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036A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2036A
KR20110132036A KR1020100051825A KR20100051825A KR20110132036A KR 20110132036 A KR20110132036 A KR 20110132036A KR 1020100051825 A KR1020100051825 A KR 1020100051825A KR 20100051825 A KR20100051825 A KR 20100051825A KR 20110132036 A KR20110132036 A KR 20110132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ye image
right eye
left ey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343B1 (ko
Inventor
나중민
문성학
전명제
이준학
김대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343B1/ko
Priority to US13/149,360 priority patent/US20110292190A1/en
Priority to EP11168219.1A priority patent/EP2393300A3/en
Priority to CN2011102048711A priority patent/CN102271275A/zh
Publication of KR20110132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7Calibr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5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stereoscopic or three dimens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3D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단계, 상기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하여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화면 중 상기 3D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확대하는 단계 및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의 시청 환경에 적합한 깊이감을 가지는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시차 간격의 가감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되거나 영상이 소실되는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을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시청 환경에 따라 깊이감과 영상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영상표시방법에 관련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오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입체 영상 및 입체 영상을 통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컨텐츠 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컴퓨터 그래픽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환경 및 기술에서도 입체 영상 기술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실용화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디지털 방송에서도 입체 영상을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또는 재생 방법에 대한 개발 역시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입체 영상 또는 3D 영상의 재생에 있어서 3D 영상의 시청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3D 영상의 시청 시에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 화면의 크기나 시청 공간 등의 조건이 동일할 때 3차원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청 환경을 고려하여 깊이감을 조절하고, 그에 따라 영상이 잘리거나 디스플레이부에 아무 영상도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또는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3D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단계, 상기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하여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화면 중 상기 3D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확대하는 단계 및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3D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단계, 상기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하여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위치가 이동된 후에도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모든 영역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가감하고, 상기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하여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화면 중 상기 3D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확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가감하고, 상기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하여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위치가 이동된 후에도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모든 영역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축소하는 제어부 및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또는 그 동작방법은 3D 영상이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나 사용자의 시청 공간, 시청 거리 등의 다양한 시청 환경을 고려하여 3D 영상의 깊이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인별 피로감이나 취향에 따라 3D 영상의 깊이감을 설정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깊이감을 제어하는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좌우 이동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아무런 영상도 표시되지 않는 현상 또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부의 바깥으로 벗어나 일부 영상 신호가 소실되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 도 4는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영상신호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감이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등의 깊이감이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와 원격제어장치를 예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경우, 영상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시스템을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국(210)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네트워크 서버(22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20)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네트워크 서버(220)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2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230)는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외부장치(23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30)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및 외부장치(230)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직접 재생하는 외에도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신호 수신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음향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방송국(도 1의 210 참조) 등으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수신된 RF 방송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수신되는 RF 방송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80)에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목록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선택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네트워크 서버(도 1의 220 참조)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영상표시장치(100)를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영상 또는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은 LAN을 통하여 연결되는 방송형 통신망, 공중전화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외부장치(도 1의 230 참조)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A/V 입출력부 또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연결된 외부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장치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서, 이더넷(Ethernet)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외부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용 셋탑 박스인 경우,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 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 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와,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는 좌표산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RF 모듈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IR 통신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부의 좌표산출부는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다. 좌표산출부는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한 후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포인터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출력된다.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또는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를 산출하여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등에 대한 수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영상신호와 관련된 음성신호,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방송신호에 기초한 동영상을 재생중인 영상표시장치(100)로 동영상 저장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된 동영상 저장명령에 대응하여 저장부(150)에 재생중인 동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된 동영상 재생명령이 입력될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신호 및 영상신호와 관련된 음성신호, 데이터신호를 참조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참조한 신호에 기초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다른 종류의 제어명령 입력수단이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된 로컬키를 통하여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명령 또는 로컬키 조작에 대응하는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소정 채널 선택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선택한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가 방송신호 수신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방송신호 수신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선택한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향 출력부(185)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성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데이터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관련된 데이터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영상신호의 포맷 등을 판별하고, 그 포맷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영상신호와 관련된 데이터신호로부터 해당 영상신호를 기초로 생성되는 영상과 관련되는 OSD(On Screen Display)를 표시할 수 있는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에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거나 영상표시장치(100)로 영상표시장치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다른 종류의 제어명령 입력수단을 통하여 다른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방송신호 대신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메라 또는 캠코더 영상신호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외부장치 입출력부(130)의 USB 입력부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성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7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2D 또는 3D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생성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입체적으로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의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생성된 구동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 및 디스플레이부(180)는 3D 디스플레이(3D display)를 수행할 수 있다.
3D 디스플레이는, 3D 영상을 사용자가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보조 장치 없이 디스플레이에서 단독으로 3D 영상이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이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추가 장치(ex)편광안경)가 없어도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는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이 있을 수 있다.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으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방식, 안경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안경 방식에서 사용되는 안경으로는 편광 안경, 셔터 글래스, 스펙트럼 필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됨으로써 출력 장치는 물론 입력 장치로도 기능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85)는, 영상/음성 처리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향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제어부(170)의 내부 블록도이다.
제어부(170)는 복조부(171), 역다중화부(172), 디코더부(173), OSD 생성부(174), 포맷터(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조부(171)는 방송신호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로 복조부(171)는 방송신호 수신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17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71)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71)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171)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조부(17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역다중화부(172)로 입력될 수 있다.
역다중화부(172)는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일예로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데이터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172)로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복조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역다중화된 데이터신호는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일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명칭,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코더부(173)는 역다중화된 신호를 복호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코더부(173)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는 비디오 디코더(173a)와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스케일러(173b)를 포함할 수 있다.
