(122-1)의 절곡에 의한 에어덕트(110)의 상측면과의 간극을 상측리브를 통해 보완하여 액티브 에어 플랩(100)의 폐쇄 시에 공기가 누출되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캐리어
11 : 전면패널 12 : 서포트패널
20 : 범퍼 21 : 개구부
30 : 열교환부
100 : 액티브 에어 플랩
110 : 에어덕트
111 : 흡기부
111-1 : 흡기부몸체 111-2 : 흡기홀
112 : 리브
120 : 도어부
121 : 회동축 122 : 회동몸체

Claims (10)

  1.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범퍼와,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에 장착되며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은
    상기 개구부의 후단에 위치하여 공기를 안내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며, 유입된 공기 일부가 배출되도록 상측면에 형성되는 흡기부를 포함하는 에어덕트; 및
    상기 에어덕트 내부와 결합되어 축 회전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어 회동되는 회동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에어덕트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는 상기 회동몸체 중 상기 에어덕트의 상측면과 마주하여 회동하는 최상측회동몸체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흡기부는 상기 에어덕트 상측면에 형성되는 흡기부몸체와, 상기 흡기부몸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흡기홀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부는 상기 도어부의 폐쇄 시,
    공기가 유입되는 전방으로부터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끝단까지의 전방영역과,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끝단으로부터 후방까지의 후방영역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형상에 의해 상기 전방영역의 흡기홀의 수가 상기 후방영역의 흡기홀의 수보다 많은, 액티브 에어 플랩.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몸체는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회동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간섭방지부를 포함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회동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는
    내측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몸체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리브는 상기 최상측회동몸체의 절곡된 각도와 대응하여 형성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은
    상기 도어부를 회동시키는 회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0190030479A 2019-03-18 2019-03-18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616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79A KR102616276B1 (ko) 2019-03-18 2019-03-18 액티브 에어 플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479A KR102616276B1 (ko) 2019-03-18 2019-03-18 액티브 에어 플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944A KR20200110944A (ko) 2020-09-28
KR102616276B1 true KR102616276B1 (ko) 2023-12-21

Family

ID=7280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479A KR102616276B1 (ko) 2019-03-18 2019-03-18 액티브 에어 플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36574A (ja) * 2020-08-24 2022-03-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シャッタ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9914A (ja) 2004-05-10 2005-11-1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947A (ko) 2015-04-09 2016-10-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액티브 에어 플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9914A (ja) 2004-05-10 2005-11-17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944A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2668B2 (en) Construction machinery
KR10189445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US20070169725A1 (en) Device for regulating an air flow for engine cooling
EP2574484A1 (en) Grille shutter device
EP1715157A1 (en)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KR101631565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20190012363A (ko) 차량용 그릴
US20190315224A1 (en) Air inlet management system for the front panel of a motor vehicle and structure of such a system
KR102616276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20120106046A (ko) 액티브 에어 플랩
CN102563830A (zh) 空调用百叶窗
US20200247231A1 (en) Vehicle cooling device
KR101592949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587614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626385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595979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714381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20200047038A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JPH02109728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101714585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JP6932832B1 (ja) フラップドア
KR10258761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576889B1 (ko) 보행자 보호형 액티브 에어 플랩
KR20210105231A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078759B1 (ko) 팬 슈라우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