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340A - 에어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에어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340A
KR20110121340A KR1020100040895A KR20100040895A KR20110121340A KR 20110121340 A KR20110121340 A KR 20110121340A KR 1020100040895 A KR1020100040895 A KR 1020100040895A KR 20100040895 A KR20100040895 A KR 20100040895A KR 20110121340 A KR20110121340 A KR 20110121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detachable
air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to KR102010004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1340A/ko
Priority to TW100113678A priority patent/TW201207250A/zh
Priority to JP2011095932A priority patent/JP2011238914A/ja
Priority to CN201110114967.9A priority patent/CN102234023B/zh
Publication of KR2011012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ir blasts producing partial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B65G49/064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 B65G49/065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in a horizontal position supported partially or completely on fluid cushions, e.g. a gas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65G51/03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over a flat surface or in trough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8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ir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65G2249/045Details of suction cups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있고 상방이 개방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에어발생기(20); 상기 에어발생기(20)의 상방인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방에 배치되는 필터(30); 및 상기 필터(30)의 상면에 밀착되어 하우징(10)의 상방을 덮어씌우고 표면에 에어토출공(41)이 형성된 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발생기(20)가 배치되는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이 분리되어 이 하우징(10)과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착탈판(50) 구조로 되고, 이 에어발생기(20)를 떠받치는 착탈판(50)이 하우징(10)에 대해 힌지 회전되면서 개폐되며, 밀폐된 상태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에어발생기가 배치되는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후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되는 착탈판 구조가 되도록 하여, 에어발생기의 이상시 장치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착탈판만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에어발생기의 점검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발생기의 점검 및 교체 작업이 간편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점검 및 교체 시간도 매우 짧게 되어 그 결과 작업 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그 장치에 대한 신뢰성도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에어공급장치{Air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발생기가 배치되는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후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되는 착탈판 구조가 되도록 하여, 에어발생기의 이상시 장치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착탈판만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에어발생기의 점검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발생기의 점검 및 교체 작업이 간편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점검 및 교체 시간도 매우 짧게 되어 그 결과 작업 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그 장치에 대한 신뢰성도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엘시디 피디피(LCD PDP) 등에 사용되는 박판형 판유리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비 상에서 판유리를 검사부쪽으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다른 공정라인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송장치로서, 작업대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회전축 상에 판유리의 저면을 지지하고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의 이송롤러가 축 결합되는 롤러이송장치가 사용되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이송롤러를 이용한 판유리 이송장치는 판유리와 이송롤러 외주면이 서로 접촉된 후에 판유리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접촉마찰에 의한 떨림이나 진동 등 미세한 흔들림 현상은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고 이러한 흔들림에 의해 판유리 검사시 불량률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게 되어 검사정밀도가 저하되거나 또는 접촉에 의한 스크래치 등 판유리에 손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례로 작업대의 중앙부 또는 양측부 등에 판유리를 에어 부상시키기 위한 에어공급장치를 마련하고, 작업대의 폭 방향 양측에는 판유리의 양측 단부를 떠받쳐 이동시키는 이송롤러부를 마련하여 판유리를 일정높이 에어 부상시킨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이송장치가 제시되었었다.
