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3400A - 접이식 물품함 - Google Patents

접이식 물품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3400A
KR20110123400A KR1020100042864A KR20100042864A KR20110123400A KR 20110123400 A KR20110123400 A KR 20110123400A KR 1020100042864 A KR1020100042864 A KR 1020100042864A KR 20100042864 A KR20100042864 A KR 20100042864A KR 20110123400 A KR20110123400 A KR 20110123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storage means
locking
side plat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426B1 (ko
Inventor
백인구
장혜경
Original Assignee
백인구
장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인구, 장혜경 filed Critical 백인구
Priority to KR102010004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42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5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means for identifying a deposit; Deposits carrying identification means, e.g. a bar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물품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단위 주거공간이 아닌 단독주택이나 빌라에 설치가능하고, 문에 설치하지 않아 보안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며, 집에 사람이 없어도 도난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물품을 받을 수 있는 접이식 물품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이식 물품함에 있어서, 수납수단; 및 수납수단에 연결되어 물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수납수단 내에 수납되도록 접혀지는 보관수단; 을 포함하되, 보관수단은, 수납수단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판부와; 상판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개폐도어가 구비된 전판부와; 한쪽은 연결부재에 의해 전판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쪽은 수납수단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부와; 상판부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측판부; 및 측판부를 걸림턱에 접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접이식 물품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물품함{FOLDING TYPE DELIVERY BOX}
본 발명은 접이식 물품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단위 주거공간이 아닌 단독주택이나 빌라에 설치가능하고, 문에 설치하지 않아 보안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며, 집에 사람이 없어도 도난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물품을 받을 수 있는 접이식 물품함에 관한 것이다.
택배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이러한 물류의 신속한 운송 욕구에 맞추어 등장한 운송 서비스로서 사용자의 소화물 전송 요청을 전화, 팩스, 인터넷 등의 통신을 통하여 접수한 뒤, 사용자를 직접 방문하여 보낼 물품이나 서류를 인수한 후, 이를 소화물 수령인의 댁내까지 방문하여 직접 전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택배 서비스의 택배 처리 과정은, 발송 의뢰를 받은 모든 택배는 본사로 집결되고, 본사에서 택배를 수취처 별로 분류하여, 해당하는 지역 영업소로 택배를 보낸다. 이어서, 지역 영업소의 택배 직원은 차량 등을 이용하여 수취처로 화물을 배달한다. 이어서, 수취처에 수취자 또는 대리 수취자가 있는 경우에는, 수취자 또는 대리 수취자에게 택배를 전달하고, 수령 확인을 받은 후, 지역 영업소로 복귀한다. 수취처에 아무도 없는 경우, 이웃집 또는 아파트 경비실에 화물을 맡겨 놓고, 복귀한 후 수취자에게 연락을 한다. 그러나, 이웃집 또는 아파트 경비실에 화물을 맡겨 놓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일단, 다시 지역 영업소로 갔다가, 수취자가 있는 것을 확인한 후, 다시 수취처로 가서, 택배를 전달하고, 수령 확인을 받은 후, 지역 영업소로 복귀한다. 지역 영업소로 복귀한 택배 직원은 지역 영업소의 단말기를 통해, 본사의 중앙 서버에 택배 현황을 갱신한다
현재 통신매체의 발달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와 TV 홈쇼핑 및 통신판매의 급증으로 택배 서비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나, 교통체증에 따라 물품 전달 시간이 불규칙하고, 맞벌이, 이혼율 증가, 업무량 증가, 주5일제 증가에 따른 개인의 사정상 물품 배달이나 수취가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당사자 또는 상대방의 연락 두절, 부재시 배달이 불가능하며, 택배를 가장한 강력 범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물품 분실의 위험이 증가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25253호 ' 무인택배 및 배송물류 시스템'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락커와 물품존재여부를 파악하는 센서 및 물품존재여부를 알리는 표시램프를 구비하고 또한 사이즈별로 상이한 여러 개의 보관함을 제공하고 또한, 보관 정보와 요금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아파트와 같이 몇 십세대 이상이 밀집하여 사는 아파트와 같은 주거 공간이 아니면 단독주택이나 빌라 등에는 비용, 공간의 문제 때문에 설치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19038호 ' 무인배달물 수령시스템'은 각 과정의 현관에 수령함이 설치되어 집안에 사람이 없어도 택배나 우편세탁물 등의 배달물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수령함의 앞뒤에 투입도어와 수거도어가 설치되어 있어 투입도어를 통해 배달물을 투입하고 수거도어를 통해 배달물을 수거하도록 하는데 수령함이 문에 설치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고장이 있는 경우 집안의 보안을 해제하는 것과 같은 우려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강,절도에 이용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택배함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단위 