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195B1 -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195B1
KR101180195B1 KR20100062848A KR20100062848A KR101180195B1 KR 101180195 B1 KR101180195 B1 KR 101180195B1 KR 20100062848 A KR20100062848 A KR 20100062848A KR 20100062848 A KR20100062848 A KR 20100062848A KR 101180195 B1 KR101180195 B1 KR 101180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utter
guide
engine room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6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118A (ko
Inventor
정수성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62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1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19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쿨링모듈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가 사방으로 퍼지지 않고 쿨링모듈로 향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에어가이드를 설치하기 때문에 부품비가 증가되고, 에어가이드 설치에 따른 작업공수가 추가되어 그만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범퍼그릴(100)과 라디에이터그릴(200) 및 쿨링모듈(300)사이에 에어셔터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 풍량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로로 놓인 상하프레임(410a)(410b)과 세로로 놓인 좌우프레임(420) 사이에 에어유입공(401)(402)이 구비되고, 상하프레임(410a)(410b) 양 끝단에는 셔터고정공(411a)(411b)이 형성되며, 상하프레임(410a)(410b) 중앙부에는 정중앙에서 양쪽의 셔터고정공(411a)(411b)을 향해 대향으로 셔터안내공 (412a)(412b)이 길게 형성된 에어셔터프레임부(400)와; 외측 끝단에는 셔터고정공(411a)(411b)에 끼워지는 고정핀(510a)(510b)이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는 셔터안내공(412a)(412b)에 끼워지는 안내핀(520a)(520b)이 구비되며, 중앙에는 절첩부(530)가 구비되어 펼쳐지면 에어유입공(401)(402)을 차단하고, 접히면 에어유입공(401)(402)을 개방하면서 에어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의 에어를 엔진룸내로 유입시키기 위해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를 접게 되면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가 종래의 에어가이드 역할을 수행하여 에어가 사방으로 퍼지지 않고 쿨링모듈(300)로 집중되게 안내할 수 있음에 따라 별도의 에어가이드를 삭제함에 따른 부품비 절감은 물론 작업공수가 단축되어 그만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Air volume control apparatus of air and air guide flowing into engine room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범퍼그릴과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해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외부의 에어가 사방으로 퍼져 나가지 않고 쿨링모듈로 안내되게 하기 위한 에어가이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쿨링모듈로 안내되게 함으로서 에어가이드를 삭제함에 따른 부품비 절감은 물론 작업공수를 단축하여 그만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룸 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룸내에는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 뿐만 아니라 엔진등과 같은 차량내 각 부품을 냉각시키거나 또는 차량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라디에이터, 인터쿨러, 증발기, 응축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열교환기(이하 쿨링모듈이라 칭한다)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쿨링모듈은 통상 내부에 열교환매체가 유통되어 쿨링모듈 내부의 열교환매체와 쿨링모듈 외부의 에어가 서로 열교환 되게 함으로서 쿨링모듈을 냉각 또는 방열이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엔진룸 내의 쿨링모듈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엔진룸 내부로 외부의 에어가 원활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외부의 에어는 범퍼그릴과 라디에이터그릴의 통기공을 통해 엔진룸내로 유입되어 쿨링모듈을 냉각시켜 주는 것이다.
그런데 외부의 에어가 4계절 내내 엔진룸 내로 들어오게 되면 즉, 겨울철에 엔진룸내로 외부의 에어가 들어오게 되면 그만큼 엔진 히팅시간을 증가시켜 연비를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주행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에어의 저항으로 인해 이 역시 연비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필요시에만 외부의 에어가 엔진룸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풍량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에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나 종래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에는 도1내지 도2에서와 같이 범퍼그릴(10)과 라디에이터그릴(20)및 쿨링모듈(30)사이에 자동으로 열고 닫히면서 에어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셔터(40)를 설치한다.