여기서, 상기 에어공급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상방으로 에어를 발생시키는 에어발생기(토출팬)가 설치되고, 이 에어발생기의 상부에 필터가 배치되면 그 상방으로 커버를 덮어씌워 이 커버의 에어토출공을 통해 에어를 토출시켜 상방의 판유리를 에어 부상시키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에어공급장치는 에어발생기에 문제가 생겨 점검이나 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 그 상방의 필터와 커버를 분리하는 등 하우징 전체를 분해하여 에어발생기를 외부로 인출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하우징의 분해 및 차후의 조립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그 만큼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됨은 물론 분해 및 조립 작업이 번거롭고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발생기가 배치되는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후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되는 착탈판 구조가 되도록 하여, 에어발생기의 이상시 장치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착탈판만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에어발생기의 점검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발생기의 점검 및 교체 작업이 간편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점검 및 교체 시간도 매우 짧게 되어 그 결과 작업 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그 장치에 대한 신뢰성도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공급장치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방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에어발생기; 상기 에어발생기의 상방인 하우징의 개방된 상방에 배치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상면에 밀착되어 하우징의 상방을 덮어씌우고 표면에 에어토출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발생기가 배치되는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이 분리되어 이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착탈판 구조로 되고, 이 에어발생기를 떠받치는 착탈판이 하우징에 대해 힌지 회전되면서 개폐되며, 밀폐된 상태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는 에어발생기가 배치되는 이 하우징의 해당 바닥면에서 일측 벽면까지 연장해서 개방된 니은자 개방 구조로 되고, 상기 착탈판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저면을 덮어씌우고 그 중앙에 에어발생기로 외부의 에어가 공급되도록 관통된 관통공을 갖는 평판부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 벽면을 덮어씌우는 직립판부를 갖는 니은자 형상의 절곡판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판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개방부의 테두리에 인접되는 하우징의 저면 및 벽면을 덮어씌울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판의 힌지회전 구조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 개방부 후단 테두리의 인접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착탈판의 평판부 일단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려 힌지축 기능을 하는 걸림부가 마련되어 힌지 회전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기역자(ㄱ) 구조로 되어 상기 착탈판을 닫으면 그 평판부 상면이 하우징 저면에 밀착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판을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하우징의 해당 벽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대응되는 착탈판의 직립판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에 너트를 배치하고 상기 직립판부의 외측에서 관통공을 통해 볼트를 삽입한 후 오목부의 너트에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판을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하우징의 해당 벽면에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이 걸림홈부에 대응되는 착탈판의 직립판부 내측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착탈판 밀폐시 상기 고정돌기가 하우징의 걸림홈부로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립판부 외측면에 손잡이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판을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하우징의 해당 벽면에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이 걸림홈부에 대응되는 착탈판의 직립판부를 관통하여 축 회전되는 고정노브가 마련되되, 이 고정노브의 직립판부 내측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폭이 걸림홈부의 입구보다 좁고 길이가 걸림홈부의 입구보다 길게 형성된 걸림쇠가 마련되고 그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이 손잡이를 축 회전시키면서 상기 걸림쇠를 걸림홈부로 삽입시킨 후 걸려 고정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공급장치는 에어발생기가 배치되는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후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되는 착탈판 구조가 되도록 하여, 에어발생기의 이상시 장치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착탈판만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에어발생기의 점검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발생기의 점검 및 교체 작업이 간편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점검 및 교체 시간도 매우 짧게 되어 그 결과 작업 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그 장치에 대한 신뢰성도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의 개폐판이 힌지 회전되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의 개폐판이 힌지 회전되어 열린 상태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의 개폐판이 힌지 회전되어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 중 착탈판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 중 착탈판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공급장치 중 착탈판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에어공급장치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방이 개방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에어발생기(20)와, 이 에어발생기(20)의 상방인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방에 