OSD 생성부(174)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오브젝트가 OSD로 표시되도록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OSD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OSD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SD 생성부(174)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재생되고 있거나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의 재생시점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OSD 생성부(174)는 추출한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3D 오브젝트가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OSD 신호를 생성하여 포맷터(175)로 출력할 수 있다.
포맷터(175)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포맷을 영상신호와 관련된 데이터신호를 참조하여 판별할 수 있다. 포맷터(175)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포맷터(175)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소정 포맷에 따른 3D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3D 영상신호는 좌안 영상 신호 및/또는 우안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사용될 수 있는데, 좌안 영상 신호는 좌안 영상을, 우안 영상 신호는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일 수 있다. 포맷터(175)는 생성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생성한 3D 영상신호에 기초한 3D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100)는 OSD 생성부(174)에서 생성한 OSD 신호에 따라 OSD를 3D 오브젝트로 표시할 수 있다. 포맷터(175)는 3D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 일예로 3D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OSD 생성부(173)에서 생성한 OSD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는 포맷의 3D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별도로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구비하고 있는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코더부(173) 및 OSD 생성부(17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영상신호와 믹싱할 수 있는 믹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믹서는 디코더부(173)와 OSD 생성부(17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믹싱하기 위하여 포맷터(175)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영상신호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3D 영상신호 포맷은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생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배치하는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3D 영상은 복수시점 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시점 영상을 좌안과 우안을 통하여 볼 수 있다. 사용자는 좌안과 우안을 통하여 감지되는 영상의 차이를 통하여 3D 영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3D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복수시점 영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좌안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좌안 영상 및 우안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우안 영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좌,우로 배치되는 방식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이라 지칭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상,하로 배치하는 방식은 탑 다운(Top / Down) 포맷이라 칭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분할로 배치하는 방식은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이라 칭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라인 별로 혼합하는 방식을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이라 칭한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박스별로 혼합하는 방식을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이라 칭한다.
외부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가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3D 영상신호일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 관련 정보를 나타내거나 영상표시장치(100) 관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생성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영상신호는 3D 영상신호일 수 있다. 포맷터(175)는 외부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신호에 포함된 3D 영상신호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3D 영상신호를 믹싱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포맷터(175)는 믹싱된 3D 영상신호의 포맷을 관련된 데이터신호를 참조하여 판별할 수 있다. 포맷터(175)는 판별한 포맷에 적합하도록 3D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될 수 있는 3D 영상신호 포맷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 포맷터(175)는 수신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될 수 있는 3D 영상신호 포맷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할 수 있다.
OSD 생성부(174)는 OSD(On Screen Display)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SD 생성부(174)는 영상신호와 데이터신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원격제어장치나 다른 종류의 제어명령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이나 텍스트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174)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그래픽이나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OSD 신호는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 및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될 수 있다.
OSD 신호는 그래픽 또는 텍스트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생성된 신호로서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OSD 생성부(174)는 OSD 신호를 2D 영상신호 또는 3D 영상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OSD 생성부(174)에서 생성한 OSD 신호는 포맷터(175)에서 다른 영상신호와 믹싱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3D 영상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OSD 생성부(174)에서 생성한 OSD 신호에 따라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오브젝트는 볼륨 조절 버튼, 채널 조절 버튼, 영상표시장치 제어메뉴, 아이콘, 네비게이션 탭, 스크롤 바, 프로그래시브 바, 텍스트 박스, 윈도우 중 하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가 표시한 오브젝트를 통해,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관한 정보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표시하고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3D 오브젝트는, 입체감을 가지도록 입체효과가 적용된 오브젝트이다. 3D 오브젝트는 PIP 영상,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EPG, 영상표시장치의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등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 또는 영상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3D 오브젝트의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한다.
제어부(170) 또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된 스케일러 등 영상 처리를 위한 모듈은 도 5의 (a)와 같이 3D 영상 신호 또는 3D 영상 신호 내의 3D 오브젝트(510)를 일정 비율로 전체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513)할 수 있다. 이는 스케일러나 제어부 등 영상 처리의 일반적인 기능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일정 각도로 회전되거나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진 영상을 표현하기 위해 화면을 사다리꼴 또는 평행사변형 등의 다각형으로 생성 또는 변형할 수 있다. 기울어지거나 회전된 화면의 표시를 위해 평행사변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처리된 영상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만일 제어부 내에서 3D 영상 신호 또는 osd에 해당되는 3D 오브젝트 등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로 해당 3D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3D 오브젝트를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다리꼴(516) 형상 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행사변형(519) 형상의 영상으로 생성한다.
방송국(도 1의 210 참조), 네트워크 서버(도 1의 230 참조) 또는 외부입력장치(도 1의 230 참조)로부터 수신된 영상, 또는 제어부(170)가 생성한 OSD와 같은 3D 오브젝트 또는 3D 영상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경우는 물론, 도 5의 (b) 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516) 또는 평행사변형(519)의 형상을 가지도록 3D 영상 신호 등이 생성 또는 처리되어 있는 경우, 3D 영상 신호 또는 3D 영상 신호 내의 3D 오브젝트에 입체감 즉, 3D 효과(3-dimensional effect)가 보다 강조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사용자에게 체감되는 영상의 입체감을 보다 다양화 및 극대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의 형상에 따라 영상에 가해지는 기울기(slope) 효과 또는 회전 효과는, 도 5의 (b)에 예시된 사다리꼴 형상(516)의 평행한 양변의 길이의 차, 또는 도 5의 (c)에 예시된 평행사변형(519)의 대각의 크기의 차를 가감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 내에서도 각 부분별로 다른 시차 간격이 적용됨으로써 틸팅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영상이 기울어지거나 회전된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하나의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 내에서도 깊이감이 큰 부분과 작은 부분이 공존하게 되는데, 이는 결국 한 벌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에 대해 시차 간격이 부분별로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어부(170) 내의 스케일러 또는 OSD 생성부 등에서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표시를 위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하나의 영상이 도 5에 도시된 형상으로 생성되면, 생성된 좌안 또는 우안 영상을 복사하여 나머지 하나의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한 벌의 양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3D 영상 신호 또는 3D 오브젝트의 스케일 조정은 앞서 설명한 제어부(170)의 포맷터(175)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3D 영상 신호 등은 좌안 영상신호, 우안 영상신호 또는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가 합쳐진 신호일 수 있다.