그런데 에어셔터(40)를 통해 유입된 에어가 쿨링모듈(30)로 향하지 않고 사방으로 퍼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쿨링모듈(30)에 별도의 에어가이드(50)를 설치하여 유입된 에어가 사방으로 확산되지 않고 많은 양이 쿨링모듈(30)로 안내되게 함으로서 그만큼 쿨링모듈(30)의 냉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근래 자동차 개발은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으로 인하여 부품과 공정의 수를 감소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처럼 별도의 에어가이드(50)를 설치하게 되면 부품비 상승은 물론 에어가이드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공수가 추가되어 그만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에어가이드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엔진룸 내로 유입된 에어를 쿨링모듈로 집중되게 함으로서 에어가이드 삭제에 따른 부품비 절감은 물론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그만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범퍼그릴과 라디에이터그릴 및 쿨링모듈사이에 에어셔터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 풍량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로로 놓인 상하프레임과 세로로 놓인 좌우프레임 사이에 에어유입공이 구비되고, 상하프레임 양 끝단에는 셔터고정공이 형성되며, 상하프레임 중앙부에는 정중앙에서 양쪽의 셔터고정공을 향해 대향으로 셔터안내공이 길게 형성된 에어셔터프레임부와; 외측 끝단에는 셔터고정공에 끼워지는 고정핀이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는 셔터안내공에 끼워지는 안내핀이 구비되며, 중앙에는 절첩부가 구비되어 펼쳐지면 에어유입공을 차단하고, 접히면 에어유입공을 개방하면서 에어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제1에어셔터와 제2에어셔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의 에어를 엔진룸내로 유입시키기 위해 에어셔터를 접으면 에어셔터 자체가 에어가이드 역활을 수함함으로서 별도의 에어가이드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에어를 쿨링모듈에 집중되게 안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에어가이드 삭제에 따른 부품비 절감은 물론 에어가이드를 설치하지 않음에 따른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그만큼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풍량 조절장치가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 는 종래 풍량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풍량 조절장치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풍량 조절장치에서 에어셔터의 닫힘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풍량조절장치에서 에어셔터의 열림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서 에어셔터가 닫힘 상태의 풍량조절장치가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에어셔터가 열림 상태의 풍량조절장치가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량조절장치가 설치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풍량 조절장치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풍량 조절장치에서 에어셔터의 닫힘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풍량조절장치에서 에어셔터의 열림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서 에어셔터가 닫힘 상태의 풍량조절장치가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서 에어셔터가 열림 상태의 풍량조절장치가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량조절장치가 설치된 평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범퍼그릴(100)과 라디에이터그릴(200) 및 쿨링모듈(300)사이에 에어셔터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 풍량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로로 놓인 상하프레임(410a)(410b)과 세로로 놓인 좌우프레임(420) 사이에 에어유입공(401)(402)이 구비되고, 상하프레임(410a)(410b) 양 끝단에는 셔터고정공(411a)(411b)이 형성되며, 상하프레임(410a)(410b) 중앙부에는 정중앙에서 양쪽의 셔터고정공(411a)(411b)을 향해 대향으로 셔터안내공 (412a)(412b)이 길게 형성된 에어셔터프레임부(400)와; 외측 끝단에는 셔터고정공(411a)(411b)에 끼워지는 고정핀(510a)(510b)이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는 셔터안내공(412a)(412b)에 끼워지는 안내핀(520a)(520b)이 구비되며, 중앙에는 절첩부 (530)가 구비되어 펼쳐지면 에어유입공(401)(402)을 차단하고, 접히면 에어유입공(401)(402)을 개방하면서 에어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엔진룸 내에 설치된 쿨링모듈(300)을 냉각시키기 위해 에어셔터를 설치하여 필요시에만 외부의 에어를 엔진룸내로 유입되게 하고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에어가 엔진룸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별도의 에어가이드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엔진룸내로 유입된 에어가 사방으로 퍼져나가지 않고 쿨링모듈(300)로 집중되게 안내함으로서 에어가이드를 삭제함에 따른 부품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에어가이드를 