주거공간이 아닌 단독주택이나 빌라에 설치가능한 접이식 물품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에 설치하지 않아 보안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며, 집에 사람이 없어도 도난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물품을 받을 수 있는 접이식 물품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이식 물품함에 있어서, 수납수단; 및 수납수단에 연결되어 물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수납수단 내에 수납되도록 접혀지는 보관수단; 을 포함하되, 보관수단은, 수납수단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판부와; 상판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개폐도어가 구비된 전판부와; 한쪽은 연결부재에 의해 전판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쪽은 수납수단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부와; 상판부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측판부; 및 측판부를 걸림턱에 접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접이식 물품함을 제공한다.
고정부는, 측판부에 형성되고, 제1 걸쇠가 돌출 또는 삽입 동작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1 걸쇠장치와; 바닥판부에 형성되고, 제1 걸쇠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장치; 및 걸림장치에 걸림되어 있는 제1 걸쇠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해제장치;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해제장치는, 걸림장치와 떨어져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받침부재와; 일부가 받침부재의 상단에 놓여지는 지렛대와; 걸림장치 내에 배치되고, 지렛대에 연결되어 지렛대의 동작에 의해 승강되되, 지렛대의 눌림동작에 따라 상승하여 걸림장치에 걸림되어 있는 제1 걸쇠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승강부재; 및 승강부재와 연결되어 승강되고, 지렛대의 눌림동작에 따라 측판부와 걸림턱 사이에 끼워져 측판부를 밀어내는 쐐기부재;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에는 개폐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전자식 도어록이 형성되고, 고정부는, 바닥판부에 형성되고, 전자식 도어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판부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제2 걸쇠장치로 이루어지며, 제2 걸쇠장치는, 개폐도어의 잠금시 제2 걸쇠가 돌출되어 측판부를 고정되도록 하고, 개폐도어의 잠금해제시 제2 걸쇠가 바닥판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측판부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측은 수납수단에 고정되고, 타측은 바닥판부에 고정되며, 보관수단의 동작에 따라 회동되어 접혀지는 지지대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납수단은, 상판부와 연결되는 상면판재가 배면판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턱에는 제1 결합체가 형성되고, 측판부에는 제1 결합체에 결합되는 제2 결합체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에 의하면, 대단위 주거공간이 아닌 단독주택이나 빌라에 설치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에 설치하지 않아 보안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며, 집에 사람이 없어도 도난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물품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물품함의 내부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물품함의 내부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의 내부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의 측판부의 고정 및 고정해제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물품함의 내부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물품함의 내부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은 크게 수납수단(100)과 보관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납수단(10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을 벽체(도시하지 않음)에 장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수납수단(100)은 벽체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으나, 벽체를 안쪽으로 파낸 후 파낸 홈에 장착할 수도 있으며 특히, 건물의 설계시 접이식 물품함을 위한 홈을 미리 형성할 경우 평소에는 접이식 물품함이 안보이는 상태로 있다가 택배 등 배달물품이 오는 경우에만 접이식 물품함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납수단(100)은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하기에 서술하는 보관수단(20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도면상 상측에 위치하는 상면판재(110)가 도면상 배면에 위치하는 배면판재(1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면판재(120)에는, 펼쳐진 보관수단(200)의 내부를 촬영하는 기록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택배 등의 물품배달 당시 등을 촬영함으로써 배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수단(200) 내에 수납된 배달물품의 도난시 이를 추적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보관수단(200)은 수납수단(100)에 연결되어 물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수납수단(100) 내에 수납되도록 접혀지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보관수단(200)은 펼쳤을 때 적어도 50cm 이상, 예를 들어 라면박스 등과 같은 택배 등을 이용한 배달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보관수단(200)은 상판부(210)와 전판부(220), 바닥판부(230), 측판부(240) 및 고정부(250)를 포함한다.
