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760B1 -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760B1
KR101978760B1 KR1020110133818A KR20110133818A KR101978760B1 KR 101978760 B1 KR101978760 B1 KR 101978760B1 KR 1020110133818 A KR1020110133818 A KR 1020110133818A KR 20110133818 A KR20110133818 A KR 20110133818A KR 101978760 B1 KR101978760 B1 KR 101978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rallax
specific object
image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7005A (ko
Inventor
심정현
박현철
연수진
이연희
이용연
이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760B1/ko
Priority to EP12856789.8A priority patent/EP2791770B1/en
Priority to US13/689,181 priority patent/US9013476B2/en
Priority to PCT/KR2012/010208 priority patent/WO2013089368A1/en
Publication of KR2013006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005A/ko
Priority to US14/691,096 priority patent/US995513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 H04N2013/0081Depth or disparity estimation from stereoscopic imag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고,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그래픽 요소로써 오브젝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오브젝트의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오브젝트에 상기 결정된 깊이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IN DEVICE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이러한 조작의 결과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 이미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3D(3-Dimensional) TV 및 3D 단말기 등의 분야에서 3차원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3차원 이미지는 깊이감 있게 표시되는 이미지로써, 좌측 이미지와 우측 이미지로 구성된다. 두 눈이 약 65mm 정도 떨어져서 있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양안 시차는 깊이감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좌우의 눈은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게 되고, 두 이미지가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융합하여 이미지에 대해 깊이감을 느끼게 된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또한 최근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특히, 스마트폰)가 보급화 되고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해지고 많아지게 되면서, 휴대 단말기 안의 많은 콘텐츠와 어플리케이션을 쉽고 편리하게 접근하고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의 니즈(needs)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니즈를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직관적이고 빠르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수행되고,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그래픽 요소로써 오브젝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브젝트와 관련된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된 오브젝트의 깊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오브젝트에 상기 결정된 깊이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그래픽 요소인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오브젝트를 깊이감 있게 표시하는 3D 표시부; 및 상기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오브젝트의 깊이를 결정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상기 결정된 깊이를 부가하며, 상기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3D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기 안의 많은 콘텐츠와 어플리케이션을 쉽고 편리하게 접근하고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깊이 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차(Disparity)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오브젝트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는 용량 정보에 따른 오브젝트 깊이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른 오브젝트 깊이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오브젝트'는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3D 이미지의 구성 요소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오브젝트'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그래픽 요소이다. 이러한 오브젝트는 콘텐츠,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아이콘, 메뉴, 리스트, 폴더, 섬네일(thumbnail) 등이 될 수 있다. 즉 오브젝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단말기는 관련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좌측 눈이 보게 되는 좌측 오브젝트와 사용자의 우측 눈이 보게 되는 우측 오브젝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차(Disparity)'는 좌측 오브젝트와 우측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시차'는 크게, 교차 시차(Crossed Disparity), 제로 시차(Zero Disparity),및 비교차 시차(Uncrossed Disparity)로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차 시차는 임의의 기준면을 기준으로, 오브젝트의 상(像)이 기준면보다 앞쪽에 위치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시차를 의미한다. 비교차 시차는 오브젝트의 상이 기준면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시차를 의미한다. 제로 시차는 오브젝트의 상이 기준면에 위치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시차를 의미한다. 여기서, 기준면은 표시부의 화면과 사용자 사이의 가상의 면이 될 수도 있고 표시부의 화면 자체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는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 즉, 이미지를 공간상에 실제 있는 것처럼 원근감(깊이감)있게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특히,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독서 아이템 관리 방법 및 장치가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는 좌측 오브젝트와 우측 오브젝트 간의 시차(Disparity)를 조절하여 오브젝트의 깊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깊이는 상기 기준면을 XY 평면이라고 했을 때, Z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오브젝트가 상기 기준면에 위치하면 깊이는 '0'의 값을 가질 것이고 오브젝트가 상기 기준면보다 앞에 위치하면 깊이는 양의 값을 가질 것이며, 오브젝트가 상기 기준면보다 뒤에 위치하면 깊이는 음의 값을 가질 것이다. 