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149A - 에어 플랩 - Google Patents

에어 플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149A
KR20110002149A KR1020090059589A KR20090059589A KR20110002149A KR 20110002149 A KR20110002149 A KR 20110002149A KR 1020090059589 A KR1020090059589 A KR 1020090059589A KR 20090059589 A KR20090059589 A KR 20090059589A KR 20110002149 A KR20110002149 A KR 20110002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utter
air shutter
opening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7881B1 (ko
Inventor
박성욱
김재용
공태윤
소원섭
권용성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8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60K11/085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with adjustable shutters 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플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한 쌍의 에어 셔터를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상측 및 하측의 개구된 영역을 용이하게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공기 저항 증가로 인한 차량의 연비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에어 플랩(400)은 전면 패널(110) 및 상기 전면 패널(110)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0)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0)와, 상기 캐리어(100)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0)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개구부(210)가 형성된 범퍼(200)와, 상기 캐리어(100)의 상기 전면 패널(110) 후방에 장착되는 쿨링 모듈(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는 에어 플랩(400)(AIR FLAP)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400)은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 상기 상측 개구부(210) 및 하측 개구부(2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의 이동 궤적을 안내하도록 에어셔터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420);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에어셔터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론트 엔드 모듈, 범퍼, 에어셔터, 연비, 공기 저항