상판부(210)는 수납수단(100)의 상부, 즉 상면판재(1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로써, 보관수단(200)이 수납수단(100) 내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는 수납수단(100)의 전면커버 역할을 하게 되고, 보관수단(200)에 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펼칠 경우 도면상 보관수단(2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보관수단(200)을 쉽게 펼칠 수 있도록 상판부(210)에는 손잡이(212)가 형성된다.
전판부(220)는 상판부(2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보관수단(200)을 펼쳤을 때 보관수단(200)의 전면측에 위치되며, 물품을 보관수단(200) 내에 보관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개폐도어(222)가 구비된다. 이러한 개폐도어(222)에는 개폐도어(222)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도록 도어록(222a)이 구비되며, 전자식 도어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자식 도어록(222a)은 숫자, 글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판과, 입력되는 숫자나 글자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창 등으로 구성되어 접이식 물품함이 비어있는 경우 누구나 문을 열 수 있으나 배달물품이 넣어져 개폐도어(222)가 폐쇄된 후에는 비밀번호 등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열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전자식 도어록(222a)에는 배달버튼을 두어 배달물품을 접이식 물품함에 넣었음을 입력하고, 배달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개폐도어(222)가 폐쇄되면 비밀번호 등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문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배달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도어(222)가 폐쇄되는 경우 누구나 개폐도어(222)를 열 수 있게 되는데, 배달하는 사람이 배달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도어(222)를 닫고 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물품함의 내측에 물품이 있음을 감지하거나, 물품함이 펼쳐졌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두어 배달시도가 있었는데도 배달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소리를 내어 배달버튼을 누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물품을 주문하고 쇼핑몰 등의 발송자 측에서 택배사에 물품을 보낼 때 받는 송장번호를 사용자 가정의 PC로 보내주게 되면 이를 유선, 무선, 블루투스 연결 등을 통해 물품함에 해당 송장번호를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배달자가 해당 송장번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만 개폐도어(222)가 열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문한 물품의 배달이 있는 경우에만 물품함이 열리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바닥판부(230)는 보관수단(200)을 펼쳤을 때 보관수단(200)의 바닥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바닥판부(230)의 한쪽은 연결부재(232)에 의해 전판부(2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쪽은 수납수단(10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양측에 걸림턱(234)이 형성된다. 연결부재(232)는 바닥판부(230)와 전판부(2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써, 바닥판부(230)와 전판부(220)의 사이는 다른 연결부위와는 다르게 한쪽 방향으로만 회동되는 것이 아니라 양쪽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에, 천 재질 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관수단(200) 내에 보관되는 물품의 도난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쇠사슬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금속바아를 배치하고 금속바아의 한쪽이 힌지에 의해 바닥판부(230)와 연결되고, 다른쪽은 힌지에 의해 전판부(220)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걸림턱(234)에는 제1 결합체(236)가 형성되어 하기에 서술하는 측판부(2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보관수단(200)을 펼칠 경우 보관수단(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300)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지지대(300)의 일측은 수납수단(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바닥판부(230)에 고정되어 보관수단(200)의 동작에 따라 회동되어 접혀지게 된다.