포맷터(17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2D 영상신호 또는 3D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3D 영상신호를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로 다시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를 도 5에 도시된 다양한 예들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스케일링하여, 도 4와 같은 소정 포맷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스케일링은 출력 포맷이 형성되기 전 또는 그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175)는, OSD 생성부(174)의 OSD 신호 또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와 믹싱된 OSD 신호를 입력받아, 3D 영상신호를 분리하고, 3D 영상신호를 복수 시점 영상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신호는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로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는 도 5과 같이 스케일링 처리되어 도 4에 도시된 소정 포맷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OSD 생성부(174)가 OSD 출력에 관하여 상술한 영상 신호 생성 과정 또는 스케일링 과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OSD 생성부(174)가 OSD에 대한 스케일링을 직접 수행하는 경우에는, 포맷터(175)는 OSD에 대한 스케일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OSD 생성부(174)는 OSD 신호를 생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OSD의 깊이나 기울기에 따라 OSD 신호를 스케일링하고, 더 나아가 적합한 포맷으로 OSD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OSD 생성부(174)에서 출력되는 OSD 신호의 포맷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 또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다양한 결합 포맷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출력 포맷은 포맷터(175)의 출력 포맷과 동일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감이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영상은 다시점 영상으로 구성되고, 여기서 다시점 영상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에 의해 사용자 입장에서 상이 맺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위치가 달라지는 모습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 또는 시차에 따라 사용자에게 느껴지는 영상의 입체감 또는 원근감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서는 각기 다른 깊이감을 가지는 복수의 영상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도시된다. 이들 오브젝트를 제1 오브젝트(615), 제2 오브젝트(625), 제3 오브젝트(635), 제4 오브젝트(645)라 지칭하도록 한다.
즉, 제1 오브젝트(615)는 제1 좌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좌안 영상과 제1 우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다. 즉,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는 제1 좌안 영상신호와 제1 우안 영상신호로 구성된다. 도 6은 제1 좌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좌안 영상과 제1 우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우안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어느 위치에 표시되는지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제1 좌안 영상과 제1 우안 영상 간의 간격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오브젝트의 설명은 제2 내지 제4 오브젝트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오브젝트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그리고 두 영상 간에 설정된 간격 및 해당 오브젝트의 일련번호를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오브젝트(615)는 제1 우안 영상(613, 도 6에 R1으로 표시됨)과 제1 좌안 영상(611, 도 6에 L1으로 표시됨)으로 구성된다. 제1 우안 영상(613)과 제1 좌안 영상(611) 사이의 간격은 d1으로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1 좌안 영상(611)을 연결하는 연장성 및 우안(603)과 제1 우안 영상(60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오브젝트(615)가 디스플레이부(180)보다 뒤에 위치하는 것처럼 인식한다.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디스플레이부(180)와 제1 오브젝트(615) 사이의 거리는 깊이로 표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80)보다 뒤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3D 오브젝트가 가지는 깊이는 음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제1 오브젝트(615)가 가지는 깊이는 음의 값을 가진다.
제2 오브젝트(625)는 제2 우안 영상(623, R2로 표시됨)과 제2 좌안 영상(621, L2로 표시됨)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우안 영상(623)과 제2 좌안 영상(621)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동일한 위치에 표시된다. 제2 우안 영상(623)과 제2 좌안 영상(621) 사이의 간격은 0이다.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2 좌안 영상(62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사용자의 우안(603)과 제2 우안 영상(62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오브젝트(62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것처럼 인식한다. 이 경우 제2 오브젝트(625)는 2D 오브젝트라 지칭될 수 있으며, 3D 오브젝트라 지칭될 수 있다. 제2 오브젝트(625)는 디스플레이부(180)와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오브젝트로서, 제2 오브젝트(625)가 가지는 깊이는 0이 된다.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는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3D 오브젝트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들이다. 더 나아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원근감이나 입체감의 정도가 달라짐을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3 오브젝트(635)는 제3 우안 영상(633, R3로 표시됨)과 제3 좌안 영상(631, L3로 표시됨)으로 구성된다. 제3 우안 영상(633)과 제3 좌안 영상(631) 사이의 간격은 d3으로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3 좌안 영상(63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603)과 제3 우안 영상(633)의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3 오브젝트(625)가 디스플레이부(180)보다 앞쪽, 즉 사용자에게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인식한다. 즉 제3 오브젝트(635)는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80)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3D 오브젝트가 가지는 깊이는 양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제3 오브젝트(635)의 깊이는 양의 값을 가진다.
