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525A - 전 구성 부품이 동일한 귀금속재로 이루어진 귀금속재 귀걸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 구성 부품이 동일한 귀금속재로 이루어진 귀금속재 귀걸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525A
KR20110129525A KR1020100048930A KR20100048930A KR20110129525A KR 20110129525 A KR20110129525 A KR 20110129525A KR 1020100048930 A KR1020100048930 A KR 1020100048930A KR 20100048930 A KR20100048930 A KR 20100048930A KR 20110129525 A KR20110129525 A KR 20110129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main body
precious metal
auxiliary body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6365B1 (ko
Inventor
김병조
Original Assignee
김병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조 filed Critical 김병조
Priority to KR102010004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36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2Metall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4Ear-clips
    • A44C7/006Ear-clips with a pivotable back clamping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 은, 백금과 같은 귀금속재로 만들어진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이핀(11)을 구비한 주 몸체(10)가 귀금속재로 주조 성형되고, 이 주 몸체(10)의 힌지결합부(12)에 동일한 귀금속재로 주조 성형한 보조 몸체(20)가 힌지결합되고, 상기 보조 몸체(20)에는 동일한 귀금속재로 만든 판스프링(30)이 용접 또는 납땜으로 일단이 접합되어 이 판스프링(30)과 캠부(13)의 상호작동에 의해 보조 몸체(20)의 열림 또는 닫힘 작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재의 귀걸이 구조에 의하면, 구성 부품 전체를 동일한 재질의 귀금속재로 구성하여 귀금속재 장신구로서의 본래 가치를 유지할 수 있고, 적은 갯수(3개)의 부품을 주조로 성형하고, 조립 공정수에 있어서도 다른 프레스가공(타발)에 의해 제조되는 다른 제조방법에 비하여 대폭 줄어들어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 구성 부품이 동일한 귀금속재로 이루어진 귀금속재 귀걸이 및 그 제조방법{A EARING HAVING ALL PARTS MADE OF PRECIOUS MET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귀금속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귀걸이를 구성하는 부품 전부가 동일한 귀금속재로 만들어진 귀금속재 귀걸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장신구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귀걸이는 통상 금, 백금, 은 등과 같은 귀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그러나 귀금속으로 만든 귀걸이 경우에도 일정한 강도를 요구하는 부품, 예컨대 걸이핀, 스프링과 같은 부품은 장시간 사용에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니켈 합금이나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이종의 금속재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귀금속재의 귀걸이에 이종의 금속으로 만든 부품이 포함되면 장신구로서의 가치가 현격히 떨어질 뿐아니라 이 이종 금속성분 때문에 착용 신체 부분에 염증이나 피부염을 일으키는 등 부작용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여러가지 종류의 귀걸이의 구조가 알려져 사용되고 있다. 그 중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귀걸이는 본체와 본체를 귀에 걸어서 장착할 수 있도록 귀에 뚫린 구멍을 관통하는 걸이핀과, 귀에 뚫린 구멍을 관통한 걸이핀의 끝단에 나사결합식이나 삽입식으로 결합되어 걸이핀이 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몇 개의 분리된 부품으로 구성된 귀걸이의 경우, 사용자가 혼자서 귀에 착용하고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신체에서 분리하여 보관할 때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일부 작은 부품을 분실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부품이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 구조의 귀걸이가 알려져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분리되는 부품이 없는 일체형 구조의 귀걸이의 일예로서는 한국 공개특허10-2010-0035865호로 알려져 있다.
