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949B1 - 액티브 에어 플랩 - Google Patents

액티브 에어 플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949B1
KR101592949B1 KR1020100028576A KR20100028576A KR101592949B1 KR 101592949 B1 KR101592949 B1 KR 101592949B1 KR 1020100028576 A KR1020100028576 A KR 1020100028576A KR 20100028576 A KR20100028576 A KR 20100028576A KR 101592949 B1 KR101592949 B1 KR 101592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 duct
air
extens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034A (ko
Inventor
소원섭
김재용
박성욱
공태윤
권용성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94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60K11/085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with adjustable shutters o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00Air cooling
    • F01P1/06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각풍을 조절하기 위한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냉각풍의 유로를 확장하고, 기존의 도어와 연동되는 도어를 확장되는 유로에 추가 설치하여 확장된 유로를 개폐하게 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은 유입되는 냉각풍의 유로의 상하 폭이 확장되기 때문에 열교환기 코어에 냉각풍이 고루 유입되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확장되는 유로의 개폐를 위한 확장 도어는 기존의 도어와 연동되어 기존의 도어 개폐 시 작동하기 때문에 확장 도어의 제어를 위한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최소한의 구성으로 확장되는 유로를 제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티브 에어 플랩 {Active Air Flap}
본 발명은 차량용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각풍을 조절하기 위한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냉각풍의 유로를 확장하고, 기존의 도어와 연동되는 도어를 확장되는 유로에 추가 설치하여 확장된 유로를 개폐하게 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 룸 내에는 엔진 등과 같은 구동을 위한 부품뿐만 아니라, 엔진 등과 같은 차량 내 각 부품을 냉각하거나 또는 차량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라디에이터, 인터쿨러, 증발기, 응축기 등과 같은 다양한 열교환기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들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통하며, 열교환기 내부의 열교환매체와 열교환기 외부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함으로써 냉각 또는 방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 엔진 룸 내의 다양한 열교환기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엔진 룸 내부로 외부 공기가 원활히 공급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부품 또는 차량 실내의 냉각을 위해 구비되는 열교환기들을 열교환기로 통칭한다.
한편, 최근 자동차 개발은 생산성 향상으로 위하여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중 다수의 부품을 각각 조립하여 집합체를 형성시켜 조립 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로써 열교환기, 헤드램프 및 범퍼 빔 스테이를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다.
도 1은 프론트 엔드 모듈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액티브 에어 플랩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액티브 에어 플랩 단면도이다.
도 1은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전면 패널(11) 및 상기 전면 패널의 양단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전면 패널(11) 후방에 열교환기(30)가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서포트 패널(12)에 형성되는 헤드램프 장착부(12a)에 헤드램프(미도시)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의 전방에 범퍼(20)가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상기 열교환기(30)는 열교환기(30)를 포함하는 쿨링모듈(Cooling Module)로 모듈화되어 상기 전면 패널(11) 후방에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도면상에서는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서, 상기 캐리어(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열교환기(30)로 원활하게 외부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기 범퍼(20) 측에는 공기 유입을 위한 개구부(21)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개구부(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개구부(21)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21) 상에 그물이나 그릴 형태의 구조물을 더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차량이 주행을 하게 되면 상기 개구부(21)로 외부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캐리어(10)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열교환기(30)에서는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게 되면, 상기 개구부(2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역시 매우 고속이 되며, 이에 따라 공기 저항이 매우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주행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 저항이 증대되기 때문에 차량 엔진에서는 더 많은 에너지를 발생시켜야만 하며, 따라서 연비가 불량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상기 개구부(21)는 단지 구멍이 형성된 형태인 고정적인 구조였던 바, 고속 주행 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등의 제어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했으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 주행 시 엔진 룸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저항 증가로 인한 연비 감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1)와 열교환기(30) 사이에는 개구부(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40)은 상기 개구부(21)의 후단에 위치하여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1에어덕트(41);와 상기 제 1에어덕트(41) 상에 위치하여 좌우 길이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 1에어덕트(4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42);와 상기 제 1에어덕트(41)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42)가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제 