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2555A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555A
KR20110122555A KR1020100042123A KR20100042123A KR20110122555A KR 20110122555 A KR20110122555 A KR 20110122555A KR 1020100042123 A KR1020100042123 A KR 1020100042123A KR 20100042123 A KR20100042123 A KR 20100042123A KR 20110122555 A KR20110122555 A KR 20110122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transport machine
transpor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414B1 (ko
Inventor
정연호
황재영
이주한
박희근
이호진
최영석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414B1/ko
Publication of KR20110122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B60R2025/1016Remote signals alerting owner or authorities, e.g. radio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09Driver authorisation; Driver identity ch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43Identity of occup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송기계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가 수송기계 제어 요청을 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로부터 인증관련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그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송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그 제어신호를 수송기계 제어장치(ECU)에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고, 그 제어신호에 따라 수송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운전자가 모바일 기기의 간단한 키 조작으로 수송기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운전자(특히, 장애인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ATION MACHINE USING MOBILE APPARATUS}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중앙처리장치가 모바일 기기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그 모바일 기기가 원격으로 수송기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트 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 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자동차 1000만대 시대가 도래되고, 운전자가 차량에서 지체하는 시간이 점차 증가되면서 차량은 이동수단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각종 차량 편의장치가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생활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통신 기술과 함께 차량에 적용된 다양한 장치 중 하나가 원격 시동장치이다.
원격 시동장치는 원격지에 위치된 차량의 시동 및 도어락 제어데이터를 반송파인 적외선 신호에 반송하여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의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원격 시동장치는 적외선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정 거리이상의 원격지에 위치된 차량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부분 원격 시동장치의 리모콘으로부터 차량에 내재된 원격 시동장치측으로 단방향인 제어 데이터만을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차량에 이상 유무가 인지되는 경우에도 운전자는 그 상태를 인지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량의 이상 유무가 쌍방향으로 원격 시동장치의 리모콘측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고 하더라도, 단방향일 때와 마찬가지로 일정 거리이상에는 그 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하므로 운전자는 차량 이상 유무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차량의 위치가 지하거나, 건물 등에 의해 은폐된 경우에는 적외선 신호의 반송에 의해서 원격지의 차량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원격 시동장치는 단지 원격지에서 몇 개의 차량 기능을 제어할수 있다는 것 뿐, 차량의 상태확인, 차량의 자동 운행제어기능 등은 전무하므로 효율적으로 운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가 모바일 기기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그 모바일 기기가 간단한 키 조작으로 그 수송기계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운전자(특히, 장애인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가 모바일 기기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그 모바일 기기가 원격으로 수송기계의 각 부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가 모바일 기기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모바일 기기에 수송기계의 전반적인 상태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그 수송기계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은, 수송기계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 상기 모바일 기기가 수송기계 제어 요청을 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로부터 인증관련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그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송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그 제어신호를 수송기계 제어장치(ECU)에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고, 그 제어신호에 따라 수송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수송기계 제어 요청을 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로부터 인증관련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부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그 모바일 기기에 수송기계의 운전을 제어할 것인지 질의하고,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송기계의 운전을 하겠다는 응답을 받은 경우,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그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설치한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송기계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표위치 및 목표 주행속도를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목표위치 및 목표 주행속도에 근거하여 수송기계가 움직이도록 운행제어신호를 생성하며, 그 운행제어신호를 상기 수송기계 제어장치(ECU)에 전송하는 운전제어 처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부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가져오고, 그 차량의 상태정보가 그 모바일 기기에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는, 수송기계의 부품들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센싱결과를 전송받고, 그 센싱결과에 따라 수송기계의 부품들의 상태를 진단하며, 그 진단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운행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송기계가 주행되도록 처리하되,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모터 드라이버, 액셀레이터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되도록 처리하는 운행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운행처리부는, 수송기계의 주행이 시작되면,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영상을 전송받고, 수송기계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전방의 피사체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그 피사체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도달하면 수송기계의 주행 속도가 감속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운행처리부는, 수송기계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영상의 분석 결과 돌발적으로 수송기계의 전방에 피사체가 생기는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시켜 수송기계가 급정거하도록 처리한다.
또, 상기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는,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이 날짜별로 테이블화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영상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는, 상기 운행처리부에 의해 수송기계가 주행되는 중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발생시점에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이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수송기계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은, (A)중앙처리장치가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송기계를 원격으로 운전하고자 하는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B)중앙처리장치가 모바일 기기로부터 인증관련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의 판단에 의해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중앙처리장치가 그 모바일 기기에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D)모바일 기기가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키고, 입력부를 통해 수송기계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표위치 및 목표 주행속도를 입력받으며, 그 입력정보를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E)중앙처리장치가 상기 (D)단계에 의해 입력받은 입력정보에 근거하여 수송기계가 움직이도록 운행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운행제어신호를 수송기계 제어장치(ECU)에 전송하는 단계; 및 (F)수송기계 제어장치(ECU)가 상기 (E)단계에 의해 전송받은 운행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송기계가 주행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F)단계는,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는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운행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송기계가 주행되도록 처리하되, 수송기계의 주행이 시작되면,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영상을 전송받고, 수송기계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전방의 피사체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그 피사체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도달하면 수송기계의 주행 속도가 감속되도록 처리한다.