사용자는 이러한 오브젝트의 깊이를 통해 속성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속성 정보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속성 정보는 카테고리 정보, 사용 빈도 정보, 용량 정보(byte), 하이퍼링크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빈도 정보는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빈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사용 빈도 정보는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 빈도가 될 수 있다. 또한 속성 정보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해당되는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가 별도로 입력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을 자주 사용하기 위해 마킹한 마킹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콘텐츠들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분류 정보가 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인 오브젝트의 깊이 조절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 따른 깊이 조절 기능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3D 표시부(130), 저장부(140), 무선통신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스피커(SPK), 마이크(MIC)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표시부(130)의 전면에 장착되고,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100)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이벤트로부터 사용자의 터치제스처를 감지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제스처는 터치(Touch),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프레스(Press),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및 스윕(Sweep)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즉, 드롭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프레스는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스윕은 튀기듯이, 손가락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킨 다음 떼는 조작을 의미한다. 여기서, 드래그는 스크롤이라고도 하며 스윕은 플릭(Flick)이라고도 한다. 제어부(170)는 이동 속도로 스윕과 드래그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10)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및 압력 방식(pressure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키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키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1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3D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이미지를 공간상에 실제 있는 것처럼 깊이감 있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3D 표시부(130)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131)와, 표시되는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깊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3D 구현부(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131)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31)는 휴대 단말기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메뉴 화면, 키패드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인터넷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부(130)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특정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되는 영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표시부(131)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오브젝트는 아이콘, 메뉴, 리스트, 폴더, 섬네일(thumbnail)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1)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3D 구현부(132)는 표시부(131)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 요소로서, 사용자의 좌우 양안에 각기 다른 영상이 인식되게 한다. 이러한 3D 구현 방식은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된다. 안경 방식은 색 필터 방식, 편광 필터 방식 및 셔터 글라스 방식 등이 있으며, 무안경 방식은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및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3D 구현 방식은 공지되어 있는 기술들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크게 데이터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츠 및 이러한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는 연락처, 이미지, 문서, 동영상, 메시지, 메일, 음악 파일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되는 상술한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들 화면 중 키패드 화면 및 메뉴 화면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패드 화면은 3*4 또는 쿼티(QWERTY)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메뉴 화면은 화면 전환을 위한 화면 전환키(예컨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리턴(return) 키 등),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제어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붙여 넣기 등을 위해 사용자가 메시지, 사진, 웹페이지, 문서 등에서 복사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화면 밝기, 터치 발생 시 진동 여부, 화면 자동 회전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제어부(170)가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오브젝트의 깊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 표 1은 이러한 룩업 테이블의 일 예이다.
사용 빈도 깊이
높음 Z+
보통 Z0
낮음 Z-
표 1에서 '사용 빈도'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콘텐츠나 프로그램에 대해 사용자가 사용한 빈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용 빈도는 예시적으로 높음, 보통 및 낮음 이렇게, 3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물론 사용 빈도는 사용 환경에 따라 그 이상의 단계 또는 2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표 1에서 'Z+'는 오브젝트의 상(像)이 기준면보다 앞쪽에 위치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시차 값을 의미하고, 'Z0'은 오브젝트의 상이 기준면에 위치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시차 값을 의미하며, 'Z-'는 오브젝트의 상이 기준면보다 뒤쪽에 위치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시차 값을 의미한다. 즉 표 1은 사용 빈도가 높은 오브젝트를 기준면에서 튀어 나오게 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의 예시이다.
다음 표 2는 룩업 테이블의 다른 예시이다.
사용자 입력 정보 깊이
O Z+
X Z0
표 2에서 'O'은 사용자 입력 정보가 부가된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고, 'X'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부가되지 않은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즉 표 2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부가된 오브젝트를 기준면에서 튀어 나오도록 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의 예시이다.