KR10-2010-0035865 A 상기 특허문헌의 귀걸이는 구성 부품의 갯수가 많고 주요 구성 부품이 타발(Press)에 의해 제조되어 비타발에 의한 다른 부속품과 서로 조립하여 만들어지므로 부품 제조를 위한 금형의 갯수가 많아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고, 타발에 의해 제조된 부품을 다른 부품과 조립하는 조립공정의 공정수가 많아 생산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귀걸이는 부품의 크기가 작고, 부품을 타발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에 타발후 제품의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에 의한 조립부위의 치수에 변동이 발생하므로 부품간 조립이 부정확해지는 등 불량발생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 종래의 귀걸이는 개폐되는 두 부재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데, 이 판스프링의 탄성력과 충분한 강성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강성이 큰 금속재,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또는 니켈합금으로 된 판재를 사용하므로, 장신구로서 가치가 현격히 떨어질 뿐아니라 이 비귀금속재의 부품이 신체에 염증을 일으키는 등 부작용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타발에 의해 제조된 작은 크기의 판스프링을 역시 타발에 의해 제조된 주 몸체의 설치홈에 조립하는 공정에 상당한 숙련자의 숙련된 작업이 필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귀걸이 및 그 제조방법이 가진 단점을 해결하여, 이종의 금속재 부품을 포함하지 않고 전체를 동일한 재질의 귀금속재로 구성하여 귀금속재 장신구로서의 본래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귀금속 귀걸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귀에 착탈하기가 간편하면서도 귀에 착용하였을 때 잠금력이 양호하며, 분리되는 부품이 없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착용하지 않을 때에도 부품분실의 염려가 없는 구조의 귀금속 귀걸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공정 및 조립 공정수를 줄여서 제조 및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한 귀금속 귀걸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귀걸이는, 금, 은, 백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귀금속재를 주조로 성형되는 주 몸체; 상기 귀걸이 주 몸체의 한쪽 선단에 돌출되게 구비되되 주 몸체와 동일한 재질의 귀금속재로 주 몸체의 주조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는 걸이핀; 상기 귀걸이 주 몸체의 다른 쪽 선단에 상기 주 몸체와 동일한 재질의 귀금속재로 주 몸체의 주조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캠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힌지핀 결합구멍을 구비한 힌지결합부;
상기 주 몸체와 동일한 재질의 귀금속재를 주조로 성형하여 만들어지고, 한쪽 선단에 상기 주 몸체의 힌지결합부의 힌지핀 결합구멍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핀이 주조 성형시 일체로 구비되고, 반대 쪽 선단에는 상기 주 몸체의 걸이핀의 끝단을 수용하는 걸이핀 결합구멍이 주조 성형시 형성되며, 주 몸체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탄성 판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판스프링 설치홈이 주조 성형시 형성된 보조 몸체;
상기 주 몸체와 동일한 재질의 귀금속재로 판상으로 성형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보조 몸체의 판스프링 설치홈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핀에서 떨어져 있는 쪽 선단은 보조 몸체에 접합되어 고정되고 힌지핀에 인접한 쪽 선단은 상기 주 몸체의 힌지결합부의 캠부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조 몸체가 주 몸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캠부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보조 몸체에 탄성 복귀력을 부가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귀금속재 귀걸이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보조 몸체의 판스프링 설치홈의 양쪽 내측벽에는 판스프링 위치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판스프링 위치결정홈에 안착하는 위치결정돌기가 양측벽에 각각 구비되어 판스프링의 조립시 판스프링이 항상 보조 몸체의 일정한 위치에 조립되게 된 구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주 몸체, 보조 몸체, 판스프링은 모두 18K 또는 14K의 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스프링은 프레스로 블랭킹(blanking)하여 판상으로 성형하고 750℃에서 열처리를 한 후 압연롤러를 통과시켜 단련된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은,