Description

에어 플랩{AIR FLAP}
본 발명은 에어 플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한 쌍의 에어 셔터를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상측 및 하측의 개구된 영역을 용이하게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공기 저항 증가로 인한 차량의 연비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 룸 내에는 엔진 등과 같은 구동을 위한 부품뿐만 아니라, 엔진 등과 같은 차량 내 각 부품을 냉각하거나 또는 차량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라디에이터, 인터쿨러, 증발기, 응축기 등과 같은 다양한 열교환기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들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통하며, 열교환기 내부의 열교환매체와 열교환기 외부의 공기가 서로 열교환함으로써 냉각 또는 방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 엔진 룸 내의 다양한 열교환기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엔진 룸 내부로 외부 공기가 원활히 공급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부품 또는 차량 실내의 냉각을 위해 구비되는 열교환기들을 쿨링 모듈로 통칭한다.
한편, 최근 자동차 개발은 생산성 향상으로 위하여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중 다수의 부품을 각각 조립하여 집합체를 형성시켜 조립 라인에서 조립하는, 즉 모듈화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예로써 쿨링 모듈, 헤드 램프 및 범퍼 빔 스테이를 포함한 범퍼를 조립하여 모듈화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다.
도 1은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전면 패널(110) 및 상기 전면 패널의 양단부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0)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캐리어(100)의 상기 전면 패널(110) 후방에 쿨링 모듈(300)이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100)의 상기 서포트 패널(120)에 형성되는 헤드 램프 장착부(121)에 헤드 램프(미도시)가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0)의 전방에 범퍼(200)가 장착되어 모듈화된다.
상기 쿨링 모듈(300)은 열교환기 등과 같은 부품들이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도면 상에서는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서, 상기 캐리어(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쿨링 모듈(300)로 원활하게 외부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기 범퍼(200) 측에는 공기 유입을 위한 개구부(210)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개구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개구부(21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210) 상에 그물이나 그릴 형태의 구조물을 더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차량이 주행을 하게 되면 상기 개구부(210)로 외부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캐리어(100)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쿨링 모듈(300)에서는 원활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게 되면, 상기 개구부(21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역시 매우 고속이 되며, 이에 따라 공기 저항이 매우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주행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공기 저항이 증대되기 때문에 차량 엔진에서는 더 많은 에너지를 발생시켜야만 하며, 따라서 연비가 불량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상기 개구부(210)는 단지 구멍이 형성된 형태인 고정적인 구조였던 바, 고속 주행 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등의 제어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했으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속 주행 시 엔진 룸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저항 증가로 인한 연비 감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룸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범퍼에 형성된 개구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개구된 영역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에어셔터가 형성됨으로써 차량 속도 증가에 따른 공기 저항 증가로 인한 연비 감소 경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어 플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에어 플랩(400)은 전면 패널(110) 및 상기 전면 패널(110)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0)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0)와, 상기 캐리어(100)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0)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개구부(210)가 형성된 범퍼(200)와, 상기 캐리어(100)의 상기 전면 패널(110) 후방에 장착되는 쿨링 모듈(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는 에어 플랩(400)(AIR FLAP)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400)은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 상기 상측 개구부(210) 및 하측 개구부(2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의 이동 궤적을 안내하도록 에어셔터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420);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에어셔터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 터(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는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430)와 접하는 측에 기어부(414)가 형성된 복수개의 패널(413)이 높이 방향으로 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액추에이터(430)는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의 기어부(414)와 치합되는 기어(431) 및 상기 기어(431)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4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에어 플랩(400)은 상기 액추에이터(430)의 일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가 각각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210)를 폐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430)의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가 각각 하측 및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210)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액추에이터(430)는 범퍼빔(201)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에어 플랩은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범퍼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개구부의 개구된 영역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제1에어셔터 및 제2에어셔터가 형성됨으로써 차량 속도 증가에 따른 공기 저항 증가로 인한 연비 감소 경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에어 플랩은 저속 주행시에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유입되어 쿨링 모듈이 용이하게 냉각되도록 하고, 고속 주행시에는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차단하여 차량의 연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에어 플랩은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하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어 구성이 간단함에 따라 부품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작이 용이하며, 빠르게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에어 플랩(4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400)이 장착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400)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400)의 패널(413)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면 패널(110) 및 상기 전면 패널(110)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0)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0)와, 상기 캐리어(100)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0)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개구 부(210)가 형성된 범퍼(200)와, 상기 캐리어(100)의 상기 전면 패널(110) 후방에 장착되는 쿨링 모듈(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2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에어 플랩(40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범퍼(200)에는 상기 캐리어(100)의 후방으로 쿨링 모듈(300)이 공냉되도록 하기 위해 공기가 유통되는 개구부(2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개구부(210)는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개구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10)는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쿨링 모듈(300)이 원활히 작동되도록 상기 범퍼(200)에 형성되는 구성이나, 차량의 고속 주행 시 유입되는 공기의 양 역시 필요 이상으로 증가되고, 유입된 공기가 저항으로 작용되어 차량 연비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에어 플랩(400)은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부(21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상측 개구부(210) 및 하측 개구부(2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의 이동 궤적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20);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는 상기 개구부(210)를 폐쇄하여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높이방향으로 상기 범퍼(200)의 형상에 따라 유연하게 그 각도가 조절되도록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패널(413)이 힌 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패널(413)은 상기 액추에이터(430)와 접하는 측은 기어부(414)가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제1에어셔터(411)의 후면 및 상기 제2에어셔터(412)의 전면의 일정 영역에 각각 상기 기어부(414)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의 일측 면에는 상기 기어부(414)가 양측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널(413)의 양측에 기어부(414)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범퍼(200)에 의해 상기 기어부(414)가 가려지므로, 외부에서 상기 개구부(210)를 통해 상기 패널(413)의 기어부(414)가 형성된 부분이 보이지 않는다.
이 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패널(413)의 폭방향으로 중앙 부분에 하나의 기어부(414)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이 때에는 폭방향으로 상기 기어부(414)의 길이가 일정 영역 이상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상기 패널(413)들을 높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레일(420)은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의 이동 궤적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레일(420)은 상기 범퍼(200)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를 안내해야하므로, 필요에 따라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패널(413)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높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굴곡을 이룰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430)는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를 높이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측 개구부(210) 및 하측 개구부(210)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에 형성된 기어부(414)가 형성된 위치에 상기 기어부(414)와 치합되는 기어(431) 및 상기 기어(431)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4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430)의 기어(431)는 상기 제1에어셔터(411)의 기어부(414) 및 상기 제2에어셔터(412)의 기어부(414)가 외주면에 함께 접촉되며, 더욱 상세하게, 상기 모터(432)는 도 4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가 각각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210)를 폐쇄하고, 도 4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430)의 타측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가 각각 하측 및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210)를 개방한다.
즉, 본 발명의 에어 플랩(400)은 상기 상측 개구부(210) 및 하측 개구부(210)의 사이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430)의 일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가 각각 상측 및 하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빠르게 상기 개구부(210)를 폐쇄할 수 있어 공기 저항 증가로 인한 연비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 플랩(400)은 반대로 상기 개구부(210)를 개방해야할 경우에는 상기 액추에이터(43)의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가 각각 하측 및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개구부(210)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쿨링 모듈(300)이 적절히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에어 플랩(400)은 상기 액추에이터(430)의 형태가 상기 기어(431) 및 모터(432)를 포함하는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를 동시에 높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측 및 하측의 개구부(21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상측 개구부(210)는 라디에이터 그릴이 형성되는 위치로 도시하였으며, 범퍼(200)의 다양한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430)의 작동은 전기적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공조 장치의 작동과 같이 전자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430)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가 개구부(2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차량의 속도가 일정수치 이상일 경우 또는 개구부(210)로 유입되는 풍량이 일정 수치 이상일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가 개구부(2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제어의 경우에는 차속 센서 또는 유입 풍량 감지 센서 등이 구비 되고, 각각의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값을 사용하여 적절한 알고리즘을 통해 본 발명의 에어 플랩(400)을 작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400)이 장착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측면도로, 상기 액추에이터(430)가 상기 범퍼빔(201) 내부에 위치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범퍼빔(201)은 범퍼 커버 내측에 차량의 가로방향으로 구비되는 구조물로서, 통상 내부가 중공된 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범퍼(200)의 개구부(210)가 상ㆍ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에는 높이방향으로 상기 개구부(210) 사이에 범퍼빔(201)이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액추에이터(430)는 상기 범퍼빔(201)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범퍼빔(201) 측이라는 것은 높이방향으로 상기 범퍼빔(201)이 위치되는 부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 상기 액추에이터(430)가 상기 범퍼빔(201) 내측에 위치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에어 플랩(400)은 상기 액추에이터(4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를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2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면 상기 액추에이터(430)가 상기 범퍼빔(201)의 전측 또는 후측에 위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이 장착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의 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플랩이 장착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캐리어 110: 전면 패널
120: 서포트 패널 121: 헤드 램프 장착부
200: 범퍼 201 : 범퍼빔
210: 개구부
300: 쿨링 모듈
400 : 본 발명의 에어 플랩
411 : 제1에어셔터 412 : 제2에어셔터
413 : 패널 414 : 기어부
420 : 가이드 레일
430 : 액추에이터 431 : 기어
432 : 모터