2에어덕트(43);와 상기 제 2에어덕트(43)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42)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4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액티브 에어 플랩(40)은 공기의 유입은 제어할 수 있으나,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은 제어 할 수 없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에어덕트(41) 및 제 2에어덕트(43)를 유동하는 공기의 상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설계되는 열교환기(30)의 특성상 유입되는 공기는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30)의 하측에는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열교환기(30) 하측 코어부에서는 열교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티브 에어 플랩의 에어덕트부를 하단으로 확장 형성하여 유입되는 냉각풍의 유로를 확장하여 열교환기 코어 전면에서 고루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에어덕트부 폐쇄 시에는 기존의 도어와 연동되는 확장도어를 구비하여 확장 유로를 폐쇄할 수 있게 되는 액티브 에어 플랩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은 전면 패널(11) 및 상기 전면 패널(11)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와, 상기 캐리어(10)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개구부(21)가 형성된 범퍼(20)와,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전면 패널(11) 후방에 장착되며, 코어가 형성되는 열교환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21)의 후단에 위치하여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형성되는 에어덕트(410)와, 상기 에어덕트(4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덕트(4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420)와, 상기 에어덕트(410)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440)를 포함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400)(Active Air Flap)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410)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하방으로 확산 시킬 수 있도록 확장유로(500)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유로(5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확장도어(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덕트(410)는 상기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1에어덕트(411); 및 상기 제 1에어덕트(411)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420)가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440)가 구비되는 제 2에어덕트(412); 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유로(500)는 상기 제 2에어덕트(412)의 하면(412a)이 후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확장도어(600)는 일단에 형성되는 확장회전축(610)이 상기 하면(412a)의 일단 양측에 고정되어 회전함에 따라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호를 이루며 회동하여 상기 확장유로(5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400)은 상기 도어(420)와 상기 확장도어(600)를 연결하는 연동부(700); 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420)가 상기 에어덕트(410)를 개방 또는 폐쇄함에 따라 상기 확장도어(600)도 연동하여 상기 확장유로(5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400)은 확장유로(500)의 영역을 넓히기 위해 상기 확장회전축(610)이 상기 도어(420)의 회전축(421) 보다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도어(600)에는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실링돌기(620)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돌기(620)는 상기 도어(420) 폐쇄 시 상기 도어(420)의 하단과 맞닿도록 하여 상기 확장유로(50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은 유입되는 냉각풍의 유로의 상하 폭이 확장되기 때문에 열교환기 코어에 냉각풍이 고루 유입되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확장되는 유로의 개폐를 위한 확장 도어는 기존의 도어와 연동되어 기존의 도어 개폐 시 작동하기 때문에 확장 도어의 제어를 위한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최소한의 구성으로 확장되는 유로를 제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프론트 엔드 모듈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액티브 에어 플랩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액티브 에어 플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 및 확장도어 작동상태 단면도(Open)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 및 확장도어 작동상태 단면도(Close)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면 패널(11) 및 상기 전면 패널(11)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와, 상기 캐리어(10)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개구부(21)가 형성된 범퍼(20)와,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전면 패널(11) 후방에 장착되며 코어가 형성되는 열교환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21)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Active Air Flap)(40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범퍼(20)에는 상기 캐리어(10)의 후방으로 열교환기(30)가 공냉되도록 하기 위해 공기가 유통되는 개구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1)는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기(30)가 원활히 작동되도록 상기 범퍼(20)에 형성되는 구성이나, 차량의 고속 주행 시 유입되는 공기의 양 역시 필요 이상으로 증가되고, 유입된 공기가 저항으로 작용되어 차량 연비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400)은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부(21)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개구부(21)의 후단에 위치하여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덕트(410); 상기 에어덕트(410) 내에 형성되어 회동에 따라 상기 에어덕트(4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420); 상기 에어덕트(410)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440); 상기 에어덕트(410)로 유입되는 공기를 하방으로 확산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확장유로(500); 상기 확장유로(5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확장도어(600); 및 상기 도어(420)와 상기 확장도어(600)를 연결하여 상기 도어(420)의 회동과 연동하여 상기 확장도어(600)를 제어하기 위한 연동부(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덕트(410)는 제 1에어덕트(411)와 제 2에어덕트(4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에어덕트(411)는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에어덕트(411)는 상기 개구부(21)의 후방에 위치하며 개구부(21)를 따라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1에어덕트(411)와 개구부(21)의 결합면에는 고무재질의 루버부(미도시)가 끼워져 씰링될 수 있다. 