측판부(240)는 상판부(21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보관수단(200)을 펼쳤을 때 양쪽 측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전술한 걸림턱(234)에 제1 결합체(236)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측판부(240)에는 제1 결합체(236)에 결합되는 제2 결합체(242)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체(236)와 제2 결합체(242)는 걸림턱(234)에 측판부(240)가 고정되어 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결합홈(홀)과 결합돌기나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성체 등을 이용할 수 있고, 결합홈(홀)과 결합돌기에 자성체까지 모두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체(236)로써 결합홀을 사용하고, 제2 결합체(242)로써 결합돌기를 사용한다.
고정부(250)는 보관수단(200)을 펼쳤을 때 측판부(240)를 걸림턱(234)에 접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50)가 제1 걸쇠장치(252)와 걸림장치(254), 그리고 걸림해제장치(2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걸쇠장치(252)는 측판부(240)에 형성되고, 제1 걸쇠(252a)가 돌출 또는 삽입 동작되도록 탄성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걸림장치(254)는 바닥판부(230)에 형성되어 전술한 제1 걸쇠(252a)가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제1 걸쇠(252a)는 측판부(240)가 걸림턱(234) 방향을 향해 동작할 때 걸림장치(254)에 접하면서 걸림장치(254)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삽입된 후 다시 돌출되면서 걸림장치(254)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된다. 이에 따라 측판부(240)가 보관수단(200) 내측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걸림해제장치(256)는 걸림장치(254)에 걸림되어 있는 제1 걸쇠(252a)의 걸림을 해제하는 구성요소이며, 받침부재(256a)와 지렛대(256b), 승강부재(256c) 및 쐐기부재(256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부재(256a)는 걸림장치(254)와 떨어져 바닥판부(230)에 형성되고, 지렛대(256b)는 일부가 받침부재(256a)의 상단에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승강부재(256c)는 걸림장치(254) 내에 배치되고, 지렛대(256b)에 연결되어 지렛대(256b)의 동작에 의해 승강되되, 지렛대(256b)의 눌림동작에 따라 상승하여 걸림장치(254)에 걸림되어 있는 제1 걸쇠(252a)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쐐기부재(256d)는 승강부재(256c)와 연결되어 승강되고, 지렛대(256b)의 눌림동작에 따라 측판부(240)와 걸림턱(234) 사이에 끼워져 측판부(240)를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의 내부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고정부(250)의 구성과 제1 및 제2 결합체(236, 242)가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에서는 고정부(250)로 제2 걸쇠장치(258)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제2 걸쇠장치(258)는 개폐도어(222)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전자식 도어록(22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 걸쇠장치(258)는 전자식 도어록(222a)에 의해 개폐도어(222)가 잠금되는 경우 제2 걸쇠(258a)가 돌출되어 측판부(240)를 고정시키고, 개폐도어(222)가 잠금해제되는 경우 제2 걸쇠(258a)가 바닥판부(2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측판부(240)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걸림턱(234)과 측판부(240)에는 제1 결합체(236)와 제2 결합체(242)가 형성되는데, 제1 실시예에서는 결합홀과 결합돌기를 사용한 것에 비해, 제2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자석을 이용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실시예 외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및 제2 결합체(236, 242)로 결합홀과 결합돌기를 사용하고, 고정부(250)로 제2 걸쇠장치(258)를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먼저, 물품을 보관수단(200)에 보관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손잡이(212)를 잡아당겨 상판부(210)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판부(210)가 들어 올려지면서 수납수단(100)의 상면판재(110) 또한 어느 정도 회동된다.
다음, 도 8과 같이 손으로 전판부(220) 또는 바닥판부(230)를 잡아당기거나 자중에 의해 전판부(220)와 바닥판부(230)가 펼쳐지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는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될 수 있으므로 전판부(220)와 바닥판부(230)가 원활하게 회동하여 펼쳐질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부(230)와 수납수단(10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대(300) 또한 회동하게 된다.
