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934A - 치과용 보철물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보철물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934A
KR20110128934A KR1020117024363A KR20117024363A KR20110128934A KR 20110128934 A KR20110128934 A KR 20110128934A KR 1020117024363 A KR1020117024363 A KR 1020117024363A KR 20117024363 A KR20117024363 A KR 20117024363A KR 20110128934 A KR20110128934 A KR 20110128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x
bar
matrix
section
dental pros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블루엠리
한스-울리히 스탕거
마티아스 스트라자
예안-프레트 스튜더
Original Assignee
상드르에+메토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드르에+메토 에스아 filed Critical 상드르에+메토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1012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보철물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는 바아 패트릭스(20)와, 치과용 보철물에 부착될 수 있고 바아 패트릭스가 삽입될 수 있고 천정 요소(13)를 거쳐 연결되는 2개의 측벽(11, 12)에 의해 둘러싸이는 리세스를 갖는 연결부(10)를 포함한다. 측벽(11, 12) 및 천정 요소(13)는, 치과용 보철물이 바아 패트릭스(20) 상에 배치될 때, 그 위에 부착된 연결부(10)에 의해 제 1 지지 위치(11), 제 2 지지 위치(12) 및 제 3 지지 위치(13c)를 거쳐 바아 패트릭스 위에 놓이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경우에 자유 공간(14a, 14b)이 제 1 및 제 3 지지 위치 사이 및 상기 제 2 및 제 3 지지 위치 사이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치과용 보철물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APPARATUS FOR FASTENING A DENTAL PROSTHESIS}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을 체결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그에 치과용 보철물을 체결하기 위해 바아 패트릭스(bar patrix)에 부착될 수 있는 연결부를 갖는다. 이 목적으로, 연결부는 바아 패트릭스가 삽입될 수 있는 리세스를 갖는다(예를 들어, WO 2008/034267 A1호 참조). 공지된 바와 같이, 이 리세스의 형상은 연결부와 바아 패트릭스 사이의 형상 끼워맞춤(form fit)이 생성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바아 매트릭스의 단면에 적응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 끼워맞춤은 연결부의 완전한 일체화가 어렵고 연결부가 바아 패트릭스에 대해 최적의 방식으로 놓여 있지 않는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치과용 보철물이 씹기 운동 중에 탄성 방식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이는 불쾌한 느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아 패트릭스 상의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가 향상되게 하는 치과용 보철물을 체결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으로 해결하는 디바이스가 청구항 1에 설명되어 있다. 다른 청구항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예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로서 기능하는 바아 매트릭스의 정면도.
도 2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다른 바아 패트릭스의 정면도.
도 3은 연결 상태에서 도 1에 따른 바아 매트릭스와 도 2에 따른 바아 패트릭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바아 매트릭스 및 바아 패트릭스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바아 매트릭스의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따른 바아 패트릭스의 정면도.
도 8은 연결 상태에서 도 6에 따른 바아 매트릭스와 도 7에 따른 바아 패트릭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단면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 4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면도.
제 1 예시적인 실시예
도 1 내지 도 4는 연결부 및 바아 패트릭스(20)로서 기능하는 바아 매트릭스(10)를 갖는 디바이스의 제 1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은 탈착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간단화를 이유로 이하에 매트릭스 및 패트릭스로서 나타낸다.
매트릭스(10)는 서로 교합하여 연결된 측면부(이하, 층판이라 칭함)를 포함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을 갖는 세장형 하우징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매트릭스(10)는 패트릭스(20)가 그 내에 삽입될 수 있고 2개의 측벽(11, 12)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15)를 구비한다. 이 2개의 측벽들은 아치(13)의 형태의 천정 요소를 거쳐 서로 연결된다.
측벽(11, 12)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지만 제 3 기부 단부에서 경사지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으로서 형성되고, 이에 의해 모따기부(11a, 12a)가 생성된다. 모따기부(11a, 12a)를 제공하는 것은 매트릭스(10)와 패트릭스(20)의 일체화를 용이하게 한다.
