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090B1 - 무인택배함 - Google Patents

무인택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090B1
KR101030090B1 KR1020100034214A KR20100034214A KR101030090B1 KR 101030090 B1 KR101030090 B1 KR 101030090B1 KR 1020100034214 A KR1020100034214 A KR 1020100034214A KR 20100034214 A KR20100034214 A KR 20100034214A KR 101030090 B1 KR101030090 B1 KR 10103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door
rail b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414A (ko
Inventor
백인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큐아이
백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큐아이, 백인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큐아이
Priority to PCT/KR2010/00594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43542A2/ko
Publication of KR2011003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being transportable and attachable to a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5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means for identifying a deposit; Deposits carrying identification means, e.g. a bar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택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단위 주거공간이 아닌 단독주택이나 빌라에 설치가능하고, 문에 설치하지 않아 보안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며, 집에 사람이 없어도 도난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물건을 받을 수 있는 무인택배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택배함에 있어서, 벽체에 장착되고, 복수의 단위체가 상호 겹쳐서 형성되며, 단위체의 겹침 정도에 따라 길이 조정이 가능한 본체와; 단위체 중 가장 끝단의 단위체에 형성되고, 잠금 또는 잠금해제 가능하도록 키패드가 마련된 문; 및 전면을 개폐하는 수납함도어와, 한쪽은 수납함도어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본체에 고정되어 수납함도어의 개폐시 수납함도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본체를 수납 가능한 수납함; 을 포함하되, 문이 형성된 단위체의 하부측에는 롤러가 형성되고, 수납함도어는 본체의 길이 조정시 개방되어 롤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인택배함{HOME DELIVERY BOX}
본 발명은 무인택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단위 주거공간이 아닌 단독주택이나 빌라에 설치가능하고, 문에 설치하지 않아 보안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며, 집에 사람이 없어도 도난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물건을 받을 수 있는 무인택배함에 관한 것이다.
택배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이러한 물류의 신속한 운송 욕구에 맞추어 등장한 운송 서비스로서 사용자의 소화물 전송 요청을 전화, 팩스, 인터넷 등의 통신을 통하여 접수한 뒤, 사용자를 직접 방문하여 보낼 물건이나 서류를 인수한 후, 이를 소화물 수령인의 댁내까지 방문하여 직접 전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택배 서비스의 택배 처리 과정은, 발송 의뢰를 받은 모든 택배는 본사로 집결되고, 본사에서 택배를 수취처 별로 분류하여, 해당하는 지역 영업소로 택배를 보낸다. 이어서, 지역 영업소의 택배 직원은 차량 등을 이용하여 수취처로 화물을 배달한다. 이어서, 수취처에 수취자 또는 대리 수취자가 있는 경우에는, 수취자 또는 대리 수취자에게 택배를 전달하고, 수령 확인을 받은 후, 지역 영업소로 복귀한다. 수취처에 아무도 없는 경우, 이웃집 또는 아파트 경비실에 화물을 맡겨 놓고, 복귀한 후 수취자에게 연락을 한다. 그러나, 이웃집 또는 아파트 경비실에 화물을 맡겨 놓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일단, 다시 지역 영업소로 갔다가, 수취자가 있는 것을 확인한 후, 다시 수취처로 가서, 택배를 전달하고, 수령 확인을 받은 후, 지역 영업소로 복귀한다. 지역 영업소로 복귀한 택배 직원은 지역 영업소의 단말기를 통해, 본사의 중앙 서버에 택배 현황을 갱신한다