배치되는 필터(30) 및 이 필터(30)의 상면에 밀착되어 하우징(10)의 상방을 덮어씌우고 표면에 에어토출공(41)이 형성된 커버(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바람직하게는, 판유리 이송장치 등의 작업대의 길이방향 전체에 대응되는 길이) 상방이 개방된 장방형 사각박스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필터(30)는 에어발생기(20) 상방인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방에 배치되는 사각블럭 형상으로, 토출되는 에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에어 토출 세기를 어느 정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40)의 에어토출공(41)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관통공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발생기(20)가 배치되는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이 분리되어 이 하우징(10)과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착탈판(50) 구조로 되고, 이 에어발생기(20)를 떠받치는 착탈판(50)이 하우징(10)에 대해 힌지 회전되면서 개폐되며, 밀폐된 상태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부는 에어발생기(20)가 배치되는 이 하우징(10)의 해당 바닥면에서 일측 벽면까지 연장해서 개방된 니은자 개방 구조로 되고, 상기 착탈판(50)은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저면(11)을 덮어씌우고 그 중앙에 에어발생기(20)로 외부의 에어가 공급되도록 관통된 관통공(51a)을 갖는 평판부(51)와,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일측 벽면(12)을 덮어씌우는 직립판부(52)를 갖는 니은자 형상의 절곡판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착탈판(50)은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개방부의 테두리에 인접되는 하우징(10)의 저면(11) 및 벽면(12)을 덮어씌울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착탈판(50)의 힌지회전 구조는, 상기 하우징(10)의 저면 개방부 후단 테두리의 인접부에 걸림턱(13)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착탈판(50)의 평판부(51) 일단부가 상기 걸림턱(13)에 걸려 힌지축 기능을 하는 걸림부(51b)가 마련되어 힌지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51b)는 상방으로 절곡된 기역자(ㄱ) 구조로 되어 상기 착탈판(50)을 닫으면 그 평판부(51) 상면이 하우징(10) 저면(11)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착탈판(50)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하우징(10)의 해당 벽면(12)에 오목부(12a)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2a)에 대응되는 착탈판(50)의 직립판부(52)에 관통공(52a)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12a)에 너트(61)를 배치하고 상기 직립판부(52)의 외측에서 관통공(52a)을 통해 볼트(62)를 삽입한 후 오목부(12a)의 너트(61)에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착탈판(50)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우징(10)의 해당 벽면(12)에 걸림홈부(12b)가 형성되고, 이 걸림홈부(12b)에 대응되는 착탈판(50)의 직립판부(52) 내측면에 고정돌기(52b)가 형성되어 착탈판(50) 밀폐시 상기 고정돌기(52b)가 하우징(10)의 걸림홈부(12b)로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직립판부(52) 외측면에는 각각 착탈판(50) 개폐를 위한 손잡이(7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착탈판(50)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우징(10)의 해당 벽면(12)에 걸림홈부(12c)가 형성되고, 이 걸림홈부(12c)에 대응되는 착탈판(50)의 직립판부(52)를 관통하여 축 회전되는 고정노브(80)가 마련되되, 이 고정노브(80)의 직립판부(52) 내측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폭이 걸림홈부(12c)의 입구보다 좁고 길이가 걸림홈부(12c)의 입구보다 길게 형성된 걸림쇠(81)가 마련되고 그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손잡이(82)가 마련되어, 이 손잡이(82)를 축 회전시키면서 상기 걸림쇠(81)를 걸림홈부(12c)로 삽입시킨 후 걸려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에어공급장치는 에어발생기(20)에 문제가 발생되어 점검이나 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 너트(61)로부터 볼트(62)의 체결을 해제한 후 손잡이(70)를 잡고 착탈판(50)을 하방으로 내리면 그 평판부(51)의 걸림부(51b)를 기준으로 착탈판(50)의 직립판부(52)가 하방으로 축 회전되면서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가 되며 최종적으로 걸림부(51b)를 걸림턱(13)에서 분리시켜 착탈판(50)의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며, 그러면 이렇게 외부로 노출된 에어발생기(20)에 점검 및 교체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점검 및 교체 작업이 완료되어 다시 착탈판(50)을 하우징(10)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의 분리 순서와 반대로 평판부(51)의 걸림부(51b)를 하우징(10)의 걸림턱(13)으로 삽입시켜 걸리도록 한 후 이 걸림부(51b)를 힌지축으로 하여 손잡이(70)를 통해 착탈판(50)의 직립판부(52)를 상방으로 축 회전시켜 착탈판(50)이 하우징(10)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볼트(62)를 다시 너트(61) 체결함으로써 착탈판(5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에어발생기가 배치되는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후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되는 착탈판 구조가 되도록 하여, 에어발생기의 이상시 장치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착탈판만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에어발생기의 점검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발생기의 점검 및 교체 작업이 간편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그 점검 및 교체 시간도 매우 짧게 되어 그 결과 작업 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그 장치에 대한 신뢰성도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저면
12 : 벽면 12a : 오목부
12b : 걸림홈부 12c : 걸림홈부
13 : 걸림턱 20 : 에어발생기
30 : 필터 40 : 커버
41 : 에어토출공 50 : 착탈판
51 : 평판부 51a : 관통공
51b : 걸림부 52 : 직립판부
52a : 관통공 52b : 고정돌기
61 : 너트 62 : 볼트