제4 오브젝트(645)는 제4 우안 영상(643, R4로 표시됨)과 제4 좌안 영상(641, L4로 표시됨)으로 구성된다. 제4 우안 영상(643)과 제4 좌안 영상(641) 사이의 간격은 d4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d3와 d4 간에는 'd3<d4'의 부등식이 성립된다.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4 좌안 영상(64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603)과 제4 우안 영상(643)의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4 오브젝트(645)는 디스플레이부(180)보다 앞쪽, 즉 사용자에게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것은 물론, 제3 오브젝트(635)보다도 사용자에게 더 가깝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즉 제4 오브젝트(645)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제3오브젝트(635)보다 사용자를 향하여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제4 오브젝트(645)가 가지는 깊이 양의 값을 가지게 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180)보다 뒤에 위치하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거나 앞에 위치하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오브젝트의 깊이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한 설명에 따르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좌우 표시위치에 따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오브젝트의 깊이가 양의 값(+)을 가지는지 혹은 음의 값(-)을 가지는지 결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깊이가 양의 값(+)을 가지는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부(180)보다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오브젝트이다. 또한, 깊이가 음의 값(-)을 가지는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부(180)보다 후퇴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오브젝트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의 절대값에 따라 오브젝트의 깊이감, 즉 3D 영상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지점과 디스플레이부(18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짐을 설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의 깊이감이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에 따라 동일한 영상 또는 동일한 3D 오브젝트의 깊이감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80)의 깊이는 0으로 설정한다. 디스플레이부(180)보다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영상의 깊이는 양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설정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은 a이다. 도 7의 (b)에 도시된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은 b이다. 여기서 aa보다 b가 크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예보다 도 7의 (b)에 도시된 예에서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이 더 넓다.
이 경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7의 (a)에 도시된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감보다 도 7의 (b)에 도시된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감이 더 크다. 각각의 경우 깊이감을 수치화하고, 이를 각각 a', b'라 표시하는 경우, a<b의 관계에 따라 a'<b'의 관계도 성립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돌출되어 보이는 3D 영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힘에 따라, 표현되는 깊이감이 더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와 원격제어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전송한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파워 온/오프,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판별하여 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거나, 그 신호에 포함된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에 대응하는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를 공간리모콘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리모콘 이외에도 일반적인 유/무선 마우스나 에어 마우스 또는 각종 포인팅 수단이나 다양한 형태(반지, 팔찌, 골무 등)의 원격 조정기 등이 원격제어장치(200)에 해당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원격 제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200)의 하나로 공간리모콘(201)을 예시하고 있으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은 공간리모콘(20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는 공간리모콘(201)에 대응하는 포인터(202)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2)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도 9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202)가 움직이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예에서,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을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2)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관련하여 공간리모콘(201)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2)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2)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리모콘(201)의 상하, 좌우 또는 회전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2)가 이동할 수 있다. 포인터(202)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공간리모콘(201)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의 상술한 일련의 동작 또는 기능을 위해, 공간리모콘(201)은 원격제어 무선통신부, 사용자 입력부, 센서부, 원격제어신호 출력부, 전원공급부, 원격제어정보 저장부, 원격 제어부 등의 하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간리모콘의 원격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 및/또는 센싱부로부터 감지된 정보 또는 신호를 처리하여 원격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원격 제어 신호는 예컨대 사용자 입력부에 해당되는 키패드나 버튼의 어느 부분에 압력이나 터치가 가해졌는지, 압력이나 터치가 지속된 시간 등에 대한 정보와, 센싱부를 통해 공간리모콘이 이동 또는 회전한 좌표 또는 각도 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원격제어신호는 원격제어 무선통신부를 통해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보다 상세히는, 원격제어 무선통신부를 통해 출력된 원격제어신호는 영상표시장치의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로 입력된다. 그리고 원격제어 무선통신부는 영상표시장치가 전송하는 유/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정보 저장부는 영상표시장치나 공간리모콘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예컨대, 영상표시장치와 공간리모콘 간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되었던 주파수 대역을 원격제어정보 저장부가 저장하여, 그 담의 통신 시에 주파수 대역에 관한 원격제어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밖에 전원공급부는 공간리모콘의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전력 등을 공급하는 모듈이다. 일 예에 따르면, 전원공급부는 센싱부에 의해 감지된 공간리모콘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 원격제어 제어부가 일시적으로 전원 공급을 중단하거나 재개할 것을 명령하는 신호를 출력하면,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 여부를 달리함으로써, 공간리모콘이 사용되지 않거나 동작하지 않는 동안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부에 일정 압력이나 터치 등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공간리모콘의 움직임만으로 소정 명령이 입력 또는 생성될 수 있다. 일예로, 공간리모콘(201)의 앞뒤로 움직일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리모콘에 관한 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영상표시장치는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3D 영상신호를 입력받는다(S1010). 3D 영상의 표시를 위한 3D 영상 신호는, 방송신호 수신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 또는 저장부(150) 등으로부터 수신 또는 입력될 수 있다.
3D 영상신호는 복수시점 영상일 수 있으며, 복수시점 영상은 예컨대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포함한다. 즉 3D 영상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3D 영상의 깊이감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시차 간격에 따라 가감된다.
제어부(170)는 3D 영상의 깊이감을 조절하기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가감한다(S1020). 즉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처럼 표시되는 3D 영상의 경우, 깊이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이 좁아져야 한다. 따라서 돌출된 것처럼 보이는 3D 영상, 즉 0보다 큰 깊이값을 가지는 3D 영상의 경우에는 특히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이 좁아질수록 깊이감이 감소한다. 따라서 좌안 영상은 원래 표시된 위치에 비해 왼쪽으로, 우안 영상은 원래 표시된 위치에 비해 오른쪽으로 표시하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돌출된 것처럼 보여지는 3D 영상의 시차 간격 및 깊이감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시차 간격은 화면의 크기와 시청 공간의 크기, 즉 사용자로부터 영상표시장치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가감된다. 즉 최초에 생성된 3D 영상의 크기와 그 3D 영상이 실제로 재생되는 화면의 크기가 다른 경우, 또는 넓은 시청 공간에서 재생하기 위하여 생성된 3D 영상이 좁은 공간 내에 있는 영상표시장치에서 재생되는 경우에 깊이감의 조절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시차 간격이 조절된다.