현재 통신매체의 발달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와 TV 홈쇼핑 및 통신판매의 급증으로 택배 서비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나, 교통체증에 따라 물품 전달 시간이 불규칙하고, 맞벌이, 이혼율 증가, 업무량 증가, 주5일제 증가에 따른 개인의 사정상 물품 배달이나 수취가 곤란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당사자 또는 상대방의 연락 두절, 부재시 배달이 불가능하며,택배를 가장한 강력 범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물품 분실의 위험이 증가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25253호 ' 무인택배 및 배송물류 시스템'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전자락커와 물품존재여부를 파악하는 센서 및 물품존재여부를 알리는 표시램프를 구비하고 또한 사이즈별로 상이한 여러 개의 보관함을 제공하고 또한, 보관 정보와 요금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아파트와 같이 몇십세대 이상이 밀집하여 사는 아파트와 같은 주거 공간이 아니면 단독주택이나 빌라등에는 비용, 공간의 문제때문에 설치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19038호 ' 무인배달물 수령시스템'은 각 과정의 현관에 수령함이 설치되어 집안에 사람이 없어도 택배나 우편세탁물 등의 배달물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수령함의 앞뒤에 투입도어와 수거도어가 설치되어 있어 투입도어를 통해 배달물을 투입하고 수거도어를 통해 배달물을 수거하도록 하는데 수령함이 문에 설치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고장이 있는 경우 집안의 보안을 해제하는 것과 같은 우려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강,절도에 이용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단위 주거공간이 아닌 단독주택이나 빌라에 설치가능한 무인택배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에 설치하지 않아 보안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며, 집에 사람이 없어도 도난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물건을 받을 수 있는 무인택배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체의 길이 조정시 수납함도어가 개방되어 본체를 지지하므로써, 상기 본체에 중량이 있는 택배물이 수납되거나 지속적인 하중으로 상기 단위체의 변형 및 작동불능을 방지할 수 있는 무인택배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택배함에 있어서, 벽체에 장착되고, 복수의 단위체가 상호 겹쳐서 형성되며, 단위체의 겹침 정도에 따라 길이 조정이 가능한 본체와; 단위체 중 가장 끝단의 단위체에 형성되고, 잠금 또는 잠금해제 가능하도록 키패드가 마련된 문; 및 전면을 개폐하는 수납함도어와, 한쪽은 수납함도어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본체에 고정되어 수납함도어의 개폐시 수납함도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본체를 수납 가능한 수납함; 을 포함하되, 문이 형성된 단위체의 하부측에는 롤러가 형성되고, 수납함도어는 본체의 길이 조정시 개방되어 롤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함을 제공한다.
본체의 양측에는 버팀대가 형성되고, 버팀대는, 벽체 또는 단위체 중 벽체에 장착되는 단위체에 고정되는 제1 레일바아와; 소정 간격 떨어져 제1 레일바아에 장착되고, 본체의 길이 조정시 제1 레일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제1 이동구와; 문이 형성된 단위체에 고정되는 제2 레일바아와; 소정 간격 떨어져 제2 레일바아에 장착되고, 본체의 길이 조정시 제2 레일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제2 이동구와; 제1 레일바아와 제2 레일바아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제1 이동구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의 길이 조정에 따라 제1 레일바아와 제2 레일바아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도록 회동 동작되는 한 쌍의 제1 회동바아; 및 제2 이동구와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의 길이 조정에 따라 제1 레일바아와 제2 레일바아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도록 회동 동작되는 한 쌍의 제2 회동바아;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위체는, 말단에 단위체 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된 것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는, 단위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바아; 및 고정바아에 설치되고, 상호 이웃하는 양측의 단위체에 접하며, 본체의 길이 조정에 따라 단위체가 미끄러져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회전볼; 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는, 단위체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재; 및 단위체 중 다른 하나의 내면에 형성되고, 돌출부재가 삽입되어 동작되는 슬라이드레일; 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벽체 또는 본체에는, 본체 내부를 촬영하는 기록장치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택배함에 의하면, 대단위 주거공간이 아닌 단독주택이나 빌라에 설치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에 설치하지 않아 보안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며, 집에 사람이 없어도 도난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물건을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길이 조정시 수납함도어가 개방되어 본체를 지지하므로써, 상기 본체에 중량이 있는 택배물이 수납되거나 지속적인 하중으로 상기 단위체의 변형 및 작동불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 