금, 은, 백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귀금속재로써 주조로 주 몸체를 성형하되, 주조시 걸이핀, 힌지결합부, 힌지결합부의 캠부를 주조금형에서 주 몸체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성형하고 표면을 연마하여 주 몸체를 성형하는 주 몸체 성형단계;
상기 주 몸체와 동일한 귀금속재로 주조에 의해 보조 몸체를 성형하되, 주조시, 힌지핀, 걸이핀 결합구멍, 판스프링 설치홈을 주조금형에서 보조 몸체와 일체로 성형하고 표면을 연마하여 보조 몸체를 성형하는 보조 몸체 성형단계;
상기 주 몸체와 동일한 귀금속재로 만들어진 잉곳을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1쌍의 압연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가압하여 일정한 두께의 귀금속 판재로 성형하는 귀금속 판재 성형단계;
상기 성형된 귀금속 판재를 프레스금형에서 블랭킹하여 귀금속재 판스프링(30)을 성형하는 판스프링 성형단계;
상기 성형된 판스프링이 요구되는 강성을 가지도록 성형된 판스프링을 750℃의 진공열처리로에서 진공열처리하는 판스프링 열처리단계;
상기 성형된 보조 몸체의 힌지핀을 상기 주 몸체의 힌지결합부의 힌지핀 결합구멍에 끼워넣고 한쪽 측벽 끝단을 다른 쪽 측벽 끝단쪽으로 가압하여 힌지핀을 힌지핀 결합구멍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보조 몸체를 주 몸체에 연결하는 보조 몸체 조립단계;
주 몸체에 조립된 보조 몸체를 열림위치로 회동시킨 후, 판스프링을 보조 몸체의 판스프링 설치홈에 삽입하고 판스프링의 일측 선단을 보조 몸체에 납땜 또는 레이저에 의한 스폿용접으로 접합하여 고정하는 판스프링 조립단계; 및
상기 판스프링을 보조 몸체에 조립한 상태로 표면 연마하는 최종 연마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귀금속재 귀걸이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은, 상기 귀걸이의 주 몸체, 보조 몸체, 판스프링이 18K 또는 14K의 금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보조 몸체를 성형할 때, 판스프링 설치홈의 양쪽 내측벽에 판스프링 위치결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판스프링을 블랭킹으로 성형할 때 상기 판스프링 위치결정홈에 안착하는 위치결정돌기가 양측벽에 각각 구비되도록 성형하고, 상기 판스프링을 보조 몸체에 조립할 때, 상기 판스프링의 위치결정돌기를 보조 몸체의 판스프링 위치결정홈에 안착시키고 나서 판스프링의 위치결정돌기를 레이저에 의한 스폿용접으로 보조 몸체에 접합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귀걸이 구조에 따르면, 구성 부품 전체를 동일한 재질의 귀금속재로 구성하여 귀금속재 장신구로서의 본래 가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에서 별도로 분리되는 부품이 없이 전 부품이 모두 조립된 상태로 귀에 착탈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부품분실의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판스프링이 캠부의 캠작동에 의해 보조 몸체가 탄성적으로 개폐되므로 귀에 착용하거나 귀에서 분리할 때의 조작이 간편하고 잠금상태에서 잠금력이 양호하여 의도하지 않게 귀걸이가 귀에서 분리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은 적은 갯수(3개)의 부품을 주조로 성형하고, 조립 공정수에 있어서도 다른 프레스가공(타발)에 의해 제조되는 다른 제조방법에 비하여 대폭 줄어들어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이 열처리에 의해 강성이 강화되어 장시간 사용에도 판스프링의 기능, 즉 탄성복원력이 약화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의 사시도로서, (a)는 닫힘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개폐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2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로서, (a)는 닫힘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열림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2실시예의 작동을 단계별로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가 대략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구성된 제1실시예의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는, 주 몸체(10)와, 상기 주 몸체(10)의 한쪽 선단에 힌지결합된 보조 몸체(20)와, 상기 보조 몸체(2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보조 몸체(20)를 주 몸체(10)에 대하여 열림위치 또는 닫힘 위치 중 어느 한 쪽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30)으로 구성된다. 주 몸체(10)의 외측벽에는 보석류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14)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귀걸이를 구성하는 주 몸체(10), 보조 몸체(20), 판스프링(30)을 각각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서로 조립하여 구성하는 것이되, 이들 구성 부품을 모두 동일한 귀금속재로 성형하여 만드는 것에 특징이 있다.