한편 표 1 및 표 2는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은 아님을 밝혀 둔다. 즉 깊이 결정 조건은 사용 빈도, 사용자 입력 정보 이외에도 하기 표 3과 같은 용량 정보나 다양한 속성 정보가 될 수 있으며, 깊이 결정의 단계도 4단계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룩업 테이블의 깊이 결정 조건이나 단계의 수 등은 사용자가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다.
용량 정보 깊이
10MB 이상 Z+
10MB 미만 Z0
저장부(140)의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부팅 및 상술한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영역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플레이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오브젝트의 깊이 조절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0)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5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근거리 통신 모듈(예컨대, 와이파이(Wi-Fi) 모듈) 및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전송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16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70)는 도 2와 같은 깊이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깊이 조절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러한 깊이 조절부는 제어부(170)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70)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 즉, 깊이 조절부는 깊이 결정부(171) 및 표시 제어부(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깊이 결정부(171)는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저장부(140) 및 무선 통신부(150) 등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깊이 결정부(171)는 표시될 오브젝트의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오브젝트의 깊이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깊이 결정부(171)는 오브젝트의 속성 정보를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저장부(140) 및 무선 통신부(150)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속성 정보가 수신되면 깊이 결정부(171)는 상기 예시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오브젝트의 깊이를 결정한다. 그리고 깊이 결정부(171)는 결정된 깊이 정보를 표시 제어부(172)로 전달한다.
표시 제어부(172)는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3D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특히 표시 제어부(172)는 표시될 오브젝트의 깊이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부(172)는 깊이 결정부(171)로부터 깊이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72)는 수신된 깊이 정보를 기반으로 좌측 오브젝트와 우측 오브젝트의 시차를 조절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휴대 단말기의 위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 및 GPS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휴대 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입력부는 상술한 터치스크린(110) 및 키입력부(120) 이외에, 터치패드, 트랙볼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차는 크게, 교차 시차(Crossed Disparity), 제로 시차(Zero Disparity),및 비교차 시차(Uncrossed Disparity)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시차의 분류 기준인 기준면은 표시부(131)의 화면(screen)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시차 값이 제로 시차에 해당되면 사용자는 오브젝트가 스크린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의 시차 값이 교차 시차에 해당되면 사용자는 오브젝트가 스크린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의 시차 값이 비교차 시차에 해당되면 사용자는 오브젝트가 스크린 뒤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1에서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저장부(140) 또는 무선 통신부(150)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402에서 제어부(170)는 수신된 각각의 오브젝트에 대해 그 속성 정보를 확인한다. 이러한 속성 정보는 오브젝트의 수신 시 같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수신된 오브젝트의 속성 정보를 저장부(140)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403에서 제어부(170)는 각각의 오브젝트의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오브젝트의 깊이 정보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단계 404에서 제어부(170)는 각각의 오브젝트에 대해 깊이 정보를 부가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3D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예컨대, 3D 표시부(130)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부가된 오브젝트를 그렇지 않은 것과 깊이를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1에서 제어부(170)는 저장부(140) 또는 무선 통신부(150) 등으로부터 오브젝트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502에서 제어부(170)는 수신된 오브젝트의 속성 정보를 확인한다. 속성 정보가 확인되면 단계 503에서 제어부(170)는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시차 값을 룩업 테이블에서 확인하여 오브젝트의 시차를 결정한다.