형상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본체가 동작된 상태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고, 도 3의 (a) 및 (b)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내부 형상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은 크게 본체(100)와 문(200) 및 수납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벽체에 장착되고, 복수의 단위체(120)가 상호 겹쳐서 형성되며, 단위체(120)의 겹침 정도에 따라 길이 조정이 가능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본체(100)는 벽체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고정판재, 즉 고정대(110)를 벽체에 고정시킨 후 여기에 본체(100)를 장착하게 된다. 또한, 고정대(110)는 벽체면에 장착하는 것 외에 벽체를 안쪽으로 파낸 후 파낸 홈에 장착할 수도 있다. 특히, 건물의 설계시 무인택배함을 위한 홈을 미리 형성할 경우 평소에는 무인택배함이 안보이는 상태로 있다가 택배 등 배달물건이 오는 경우에만 무인택배함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대(110)는 외부의 충격과 도난 방지 등을 위해 금속재질을 사용하고, 고정대(110)와 벽체 사이의 결합은 볼트를 이용한다.
본체(100)는 복수의 단위체(120)가 상호 겹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안쪽의 단위체(120)보다 바깥쪽의 단위체(120)의 크기가 조금씩 커지거나 반대로 안쪽의 단위체보다 바깥쪽의 단위체의 크기가 조금씩 작아지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가장 아래쪽에 있는 단위체(120)의 안쪽으로 다른 단위체(120)가 차곡차곡 쌓이거나, 가장 바깥쪽의 단위체(120) 안쪽으로 다른 단위체(120)가 쌓이되 각 단위체(120)의 말단에는 단위체(120) 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리브(124)를 형성하게 된다. 즉, 본체(100)의 길이 조정시 각 단위체(120)의 말단이 상호 걸리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위체(120)가 차례대로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위체(120)에 의하여 택배 등을 이용한 배달물건의 크기에 상관없이 본체(100)의 크기를 조절하여 본체(100) 내에 물건을 넣을 수 있다. 이때, 본체(100)는 펼쳤을 때 적어도 50cm 이상, 예를 들어 라면박스 등과 같은 택배 등을 이용한 배달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본체(100)의 길이 조정시 단위체(12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구성을 포함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예가 적용될 수 있는데, 도 3의 (a)에서는 고정바아(130)와 회전볼(140)을 이용한 구성이 나타나 있다. 다시 말해서, 단위체(120)와 단위체(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고정바아(130)가 설치되고, 이러한 고정바아(130)에 회전볼(140)이 장착되는 것이다. 회전볼(140)은 고정바아(130)에 고정되어 상호 이웃하는 양측의 단위체(120)에 접한 상태로 배치되지만 단위체(12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본체(100)의 길이 조정에 따라 단위체(120)가 회전볼(140)의 회전에 의해 미끄러져 이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볼(140)은 단위체(120)의 양측면에 2개, 하부면에 3개가 배치되나 단위체(120)의 무게나 수납되는 배달물건의 무게 등에 따라 개수를 가감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부면에도 고정바아(130)과 회전볼(140)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하기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단위체(120) 중 가장 끝단의 단위체(120)에 롤러(122)가 형성되는 경우 가장 끝단의 단위체(120)와 수납함(300)의 사이에는 고정바아(130)와 회전볼(140)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서는 단위체(12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다른 구성, 즉 돌출부재(150)와 슬라이드레일(160)을 이용한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돌출부재(150)는 단위체(120)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형성되고, 슬라이드레일(160)은 단위체(120) 중 다른 하나의 내면에 형성되어 돌출부재(150)가 슬라이드레일(160)에 삽입되어 본체(100)의 길이 조정에 따라 돌출부재(150)가 슬라이드레일(160)에 의해 가이드되어 동작되게 된다. 