설치하지 않음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가 있어 그만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하프레임(410a)(410b)과 좌우프레임(420)으로 이루어지고, 상하프레임(410a)(410b)과 좌우프레임(420)사이에 에어유입공(401)(402) 이 있는 에어셔터프레임부(4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에어셔터프레임부(400)의 상하프레임(410a)(410b)양끝단에는 셔터고정공(411a)(411b)이 형성되고 상하프레임(410a)(410b)중앙부에는 정중앙에서 양쪽의 셔터고정공(411a)(411b)을 향해 대향으로 셔터안내공(412a)(412b)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 끝단으로 에어셔터프레임부(400)의 셔터고정공(411a)(411b)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핀(510a)(510b)이 형성되고 내측 끝단으로는 에어셔터프레임부(400)의 셔터안내공(412a)(412b)에 끼워지는 안내핀(520a)(520bh)이 있는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중앙에는 절첩부(530)가 있어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는 고정핀(510a)(510b)이 에어셔터프레임부(400)의 셔터고정공(411a)(411b)에 끼워진 상태이어서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의 일측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타측을 당기면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가 절첩부(53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접히면서 에어셔터프레임부(400)의 에어유입공(401)(402)이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엔진룸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반대로 접혀진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를 안쪽으로 당겨주면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는 절첩부(530)가 펴지면서 펼쳐져 에어유입공(401)(402)을 막아주게 되어 외부의 공기가 엔진룸내로 들어오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는 안내핀(520a)(520b)이 에어셔터프레임부(400)의 셔터안내공(412a)(412b)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는 셔터안내공(412a)(412b)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가 병풍식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것으로 즉, 에어셔터프레임부(400)의 에어유입공(401)(402)을 개방하기 위하여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를 도 8에서와 같이 접게되면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가 종래의 에어가이드 역활을 수행하여 범퍼그릴(100)과 라디에이터그릴(200)을 통해 엔진룸 내로 유입되는 에어가 사방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쿨링모듈(300)로 집중되게 하므로서 빠른 시간내에 쿨링모듈(300)을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를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에어셔터프레임부(400)의 하프레임(410b)저면 중앙에 전동기(6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피니언기어(700)를 설치하고, 그 피니언기어(700)의 양쪽으로는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의 안내핀(520b)이 일단에 각각 끼워지는 랙기어(800a)(800b)를 대향으로 치합되게 설치한다.
즉, 냉각수가 적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컨트롤유닛(도면중 미도시)이 전동기(600)에 신호를 보내 전동기(600)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고, 전동기(600)가 작동되면 전동기(600)에 설치된 피니언기어(700)를 회전시키게 되고, 피니언기어(700)가 회전되면 이에 치합된 랙기어(800a)(800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에어셔터(500a)는 일측으로 접히게 되는 것이고, 제2에어셔터(500b)는 타측으로 접히면서 에어셔터프레임부(400)의 에어유입공(401)(402)이 개방되어 외부의 에어가 엔진룸내로 원활하게 유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동기(600)로는 모터를 사용하여도 되고 엑츄에이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냉각수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이 역시 컨트롤유닛이 전동기(600)에 신호를 보내 전동기(600)를 작동시키게 되고, 전동기(600)가 작동되면 피니언기어(700)는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를 접을 때와는 반대로 회전되면서 랙기어(800a)(800b)를 다시 이동시키어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를 펼쳐서 에어셔터프레임부(400)의 에어유입공 (401)(402)을 차단하여 에어의 유입을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전동기(600)는 상하프레임(410a)(410b)의 어느 한 쪽에 장착되어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를 동시 제어하게 되는데,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발생되는 고압의 풍력에도 제1,제2에어셔터의 개폐가 확실히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 상하프레임(410a)(410b) 각각에 전동기(600)와 피니언기어(700) 및 랙기어(800a)(800b)를 설치하여 작동되도록 구성함도 바람직 할 것이다.