상기 루버부(미도시)는 상기 제 1에어덕트(411)와 개구부(21)의 결합부위를 밀폐하며 결합단차를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2에어덕트(412)는 상기 제 1에어덕트(411)의 후단에 결합되며, 양측에는 상기 도어(420)가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전축(421)의 양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에어덕트(412)에는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4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에어덕트(412)의 하면(412a)은 후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412a)이 후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 2에어덕트(412)에는 확장유로(5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유로(500)는 상기 제 1에어덕트(411)에서 안내되는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30)의 하측 코어에 전달되도록 하여 열교환기(30)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도어(420)는 좌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421)과 상기 회전축(421)상에 형성되되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블레이드(4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420)는 상기 에어덕트(410)상에 위치하여 상기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되는데, 상기 회전축(4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422)가 공기 유동방향과 평행을 이루면 개방되고, 수직을 이루면 폐쇄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440)는 상기 제 2에어덕트(412)의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440)는 상기 도어(420)의 회전축(421)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420)의 회전축(421)을 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440)의 일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421)을 회동시켜 상기 에어덕트(410)를 개방시키고,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421)을 회동시켜 상기 에어덕트(410)를 폐쇄 시킬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44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터의 구성이 적용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에어덕트(412)상에는 상기 확장유로(500)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확장도어(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장도어(600)는 상기 액추에이터(44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장도어(600)는 일단에 형성되는 확장회전축(610)이 상기 하면(412a)의 일단 양측에 고정되어 회전함에 따라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호를 이루며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장도어(600)의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호를 이루며 회동함에 따라 상방으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확장유로(500)를 폐쇄하고, 하방으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확장유로(500)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확장회전축(610)은 확장유로(500)의 영역을 넓히기 위해 상기 도어(420)의 회전축(421) 보다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400)은 상기 확장도어(600)를 제어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도어(420)의 회동에 연동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액티브 에어 플랩(400)은 상기 도어(420)와 상기 확장도어(600)를 연결하는 연동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동부(700)는 지지바(710, 720), 제 1힌지결합부(730) 및 제 2힌지결합부(7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힌지결합부(730)는 상기 도어(420)의 블레이드(422) 상단부에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힌지결합부(740)는 상기 확장도어(600)의 타단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710, 720)는 제 1지지바(710)의 타단과 제 2지지바(72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3힌지홀(700c)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지지바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지지바(710)의 일단과 상기 제 1힌지결합부(730)는 제 1힌지홀(700a)을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바(720)의 타단과 상기 제 2힌지결합부(740)는 제 2힌지홀(700b)을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동부(700)의 구성을 통해 상기 확장유로(500)를 개방하는 과정을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어(420) 개방 시에는 상기 블레이드(422)의 상단부가 하방으로 호를 이루며 회동하게 되고, 상기 제 1힌지결합부(730)에 연결된 상기 지지바(710, 720)를 통해 상기 제 2힌지결합부(740)를 밀게 되고, 상기 제 2힌지결합부(740)에 연결된 상기 확장도어(600)의 타단부가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확장도어(600)의 타단부가 하방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확장유로(500)가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확장유로(500)를 폐쇄하는 과정을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어(420) 폐쇄 시에는 상기 블레이드(422)의 상단부가 상방으로 호를 이루며 회동하게 되고, 상기 제 1힌지결합부(730)에 연결된 상기 지지바(710, 720)를 통해 상기 제 2힌지결합부(740)를 당기게 되고, 상기 제 2힌지결합부(740)에 연결된 상기 확장도어(600)의 타단부가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확장도어(600)의 타단부가 하방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확장유로(500)가 폐쇄되는 것이다.