이와 같은 돌출부재(150)와 슬라이드레일(160)은 전술한 것과 같이 단위체(120) 중 가장 끝단의 단위체(120)에 롤러(122)가 형성되는 경우 생략할 수 있고,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단위체(120), 즉 벽체나 고정대(110)에 고정되는 단위체(120)의 경우 돌출부재(150), 슬라이드레일(160)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는 단위체(12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각각의 단위체(120)에 롤러(122), 예를 들어 플렛트 롤러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문(200)이 형성된 단위체(120)의 경우 하기에 서술하는 수납함도어(310)가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100)의 길이 조정시 수납함도어(310)의 일면에 접한 상태로 동작되어 단위체(120)를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탈방지리브(124)에는 단위체(120)의 이동과 함게 이동하는 롤러(122)가 걸려 단위체(120)의 이동이 멈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凹)부가 형성되어 롤러(122)의 이동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롤러(122)는 도 4와 같이 단위체(1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8개씩 총 16개가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황에 따라 개수를 가감할 수 있고, 상부면과 하부면 외에 양측면에도 롤러(122)를 배치할 수 있으며, 도 3의 설명에서 언급한 고정바아(130)와 회전볼(140)이나 돌출부재(150)와 슬라이드레일(160)을 롤러(122)와 섞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벽체 또는 본체(100)에는 본체(100) 내부를 촬영하는 기록장치(500)가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택배 등의 물건배달 당시 등을 촬영함으로써 배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100) 내에 수납된 배달물건의 도난시 이를 추적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문(200)은 단위체(120) 중 가장 끝단의 단위체(120)에 형성되고, 잠금 또는 잠금해제 가능하도록 키패드(210)가 마련된다. 키패드(210)는 숫자, 글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판과, 입력되는 숫자나 글자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창 등으로 구성되어 택배함이 비어있는 경우 누구나 문을 열 수 있으나 배달물건이 넣어져 문(200)이 폐쇄된 후에는 비밀번호 등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열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키패드(210)에는 배달버튼을 두어 배달물건을 택배함에 넣었음을 입력하고, 배달버튼이 눌러진 상태에서 문(200)이 폐쇄되면 비밀번호 등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문이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배달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문이 폐쇄되는 경우 누구나 문을 열 수 있게 되는데, 배달하는 사람이 배달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문을 닫고 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택배함의 내측에 물건이 있음을 감지하거나, 택배함이 펼쳐졌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두어 배달시도가 있었는데도 배달버튼이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소리를 내어 배달버튼을 누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물건을 주문하고 쇼핑몰 등의 발송자 측에서 택배사에 물건을 보낼 때 받는 송장번호를 사용자 가정의 PC로 보내주게 되면 이를 유선, 무선, 블루투스 연결 등을 통해 택배함에 해당 송장번호를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배달자가 해당 송장번호를 입력하는 경우에만 문이 열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문한 물건의 배달이 있는 경우에만 택배함이 열리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문(200)에는 키패드(210)와 떨어져 손 등을 이용하여 잡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홈이 없을 경우에는 돌출되어 있는 키패드(210)를 잡고 개폐할 수 있다. 이때, 문(200)의 개폐시 단위체(120)가 전부 펼쳐지면서 따라나올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끝단의 단위체(120)에는 손잡이(126)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26)를 잡고 문(20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단위체(120)의 펼쳐짐과 문(200)의 개폐가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문(200)의 일측에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문(200)의 개방시 벽체나 다른 문 등과 부딪치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돌방지돌기(S)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함(300)은 본체(100)를 수납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써, 전면을 개폐하는 수납함도어(310)와, 한쪽은 수납함도어(310)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본체(100)에 고정되어 수납함도어(310)의 개폐시 수납함도어(310)를 지지하는 지지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납함도어(31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납함(300)의 전면 폐쇄시 폐쇄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수단을 사용하게 되고, 힌지(경첩)에 의해 수납함(300)에 장착되어 개폐되며, 문(200)에 마련되어 있는 키패드(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키패드공(312)과, 손잡이(12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손잡이공(314)이 형성된다. 