또, 상기 (F)단계는, 수송기계 제어장치(ECU)가 수송기계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돌발적으로 수송기계의 전방에 피사체가 생기는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시켜 수송기계가 급정거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G)수송기계 제어장치(ECU)가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이 날짜별로 테이블화 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H)수송기계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수송기계 제어장치(ECU)가 그 사고발생시점에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I)수송기계 제어장치(ECU)가 상기 (H)단계에 의해 추출된 촬영영상을 상기 (B)단계의 판단에 의해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가 모바일 기기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그 모바일 기기가 간단한 키 조작으로 그 수송기계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운전자(특히, 장애인 운전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가 모바일 기기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그 모바일 기기가 원격으로 수송기계의 각 부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가 모바일 기기의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모바일 기기에 수송기계의 전반적인 상태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그 수송기계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시스템도.
도 2는 도 1의 중앙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1의 수송기계 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이 동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시스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100), 중앙제어장치(200), 수송기계 제어장치(300)을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100)는 수송기계(예컨대, 차량, 선박 등)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때, 모바일 기기(100)와 중앙제어장치(200)는 시리얼 통신 또는 에드혹 링크(WLAN, Bluetooth)를 이용하여 상호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100)와 중앙제어장치(200)는 3G망(예컨대, HSDPA 등)을 이용하여 상호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100)와 중앙제어장치(200)는 거리에 제약 없이 상호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바일 기기(100)는 중앙제어장치(200)로부터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으면, 그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키고, 입력부를 통해 수송기계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표위치 및 목표 주행속도를 입력받은 뒤 중앙제어장치(200)에 전송한다. 이때, 입력부는 원격으로 수송기계를 운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각종 동작 및 메뉴 설정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아이콘 또는 버튼이 구비된다. 이러한 입력부는 키패드로 구성되는 이력장치 또는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일반적인 표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입력 및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패널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제어장치(200)는 모바일 기기(100)가 수송기계 제어 요청을 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인증관련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그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송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그 제어신호를 수송기계 제어장치(ECU)(300)에 전송한다. 중앙제어장치(200)의 세부구성은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송기계 제어장치(300)는 중앙제어장치(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고, 그 제어신호에 따라 수송기계의 동작을 제어한다. 수송기계 제어장치(300)의 세부구성은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도 1의 중앙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제어장치(200)는 인증부(210), 운전제어 처리부(220), ECU 인터페이스부(230), 제어부(240), 저장부(250)를 포함한다.
인증부(210)는 모바일 기기(100)가 수송기계 제어 요청을 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인증관련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운전제어 처리부(220)는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설치한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송기계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표위치 및 목표 주행속도를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목표위치 및 목표 주행속도에 근거하여 수송기계가 움직이도록 운행제어신호를 생성하며, 그 운행제어신호를 상기 수송기계 제어장치(ECU)에 전송한다.
ECU 인터페이스부(230)는 중앙제어장치(200)와 수송기계 제어장치(300) 상호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240)는 인증부(210)에 의해 모바일 기기(100)의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그 모바일 기기(100)에 수송기계의 운전을 제어할 것인지 질의하고,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수송기계의 운전을 하겠다는 응답을 받은 경우,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그 모바일 기기(100)에 제공한다.
또, 제어부(240)는 상기 인증부(210)에 의해 모바일 기기(100)의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가져오고, 그 차량의 상태정보가 그 모바일 기기(100)에 제공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차량의 상태정보란 차량의 엔진, 변속기, 냉각수, 엔진오일, 발전기 등의 상태정보를 의미하는 것이다.
저장부(250)에는 수송기계 제어장치(ECU)(30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의 상태정보,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전송받은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저장부(250)에는 저장되는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 이이피롬(EPROM), 플래쉬메모리, 외장형메모리와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 1의 수송기계 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기계 제어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센서(310), 상태 판단부(320), 운행처리부(330), 영상관리부(340), 중앙처리장치 인터페이스부(350), 수송기계 제어부(360), 저장부(370)를 포함한다.