주 몸체(10)는 한쪽 선단에 귀의 귀걸이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걸이핀(11)을 일체로 구비한다. 주 몸체(10)의 반대 쪽 선단에는 상기 보조 몸체(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결합부(12)가 일체로 형성된다. 힌지결합부(12)는 중앙에 힌지핀 결합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핀 결합구멍(12a)의 측벽은 보조 몸체(20)의 힌지핀(21)을 삽입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방부는 힌지핀(21)이 힌지핀 결합구멍(12a)안에 삽입된 후, 외력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힌지핀(21)이 힌지핀 결합구멍(12a)에서 이탈하지 않고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주 몸체(10)는 바람직하게는 18K 또는 14K와 같은 금으로 주조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보조 몸체(20)는 상기 주 몸체(10)와 동일한 재질의 귀금속재를 주조로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몸체(20)는 한쪽 선단에는 상기 주 몸체(10)의 힌지핀 결합구멍(12a)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핀(21)을 구비하고, 반대 쪽 선단에는 보조 몸체(2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주 몸체(10)의 걸이핀(11)의 끝단과 결합하는 걸이핀 결합구멍(23)이 형성되며, 주 몸체(10)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판스프링(30)을 수용하기 위한 판스프링 설치홈(22)을 구비하며, 상기 주 몸체(10)쪽 닫힘위치에서 상기 걸이핀(11)의 선단을 수용하는 걸이핀 결합구멍(2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 설치홈(22)에는 판스프링(30)이 삽입되어 상단이 레이저에 의한 스폿용접 또는 납땜 등과 같은 방법으로 보조 몸체(20)에 부분적으로 접합된다. 판스프링(30)을 판스프링 설치홈(22)안에 설치할 때 판스프링(30)의 설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판스프링(30)은 주 몸체(10) 및 보조 몸체(20)와 같은 재질의 귀금속재로 제조된다. 즉, 주 몸체(10)와 보조 몸체(20)가 18K 또는 14K와 같은 금으로 만들면, 판스프링(30)도 18K 또는 14K와 같은 금으로 만든다. 판스프링(30)은 보조 몸체(20)를 탄성적으로 개폐작동시키는 탄성력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판스프링(30)은 도 7에 도시된 일련의 공정(S310-S330)을 거쳐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몸체(10)와 동일한 귀금속재를 주조로 성형하여 잉곳(ingot)으로 만들고, 이 귀금속재 잉곳을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1쌍의 압연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가압하여 일정한 두께의 귀금속 판재로 성형하고(S310), 그리고나서 성형된 귀금속 판재를 프레스금형에서 블랭킹하여 판스프링(30)의 형상으로 성형하고(S320), 그리고나서 성형된 판스프링(30)을 요구되는 강성을 가지도록 750℃의 진공열처리로에서 진공열처리하는 과정(S330)을 거쳐 판스프링(30)을 완성한다.
한편, 판스프링(30)은 선단 양측 측벽에 위치결정돌기(31)가 폭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위치결정돌기(31)에 대응되는 위치결정홈(24)이 보조 몸체(20)의 판스프링 설치홈(22) 내벽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판스프링(30)을 보조 몸체(20)의 판스프링 설치홈(22)에 삽입할 때 판스프링(30)의 측벽에 돌출된 위치결정돌기(31)를 판스프링 설치홈(22)의 내측벽에 형성된 위치결정홈(24)에 안착시키면 판스프링(30)은 보조 몸체(20)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 조립되게 된다. 그 결과 판스프링(30)의 자유단(30a: 보조 몸체에 고정되지 않은 쪽의 선단)이 주 몸체(10)의 캠부(13)와 맞닿는 부분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에 따라 캠부(13)와의 상호 작동이 안정되게 된다.