수납함도어(310)는 본체(100)의 길이 조정시 걸림수단의 해제에 따라 개방되어 전술한 롤러(122)가 접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되며, 본체(100)가 펼쳐지는 방향을 향해 일부가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본체(100)가 접혀들어갈 때 롤러(122)가 수납함도어(310)에 걸리지 않고 쉽게 수납함도어(310)에 접하여 지지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본체가 동작된 상태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롤러(122)가 본체(100)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수납함도어(310)를 개방하게 되는데, 수납함도어(310)가 개방되면 지지대(320)가 접힌 상태로 수납함(300)에 수납되어 있다가 수납함도어(310)의 개방과 함께 펼쳐져 수납함도어(31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가장 끝단의 단위체(120)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26)를 잡아당기게 되면 단위체(120)가 펼쳐지다가 단위체(120)의 말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리브(124)에 의해 다른 단위체(120)에 걸리게 되어 순차적으로 단위체(120)가 펼쳐지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단위체(120)마다 설치되어 있는 롤러(122)는 이탈방지리브(124)에 형성되어 있는 요(凹)부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0) 내부, 특히 고정대(110)에는 본체(100) 내부를 촬영하는 기록장치(500)가 설치되어 있으며, 문이 열리거나 배달물건을 본체(100) 내에 수납하는 상태 등을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00)를 수납함(300)에 수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순서와 반대로 본체(100)의 가장 끝단의 단위체(120)를 밀어 차례대로 단위체(120)를 접어 넣고, 수납함도어(310)를 폐쇄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본체(100)의 양측에 버팀대(40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버팀대(400)는 제1 레일바아(410), 제1 이동구(412), 제2 레일바아(420), 제2 이동구(422), 지지부(430), 제1 회동바아(440) 및 제2 회동바아(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본체(10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 레일바아(410)는 벽체 또는 단위체(120) 중 벽체에 장착되는 단위체(120)에 고정되는 구성요소이고, 제1 이동구(412)는 한 쌍의 개수로 소정 간격 떨어져 제1 레일바아(410)에 장착되고, 본체(100)의 길이 조정시 제1 레일바아(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제2 레일바아(420)는 문(200)이 형성된 단위체(120)에 고정되며, 제2 이동구(422)는 제1 이동구(412)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개수로 소정 간격 떨어져 제2 레일바아(420)에 장착되고, 본체(100)의 길이 조정시 제2 레일바아(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지지부(430)는 제1 레일바아(410)와 제2 레일바아(420)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제1 회동바아(440)는 한 쌍의 개수로 제1 이동구(412)와 지지부(43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100)의 길이 조정에 따라 제1 레일바아(410)와 제2 레일바아(420)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도록 회동 동작되는 구성요소이며, 제2 회동바아(450)는 제1 회동바아(44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개수로 제2 이동구(422)와 지지부(43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본체(100)의 길이 조정에 따라 제1 레일바아(410)와 제2 레일바아(420)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도록 회동 동작되는 구성요소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에서는 사용자가 수납함도어(310)를 개방한 후 본체(100)의 가장 끝단의 단위체(120)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126)를 잡아당겨 단위체(120)가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10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버팀대(400) 또한 펼쳐지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100)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버팀대(400) 또한 완전히 펼쳐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체(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체(120)가 펼쳐지게 되면 벽체 또는 단위체(120) 중 벽체에 장착되는 단위체(120)에 고정되는 제1 레일바아(410)와, 문(200)이 형성된 단위체(120)에 고정되는 제2 