상태 판단부(320)는 수송기계의 부품(예컨대, 수송기계의 엔진, 변속기, 냉각수, 엔진오일, 발전기 등)들에 설치된 각종 센서(310)로부터 센싱결과를 전송받고, 그 센싱결과에 따라 수송기계의 부품들의 상태를 진단하며, 그 진단결과에 기초하여 수송기계의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운행처리부(330)는 중앙처리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운행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송기계가 주행되도록 처리하되,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모터 드라이버(331), 액셀레이터 페달(333) 및 브레이크 페달(335)이 제동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운행처리부(330)는, 수송기계의 주행이 시작되면,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341, 343)로부터 촬영영상을 전송받고, 수송기계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341)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전방의 피사체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그 피사체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도달하면 수송기계의 주행 속도가 감속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운행처리부(330)는, 수송기계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341)의 촬영영상의 분석 결과 돌발적으로 수송기계의 전방에 피사체가 생기는 경우, 브레이크 페달(335)을 제공시켜 수송기계가 급정거하도록 처리한다.
영상관리부(340)는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341, 343)가 촬영한 촬영영상이 날짜별로 테이블화되어 저장부(370)에 저장되도록 처리한다.
중앙처리장치 인터페이스부(350)는 중앙제어장치(200)와 수송기계 제어장치(300) 상호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한다.
수송기계 제어부(360)는 운행처리부(330)에 의해 수송기계가 주행되는 중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발생시점에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341, 343)가 촬영한 촬영영상이 상기 모바일 기기(100)에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저장부(370)에는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341, 343)가 촬영한 촬영영상 및 차량의 상태정보 등이 저장된다. 저장부(370)에는 저장되는 데이터의 용량에 따라, 이이피롬(EPROM), 플래쉬메모리, 외장형메모리와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모바일 기기(100)가 수송기계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요청 신호를 중앙처리장치(200)에 전송한다(단계 S100).
그러면, 중앙처리장치(200)가 모바일 기기(100)로부터 모바일 기기로부터 인증관련정보(예컨대, 미리 지정된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인증절차를 수행한다(단계 S101).
단계 S101의 판단에 의해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단계 S102), 중앙처리장치(200)가 그 모바일 기기(100)에 차량의 상태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104).
이후, 중앙처리장치(20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송기계의 운전을 하겠다는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단계 S105). 그러면, 중앙처리장치(200)는 그 모바일 기기(100)에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단계 S106).
한편, 모바일 기기(100)가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키고, 입력부를 통해 수송기계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표위치 및 목표 주행속도를 입력받는다. 도 4에는 모바일 기기(100)가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제어 인터페이스 시작 시 현재위치가 원점에 위치하고 있고, 사용자는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간단하게 수송기계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모바일 기기(100)는 그 입력정보를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한다(단계 S107).
중앙처리장치는 단계 S107에 의해 입력받은 입력정보에 근거하여 수송기계가 움직이도록 운행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운행제어신호를 수송기계 제어장치(ECU)(300)에 전송한다(단계 S109).
그러면, 수송기계 제어장치(ECU)(300)가 상기 단계 S109에 의해 전송받은 운행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송기계가 주행하도록 처리한다(단계 S110).
좀 더 구체적으로, 수송기계 제어장치(ECU)(300)는 중앙처리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운행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송기계가 주행되도록 처리하되, 수송기계의 주행이 시작되면,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영상을 전송받고, 수송기계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341)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전방의 피사체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그 피사체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도달하면 수송기계의 주행 속도가 감속되도록 처리한다.
또, 수송기계 제어장치(ECU)(300)가 수송기계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돌발적으로 수송기계의 전방에 피사체가 생기는 경우, 브레이크 페달(335)을 제공시켜 수송기계가 급정거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수송기계 제어장치(ECU)(300)는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341, 343)가 촬영한 촬영영상이 날짜별로 테이블화 되어 저장부(370)에 저장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수송기계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수송기계 제어장치(ECU)(300)가 그 사고발생시점에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341, 343)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촬영영상을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모바일 기기(10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모바일 기기 200 : 중앙제어장치
210 : 인증부 220 : 운전제어 처리부
230 : ECU 인터페이스부 240 : 제어부
250 : 저장부 300 : 수송기계 제어장치(ECU)
310 : 센서 320 : 상태 판단부
330 : 운행처리부 331 : 모터 드라이버
333 : 엑셀레이터 페달 335 : 브레이크 페달
340 : 영상관리부 341 : 전방 카메라
343 : 후방 카메라 350 : 중앙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 360 : 수송기계 제어부 370 : 저장부

Claims (13)

  1. 수송기계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
    상기 모바일 기기가 수송기계 제어 요청을 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로부터 인증관련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그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송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며, 그 제어신호를 수송기계 제어장치(ECU)에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고, 그 제어신호에 따라 수송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수송기계 제어 요청을 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로부터 인증관련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부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그 모바일 기기에 수송기계의 운전을 제어할 것인지 질의하고,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송기계의 운전을 하겠다는 응답을 받은 경우,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그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설치한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송기계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표위치 및 목표 주행속도를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목표위치 및 목표 주행속도에 근거하여 수송기계가 움직이도록 운행제어신호를 생성하며, 그 운행제어신호를 상기 수송기계 제어장치(ECU)에 전송하는 운전제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증부에 의해 모바일 기기의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가져오고, 그 차량의 상태정보가 그 모바일 기기에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는,