예컨대 영화 상영을 목적으로 제작한 3D 영상을 사용자가 가정용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크기, 설치 공간의 규모, 실 시청 거리가 다양해지므로 각각의 환경에 적합한 깊이감 역시 모두 달라진다.
만약 50" 화면에 최적화되어 되어 있는 3D 영상이 60" 화면에서 재생되는 경우 50" 화면에서 재생될 때보다 깊이감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50" 화면에서 최정화된 3D 영상을 60" 화면에서 재생하는 경우, 평소보다 더 먼 거리에서 3D 영상을 시청하여야 적정 깊이감을 느낄 수 있다. 반대로, 50"의 화면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가 60"의 화면을 재생할 수 있는 공간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적정 깊이감을 느끼려면 평소보다 영상표시장치에 더 가까이서 3D 영상을 시청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환경에서 3D 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최적의 깊이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시청 환경의 변화에 따른 보완책이 필요하다.
그런데 시차 간격의 조정을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 위치가 변경되면,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아무 영상도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 위치가 각각 좌우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80)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에 아무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밖으로 벗어나서 표시되지 못하고 소실되는 영역이 생기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80) 상에서 아무 영상도 표시되지 않는 영역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기 전이나 그 후에, 각 영상을 확대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화면에서 빈 공간이 생기지 않을만큼 영상을 확대하면, 디스플레이부(180)의 모든 영역에 3D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위치 이동이 있더라도 소실되는 부분이 없도록 하려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 위치가 이동한 후에도 각 영상의 모든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내에 들어올만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축소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3D 영상의 크기가 작아질 수는 있으나, 화면 밖으로 벗어남으로 인하여 잘리는 부분 없이 영상의 모든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이 가감을 위해 각 영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킴과 함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같은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S1030).
물론, 영상의 확대 또는 축소하는 단계와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한 영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간에는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각 단계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 의하여 시차 간격 및 영상의 크기가 조절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S1040).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면의 크기 및/또는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고려하여 3D 영상의 깊이감을 제어한다. 그리고 깊이감의 제어를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시차 간격을 가감한다. 따라서 현재 영상표시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한 곳까지의 거리에 대한 정보가 깊이감 제어에 필요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까지의 거리 파악을 위해, 영상표시장치에는 위치 센서와 같은 센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센서가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면, 제어부(170)가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S1110).
한편, 사용자의 영상표시장치가 위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파악하고, 파악된 시청 거리에 따라 깊이감을 제어하는 방법도 가능하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3D 영상의 깊이감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깊이감 설정을 위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현재 시청 공간에 따른 시청 거리나 본인의 취향, 피로도 등에 따라 깊이감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을 이용하여 깊이감 설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깊이감 설정 신호는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와 같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영상표시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거리를 파악하거나, 시청 거리에 따라 가감할 시차 간격을 산출한 필요 없이, 사용자가 깊이감 설정 신호에 따라 설정한 깊이감으로 3D 영상 신호를 처리하면 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사용자 시청 거리가 파악되면 제어부(170)는 재생하고자 하는 3D 영상에 최적화된 거리, 즉 적정 시청 거리와 사용자의 실제 위치에 따른 사용자 시청 거리를 비교한다(S1120). 비교 결과, 적정 시청 거리보다 사용자 시청 거리가 멀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에게 체감되는 적정 깊이감을 유지하기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시차 간격을 넓힌다(S1130). 적정 시청 거리와 사용자 시청 거리가 상이한 경우, 사용자가 적정 시청 거리에 맞게 위치를 스스로 이동하는 방법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와 그 동작 방법의 깊이감 제어 방안은 사용자의 이동 반경이 시청 공간의 크기 등에 의하여 제한되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이 적정 깊이감에 맞게 가감되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 위치 이동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아무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나 영상 정보가 소실되는 부분이 생기는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S1140).
만일 적정 시청 거리와 사용자 시청 거리를 비교한 결과 적정 시청 거리보다 사용자 시청 거리가 가까운 경우(S1150), 적정 시청 거리보다 가까이서 3D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에게는 3D 영상의 깊이감이 과도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영상표시장치는 3D 영상의 깊이감을 줄이면 사용자의 현재 시청 환경에서 최적의 깊이감을 가지는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3D 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어부(170)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줄인다(S1160). 물론 상술한 같은 방법이 적용되는 경우는 재생되는 3D 영상이 사용자에게 돌출된 것처럼 보이는 영상 즉 (+)의 깊이값을 가지는 3D 영상인 경우를 가정한다.
제어부(170)는 3D 영상의 깊이감 제어와 크기 제어가 완료되면,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18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3D 영상을 표시한다(S1170).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도, 영상표시장치는 3D 영상의 재생을 위한 3D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3D 영상 신호와 함께, 해당 3D 영상의 재생에 최적화된 화면 크기에 대한 정보를 함께 입력받는다(S1210). 최적화된 화면 크기 정보는, 3D 영상이 실제로 재생되는 화면의 크기가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와 상이한 경우 깊이감의 조절 시 화면 크기를 고려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3D 영상의 최적화된 화면 크기 정보는 영상의 픽셀수로부터 산출하거나, 이 밖의 다양한 방법으로 파악될 수 있다. 여기서는 최적화된 화면 크기 정보가 3D 영상 신호와 함께 메타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최적화된 화면 크기 정보는, 예컨대 해당 3D 영상 신호가 영화관에서 재생될 3D 영상을 위해 제작된 것인지, PDP 등의 휴대용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재생될 3D 영상을 위해 제작된 것인지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최적화된 화면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3D 영상의 재생에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와 3D 영상이 실제로 표시될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의 크기가 상이한지를 판단하여(S1220), 상이한 경우 그 차이를 고려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시차 간격을 가감한다(S1230).