레일바아(42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힘은 지지부(430)와 제1 레일바아(410)를 연결하고 있는 제1 회동바아(440), 지지부(430)와 제2 레일바아(420)를 연결하고 있는 제2 회동바아(450)를 회동시키게 되고, 결국 제1 레일바아(410)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이동구(412)와, 제2 레일바아(420)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이동구(422)가 각각의 레일바아(510, 520)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본체(100)를 수납함(300)에 수납할 때에는 제1 레일바아(410)와 제2 레일바아(4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힘이 발생하게 되면서 제1 회동바아(440)와 제2 회동바아(450)가 회동하여 제1 및 제2 이동구(512, 522)가 원래의 위치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버팀대(400)를 사용하는 경우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롤러(122)를 생략할 수 있으며, 수납함도어(310)가 본체(100)를 지지하지 않아도 원활하게 본체(100)를 펼치거나 수납함(300)에 접어넣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에서는 버팀대(400)가 본체(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체(100)의 상하부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버팀대(400)가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수납함(300)을 사용하지 않고 본체(100)가 벽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의 이동시 제1 실시예와 같이 수납함도어(310)에 의해 지지되지도 않고,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버팀대(400)도 사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체(100)를 구성하는 단위체(120) 사이의 결합력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이므로 단위체(120)의 개수를 3~4개 정도로 구성하거나, 단위체(120)의 개수가 이보다 많을 경우 단위체(120) 상호 간에 겹쳐지는 부분을 넓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즉, 문(200)이 형성되는 부분에만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단위체(120)가 형성되고, 그 이외에는 다른 단위체, 즉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접이식 철구조물로 형성된다. 택배 등으로 배달되는 배달물건은 통상 상자에 담기는 제품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본체(100) 구조로 형성되어 철구조물 사이에 공간이 있어도 수납되어 있는 물건을 철구조물 사이로 빼기는 힘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철구조물을 사용할 경우 도난의 위험은 크지 않으면서 택배함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철구조물 사이로 뺄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작은 물건을 수납할 경우 철구조물의 내부에 별도의 철망(도시하지 않음) 등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물건을 뺄 수 없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에 수납함(300)이 추가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수납함(300)은 벽체 내부에 형성된 홈에 장착될 수 있고, 수납함도어(310)는 펼쳐진 본체(100)가 하부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받침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에 제2 실시예와는 다른 버팀대(400-1)가 적용되어 구성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경우 하나의 단위체(120)가 다른 단위체(120)에 걸리도록 하며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구성되므로 단위체(120)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이러한 틈을 강제로 열어 본체(100) 내에 수납되어 있는 배달물건의 도난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고, 본체(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버팀대(500-1)을 형성한다. 버팀대(400-1)는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버팀대단위체가 상호 겹쳐서 형성되며, 버팀대단위체의 겹침 정도에 따라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버팀대단위체 내측에서 다른 버팀대단위체가 나오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버팀대(400-1)를 이루는 버팀대단위체는 본체(100)를 이루는 단위체(120)에 1:1로 대응되어 장착될 수도 있고, 단위체(120) 1개당 버팀대단위체가 2~3개가 대응되거나 단위체(120) 1개당 버팀대단위체 2개의 일부가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본체(100)가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본체(100)와 동시에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도면에서는 버팀대(400-1)가 본체(100)의 양측외면에 