Claims (5)

  1. 전면 패널(110) 및 상기 전면 패널(110)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서포트 패널(120)로 이루어지는 캐리어(100)와, 상기 캐리어(100)의 전방에 장착되며 상기 캐리어(100)의 후방으로 공기가 유통되도록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개구부(210)가 형성된 범퍼(200)와, 상기 캐리어(100)의 상기 전면 패널(110) 후방에 장착되는 쿨링 모듈(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는 에어 플랩(400)(AIR FLAP)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400)은
    높이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 상기 상측 개구부(210) 및 하측 개구부(2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의 이동 궤적을 안내하도록 에어셔터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420);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에어셔터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는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430)와 접하는 측에 기어부(414)가 형성된 복수개의 패널(413)이 높이 방향으로 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430)는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의 기어부(414)와 치합되는 기어(431) 및 상기 기어(431)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4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플랩(400)은
    상기 액추에이터(430)의 일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가 각각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210)를 폐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430)의 타측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에어셔터(411) 및 제2에어셔터(412)가 각각 하측 및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부(210)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430)는 범퍼빔(201)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랩.
KR1020090059589A 2009-07-01 2009-07-01 에어 플랩 KR101527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589A KR101527881B1 (ko) 2009-07-01 2009-07-01 에어 플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589A KR101527881B1 (ko) 2009-07-01 2009-07-01 에어 플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49A true KR20110002149A (ko) 2011-01-07
KR101527881B1 KR101527881B1 (ko) 2015-06-10