    수송기계의 부품들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센싱결과를 전송받고, 그 센싱결과에 따라 수송기계의 부품들의 상태를 진단하며, 그 진단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운행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송기계가 주행되도록 처리하되,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모터 드라이버, 액셀레이터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이 제동되도록 처리하는 운행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처리부는,
    수송기계의 주행이 시작되면,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영상을 전송받고, 수송기계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전방의 피사체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그 피사체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도달하면 수송기계의 주행 속도가 감속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처리부는,
    수송기계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영상의 분석 결과 돌발적으로 수송기계의 전방에 피사체가 생기는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시켜 수송기계가 급정거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는,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이 날짜별로 테이블화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영상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는,
    상기 운행처리부에 의해 수송기계가 주행되는 중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발생시점에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이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수송기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9. (A)중앙처리장치가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송기계를 원격으로 운전하고자 하는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B)중앙처리장치가 모바일 기기로부터 인증관련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C)상기 (B)단계의 판단에 의해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중앙처리장치가 그 모바일 기기에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D)모바일 기기가 운전제어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키고, 입력부를 통해 수송기계가 이동하고자 하는 목표위치 및 목표 주행속도를 입력받으며, 그 입력정보를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E)중앙처리장치가 상기 (D)단계에 의해 입력받은 입력정보에 근거하여 수송기계가 움직이도록 운행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운행제어신호를 수송기계 제어장치(ECU)에 전송하는 단계; 및
    (F)수송기계 제어장치(ECU)가 상기 (E)단계에 의해 전송받은 운행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송기계가 주행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수송기계 제어장치(ECU)는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운행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수송기계가 주행되도록 처리하되, 수송기계의 주행이 시작되면,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로부터 촬영영상을 전송받고, 수송기계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전방의 피사체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그 피사체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도달하면 수송기계의 주행 속도가 감속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수송기계 제어장치(ECU)가 수송기계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영상을 분석한 결과 돌발적으로 수송기계의 전방에 피사체가 생기는 경우,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시켜 수송기계가 급정거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G)수송기계 제어장치(ECU)가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이 날짜별로 테이블화 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H)수송기계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수송기계 제어장치(ECU)가 그 사고발생시점에 수송기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가 촬영한 촬영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I)수송기계 제어장치(ECU)가 상기 (H)단계에 의해 추출된 촬영영상을 상기 (B)단계의 판단에 의해 인증절차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00042123A 2010-05-04 2010-05-04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9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23A KR101095414B1 (ko) 2010-05-04 2010-05-04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23A KR101095414B1 (ko) 2010-05-04 2010-05-04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555A true KR20110122555A (ko) 2011-11-10
KR101095414B1 KR101095414B1 (ko) 2011-12-19

Family

ID=4539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123A KR101095414B1 (ko) 2010-05-04 2010-05-04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119A (ko) * 2014-02-07 2016-10-12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에 보이는 인코딩된 차량 객체들을 통해 산업용 차량들을 감독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119A (ko) * 2014-02-07 2016-10-12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에 보이는 인코딩된 차량 객체들을 통해 산업용 차량들을 감독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220071289A (ko) * 2014-02-07 2022-05-31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모바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에 보이는 인코딩된 차량 객체들을 통해 산업용 차량들을 감독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5414B1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4730B (zh) 车辆和控制方法
KR102129340B1 (ko) 주차 제어 방법 및 주차 제어 장치
EP3160789B1 (en) Passenger casted content to infotainment system
US10613548B2 (en) Architecture for secure vehicle control
WO2016155222A1 (zh) 油门响应方法及装置
JP2019091347A (ja) ドライバレス輸送システム
CN111137302A (zh) 远程车辆控制件
JP2017222271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CN107000762A (zh) 用于自动实施机动车的至少一个行驶功能的方法
CN112389320A (zh) 车辆用显示装置、车辆控制系统、车辆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US118186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095414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수송기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294168B2 (ja) 制御装置、車両、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CN112825530B (zh) 车辆控制装置、车辆、车辆控制装置的动作方法以及存储介质
JP2008027390A (ja)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US202202367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230052719A (ko) 자율 주행 차량, 그를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06406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073081A1 (en) In-vehicle apparatus control system, in-vehicle apparatus, and in-vehicle apparatus control method
JP7360854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9008547A (ja) 制御装置、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277160A1 (ja) 車載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起動方法
KR20220131562A (ko) 자율 주행 자동차의 주차 시스템 및 방법
JP2022187899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15070751A (zh) 基于微服务架构的机器人控制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