형성되나, 본체(100)의 내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도면에서는 본체(100)의 양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나, 상하면을 포함하여 모든 면에 버팀대(400-1)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팀대(400-1)가 형성됨으로써 본체(100) 내에 수납된 배달물건을 꺼내기 위해서는 버팀대단위체를 먼저 제거하거나 벌린 후 단위체(120) 사이를 벌려야 하므로 열기가 쉽지 않아 도난의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본체(100)가 펼쳐질 때 버팀대(400-1) 또한 펼쳐지게 되어 본체(100)를 지지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의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무인택배함은 전술한 제6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게 구성되나 버팀대(400-2)의 형상이 다르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7 실시예는 제6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110: 고정대
120: 단위체 122: 롤러
124: 이탈방지리브 126: 손잡이
130: 고정바아 140: 회전볼
150: 돌출부재 160: 슬라이드레일
200: 문 210: 키패드
300: 수납함 310: 수납함도어
312: 키패드공 314: 손잡이공
320: 지지대 400, 400-1, 400-2: 버팀대
410: 제1 레일바아 412: 제1 이동구
420: 제2 레일바아 422: 제2 이동구
430: 지지부 440: 제1 회동바아
450: 제2 회동바아 500: 기록장치
S: 충돌방지돌기

Claims (7)

  1. 무인택배함에 있어서,
    벽체에 장착되고, 복수의 단위체가 상호 겹쳐서 형성되며, 상기 단위체의 겹침 정도에 따라 길이 조정이 가능한 본체와;
    상기 단위체 중 가장 끝단의 단위체에 형성되고, 잠금 또는 잠금해제 가능하도록 키패드가 마련된 문; 및
    전면을 개폐하는 수납함도어와, 한쪽은 상기 수납함도어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수납함도어의 개폐시 상기 수납함도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본체를 수납 가능한 수납함; 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버팀대가 형성되고,
    상기 버팀대는,
    상기 벽체 또는 상기 단위체 중 상기 벽체에 장착되는 단위체에 고정되는 제1 레일바아와;
    소정 간격 떨어져 상기 제1 레일바아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조정시 상기 제1 레일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제1 이동구와;
    상기 문이 형성된 단위체에 고정되는 제2 레일바아와;
    소정 간격 떨어져 상기 제2 레일바아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조정시 상기 제2 레일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제2 이동구와;
    상기 제1 레일바아와 상기 제2 레일바아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제1 이동구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조정에 따라 상기 제1 레일바아와 상기 제2 레일바아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도록 회동 동작되는 한 쌍의 제1 회동바아; 및
    상기 제2 이동구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조정에 따라 상기 제1 레일바아와 상기 제2 레일바아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도록 회동 동작되는 한 쌍의 제2 회동바아;
    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체의 저면에는 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함도어는,
    상기 본체의 길이 조정시 개방되어 상기 롤러를 지지하므로써, 상기 본체에 중량이 있는 택배물이 수납되거나 지속적인 하중으로 상기 단위체의 변형 및 작동불능을 방지하며,
    상기 단위체는,
    말단에 상기 단위체 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리브에는,
    상기 단위체의 이동시 상기 롤러의 이동통로로써 요(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단위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바아; 및
    상기 고정바아에 설치되고, 상호 이웃하는 양측의 단위체에 접하며, 상기 본체의 길이 조정에 따라 상기 단위체가 미끄러져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회전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단위체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단위체 중 다른 하나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재가 삽입되어 동작되는 슬라이드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또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 내부를 촬영하는 기록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함.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또는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 내부를 촬영하는 기록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택배함.