시차가 결정되면 단계 504에서 제어부(170)는 결정된 시차가 교차 시차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 교차 시차에 해당되면 단계 505에서 제어부(170)는 오브젝트에 교차 시차를 적용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교차 시차가 적용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3D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반면 교차 시차에 해당되지 않으면 단계 506에서 제어부(170)는 결정된 시차가 비교차 시차에 해당되는지를 판단한다. 비교차 시차에 해당되면 단계 507에서 제어부(170)는 오브젝트에 비교차 시차를 적용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비교차 시차가 적용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결정된 시차가 제로 시차에 해당되면 단계 508에서 제어부(170)는 오브젝트에 제로 시차를 적용하고 이러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1에서 3D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이미지는 2D 이미지도 될 수 있고 3D 이미지도 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술한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메뉴 화면, 키패드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인터넷 화면 중에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10)이나 키입력부(120) 등과 같은 입력부를 조작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부를 터치스크린(110)으로 가정한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을 조작하게 되면 터치스크린(110)은 터치이벤트를 발생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그러면 단계 602에서 제어부(170)은 사용자의 터치제스처를 감지한다. 터치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으면, 단계 603에서 제어부(170)는 임계 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시간은 화면을 자동으로 끄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 정의된다. 이미지가 표시가 시작된 후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아무런 터치제스처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단계 604로 진행하여 3D 표시부(130)의 화면을 오프시킨다. 반면 아직 임계 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단계 602로 복귀하여 터치제스처의 발생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602에서 제어부(170)는 터치제스처를 감지하면, 단계 605로 진행하여 상기 감지된 터치제스처가 '제로 시차가 적용된 오브젝트의 선택'과 관련된 터치제스처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제로 시차가 적용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단계 606에서 제어부(170)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교차 시차를 적용하고 이러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3D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그 결과 오브젝트가 튀어 나오게 되고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오브젝트가 무엇인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된 터치제스처가 '제로 시차가 적용된 오브젝트의 선택'과 관련된 터치제스처가 아니면 프로세스는 단계 607로 진행된다.
단계 607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감지된 터치제스처가 '교차 시차가 적용된 오브젝트의 선택'과 관련된 터치제스처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교차 시차가 적용된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단계 608에서 제어부(170)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제로 시차를 적용하고 이러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3D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그 결과 오브젝트가 속 들어가게 된다. 즉 단계 608은 사용자가 선택된 오브젝트를 취소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감지된 터치제스처가 오브젝트의 선택과 관련된 터치제스처 아니고 다른 기능과 관련된 터치제스처이면 제어부(170)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오브젝트의 시차가 변경된 후 단계 609에서 제어부(170)는 표시의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단계 602로 복귀된다.
이하에서는 다수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오브젝트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3D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다수의 오브젝트를 그리드 뷰(grid view; 도 7 (a) 참조) 형태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 (a)에서 도면 부호 710은 사용자에게 가장 가깝게 보이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730은 사용자에게 가장 멀리 보이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720은 이들 오브젝트 사이에서 보이는 오브젝트를 나타낸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깊이는 3단계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상 또는 2단계가 될 수 있다. 한편 3D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다수의 오브젝트를 리스트 뷰(list view; 도 7 (b) 참조) 형태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 (b)에서 도면 부호 740은 사용자에게 가장 가깝게 보이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760은 사용자에게 가장 멀리 보이는 오브젝트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750은 이들 오브젝트 사이에서 보이는 오브젝트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오브젝트는 폴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폴더는 다수의 콘텐츠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묶어서 관련된 이미지로 나타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폴더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폴더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3D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폴더를 나타내는 이미지는 폴더에 포함된 콘텐츠(또는 어플리케이션)의 개수(또는 전체 용량 정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예컨대, 폴더는 도 8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택(Stack)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3D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폴더의 개수 정보(또는 용량 정보)에 따라 폴더들의 깊이를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3D 표시부(130)는 전체 용량이 큰 폴더를 사용자에게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오브젝트는 카테고리별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의 타이틀(820)은 도 8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들보다 사용자에게 가깝게 보일 수 있다.