각각의 측벽(11, 12)으로의 전이부에서, 아치(13)는 언더컷부(undercut)(13a, 13b)를 각각 갖고, 단면에서 볼 때 언더컷부(13a, 13b)로의 전이 영역에서 측벽(11, 12)의 거리(A)보다 큰 최대 거리(D)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측벽(11, 12)은 언더컷부(13a, 13b)에 대해 돌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면에서 볼 때, 아치(13)는 2개의 언더컷부(13a, 13b) 중 하나를 각각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직선형 섹션(13c)을 거쳐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원호형 섹션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측벽(11, 12)의 높이(h)는 리세스(15)의 깊이(H)의 절반보다 크도록 여기서 선택되어, h>H/2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매트릭스(10)는 치과용 보철물 상의 매트릭스의 견고한 유지를 보장하는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보유 요소(16)를 갖는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10)는 폴리머리제이트(polymerizate)에 의해 치과용 보철물에 고정된다. 매트릭스(10)의 디자인에 따라, 보유 요소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트릭스(20)는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U-형인 돌더 바아(Dolder bar)이다. 따라서, 패트릭스(20)는 만곡부(23)를 거쳐 연결된 2개의 측벽(21, 22)을 갖는다.
도 3은 패트릭스(20)가 매트릭스(10)의 리세스(15) 내에 삽입될 때의 상황을 도시한다. 매트릭스(10)의 제 1 측벽(11)은 패트릭스(20)의 제 1 측벽(21)에 접촉하는 제 1 지지 위치를 형성한다. 매트릭스(10)의 제 2 측벽(12)은 패트릭스(20)의 제 2 측벽(22)에 접촉하는 제 2 지지 위치를 형성한다. 더욱이, 아치(13)의 섹션(13c)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패트릭스(20)의 만곡부(23)의 정점에 접촉하는 제 3 지지 위치를 형성한다.
아치(13)의 선택된 형상에 기인하여, 자유 공간(14a, 14b)이 각각의 경우에 제 1 지지 위치(11)와 제 3 지지 위치(13c) 사이 뿐만 아니라 제 2 지지 위치(12)와 제 3 지지 위치(13c)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매트릭스(10)와 패트릭스(20) 사이에 완전한 형상 끼워맞춤이 없고, 아치(13)는 만곡부(23)로부터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연장하도록 과잉 치수 설정된다. 3개의 지지 위치(11, 12, 13c)는 패트릭스(20) 상의 매트릭스(10)의 3-위치 지지부를 형성한다.
도 3에서, S0 및 S0'는 자유 공간(14a, 14b)이 연장하는 레벨을 지시하고, S1과 S2 사이의 경로는 제 3 지지 위치(13c)의 길이(L2)를 규정한다. 따라서, 자유 공간(14a)은 S0로부터 S1에 도달하는 길이(L1)에 걸쳐 연장하고, 자유 공간(14b)은 S0'로부터 S2에 도달하는 길이(L1')에 걸쳐 연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L1 및 L1'은 각각 L2보다 크다.
도 3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S0 및 S0'에 의해 규정된 레벨은 리세스(15)가 시작하는 시작 레벨보다 리세스(15)가 연장하는 종료 레벨에 더 근접한다. [높이(h)는 S0 및 S0'에 의해 규정된 레벨에 대응하고 높이(H)는 리세스(15)의 종료 레벨과 리세스의 시작 레벨 사이의 차이를 지시하는 도 1을 참조하라.]
도 4는 패트릭스(20) 상에 배치된 매트릭스(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매트릭스는 교합측 상에 마킹(17)을 갖는다. 상기 마킹은 규칙적인 거리로 배열되고 매트릭스(10)의 종방향에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개부의 형태로 여기서 형성된다. 마킹은 원하는 길이의 다수의 부분을 얻기 위해 매트릭스(10)를 절단하기 위한 가능한 위치를 규정한다.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릭스(10) 및 패트릭스(20)는 바아 부착부를 형성한다. 벽(11, 21) 뿐만 아니라 벽(12, 22)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마찰은 매트릭스(10)가 패트릭스(20) 상에 유지되게 하는 유지력을 결정한다. 유지력은 무엇보다도 선택된 높이(h)에 의해 제공되고, 이들이 단부를 향해 약간 원추형으로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방식으로(각각 "활성화" 및 "비활성화") 적합한 도구에 의해 측벽(11, 12)의 기울기를 변경함으로써 특정 한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자유 공간(14a, 14b)을 갖는 리세스(15)의 선택된 형상에 기인하여, 매트릭스(10)는 패트릭스(20)에 대해 3개의 지지 위치(11, 12, 13c)에 놓인다. 상기 지지 위치들의 위치는 정밀하게 지정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위치는 지지 위치(11, 12)가 패트릭스(20)의 만곡부(23)가 종료하는 레벨 아래에 위치되도록 선택된다. 이 레벨은 점선(24)에 의해 도 3에 지시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자유 공간(14a, 14b)은 레벨(24) 위에 도달하고, 지지 위치(11, 12)는 패트릭스(20)의 측벽(21, 22)에 대해 놓인다.