그리고, 판스프링(30)을 보조 몸체(20)에 접합할 때, 상기 판스프링의 위치결정돌기(31)에서 스폿용접을 하면 스폿용접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스폿용접시 용접열에 의한 변형이 생기더라도 보조 몸체(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장신구에서 요구되는 외관품질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귀걸이의 개폐작동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주 몸체(10)에 보조 몸체(20)의 끝단이 결합된 상태(완전 닫힘 위치: P1)에서 보조 몸체(20)를 힌지핀(21)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때 보조 몸체(20)가 변곡위치(P2)에 도달하기 전까지, 즉, 판스프링(30)의 자유단(30a)이 캠부(13)의 변곡점(13a)에 맞닿아 판스프링(30)에 최대 굽힘변형이 일어나는 위치(P2)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판스프링(30)은 보조 몸체(20)를 완전 닫힘 위치(P1)로 복귀시키려는 탄성복원력을 보조 몸체(20)에 가하고, 그러다가 보조 몸체(20)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동시켜 판스프링(30)의 자유단(30a)이 변곡점(13a)을 시계방향으로 넘어서게 되면, 판스프링(30)의 탄성력은 보조 몸체(20)를 열림 위치(P3)로 이동시키도록 힘을 가하여 보조 몸체(20)를 최대로 개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끝단이 고정해제된 걸이핀(11)을 귀(귀볼)에 형성된 구멍에 관통시켜 착용하고, 그리고나서 위 열림 작동순서와 반대로, 보조 몸체(20)를 변곡위치(P2)를 반시계방향으로 넘어설 때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판스프링(30)은 보조 몸체(20)를 완전 닫힘 위치(P1)로 이동시키도록 보조 몸체(20)에 탄성력을 가하여 보조 몸체(20)가 닫히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2실시예는 주 몸체(10), 보조 몸체(20) 및 판스프링(30)의 각 형상에 있어서만 제1실시예와 다를 뿐 나머지 구성 및 제조방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은,
금, 은, 백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귀금속재로써 주조로 주 몸체(10)를 성형하되, 주조시 걸이핀(11), 힌지결합부(13), 힌지결합부(13)의 캠부(13)를 주조금형에서 주 몸체(10)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성형하고 표면을 연마하여 주 몸체를 성형하는 주 몸체 성형단계(S100);
상기 주 몸체(10)와 동일한 귀금속재로 주조에 의해 보조 몸체(20)를 성형하되, 주조시, 힌지핀(21), 걸이핀 결합구멍(23), 판스프링 설치홈(22)을 주조금형에서 보조 몸체(20)와 일체로 성형하고 표면을 연마하여 보조 몸체를 성형하는 보조 몸체 성형단계(S200);
상기 주 몸체(10)와 동일한 귀금속재로 만들어진 잉곳을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1쌍의 압연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가압하여 일정한 두께의 귀금속 판재로 성형하는 귀금속 판재 성형단계(S310);
상기 성형된 귀금속 판재를 프레스금형에서 블랭킹하여 귀금속재 판스프링(30)을 성형하는 판스프링 성형단계(S320);
상기 성형된 판스프링(30)이 요구되는 강성을 가지도록 성형된 판스프링(30)을 750℃의 진공열처리로에서 진공열처리하는 판스프링 열처리단계(S330);
상기 성형된 보조 몸체(20)의 힌지핀(21)을 상기 주 몸체(10)의 힌지결합부(12)의 힌지핀 결합구멍(12a)에 끼워넣고 한쪽 측벽 끝단을 다른 쪽 측벽 끝단쪽으로 가압하여 힌지핀(21)을 힌지핀 결합구멍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보조 몸체를 주 몸체에 연결하는 보조 몸체 조립단계(S400);
주 몸체(10)에 조립된 보조 몸체(20)를 열림위치로 회동시킨 후, 판스프링(30)을 보조 몸체(20)의 판스프링 설치홈(22)에 삽입하고 판스프링(30)의 일측 선단을 보조 몸체(20)에 납땜 또는 레이저에 의한 스폿용접으로 접합하여 고정하는 판스프링 조립단계(S500); 및
상기 판스프링(30)을 보조 몸체(20)에 조립한 상태로 표면 연마하는 최종 연마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은 상기 보조 몸체(20)를 주조로 성형할 때, 판스프링 설치홈(22)의 양쪽 내측벽에 판스프링 위치결정홈(24)을 형성하고, 상기 판스프링(30)을 블랭킹으로 성형할 때 상기 판스프링 위치결정홈(24)에 안착하는 위치결정돌기(31)가 양측벽에 각각 구비되도록 성형하고, 상기 판스프링(30)을 보조 몸체(20)에 조립할 때, 상기 판스프링의 위치결정돌기(31)를 보조 몸체(20)의 판스프링 위치결정홈(24)에 안착시키고나서 판스프링의 위치결정돌기(31)를 레이저에 의한 스폿용접 또는 납땜으로 보조 몸체(20)에 접합할 수도 있다.