3D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용량 정보(Byte)에 따라 오브젝트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용량 정보에 따른 오브젝트 깊이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3D 표시부(130)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홈 화면(910)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3D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어플리케이션의 용량 정보에 따라 아이콘들의 깊이를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3D 표시부(130)는 용량이 큰 어플리케이션일수록 해당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는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3D 표시부(130)는 다수의 콘텐츠 아이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3D 표시부(130)는 다수의 문서를 각각 나타내는 다수의 섬네일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3D 표시부(130)는 용량이 큰 문서일수록 해당 섬네일을 사용자에게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는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른 오브젝트 깊이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3D 표시부(130)는 도 10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오브젝트를 2차원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3D 표시부(130)는 모든 오브젝트들을 표시부(131)의 화면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3D 표시부(130)는 카테고리 정보를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오브젝트들은 그룹 A(Group A) 및 그룹 B(Group B) 이렇게, 두 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Group A'를 탭 하면, 터치스크린(110)은 관련 터치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Group A'에 대한 탭을 감지하고 'Group A'에 속한 오브젝트들의 시차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3D 표시부(130)는 도 10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Group A'에 속한 오브젝트들을 사용자에게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Group B'를 탭 하면 제어부(170)는 이를 감지하고 'Group A' 및 'Group B'에 각각 속하는 오브젝트들의 시차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3D 표시부(130)는 'Group A'에 속한 오브젝트들을 원 위치시키고 'Group B'에 속한 오브젝트들을 사용자에게 가깝게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탭 하면, 제어부(170)는 도 11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이 된 오브젝트가 튀어 나오도록 3D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휴대 단말기
110: 터치스크린 120: 키입력부
130: 3D 표시부 131: 표시부
132: 3D 구현부 140: 저장부
150: 무선통신부 160: 오디오처리부
170: 제어부 171: 깊이 결정부
172: 표시 제어부

Claims (18)

  1.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또는 스윕 (Sweep)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터치 제스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라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3차원 깊이를 변경시키는 동작; 및
    상기 터치 제스처가 특정 기능의 실행과 연관된 입력이라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3차원 깊이를 변경시키는 동작은,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3차원 깊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3차원 깊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3차원 깊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상기 결정된 3차원 깊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3차원 깊이를 변경시키는 동작은,
    카테고리 정보, 사용 빈도 정보, 용량 정보, 하이퍼링크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 정보 및 사용자 입력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속성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상기 결정된 3차원 깊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 빈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좌측 오브젝트와 우측 오브젝트 사이의 시차(Disparity)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3차원 깊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3차원 깊이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확인된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좌측 오브젝트와 우측 오브젝트 사이의 시차(Disparity)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는 교차 시차(Crossed Disparity), 제로 시차(Zero Disparity) 및 비교차 시차(Uncrossed Disparity)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시차는 기 설정된 기준면을 기준으로, 오브젝트의 상(像)을 상기 기준면보다 앞쪽에 위치시키기 위한 시차이고,
    상기 비교차 시차는 오브젝트의 상을 기준면보다 뒤쪽에 위치시키기 위한 시차이며,
    상기 제로 시차는 오브젝트의 상을 상기 기준면에 위치시키기 위한 시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은,
    표시부의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는,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9. 삭제
  10. 오브젝트 및 상기 오브젝트와 관련된 속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깊이감 있게 표시하는 3D 표시부;
    터치스크린; 및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또는 스윕 (Sweep)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제스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라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3차원 깊이를 변경시키도록 3D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 제스처가 특정 기능의 실행과 연관된 입력이라면,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3차원 깊이를 변경시키는 동작은,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3차원 깊이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확인된 3차원 깊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3차원 깊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특정 오브젝트에 상기 결정된 3차원 깊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속성 정보로써, 카테고리 정보, 사용 빈도 정보, 용량 정보, 하이퍼링크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여부 정보 및 사용자 입력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좌측 오브젝트와 우측 오브젝트 사이의 시차(Disparity)를 조절하도록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좌측 오브젝트와 우측 오브젝트 사이의 시차(Disparity)를 교차 시차(Crossed Disparity), 제로 시차(Zero Disparity), 및 비교차 시차(Uncrossed Disparity)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깊이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시차는 기 설정된 기준면을 기준으로, 오브젝트의 상(像)을 상기 기준면보다 앞쪽에 위치시키기 위한 시차이고,
    상기 비교차 시차는 오브젝트의 상을 기준면보다 뒤쪽에 위치시키기 위한 시차이며,
    상기 제로 시차는 오브젝트의 상을 상기 기준면에 위치시키기 위한 시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은,
    상기 3D 표시부의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는,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와 관련하여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7. 삭제
  18. 삭제