100 : 범퍼그릴 200 : 라디에이터그릴
300 : 쿨링모듈 400 : 에어셔터프레임부
401,402 : 에어유입공 410a,410b : 상,하 프레임
411a,411b : 셔터고정공 412a,412b : 셔터안내공
420 : 좌우프레임 500a,500b : 제1,2 에어셔터
510a,510b : 고정핀 520a,520b : 안내핀
530 : 절첩부 600 : 전동기
700 : 피니언기어 800a,800b : 랙기어

Claims (4)

  1. 삭제
  2. 범퍼그릴(100)과 라디에이터그릴(200) 및 쿨링모듈(300)사이에 에어셔터를 설치하되,
    가로로 놓인 상하프레임(410a)(410b)과 세로로 놓인 좌우프레임(420) 사이에 에어유입공(401)(402)이 구비되고, 상하프레임(410a)(410b) 양 끝단에는 셔터고정공(411a)(411b)이 형성되며, 상하프레임(410a)(410b) 중앙부에는 정중앙에서 양쪽의 셔터고정공(411a)(411b)을 향해 대향으로 셔터안내공(412a)(412b)이 길게 형성된 에어셔터프레임부(400)와;
    외측 끝단에는 셔터고정공(411a)(411b)에 끼워지는 고정핀(510a)(510b)이 구비되고, 타측 끝단에는 셔터안내공(412a)(412b)에 끼워지는 안내핀(520a)(520b)이 구비되며, 중앙에는 절첩부(530)가 구비되어 펼쳐지면 에어유입공(401)(402)을 차단하고, 접히면 에어유입공(401)(402)을 개방하면서 에어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로 이루어져 자동차의 엔진룸 내로 유입되는 에어 풍량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에어셔터(500a) 및 제2에어셔터(500b)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중앙에는 전동기(60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피니언기어(700)를 설치하고,
    피니언기어(700)의 양쪽에는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의 안내핀(520a)(520b)이 일단에 각각 끼워지는 랙기어(800a)(800b)를 대향으로 치합되게 설치하여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가 전동식으로 개폐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에어셔터(500a)와 제2에어셔터(500b)의 열림, 닫힘을 수행하는 전동기(600)와 피니언기어(700) 및 랙기어(800a)(800b)는
    상하프레임(410a)(410b) 각각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

  4. 삭제
KR20100062848A 2010-06-30 2010-06-30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 KR101180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2848A KR101180195B1 (ko) 2010-06-30 2010-06-30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2848A KR101180195B1 (ko) 2010-06-30 2010-06-30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18A KR20120002118A (ko) 2012-01-05
KR101180195B1 true KR101180195B1 (ko) 2012-09-05

Family

ID=45609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2848A KR101180195B1 (ko) 2010-06-30 2010-06-30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3305B2 (en) 2014-05-02 2016-12-20 Hyudai Motor Company System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into vehicle engine compart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674A (ko) * 2019-03-26 202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에어플랩 및 그 제어방법
KR102621503B1 (ko) * 2022-06-29 2024-01-05 김용로 차량용 전동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6022U (ko) * 1977-11-08 1979-05-30
EP0206299A1 (de) 1985-06-25 1986-12-30 Süddeutsche Kü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Jalousie für einen Kühler einer Brennkraftmaschine
JPS6266222U (ko) 1985-10-17 1987-04-24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6022U (ko) * 1977-11-08 1979-05-30
EP0206299A1 (de) 1985-06-25 1986-12-30 Süddeutsche Kühlerfabrik Julius Fr. Behr GmbH & Co. KG Jalousie für einen Kühler einer Brennkraftmaschine
JPS6266222U (ko) 1985-10-17 1987-04-2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3305B2 (en) 2014-05-02 2016-12-20 Hyudai Motor Company System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into vehicle engine compar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18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930B1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KR101527881B1 (ko) 에어 플랩
CN102400767B (zh) 复合遮板系统
KR101261516B1 (ko) 에어플랩을 구비한 라디에이터 그릴
KR101283036B1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KR101180195B1 (ko) 자동차의 엔진룸내로 유입되는 에어의 에어가이드 겸용 풍량조절장치
KR101894452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693348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CN110603165A (zh) 用于机动车辆前端模块的空气入口的气流调节装置
KR101631565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CN104608597A (zh) 一种汽车冷却模块及配置该冷却模块的汽车
CN202834018U (zh) 汽车散热冷却装置
CN203454296U (zh) 空调器室外机
KR20160039826A (ko) 차량의 액티브 에어 플랩 장치
JPH1054239A (ja) 冷却装置
KR101714381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240727B1 (ko) 자동차의 가변 공기유입 에어셔터
KR101592949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KR101180244B1 (ko) 자동차용 라디에이터그릴 에어셔터 시스템
KR20130026875A (ko) 차량용 에어플랩 장치
KR101719666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CN113147645B (zh) 一种集成进气调节格栅的汽车散热器总成及其控制方法
JP2013203316A (ja) 可変ダクト支持構造
KR101714585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JP2018039340A (ja) 車両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