제어부(170)는 시차 간격을 가감하기 위해,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표시될 위치를 좌우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만일 사용자 쪽으로 돌출되어 보이도록 표시되는 3D 영상의 경우 좌안 영상을 우측으로, 우안 영상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늘리고 깊이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좌안 영상을 좌측으로, 우안 영상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줄이고, 깊이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위치만 이동하는 경우에도 시차 간격 제어는 가능하다.
화면의 크기에 따라 시차 간격은 다음과 같이 가감된다. 예컨대 최적화된 화면 크기보다 3D 영상이 실제 표시될 화면의 크기가 작은 경우, 3D 영상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면 동일한 시청 거리를 유지했을 때 사용자에게 체감되는 깊이감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늘려서 깊이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최적화된 화면 크기보다 3D 영상이 실제 표시될 화면의 크기가 큰 경우, 3D 영상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면 동일한 시청 거리를 유지했을 때 사용자에게 체감되는 깊이감이 과도하게 커지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다소 좁힘으로써, 깊이감을 적절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차 간격을 조정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는 아무 영상도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거나, 또는 좌안 영상의 일부 영역과 우안 영상의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밖으로 벗어나 영상 정보가 소실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240).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영역에 아무 영상도 표시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영상 정보가 소실되는 현상을 막고자 한다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경우, 영상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는 시차 간격 조절 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확대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80)에 빈 영역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방안과 관련된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는 시차 간격 조절 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축소함으로써 영상이 소실되는 영역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방안과 관련된다.
도 13의 (a)와 (b)는 화면 내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없애기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조절한 후에, 각각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의 (a)는 좌안 영상의 처리 과정을, 도 13의 (b)는 우안 영상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3D 영상을 재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좌안 영상(1310)이 표시된다. 시차 간격의 조절을 위해 좌안 영상(1310)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하도록 한다. 시차 간격의 조절을 위해 좌안 영상(1310)이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1314)이 발생하고, 좌안 영상 중에는 디스플레이부(180) 밖으로 벗어남으로 인해 영상신호가 소실되는 영역(1312)이 발생한다. 도 13의 (a)에 도시된 경우처럼 좌안 영상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좌안 영상의 좌측 일부 영역에 대한 영상 신호가 소실되고, 디스플레이부(180)의 우측 일부 영역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1314)이 발생하게 된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3D 영상의 재생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80)는 좌안 영상(1310)과 함께, 우안 영상(1320)도 표시한다. 시차 간격의 조절을 위해 우안 영상(1320)의 표시 위치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시차 간격의 조절을 위해 우안 영상(1320)이 이동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1324)이 발생하고, 우안 영상 중에는 디스플레이부(180) 밖으로 벗어남으로 인해 영상신호가 소실되는 영역(1322)이 발생한다.
또한 도 13의 (b)에 도시된 경우처럼 우안 영상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우안 영상의 우측 일부 영역에 대한 영상 신호가 소실되고, 디스플레이부(180)의 좌측 일부 영역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1324)이 발생하게 된다.
이 중에서,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1314, 1324)이 발생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제어부(170)는 좌안 영상(1310) 및 우안 영상(1320)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여기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영상 신호 처리 과정이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영상 신호 처리 과정은 제어부(170)의 스케일러(173b)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확대된 좌안 영상(1316) 또는 확대된 우안 영상(1326)의 크기는 시차 간격 가감을 위해 각 영상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도, 확대된 좌안 영상(1316) 또는 확대된 우안 영상(1326)이 각각 디스플레이부(180)의 모든 영역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영상의 확대율이 커질수록, 디스플레이부(180) 밖으로 벗어나 영상 신호가 소실되는 부분은 많아진다.
도 14의 (a)와 (b)는 화면 내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없애기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확대한 후에 확대된 좌안 영상과 확대된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조절하여 깊이감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도 14의 (a)는 좌안 영상의 처리 과정을, 도 14의 (b)는 우안 영상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좌안 영상(1310)과 우안 영상(1320)이 표시되는데, 제어부(170)는 우선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각 영상을 확대한다. 그리고 확대된 좌안 영상(1410) 및 확대된 우안 영상(1420)을 대상으로 시차 간격을 가감한다. 각 영상의 확대율은 원본이 되는 좌안 영상(1310) 및 우안 영상(1320)의 크기 및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해 각 영상의 표시 위치가 이동하게 될 거리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도, 시차 간격의 조절을 위해 확대된 좌안 영상(1410)은 좌측으로, 확대된 우안 영상(1420)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 각 영상에서 영상 신호가 소실되는 영역(1412, 1422)이 발생하게 되나, 디스플레이부(180)에 아무 영상도 표시되지 않는 영역은 생기지 않는다.