KR1020110133818A 2011-12-13 2011-12-13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1978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818A KR101978760B1 (ko) 2011-12-13 2011-12-13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EP12856789.8A EP2791770B1 (en) 2011-12-13 2012-11-29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3d image in a mobile terminal
US13/689,181 US9013476B2 (en) 2011-12-13 2012-11-29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3D image in a mobile terminal
PCT/KR2012/010208 WO2013089368A1 (en) 2011-12-13 2012-11-29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3d image in a mobile terminal
US14/691,096 US9955137B2 (en) 2011-12-13 2015-04-20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3D image in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818A KR101978760B1 (ko) 2011-12-13 2011-12-13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005A KR20130067005A (ko) 2013-06-21
KR101978760B1 true KR101978760B1 (ko) 2019-05-16

Family

ID=4857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818A KR101978760B1 (ko) 2011-12-13 2011-12-13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013476B2 (ko)
EP (1) EP2791770B1 (ko)
KR (1) KR101978760B1 (ko)
WO (1) WO20130893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999A (ko) * 2013-04-01 2014-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깊이값 조정을 통한 입체영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U2014353263B2 (en) * 2013-11-19 2017-01-19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Multi-touch interface for virtual manipulation of three-dimensional seismic data
CN104965699A (zh) * 2015-06-08 2015-10-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18189544A (ja) * 2017-05-09 2018-11-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3778A1 (en) * 2009-10-20 2011-04-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10115788A1 (en) * 2009-11-19 2011-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tereoscopic effect in a portable terminal
US20110181706A1 (en) * 2010-01-27 2011-07-28 Au Optronics Corp.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20110281619A1 (en) * 2010-05-12 2011-11-17 Seonhwi Cho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3d images thereon
US20110292190A1 (en) * 2010-06-01 2011-12-01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008B1 (ko) 2005-10-31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US20090083155A1 (en) * 2007-09-21 2009-03-26 Esperek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age Measurement of Content Resources
US8300086B2 (en) * 2007-12-20 2012-10-30 Nokia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for supporting a stereoscopic presentation
KR101503835B1 (ko) * 2008-10-13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터치를 이용한 오브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41006A (ko) * 2008-10-13 2010-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멀티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방법
KR20120039703A (ko) 2009-07-07 2012-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KR101633332B1 (ko) * 2009-09-30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9500B1 (ko) 2009-11-16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3778A1 (en) * 2009-10-20 2011-04-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10115788A1 (en) * 2009-11-19 2011-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tereoscopic effect in a portable terminal
US20110181706A1 (en) * 2010-01-27 2011-07-28 Au Optronics Corp.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20110281619A1 (en) * 2010-05-12 2011-11-17 Seonhwi Cho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3d images thereon
US20110292190A1 (en) * 2010-06-01 2011-12-01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7792A1 (en) 2013-06-13
WO2013089368A1 (en) 2013-06-20
EP2791770B1 (en) 2020-05-06
US9955137B2 (en) 2018-04-24
EP2791770A1 (en) 2014-10-22
US9013476B2 (en) 2015-04-21
US20150229905A1 (en) 2015-08-13
KR20130067005A (ko) 2013-06-21
EP2791770A4 (en)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7859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fixed objects independent of shifting background images on a touchscreen
US9910521B2 (en)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7759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00125222A1 (en)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by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thereof
US9282175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66977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8826184B2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2003862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epth of im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US906364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9997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14033777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a polyhedr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20038626A1 (en) Method for editing three-dimensional im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797317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2480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104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78760B1 (ko) 3차원 이미지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17234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950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94164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3536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530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3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0804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