지지 위치(11, 12)로의 자유 공간(14a, 14b)의 전이부는 측벽(11, 12)으로의 패트릭스(20)의 힘 전달이 발생할 수 있는 장소를 실질적으로 규정한다. 이 장소는 상이한 유지력이 설정되더라도 거의 시프트되지 않고 매트릭스(10)의 교합 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이에 의해 힘 전달을 위한 레버 아암이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리세스(15)의 형상은 매트릭스(10)가 패트릭스(20)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패트릭스(20)가 그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을 더 보장한다. 따라서, 부하 하에서, 강한 활성화가 선택되어 있더라도 매트릭스(10)와 패트릭스(20) 사이의 바람직한 탄성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매트릭스와 패트릭스 사이의 완전한 형상 끼워맞춤을 제공하는 공지의 바아 부착부의 경우에, 치과용 보철물을 일체화할 때 매트릭스는 패트릭스에 대해 그 단부 위치에 도달하지 않고 로딩 및 언로딩 중에 패트릭스에 대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예시적인 실시예
매트릭스와 패트릭스 사이의 강성 연결을 허용하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바아 부착부 대신에, 바아 매트릭스(10)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바아 패트릭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돌더에 따라 바아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바아 매트릭스(10) 및 바아 패트릭스(20')를 갖는 디바이스의 제 2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에 재차 도시된 매트릭스(10)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매트릭스에 대응한다.
패트릭스(20')의 단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란형이다. 정점에서, 윤곽은 큰 곡률을 갖는 만곡부 내로 그 2개의 단부의 각각에서 전이하는 원형 만곡부를 갖는다. 상기 원형 만곡부가 종료하는 레벨은 점선(24')으로 도 8에 지시되어 있다.
일단 매트릭스(10)가 패트릭스(20') 상에 배치되면, 3개의 지지 위치(11b, 12b, 13c)는 도 8에 지시된 바와 같이 얻어진다. 제 1 위치(11b) 및 제 2 지지 위치(12b)는 측벽(11, 12)으로부터 언더컷부(13a, 13b)로의 전이부에서 얻어진다. 지지 위치(11b, 12b)는 레벨(24') 아래에 있다. 아치(13)의 섹션(13c)은 패트릭스(20')의 정점에 대해 놓이는 제 3 지지 위치를 형성한다. 지지 위치(13a, 13c) 사이 뿐만 아니라 지지 위치(13b, 13c) 사이에서, 자유 공간(14a, 14b)은 각각의 경우에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그에 대조적으로, 전체 측벽(11, 12)이 패트릭스(20')에 대해 놓이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 일부만이 패트릭스(20')에 대해 놓인다.
매트릭스(10)를 일체화할 때, 지지 위치(13a, 13b)는 패트릭스(20')의 가장 넓은 위치를 규정하는 레벨(24')을 가로질러 이동되고, 이는 마지막으로 매트릭스(10)의 층판이 패트릭스(20') 상의 적소에 스냅 연결되게 한다. 상기 스냅 연결은, 마찰에 추가하여, 매트릭스(10)가 패트릭스(20') 상에 유지되게 하는 유지력을 결정한다.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3개의 지지 위치(11b, 12b, 13c)는 일체화 중에 매트릭스(10)가 그 단부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위치로부터 재차 들어올려지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3-위치 지지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부하를 받게 될 때 매트릭스(10)와 패트릭스(20') 사이의 탄성 상대 이동이 발생하는 것이 회피된다. 그러나, 바아 조인트로서, 매트릭스(10)는 패트릭스의 종축에 대해 패트릭스(20')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지지 위치(13a, 13b, 13c)는 패트릭스(20')를 따라 대응적으로 시프트한다.