도 15의 (a)와 (b)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표시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각 영상의 일부 영역이 소실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조절한 후에, 각각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의 (a)는 좌안 영상의 처리 과정을, 도 15의 (b)는 우안 영상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앞에서 좌안 영상(1310)과 우안 영상(1320)의 크기를 확대하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좌안 영상(1310)과 우안 영상(1320)의 크기 축소, 그리고 표시 위치 변경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 과정은 제어부(170)의 스케일러(173b)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5의 (a)와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에는 3D 영상의 재생을 위해 좌안 영상(1310)과 우안 영상(1320)이 표시된다. 그리고 시차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제어부(170)는 좌안 영상(1310)은 좌측으로, 우안 영상(1310)은 우측으로 각 영상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것처럼 보이는 3D 영상, 즉 0보다 큰 깊이값을 가지는 3D 영상에 있어서, 깊이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좌안 영상(1310)과 우안 영상(1320) 간의 시차 간격을 좁히는 경우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해당된다. 물론 도 15에 도시된 바에 따른 영상의 표시 위치 이동은 예시에 불과하며, 각 영상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3D 영상의 깊이감을 제어하는 경우 역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좌안 영상(1310)과 우안 영상(1320)의 표시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좌안 영상(1310)의 좌측 일부 영역과 우안 영상(1320)의 우측 일부 영역에는 디스플레이부(180) 밖으로 벗어나서 표시되지 못하고 소실되는 영역(1510, 1520)이 발생한다. 따라서 깊이감 조절에 따라 영상의 가장자리가 잘리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어부(170)는 좌안 영상(1310)과 우안 영상(1320)이 표시될 위치를 이동시킨 후,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밖으로 벗어나는 부분이 없어지도록 각 영상을 일정 비율로 축소할 수 있다. 이 때, 영상을 필요 이상 축소하면 영상이 잘리는 문제는 해결되나, 디스플레이부(180) 내에 아무런 영상도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좌안 영상(1310)과 우안 영상(1320)이 축소되면 소실되는 영역(1510, 1520)까지 모두 디스플레이부(180)의 영역 내에 포함되므로, 좌안 영상(1310)과 우안 영상(1320)의 표시 위치 이동가 이동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상의 가장자리가 잘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축소된 좌안 영상(1515)과 축소된 우안 영상(1525)이 디스플레이부(180)에 최종적으로 표시된다.
도 16의 (a)와 (b)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표시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각 영상의 일부 영역이 소실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조절한 후에, 각각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축소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의 (a)는 좌안 영상의 처리 과정을, 도 16의 (b)는 우안 영상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도 16의 (a)와 (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시차 간격을 가감하기 위해 좌안 영상(1310)과 우안 영상(1320)의 위치를 이동시킬 것을 고려하여 미리 좌안 영상(1310)과 우안 영상(1320)의 크기를 축소한다. 제어부(170)는, 좌안 영상(1310)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좌안 영상(1310)의 좌측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부(180)의 바깥으로 벗어나지 않을만큼 좌안 영상(1310)을 축소한 후에 표시 위치를 변경한다. 즉, 제어부(170)는 축소된 좌안 영상(1610)의 표시 위치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우안 영상(1320)의 경우에도,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해 우안 영상(1320)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우안 영상(1320)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이 우안 영상(1320)의 이동 후에도 디스플레이부(180)의 바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부(170)는 우안 영상(1320)이 우측으로 이동할 거리를 고려하여 우안 영상(1320)을 축소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축소된 우안 영상(1620)의 표시 위치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축소 후 이동된 우안 영상(1625)과 축소 후 이동된 좌안 영상(1615)과의 시차 간격은 영상이 소실되는 부분 없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에 소실되는 영역(1510, 1520) 없이 3D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아무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소 및 이동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수직 방향으로만 확대하는 방안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는 1)영상의 크기 축소, 2)영상의 표시 위치 이동 및 3) 수직 방향으로의 확대를 포함하는 세 가지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물론 전술한 세 가지 신호 처리 과정에 순서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시차 간격 조절을 위한 영상의 표시 위치가 변경되는 거리 및 축소 전과 후의 영상의 크기 정보를 기초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축소 및/또는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영상표시장치
110 : 방송신호 수신부
12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0 : 외부장치 입출력부
140 :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
150 : 저장부
170 : 제어부
180 : 디스플레이부
185 : 음향출력부
200 : 원격제어장치
210 : 방송국
220 : 네트워크 서버

Claims (20)

  1.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3D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단계;
    상기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하여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화면 중 상기 3D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확대하는 단계; 및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기 위해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위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청 거리에 따라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에 대한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와 상기 3D 영상이 실제로 표시될 화면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와 상기 3D 영상이 실제로 표시될 화면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에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한 사용자 신호인 깊이감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깊이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6.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3D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단계;
    상기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하여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위치가 이동된 후에도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모든 영역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과 상기 3D 영상의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이 동일하도록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확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위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청 거리에 따라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에 대한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와 상기 3D 영상이 실제로 표시될 화면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와 상기 3D 영상이 실제로 표시될 화면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에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한 사용자 신호인 깊이감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깊이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11.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가감하고, 상기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하여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화면 중 상기 3D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확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기 위해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시청 거리에 따라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영상에 대한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와 상기 3D 영상이 실제로 표시될 화면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와 상기 3D 영상이 실제로 표시될 화면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에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한 사용자 신호인 깊이감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깊이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간의 시차 간격을 가감하고, 상기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하여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위치가 이동된 후에도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의 모든 영역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축소하는 제어부; 및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과 상기 3D 영상의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 중 하나 이상이 동일하도록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을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감지하고, 상기 시청 거리에 따라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영상에 대한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와 상기 3D 영상이 실제로 표시될 화면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최적화된 화면의 크기와 상기 3D 영상이 실제로 표시될 화면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에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시차 간격의 가감을 위한 사용자 신호인 깊이감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깊이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시차 간격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00051825A 2010-06-01 2010-06-01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8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825A KR101685343B1 (ko) 2010-06-01 2010-06-01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3/149,360 US20110292190A1 (en) 2010-06-01 2011-05-3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1168219.1A EP2393300A3 (en) 2010-06-01 2011-05-3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1102048711A CN102271275A (zh) 2010-06-01 2011-06-01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825A KR101685343B1 (ko) 2010-06-01 2010-06-01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036A true KR20110132036A (ko) 2011-12-07