  6. 삭제
  7. 삭제
KR1020100034214A 2009-10-10 2010-04-14 무인택배함 KR10103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5941 WO2011043542A2 (ko) 2009-10-10 2010-09-02 무인택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491A KR20100006149A (ko) 2009-10-10 2009-10-10 무인택배함
KR1020090096491 2009-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414A KR20110039414A (ko) 2011-04-18
KR101030090B1 true KR101030090B1 (ko) 2011-04-20

Family

ID=418153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491A KR20100006149A (ko) 2009-10-10 2009-10-10 무인택배함
KR1020100034214A KR101030090B1 (ko) 2009-10-10 2010-04-14 무인택배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491A KR20100006149A (ko) 2009-10-10 2009-10-10 무인택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000061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0952A (ja) * 2019-01-31 2020-08-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宅配ボックス
KR20220013040A (ko)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이어락 무인 택배함
KR20230002077U (ko) 2022-04-22 2023-10-31 이기하 조립식 무인 택배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358B1 (ko) * 2014-10-27 2017-01-05 양성원 가구별 택배물품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원격 택배 관리 통제 시스템
KR101708615B1 (ko) * 2014-12-15 2017-03-08 최지영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619955B2 (en) 2015-02-13 2017-04-11 David L. Eichenblatt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ackage delivery or pickup
KR20170011003A (ko) * 2015-07-21 2017-02-02 송기석 접이식 무인 택배 물품보관함
KR200482764Y1 (ko) * 2016-05-30 2017-03-03 강홍구 무인 가변 택배함
KR101772946B1 (ko) * 2016-10-07 2017-08-31 서경원 가정용 택배 보관함
KR101879621B1 (ko) * 2016-11-24 2018-08-16 최용석 현관문 부착용 접이식 택배함
KR20180086912A (ko) 2017-01-24 2018-08-01 왕한호 휴대단말기로 제어할 수 있는 무인 택배 함
EP3818483B1 (en) * 2018-07-05 2024-03-27 Meschini, Giorgio Maria Giuseppe Felice Structure for deliveries and/or collections, in particular door for deliveries and/or collections
KR102123980B1 (ko) * 2019-04-04 2020-06-17 이재용 개인용 택배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878A (ja) * 1993-10-13 1995-04-25 Toyo Shutter Co Ltd 宅配受け付きドア
JPH09118391A (ja) * 1995-10-26 1997-05-06 Terano Seiko:Kk 配送品受取りボックス
JP2004325050A (ja) 2003-04-30 2004-11-18 Sanyo Electric Co Ltd 宅配食品保冷庫
KR20090009969U (ko) * 2008-03-28 2009-10-01 송효영 절첩식 택배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9878A (ja) * 1993-10-13 1995-04-25 Toyo Shutter Co Ltd 宅配受け付きドア
JPH09118391A (ja) * 1995-10-26 1997-05-06 Terano Seiko:Kk 配送品受取りボックス
JP2004325050A (ja) 2003-04-30 2004-11-18 Sanyo Electric Co Ltd 宅配食品保冷庫
KR20090009969U (ko) * 2008-03-28 2009-10-01 송효영 절첩식 택배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0952A (ja) * 2019-01-31 2020-08-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宅配ボックス
KR20220013040A (ko)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이어락 무인 택배함
KR20230002077U (ko) 2022-04-22 2023-10-31 이기하 조립식 무인 택배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414A (ko) 2011-04-18
KR20100006149A (ko) 201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090B1 (ko) 무인택배함
US11399649B2 (en) Package receiving locker
US9596952B2 (en) Secured receiving arrangement for a delivered parcel
US10413106B1 (en) Package door for a garage door
US20170127868A1 (en) Smart delivery box with insulated compartment
JP7401520B2 (ja) 物品の保管および回収の装置
JP2018525038A (ja) 折り畳み式宅配ボックス
KR20160107894A (ko) 변신 무인 택배 발송함 및 수령함
US20220079365A1 (en) Garage Door Parcel Receptacle
NL2013098B1 (en) Releasable mailbox system.
WO2011043542A2 (ko) 무인택배함
KR101990621B1 (ko) 개인용 택배함 장치
KR20110004769U (ko) 무인택배함
KR101120426B1 (ko) 접이식 물품함
US6942141B2 (en) Secure delivery apparatus
KR20090009969U (ko) 절첩식 택배함
JPH09118391A (ja) 配送品受取りボックス
AU2001287931A1 (en) Secure delivery apparatus
KR20090009968U (ko) 절첩식 택배함
JPH06272459A (ja) 宅配受け付きドア
JP3211557U (ja) 不在時配達荷物受取り装置
US11879289B2 (en) Secured valet vault
JP2002142960A (ja) 宅配装置
KR20140032613A (ko) 무인 택배 보관함
JP3390866B2 (ja) 宅配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