제 3 예시적인 실시예
도 9는 매트릭스가 치과용 보철물(40) 내에 직접 형성되고 인서트(10')가 바아 패트릭스(20)에 치과용 보철물을 체결하기 위해 연결부로서 기능하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인서트(10')는 치과용 보철물(40) 내에 형성되는 절결부(41) 내에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삽입된다. 치과용 보철물은 예를 들어 절결부(41)가 제조 중에 제공되는 플라스틱 부분을 갖는 보철물로서 구성된다.
인서트(10')는 바아 패트릭스(20)를 따라 연장하고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리세스(15)를 구비하는 세장형 연결부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바아 패트릭스(20)와 인서트(10') 사이에는 치과용 보철물(40)이 바아 패트릭스(20) 상에 놓이는 지지 위치(11, 12, 13c)가 형성된다. 지지 위치(11, 13c 뿐만 아니라 12, 13c) 사이에는 자유 공간(14a, 14b)이 형성된다.
제 3 예시적인 실시예의 대안으로서, 인서트(10') 및/또는 치과용 보철물(40)의 절결부(41)의 외부 형상이 적합한 방식으로 성형된다는 점에서, 치과용 보철물(40)과 인서트(10') 사이에 3개의 지지 위치(11, 12, 13c) 및 자유 공간(14a, 14b)을 제공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제 4 예시적인 실시예
도 10은 바아 매트릭스(10'')가 다부분 디자인을 갖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바아 매트릭스(10'')는 인서트(10b)가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삽입되는 매트릭스 하우징(10a)을 갖는다.
인서트(10b)는 바아 패트릭스(20)가 삽입되고 인서트(10b)가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바아 패트릭스(20) 위에 놓이는 방식으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형성되는 리세스(15')를 갖는다.
매트릭스 하우징(10a)은 바아 패트릭스(20)가 인서트(10b)와 함께 삽입되는 리세스(15)를 갖는다. 리세스(15)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매트릭스 하우징(10a)과 인서트(10b) 사이에는 치과용 보철물이 바아 패트릭스(20) 위에 놓일 수 있는 지지 위치(11, 12, 13c)가 형성된다. 지지 위치(11, 12, 13c) 사이에는 자유 공간(14a, 14b)이 형성된다.
제 4 예시적인 실시예의 대안으로서, 인서트(10b), 즉 리세스(15')의 내부 형상이 적합한 방식으로 성형된다는 점에서, 인서트(10b)와 바아 패트릭스(20) 사이에 3개의 지지 위치(11, 12, 13c) 및 자유 공간(14a, 14b)을 제공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형상 끼워맞춤 연결이 매트릭스 하우징(10a)과 인서트(10b)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부분(10, 10', 10a, 10b, 20, 20')은 각각 단일편으로서 또는 다부분 디자인으로서 제조될 수 있고 사전 제작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티타늄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적합한 금속과 같은 구강 환경에서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리세스(15)의 형상은 예를 들어 매트릭스(10)의 종방향으로 공구를 안내함으로써 밀링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먼저 U-형 절결부를 밀링하고 구형 공구에 의해 2개의 언더컷부(13a, 13b)를 후속하여 생성함으로써 복수의 프로세스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각각의 부분(10, 10', 10a, 10b)은 사용자가 각각의 경우에 원하는 길이를 갖는 부분으로 절단될 수 있는 기다란 프로파일링된 로드로서 제조될 수 있다.
주조에 의해 완성된 부분을 제조하기 위해,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왁스로부터 구워질 수 있는 몰드로서 매트릭스 하우징(10, 10a) 및/또는 바아 패트릭스(20, 20')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이전의 설명으로부터, 다수의 수정이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접근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바아 패트릭스는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 그 단면은 또한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더 일반적인 형상과 같은 상이한 볼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바아 패트릭스는 예를 들어 임플란트 또는 자연 치아 상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을 단부에 구비할 수 있다.