전판부(220)와 바닥판부(230)가 어느 정도 펼쳐지게 되면 측판부(240)가 자중에 의해 회동 동작되며, 어느 정도 회동된 후에는 걸림턱(234)에 의해 걸림되어 동작을 멈추게 된다. 이때, 걸림턱(234)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체(236), 즉 결합홀에 측판부(240)의 제2 결합체(242), 즉 결합돌기가 결합되어 측판부(240)의 비틀림 등을 방지하게 되며, 도 4와 같이 고정부(250), 즉 제1 걸쇠장치(252)의 제1 걸쇠(252a)가 걸림장치(254)에 걸림되어 측판부(240)가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의 측판부의 고정 및 고정해제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물품함에 사용되는 측판부(240)의 고정 및 고정해제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걸쇠장치(258)의 제2 걸쇠(258a)가 개폐도어(222)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와 같이 보관수단(200)을 펼친 상태에서는 고정부(250)에 의해 측판부(240)가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이후, 보관수단(200) 내에 보관된 물품을 꺼낸 후 보관수단(200)을 접고자 하는 경우, 우선 도 10과 같이 지렛대(256b)를 하부 방향을 향해 눌러주게 된다.
이에, 받침부재(256a)에 얹혀있는 지렛대(256b)의 말단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부재(256c)와 쐐기부재(256d)가 상승하게 된다.
승강부재(256c)는 걸림장치(254) 내에 걸림되어 있는 제1 걸쇠(252a)를 점차 밀어올리게 되고, 쐐기부재(256d)는 걸림턱(234)과 측판부(240)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 11과 같이 지렛대(256b)가 더욱 하부 방향을 향해 눌려지면서 승강부재(256c)가 제1 걸쇠(252a)의 걸림을 해제하게 되고, 쐐기부재(256d)의 형상에 의해 측판부(240)를 보관수단(200) 내측을 향해 밀려 들어가게 되므로 결국 제1 및 제2 결합체(236, 242) 간의 결합이 분리되고, 제1 걸쇠(252a)가 걸림장치(254)로부터 떨어져 측판부(240)의 고정이 완전히 해제되는 것이다.
이후,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보관수단(200)을 동작시키게 되면 보관수단(200)을 수납수단(100) 내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고정이 해제된 측판부(240)를 상판부(210)측으로 회동시키고, 전판부(220)와 바닥판부(2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32) 근처를 대각선 방향, 즉 상면판재(110) 방향을 향해 밀면 전판부(220)와 바닥판부(230)가 접히게 되며, 상판부(210)를 하부측으로 내리면 보관수단(200)이 수납수단(100) 내에 수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납수단 110: 상면판재
120: 배면판재 200: 보관수단
210: 상판부 212: 손잡이
220: 전판부 222: 개폐도어
222a: 도어록 230: 바닥판부
232: 연결부재 234: 걸림턱
236: 제1 결합체 240: 측판부
242: 제2 결합체 250: 고정부
252: 제1 걸쇠장치 252a: 제1 걸쇠
254: 걸림장치 256: 걸림해제장치
256a: 받침부재 256b: 지렛대
256c: 승강부재 256d8: 쐐기부재
258: 제2 걸쇠장치 258a: 제2 걸쇠
300: 지지대

Claims (7)

  1. 접이식 물품함에 있어서,
    수납수단; 및
    상기 수납수단에 연결되어 물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수단 내에 수납되도록 접혀지는 보관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보관수단은,
    상기 수납수단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개폐도어가 구비된 전판부와;
    한쪽은 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전판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쪽은 상기 수납수단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측판부; 및
    상기 측판부를 상기 걸림턱에 접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접이식 물품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판부에 형성되고, 제1 걸쇠가 돌출 또는 삽입 동작되도록 탄성지지하는 제1 걸쇠장치와;
    상기 바닥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걸쇠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장치; 및
    상기 걸림장치에 걸림되어 있는 상기 제1 걸쇠의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해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물품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장치는,
    상기 걸림장치와 떨어져 상기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받침부재와;
    일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상단에 놓여지는 지렛대와;