KR101685343B1 KR101685343B1 (ko) 2016-12-12

Family

ID=4452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825A KR101685343B1 (ko) 2010-06-01 2010-06-01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92190A1 (ko)
EP (1) EP2393300A3 (ko)
KR (1) KR101685343B1 (ko)
CN (1) CN1022712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5766B1 (en) * 2010-06-14 2016-03-23 Nintendo Co., Ltd.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stereoscopic image display program,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KR101901927B1 (ko) 2010-09-28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1877802B1 (ko) * 2011-06-30 2018-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의 영상 확대 장치 및 방법
KR20130013248A (ko) * 2011-07-27 201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영상 재생 기기 및 그 3d 영상 제어 방법
BR112014003661A2 (pt) * 2011-08-30 2017-03-21 Ericsson Telefon Ab L M ajuste de lado receptor de imagens estereoscópicas
JP5978592B2 (ja) * 2011-10-26 2016-08-24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978760B1 (ko) * 2011-12-13 2019-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WO2013153523A2 (en) * 2012-04-13 2013-10-17 Koninklijke Philips N.V. Depth signaling data
CN102752621A (zh) * 2012-06-26 2012-10-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景深保持装置、3d显示装置及显示方法
CN102842301B (zh) * 2012-08-21 2015-05-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画面调节装置、显示装置及显示方法
US10178368B2 (en) * 2012-10-23 2019-01-08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tereo imaging system with automatic disparity adjustment for displaying close range objects
EP2914003A4 (en) * 2012-10-25 2016-1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N EDGE-BROADENING PHENOMENA IN A MULTI-VIEW 3DTV SERVICE
CN103974005A (zh) * 2013-01-25 2014-08-06 冠捷投资有限公司 3d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250821B1 (ko) * 2014-08-20 2021-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동작 방법
CN105867597B (zh) * 2014-12-31 2020-01-10 深圳超多维科技有限公司 3d交互方法及3d显示设备
CN105872528B (zh) * 2014-12-31 2019-01-15 深圳超多维科技有限公司 3d显示方法、装置及3d显示设备
CN108139592B (zh) * 2015-01-28 2021-06-08 奈克斯特Vr股份有限公司 缩放相关的方法和装置
CN106210706A (zh) * 2015-05-08 2016-12-07 深圳市立鼎光电技术有限公司 在led显示屏上实现3d显示的系统
US11449004B2 (en) 2020-05-21 2022-09-20 Looking Glass Factory, Inc. System and method for holographic image display
US11415935B2 (en) 2020-06-23 2022-08-16 Looking Glass Factory, Inc. System and method for holographic communication
US11388388B2 (en) 2020-12-01 2022-07-12 Looking Glass Factor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ree dimensional imag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429A (ja) * 1995-05-23 1996-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立体電子ズーム装置及び立体画質制御装置
JP2006084963A (ja) * 2004-09-17 2006-03-30 Seiko Epson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EP1662809A1 (en) * 2003-08-26 2006-05-31 Sharp Kabushiki Kaisha 3-dimensional video reproduction device and 3-dimensional video reproduction method
WO2010058354A1 (en) * 2008-11-24 2010-05-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3d video reproduction matching the output format to the 3d processing ability of a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4859B1 (en) * 1995-03-29 2002-05-07 Sanyo Electric Co., Ltd. Methods for creating an image for a three-dimensional display, for calculating depth information and for image processing using the depth information
AU2002355052A1 (en) * 2002-11-28 2004-06-18 Seijiro Tomita Three-dimensional image signal producing circuit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US7417664B2 (en) * 2003-03-20 2008-08-26 Seijiro Tomita Stereoscopic image picking up and display system based upon optical axes cross-point information
WO2004093467A1 (ja) * 2003-04-17 2004-10-28 Sharp Kabushiki Kaisha 3次元画像作成装置、3次元画像再生装置、3次元画像処理装置、3次元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1617370B1 (en) * 2004-07-15 2013-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at transformation
DE602005022460D1 (de) * 2004-08-30 2010-09-02 Commw Scient Ind Res Org Verfahren zur automatischen 3D-Bildgebung
KR100739730B1 (ko) * 2005-09-03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185870B1 (ko) * 2005-10-12 2012-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7679641B2 (en) * 2006-04-07 2010-03-16 Real D Vertical surround parallax correction
KR101345303B1 (ko) * 2007-03-29 2013-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
JP5278322B2 (ja) 2007-07-31 2013-09-04 ライオン株式会社 毛髪洗浄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429A (ja) * 1995-05-23 1996-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立体電子ズーム装置及び立体画質制御装置
EP1662809A1 (en) * 2003-08-26 2006-05-31 Sharp Kabushiki Kaisha 3-dimensional video reproduction device and 3-dimensional video reproduction method
JP2006084963A (ja) * 2004-09-17 2006-03-30 Seiko Epson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WO2010058354A1 (en) * 2008-11-24 2010-05-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3d video reproduction matching the output format to the 3d processing ability of a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92190A1 (en) 2011-12-01
EP2393300A3 (en) 2014-04-09
CN102271275A (zh) 2011-12-07
KR101685343B1 (ko) 2016-12-12
EP2393300A2 (en)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34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8896672B2 (e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an item or user interfa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9973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셔터 글래스의 동작 제어방법
US20110227911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05277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116525A (ko) 3d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영상표시장치, 그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02949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1005230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61956B1 (ko) 음향 설정에 대응하는 3d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655804B1 (ko)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9064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2631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13095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99740B1 (ko) 2d/3d 변환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와 그 동작제어방법
KR10173560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2781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9878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12853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1617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68245B1 (ko)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0296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3854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57560B1 (ko) 3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채널 편집윈도우를 제공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13867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10670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