아치(13) 및 측벽(11, 1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 섹션(13c)은 예를 들어 직선형 또는 곡선형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각각의 측벽(11, 12)은 편평하거나 굴곡될 수 있다.
단면에서 볼 때, 제 3 지지 위치(13c)가 연장되는 길이는 원하는 바와 같이 작게 선택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의 S1과 S2 사이의 거리). 길이는 지지 위치(13c)가 단면에서 볼 때 사실상 첨단 형상이 되도록 극단적으로 작을 수 있다.
10: 바아 매트릭스 11, 12: 측벽
13: 아치 13a, 13b: 언더컷부
13c: 직선형 섹션 14a, 14b: 자유 공간
15: 리세스 20: 패트릭스
21, 22: 측벽 23: 만곡부
40: 치과용 보철물 41: 절결부

Claims (15)

  1. 바아 패트릭스(20; 20')와, 치과용 보철물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바아 패트릭스(20; 20')가 삽입될 수 있고 천정 요소(13)를 거쳐 연결되는 2개의 측벽들(11, 12)에 의해 둘러싸이는 리세스(15; 15')를 갖는 연결부(10; 10'; 10")를 포함하는 치과용 보철물(40)을 체결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11, 12) 및 상기 천정 요소(13)는, 상기 치과용 보철물(40)이 상기 바아 패트릭스(20; 20') 상에 배치될 때, 그 위에 부착된 상기 연결부(10; 10'; 10")에 의해 제 1 지지 위치(11; 11b), 제 2 지지 위치(12; 12b) 및 제 3 지지 위치(13c)를 거쳐 상기 바아 패트릭스(20; 20') 위에 놓이도록 성형되고, 각각의 자유 공간(14a, 14b)이 상기 제 1 및 제 3 지지 위치 사이 및 상기 제 2 및 제 3 지지 위치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 요소(13)는 상기 자유 공간(14a, 14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언더컷부들(13a, 13b)을 갖는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면에서 볼 때, 각각의 상기 자유 공간(14a, 14b)은 제 1 길이(S0-S1, S0'-S2)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제 3 지지 위치(13c)는 상기 제 1 길이보다 작은 제 2 길이(S1-S2)에 걸쳐 연장되는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면에서 볼 때, 각각의 상기 자유 공간(14a, 14b)은 상기 리세스(15; 15')가 시작하는 시작 레벨보다 상기 리세스(15; 15')가 도달하는 종료 레벨에 더 근접하게 배열되는 레벨(S0, S0') 위로 연장하는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 요소(13)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측벽들(11, 12)의 최소 거리(A)보다 큰 최대 거리(D)를 갖는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원호형 섹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직선형 섹션(13c)을 갖는 단면을 구비한 아치(13)를 갖는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11, 12)의 높이(h)는 상기 리세스(15, 15')의 깊이(H)의 절반보다 큰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패트릭스(20; 20')는 단면에서 볼 때, 레벨(24, 24') 위로 연장하고 바람직하게는 원호형인 만곡부(23)를 갖고, 각각의 상기 자유 공간(14a, 14b)은 상기 바아 패트릭스(20; 20')의 만곡부(23)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레벨(24; 24') 위에 도달하는 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0; 10'; 10")는 기부 단부에서 경사진 표면들(11a, 12a)을 갖는 디바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들(11, 12)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을 각각 갖고, 2개의 표면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디바이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 위치(13c)는 상기 바아 패트릭스(20; 20')의 정점에 위치되는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패트릭스(20; 20')는 볼록형, 바람직하게는 U-형, 계란형 또는 직사각형인 단면을 갖고, 그리고/또는 바람직하게는 원형 단면과는 상이한 디바이스.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공간들(14a, 14b)은,
    상기 연결부(10; 10')와 상기 바아 패트릭스(20; 20') 사이,
    상기 연결부와 상기 치과용 보철물(40) 사이, 또는
    상기 매트릭스 하우징(10a)과 그 내부에 삽입된 인서트(10b)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매트릭스 하우징 및 상기 인서트는 연결부(10")로서 기능하는 디바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0; 10')는 단일편으로서 제조되고 또는 제거 가능한 인서트(10b)를 갖는 매트릭스 하우징(10a)으로서 형성되는 디바이스.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0; 10")는 상기 연결부를 분할하기 위한 위치들을 규정하는 마킹들(17)을 갖는 디바이스.