Family

ID=4361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589A KR101527881B1 (ko) 2009-07-01 2009-07-01 에어 플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88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976B1 (ko) * 2014-09-01 2015-07-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플랩 장치
US9518502B2 (en) 2014-05-13 2016-12-1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flow to engine room of vehicle and air flow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8136892A (zh) * 2015-07-22 2018-06-08 法雷奥热系统公司 用于关闭特别地定位在诸如机动车辆的车辆的前面上的空气入口的装置
FR3079916A1 (fr) * 2018-04-09 2019-10-11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regulation d'un flux d'air circulant au sein d'un echangeur de chaleur pour vehicule automobile et module de refroidissement muni d'un tel dispositif.
FR3079917A1 (fr) * 2018-04-09 2019-10-11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regulation d'un flux d'air circulant au sein d'un echangeur de chaleur pour vehicule automobile et module de refroidissement muni d'un tel dispositif.
WO2020127871A1 (fr) * 2018-12-20 2020-06-25 Compagnie Plastic Omnium Piece de carrosserie comprenant des metamateriaux
FR3094674A1 (fr) * 2019-04-03 2020-10-09 Flex-N-Gate France Dispositif d’aération pour un véhicule, procédé de montage associé
WO2021014059A1 (fr) * 2019-07-22 2021-01-28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regulation d'un flux d'air d'un vehicule automobile
FR3104077A1 (fr) * 2019-12-10 2021-06-11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régulation d’un flux d’air d’un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388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접이식 라디에이터 그릴
KR19980039516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라디에터그릴 댐퍼
JP4547811B2 (ja) * 2000-10-03 2010-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冷却装置
DE102004056328A1 (de) * 2004-11-22 2006-06-08 Behr Gmbh & Co. Kg Vorrichtung zur Regulierung eines Luftstroms zur Motorkühl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ltklapp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8502B2 (en) 2014-05-13 2016-12-1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flow to engine room of vehicle and air flow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532976B1 (ko) * 2014-09-01 2015-07-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플랩 장치
CN108136892A (zh) * 2015-07-22 2018-06-08 法雷奥热系统公司 用于关闭特别地定位在诸如机动车辆的车辆的前面上的空气入口的装置
FR3079916A1 (fr) * 2018-04-09 2019-10-11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regulation d'un flux d'air circulant au sein d'un echangeur de chaleur pour vehicule automobile et module de refroidissement muni d'un tel dispositif.
FR3079917A1 (fr) * 2018-04-09 2019-10-11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regulation d'un flux d'air circulant au sein d'un echangeur de chaleur pour vehicule automobile et module de refroidissement muni d'un tel dispositif.
WO2019197747A1 (fr) * 2018-04-09 2019-10-17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regulation d'un flux d'air circulant au sein d'un echangeur de chaleur pour vehicule automobile et module de refroidissement muni d'un tel dispositif
WO2020127871A1 (fr) * 2018-12-20 2020-06-25 Compagnie Plastic Omnium Piece de carrosserie comprenant des metamateriaux
FR3090510A1 (fr) * 2018-12-20 2020-06-26 Compagne Plastic Omnium Pièce de carrosserie comprenant des métamatériaux
FR3094674A1 (fr) * 2019-04-03 2020-10-09 Flex-N-Gate France Dispositif d’aération pour un véhicule, procédé de montage associé
EP3736156A1 (fr) * 2019-04-03 2020-11-11 Flex-N-Gate France Dispositif d'aération pour un véhicule, procédé de montage associé
US11465492B2 (en) 2019-04-03 2022-10-11 Flex-N-Gate France Ventilation device for a vehicle, associated mounting method
WO2021014059A1 (fr) * 2019-07-22 2021-01-28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regulation d'un flux d'air d'un vehicule automobile
FR3099091A1 (fr) * 2019-07-22 2021-01-29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régulation d’un flux d’air d’un véhicule automobile
FR3104077A1 (fr) * 2019-12-10 2021-06-11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régulation d’un flux d’air d’un vé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881B1 (ko)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2149A (ko) 에어 플랩
EP2574484B1 (en) Grille shutter device
US8814638B2 (en) Variable duct apparatus
KR101261516B1 (ko) 에어플랩을 구비한 라디에이터 그릴
US8550887B2 (en) Vehicle grill with moveable louvers
US10059193B2 (en) Grill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 commercial vehicle as well as a vehicle
KR101631565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JP2008500484A (ja) 冷却システム
KR10189445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693348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CN104608597A (zh) 一种汽车冷却模块及配置该冷却模块的汽车
KR101592949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20130026875A (ko) 차량용 에어플랩 장치
KR101595979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714381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930713B1 (ko) 액티브 에어 가이드 장치
KR101180244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그릴 에어셔터 시스템
JP5890720B2 (ja) 可変ダクト支持構造
KR101180195B1 (ko)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
KR20110000857A (ko) 에어 플랩
KR101714585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20100046963A (ko) 능동형 에어 셔터
KR101576889B1 (ko) 보행자 보호형 액티브 에어 플랩
KR20120062056A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258761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