    상기 걸림장치 내에 배치되고, 상기 지렛대에 연결되어 상기 지렛대의 동작에 의해 승강되되, 상기 지렛대의 눌림동작에 따라 상승하여 상기 걸림장치에 걸림되어 있는 상기 제1 걸쇠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와 연결되어 승강되고, 상기 지렛대의 눌림동작에 따라 상기 측판부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 끼워져 상기 측판부를 밀어내는 쐐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물품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에는 상기 개폐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시키는 전자식 도어록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닥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자식 도어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측판부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제2 걸쇠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걸쇠장치는,
    상기 개폐도어의 잠금시 제2 걸쇠가 돌출되어 상기 측판부를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개폐도어의 잠금해제시 상기 제2 걸쇠가 상기 바닥판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측판부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물품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수납수단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바닥판부에 고정되며, 상기 보관수단의 동작에 따라 회동되어 접혀지는 지지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물품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수단은,
    상기 상판부와 연결되는 상면판재가 배면판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물품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는 제1 결합체가 형성되고,
    상기 측판부에는 상기 제1 결합체에 결합되는 제2 결합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물품함.
KR1020100042864A 2010-05-07 2010-05-07 접이식 물품함 KR101120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864A KR101120426B1 (ko) 2010-05-07 2010-05-07 접이식 물품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864A KR101120426B1 (ko) 2010-05-07 2010-05-07 접이식 물품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400A true KR20110123400A (ko) 2011-11-15
KR101120426B1 KR101120426B1 (ko) 2012-03-16

Family

ID=4539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864A KR101120426B1 (ko) 2010-05-07 2010-05-07 접이식 물품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4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8328A (zh) * 2018-03-01 2018-07-17 济南房生活信息科技有限公司 方便物品传递的智能存储箱、及其门锁系统及开锁方法
CN110353457A (zh) * 2018-08-28 2019-10-22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物品存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106A (ja) 1996-11-07 1998-05-26 Daidoo:Kk 簡易型宅配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8328A (zh) * 2018-03-01 2018-07-17 济南房生活信息科技有限公司 方便物品传递的智能存储箱、及其门锁系统及开锁方法
CN110353457A (zh) * 2018-08-28 2019-10-22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物品存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426B1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090B1 (ko) 무인택배함
US10743694B2 (en) Package receiving locker
JP7401520B2 (ja) 物品の保管および回収の装置
KR20160107894A (ko) 변신 무인 택배 발송함 및 수령함
US6412688B1 (en) Secure parcel receptacle, lock assembly therefore and associated method
JP7014402B2 (ja) 宅配ボックス
KR101120426B1 (ko) 접이식 물품함
US10827868B1 (en) Tamper resistant parcel delivery box
JP2020032181A (ja) 配布ターミナルおよび物品アクセス装置
JP6985862B2 (ja) 荷物受箱及びドア
US11083318B2 (en) Automatically locking delivery box
JPH10117917A (ja) 配達物の無人受取システム
KR20090009969U (ko) 절첩식 택배함
KR20110004769U (ko) 무인택배함
JPH10276893A (ja) 出入口開閉戸及びそれに付設される宅配ロッカー
WO2011043542A2 (ko) 무인택배함
JP5129985B2 (ja) 物品収納用箱体の施錠機構
US20200160637A1 (en) Storage apparatus
KR20090009968U (ko) 절첩식 택배함
JP3211557U (ja) 不在時配達荷物受取り装置
KR20140032613A (ko) 무인 택배 보관함
JP7065456B2 (ja) 宅配ボックス
JP4956629B2 (ja) 宅配ボックス
JPH02252882A (ja) 宅配物受取設備
JP3168255U (ja) 簡易宅配荷受け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