10: 주 몸체 11: 걸이핀부
12: 힌지결합부 12a: 힌지핀 결합구멍
13: 캠부 13a: 변곡점
14: 연결고리 20: 보조 몸체
21: 힌지핀 22: 판스프링 설치홈
23: 걸이핀 결합구멍 24: 위치결정홈
30:판스프링 30a: 자유단
31:위치결정돌기 P1: 완전 닫힘위치
P2: 변곡위치 P3: 열림위치

Claims (6)

  1. 금, 은, 백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귀금속재를 주조로 성형되는 주 몸체(10),
    상기 귀걸이 주 몸체(10)의 한쪽 선단에 돌출되게 구비되되 주 몸체(10)와 동일한 재질의 귀금속재로 주 몸체(10)의 주조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는 걸이핀(11)과,
    상기 귀걸이 주 몸체(10)의 다른 쪽 선단에 상기 주 몸체(10)와 동일한 재질의 귀금속재로 주 몸체(10)의 주조 성형시 일체로 형성되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캠부(13)이 형성되고 중앙에 힌지핀 결합구멍(12a)을 구비한 힌지결합부(13)와,
    상기 주 몸체(10)와 동일한 재질의 귀금속재를 주조로 성형하여 만들어지고, 한쪽 선단에 상기 주 몸체(10)의 힌지결합부(13)의 힌지핀 결합구멍(12a)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힌지핀(21)이 주조 성형시 일체로 구비되고, 반대 쪽 선단에는 상기 주 몸체(10)의 걸이핀(11)의 끝단을 수용하는 걸이핀 결합구멍(23)이 주조 성형시 형성되며, 주 몸체(10)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판스프링(30)을 수용하기 위한 판스프링 설치홈(22)이 주조 성형시 형성된 보조 몸체(20)와,
    상기 주 몸체(10)와 동일한 재질의 귀금속재로 판상으로 성형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보조 몸체(20)의 판스프링 설치홈(22)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핀(21)에서 떨어져 있는 쪽 선단은 보조 몸체(20)에 접합되어 고정되고 힌지핀(21)에 인접한 쪽 선단은 상기 주 몸체(10)의 힌지결합부(13)의 캠부(13)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상기 보조 몸체(20)가 주 몸체(10)에서 분리될 때 상기 캠부(13)에 의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보조 몸체(20)에 탄성 복귀력을 부가하는 판스프링(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재 귀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몸체(20)의 판스프링 설치홈(22)의 양쪽 내측벽에는 판스프링 위치결정홈(24)이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30)은 상기 판스프링 위치결정홈(24)에 안착하는 위치결정돌기(31)가 양측벽에 각각 구비되어 보조 몸체(20)의 일정한 위치에 조립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재 귀걸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몸체(10), 보조 몸체(20), 판스프링(30)은 금으로 성형되고, 상기 판스프링(30)은 프레스로 블랭킹(blanking)하여 판상으로 성형하고 750℃에서 열처리를 한 후 압연롤러를 통과시켜 단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재 귀걸이.
  4. 제1항의 구성으로 된 귀걸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 은, 백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귀금속재로써 주조로 주 몸체(10)를 성형하되, 주조시 걸이핀(11), 힌지결합부(13), 힌지결합부(13)의 캠부(13)를 주조금형에서 주 몸체(10)와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성형하고 표면을 연마하여 주 몸체를 성형하는 주 몸체 성형단계(S100);
    상기 주 몸체(10)와 동일한 귀금속재로 주조에 의해 보조 몸체(20)를 성형하되, 주조시, 힌지핀(21), 걸이핀 결합구멍(23), 판스프링 설치홈(22)을 주조금형에서 보조 몸체(20)와 일체로 성형하고 표면을 연마하여 보조 몸체를 성형하는 보조 몸체 성형단계(S200);
    상기 주 몸체(10)와 동일한 귀금속재로 만들어진 잉곳을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1쌍의 압연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가압하여 일정한 두께의 귀금속 판재로 성형하는 귀금속 판재 성형단계(S310);
    상기 성형된 귀금속 판재를 프레스금형에서 블랭킹하여 귀금속재 판스프링(30)을 성형하는 판스프링 성형단계(S320);
    상기 성형된 판스프링(30)이 요구되는 강성을 가지도록 성형된 판스프링(30)을 750℃의 진공열처리로에서 진공열처리하는 판스프링 열처리단계(S330);
    상기 성형된 보조 몸체(20)의 힌지핀(21)을 상기 주 몸체(10)의 힌지결합부(12)의 힌지핀 결합구멍(12a)에 끼워넣고 한쪽 측벽 끝단을 다른 쪽 측벽 끝단쪽으로 가압하여 힌지핀(21)을 힌지핀 결합구멍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보조 몸체를 주 몸체에 연결하는 보조 몸체 조립단계(S400);
    주 몸체(10)에 조립된 보조 몸체(20)를 열림위치로 회동시킨 후, 판스프링(30)을 보조 몸체(20)의 판스프링 설치홈(22)에 삽입하고 판스프링(30)의 일측 선단을 보조 몸체(20)에 납땜 또는 레이저에 의한 스폿용접으로 접합하여 고정하는 판스프링 조립단계(S500); 및