70 : 손잡이 80 : 고정노브
81 : 걸림쇠 82 : 손잡이

Claims (9)

  1. 내부가 비어있고 상방이 개방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에어발생기(20);
    상기 에어발생기(20)의 상방인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방에 배치되는 필터(30); 및
    상기 필터(30)의 상면에 밀착되어 하우징(10)의 상방을 덮어씌우고 표면에 에어토출공(41)이 형성된 커버(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발생기(20)가 배치되는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이 분리되어 이 하우징(10)과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는 착탈판(50) 구조로 되고, 이 에어발생기(20)를 떠받치는 착탈판(50)이 하우징(10)에 대해 힌지 회전되면서 개폐되며, 밀폐된 상태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부는 에어발생기(20)가 배치되는 이 하우징(10)의 해당 바닥면에서 일측 벽면까지 연장해서 개방된 니은자 개방 구조로 되고,
    상기 착탈판(50)은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저면(11)을 덮어씌우고 그 중앙에 에어발생기(20)로 외부의 에어가 공급되도록 관통된 관통공(51a)을 갖는 평판부(51)와,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일측 벽면(12)을 덮어씌우는 직립판부(52)를 갖는 니은자 형상의 절곡판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판(50)은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개방부의 테두리에 인접되는 하우징(10)의 저면(11) 및 벽면(12)을 덮어씌울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판(50)의 힌지회전 구조는, 상기 하우징(10)의 저면 개방부 후단 테두리의 인접부에 걸림턱(13)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착탈판(50)의 평판부(51) 일단부가 상기 걸림턱(13)에 걸려 힌지축 기능을 하는 걸림부(51b)가 마련되어 힌지 회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51b)는 상방으로 절곡된 기역자(ㄱ) 구조로 되어 상기 착탈판(50)을 닫으면 그 평판부(51) 상면이 하우징(10) 저면(11)에 밀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판(50)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하우징(10)의 해당 벽면(12)에 오목부(12a)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2a)에 대응되는 착탈판(50)의 직립판부(52)에 관통공(52a)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12a)에 너트(61)를 배치하고 상기 직립판부(52)의 외측에서 관통공(52a)을 통해 볼트(62)를 삽입한 후 오목부(12a)의 너트(61)에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판(50)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하우징(10)의 해당 벽면(12)에 걸림홈부(12b)가 형성되고, 이 걸림홈부(12b)에 대응되는 착탈판(50)의 직립판부(52) 내측면에 고정돌기(52b)가 형성되어 착탈판(50) 밀폐시 상기 고정돌기(52b)가 하우징(10)의 걸림홈부(12b)로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판부(52) 외측면에 손잡이(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판(50)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은, 하우징(10)의 해당 벽면(12)에 걸림홈부(12c)가 형성되고, 이 걸림홈부(12c)에 대응되는 착탈판(50)의 직립판부(52)를 관통하여 축 회전되는 고정노브(80)가 마련되되, 이 고정노브(80)의 직립판부(52) 내측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폭이 걸림홈부(12c)의 입구보다 좁고 길이가 걸림홈부(12c)의 입구보다 길게 형성된 걸림쇠(81)가 마련되고 그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손잡이(82)가 마련되어, 이 손잡이(82)를 축 회전시키면서 상기 걸림쇠(81)를 걸림홈부(12c)로 삽입시킨 후 걸려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공급장치.
KR1020100040895A 2010-04-30 2010-04-30 에어공급장치 KR20110121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895A KR20110121340A (ko) 2010-04-30 2010-04-30 에어공급장치
TW100113678A TW201207250A (en) 2010-04-30 2011-04-20 Air supplying apparatus
JP2011095932A JP2011238914A (ja) 2010-04-30 2011-04-22 エア供給装置
CN201110114967.9A CN102234023B (zh) 2010-04-30 2011-04-28 空气供应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895A KR20110121340A (ko) 2010-04-30 2010-04-30 에어공급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625U Division KR20120005085U (ko) 2012-05-02 2012-05-02 에어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340A true KR20110121340A (ko) 2011-11-07

Family

ID=4539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895A KR20110121340A (ko) 2010-04-30 2010-04-30 에어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13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2543B2 (ja) 燃焼機関用のフィルタ・ハウジング及び空気フィルタ・ユニット
JP5621450B2 (ja) カセットアダプタ、及びアダプタ本体ロック装置
KR101034244B1 (ko) 엘리콘 이물받이장치
KR20110121340A (ko) 에어공급장치
CN111451642A (zh) 一种肖特基芯片加工用打标机
KR20120005085U (ko) 에어공급장치
JP2011238914A (ja) エア供給装置
KR20110121336A (ko) 에어공급장치
KR100676887B1 (ko) 판유리 이송장치
KR20160001751U (ko) 필터 교체가 용이한 클린부스
CN205821307U (zh) 一种振荡培养箱
JP2007276923A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の可動底板シール装置
KR101525362B1 (ko) 검단기의 원단검사경사틀에 설치되는 원단고정안내장치
JP2016000663A (ja) バケットコンベア
JP6544576B2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における下部プーリ清掃装置
CN217156335U (zh) 一种高效率的建筑材料检测装置
JP6426256B2 (ja) 遊技球揚送装置
KR20140040894A (ko) 용기 커버 개폐장치
CN220176195U (zh) 一种铝液过滤装置
CN213033094U (zh) 一种集成电路用蚀刻网刷洗装置
CN218471125U (zh) 汞灯灯箱
JP2011189049A (ja) 遊技機検査ライン装置
JP4088621B2 (ja) めっき装置
KR20130023493A (ko) 필터 교환이 용이한 집진기
CN108745437B (zh) 一种试管架的盒盖和样品管的旋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