상기 확장도어(600)에는 실링돌기(6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620)는 상기 확장도어(600)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620)는 상기 도어(420) 폐쇄 시 상기 도어(420)의 하단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돌기(620)는 상기 도어(420)의 하단과 상기 확장도어(600)의 밀폐를 더욱 견고히 하여 상기 확장유로(500)를 폐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400 : 액티브 에어 플랩
410 : 에어덕트 411 : 제 1에어덕트
412 : 제 2에어덕트
420 : 도어 421 : 회전축
422 : 블레이드
440 : 액추에이터
500 : 확장유로
600 : 확장도어 610 : 확장회전축
620 : 씰링돌기
700 : 연동부

Claims (5)

  1. 전면 패널(11) 및 상기 전면 패널(11)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와, 상기 캐리어(10)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개구부(21)가 형성된 범퍼(20)와, 상기 캐리어(10)의 상기 전면 패널(11) 후방에 장착되며, 코어가 형성되는 열교환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21)의 후단에 위치하여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에어덕트(410)와, 상기 에어덕트(4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덕트(4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420)와, 상기 에어덕트(410)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420)를 회동시키는 액추에이터(440)를 포함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400)(Active Air Flap)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410)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하방으로 확산 시킬 수 있도록 확장유로(500)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유로(5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확장도어(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410)는
    상기 개구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1에어덕트(411); 및
    상기 제 1에어덕트(411)의 후단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420)가 회전축(42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440)가 구비되는 제 2에어덕트(412); 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유로(500)는 상기 제 2에어덕트(412)의 하면(412a)이 후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확장도어(600)는 일단에 형성되는 확장회전축(610)이 상기 하면(412a)의 일단 양측에 고정되어 회전함에 따라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호를 이루며 회동하여 상기 확장유로(5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400)은
    상기 도어(420)와 상기 확장도어(600)를 연결하는 연동부(700); 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420)가 상기 에어덕트(410)를 개방 또는 폐쇄함에 따라 상기 확장도어(600)도 연동하여 상기 확장유로(5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에어 플랩(400)은
    확장유로(500)의 영역을 넓히기 위해 상기 확장회전축(610)이 상기 도어(420)의 회전축(421) 보다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도어(600)에는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실링돌기(620)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돌기(620)는 상기 도어(420) 폐쇄 시 상기 도어(420)의 하단과 맞닿도록 하여 상기 확장유로(500)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0100028576A 2010-03-30 2010-03-30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592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576A KR101592949B1 (ko) 2010-03-30 2010-03-30 액티브 에어 플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576A KR101592949B1 (ko) 2010-03-30 2010-03-30 액티브 에어 플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034A KR20110109034A (ko) 2011-10-06
KR101592949B1 true KR101592949B1 (ko) 2016-02-18

Family

ID=4502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576A KR101592949B1 (ko) 2010-03-30 2010-03-30 액티브 에어 플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317B1 (ko) 2014-05-27 2015-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8124B1 (ko) 2014-05-27 2016-06-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엔진 룸 공기 유량 제어 시스템
KR101575318B1 (ko) 2014-05-28 2015-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공기흐름 제어 시스템
US20230084648A1 (en) * 2020-02-19 2023-03-16 Hanon Systems Air flap having mixed-type door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224A (ja) 2001-07-25 2003-02-07 Denso Corp 内燃機関装置
JP2005029028A (ja) 2003-07-04 2005-02-03 Calsonic Kansei Corp 車両の外気取入構造
JP2007185997A (ja) 2006-01-11 2007-07-26 Denso Corp 車両用電池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483B1 (ko) * 1998-02-25 2002-07-12 이수열 근전도신호의포락선을이용한전기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5224A (ja) 2001-07-25 2003-02-07 Denso Corp 内燃機関装置
JP2005029028A (ja) 2003-07-04 2005-02-03 Calsonic Kansei Corp 車両の外気取入構造
JP2007185997A (ja) 2006-01-11 2007-07-26 Denso Corp 車両用電池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034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565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89445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592949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JP2011088584A (ja) 可変ダクト装置
KR101527881B1 (ko) 에어 플랩
KR101693348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936726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20140014511A (ko) 자동차의 에어플랩 장치
KR101714381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595979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714585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626385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930713B1 (ko) 액티브 에어 가이드 장치
KR101719666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240727B1 (ko) 자동차의 가변 공기유입 에어셔터
KR101576889B1 (ko) 보행자 보호형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393972B1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KR20200110944A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635820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587614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58761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JP2019089448A (ja) グリルシャッタ装置
KR102627795B1 (ko) 액티브 에어플랩
US20240123817A1 (en) Variable grille apparatus
US20230084648A1 (en) Air flap having mixed-type doo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