    상기 판스프링(30)을 보조 몸체(20)에 조립한 상태로 표면 연마하는 최종 연마단계(S6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의 주 몸체(10), 보조 몸체(20), 판스프링(30)은 18K 또는 14K의 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몸체(20)를 성형할 때, 판스프링 설치홈(22)의 양쪽 내측벽에 판스프링 위치결정홈(24)을 형성하고, 상기 판스프링(30)을 블랭킹으로 성형할 때 상기 판스프링 위치결정홈(24)에 안착하는 위치결정돌기(31)가 양측벽에 각각 구비되도록 성형하고,
    상기 판스프링(30)을 보조 몸체(20)에 조립할 때, 상기 판스프링의 위치결정돌기(31)를 보조 몸체(20)의 판스프링 위치결정홈(24)에 안착시키고나서 판스프링의 위치결정돌기(31)를 레이저에 의한 스폿용접 또는 납땜으로 보조 몸체(20)에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



KR1020100048930A 2010-05-26 2010-05-26 전 구성 부품이 동일한 귀금속재로 이루어진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 KR101286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30A KR101286365B1 (ko) 2010-05-26 2010-05-26 전 구성 부품이 동일한 귀금속재로 이루어진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930A KR101286365B1 (ko) 2010-05-26 2010-05-26 전 구성 부품이 동일한 귀금속재로 이루어진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525A true KR20110129525A (ko) 2011-12-02
KR101286365B1 KR101286365B1 (ko) 2013-07-15

Family

ID=4549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930A KR101286365B1 (ko) 2010-05-26 2010-05-26 전 구성 부품이 동일한 귀금속재로 이루어진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3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1251A (zh) * 2015-09-17 2017-03-29 崔志向 未流通级贵金属产品的制造方法
KR20200001949U (ko) * 2019-02-26 2020-09-03 김창현 귀걸이 장신구
KR102308175B1 (ko) * 2021-06-11 2021-10-01 주식회사 제이디아이인터내셔널 방열 특성이 우수하고 고경도의 변색 없는 항알러지 합금 귀걸이 침 제조 방법
KR102561526B1 (ko) * 2023-02-03 2023-07-28 원려홍 고정력 강화용 덧살 구조를 갖는 순금 귀걸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865A (ko) * 2008-09-29 2010-04-07 김재강 귀걸이의 제조방법 및 그 귀걸이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1251A (zh) * 2015-09-17 2017-03-29 崔志向 未流通级贵金属产品的制造方法
KR20200001949U (ko) * 2019-02-26 2020-09-03 김창현 귀걸이 장신구
KR102308175B1 (ko) * 2021-06-11 2021-10-01 주식회사 제이디아이인터내셔널 방열 특성이 우수하고 고경도의 변색 없는 항알러지 합금 귀걸이 침 제조 방법
KR102561526B1 (ko) * 2023-02-03 2023-07-28 원려홍 고정력 강화용 덧살 구조를 갖는 순금 귀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6365B1 (ko) 201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2963B2 (ja) 金属プレート切り抜き品に押圧接触されたライニングを備える装飾用ファッション宝飾品
KR101286365B1 (ko) 전 구성 부품이 동일한 귀금속재로 이루어진 귀금속재 귀걸이의 제조방법
JP5914754B2 (ja) 時計のろう付けバイメタル外装部品
JP3130993U (ja) クリップ式イヤリング
US6145198A (en) Method of making a spring for earring clip
JP3139659U (ja) クリップ式イヤリング
JP3126598U (ja) イヤリング
JP2017121382A (ja) 装身具の挟着構造
JP4592116B1 (ja) クリップ式イヤリング
JP6593946B1 (ja) 装身具の挟着構造
KR200431089Y1 (ko) 귀걸이용 펜던트 연결고리 결합구조
JP6688495B1 (ja) 装身具
JP2003189914A (ja) 帯状装身具
JP2016043109A (ja) 耳用装身具
JP2009247680A (ja) 耳飾りと耳飾りの交換方法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JP7026365B1 (ja) 装身具
JP3225307U (ja) イヤリング、及びイヤリングの挟着方法
CN211241965U (zh) 用于穿戴设备的连接结构及穿戴设备
JP3228360U (ja) 装身具用引輪
KR200254955Y1 (ko) 귀걸이
KR200441638Y1 (ko) 보조 링이 구비된 귀고리
KR20100035865A (ko) 귀걸이의 제조방법 및 그 귀걸이 구조
JP3222729U (ja) クリップ式耳飾り
JP3168936U (ja) バンドの中留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