KR1020117024363A 2009-03-19 2010-03-16 치과용 보철물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 KR201101289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412/09A CH700634A1 (de) 2009-03-19 2009-03-19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Zahnersatzes.
CH412/09 2009-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934A true KR20110128934A (ko) 2011-11-30

Family

ID=4078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363A KR20110128934A (ko) 2009-03-19 2010-03-16 치과용 보철물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62345B2 (ko)
EP (1) EP2408395A1 (ko)
JP (1) JP2012520693A (ko)
KR (1) KR20110128934A (ko)
CN (1) CN102348429A (ko)
CA (1) CA2755423A1 (ko)
CH (1) CH700634A1 (ko)
WO (1) WO2010105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5699B2 (en) * 2009-07-23 2017-05-23 Lieh-Tang Chen Artificial teethridge and fang
SE535361C2 (sv) * 2010-11-10 2012-07-10 Biomain Ab Dentalbryggor och superstrukturer, samt metoder för att tillverka dessa
US9498306B2 (en) 2012-06-04 2016-11-22 Skvirsky, Ltd Device for removable attachment of dental prosthesi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7885A (en) * 1920-08-26 1921-02-08 Joseph K Means Dental appliance
DE1516457A1 (de) * 1966-03-22 1970-01-15 Gerhard Wittenhagen Ein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Zahnprothese an ?
US4209904A (en) * 1978-10-23 1980-07-01 Staubli Peter E Rider clip with offset retention flaps and retention bar for denture
DE4422773C2 (de) * 1994-06-29 1996-08-29 Ceka Nv Dentale Kupplungsanordnung
JP2002102258A (ja) * 2000-09-29 2002-04-09 Aichi Steel Works Ltd バータイプインプラント用義歯アタッチメント
DK1872740T3 (da) * 2006-06-21 2012-01-23 Cendres & Metaux Sa Indretning til fastgørelse af en tandprotese på en bropatrice
CA2663729C (en) 2006-09-21 2014-04-22 Peter Sprenger Dental Technik Spider d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55423A1 (en) 2010-09-23
US8562345B2 (en) 2013-10-22
EP2408395A1 (de) 2012-01-25
CH700634A1 (de) 2010-09-30
WO2010105380A1 (de) 2010-09-23
CN102348429A (zh) 2012-02-08
JP2012520693A (ja) 2012-09-10
US20120003608A1 (en)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802B2 (en)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JP4504948B2 (ja) 歯科矯正ブラケット及び器具、並びに歯科矯正ブラケットを作成及び使用する方法
JP4801073B2 (ja) 医療分野用のラチェット器具としてのトルクレンチ
EP3170472B1 (en) Self-ligating bracket with cantilever locking beam mechanism
US9554875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
KR102131222B1 (ko) 치과용 보유 인서트 및 연결 장치
KR101354459B1 (ko) 치관외 부착장치와 그 제조방법
JP2008512254A5 (ko)
JP2019514659A (ja) 歯列不正を矯正する装置ならびに該装置の製造法
KR20110128934A (ko) 치과용 보철물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
EP1733698A2 (en) Abutment for dental implant
WO2018100838A1 (ja) 歯科用トレーシステム
KR20190082452A (ko) 맞춤형 치아교정 3차원 아치 와이어 제작방법
JP2008074284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操作レバーのグリップ
CN113425428B (zh) 固位附件的构建方法和系统、及无托槽隐形矫治器械
KR101274075B1 (ko) 구강 구조 스캔용 기준핀
KR20190075108A (ko) 치과용 트레이 시스템
EP3151777B1 (en) Dental wedge
US10575928B2 (en) Orthodontic bracket retention anchor
JP6545409B2 (ja) 動物用櫛ブラシ
US11219507B2 (en)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KR20130073511A (ko) 치과 기공용 아티큘레이터 및 이 아티큘레이터에 사용되는 치아모델 고정핀
EP2644154A1 (en) Impression tray for upper jaw
JP2014171834A (ja) 歯科用クラスプの製作方法および装置
JP6729951B1 (ja) 歯列矯正器具とその修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