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373A -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9373A
KR20110119373A KR1020100039040A KR20100039040A KR20110119373A KR 20110119373 A KR20110119373 A KR 20110119373A KR 1020100039040 A KR1020100039040 A KR 1020100039040A KR 20100039040 A KR20100039040 A KR 20100039040A KR 20110119373 A KR20110119373 A KR 20110119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jig
gear
filling nozz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007B1 (ko
Inventor
남기일
권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엘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엘씨
Priority to KR1020100039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00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42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G01N2203/0044Pneuma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가스를 고압으로 저장하는 튜브형 용기의 내압시험을 위하여 튜브형 용기의 네크링을 따라 충수용(充水用) 노즐을 삽입시킴으로서 튜브형 용기의 내부에 물을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한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실린더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랙기어 및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를 장치프레임에 설치하는 한편, 충수노즐의 가이드지그가 선단측에 구비된 지그로드를 각각의 피니언기어와 연결시킴으로서, 가이드지그에 의하여 튜브형 용기의 네크링을 따라 충수노즐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충수노즐과 네크부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튜브형 용기에 대한 충수작업은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충수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지그로드를 요구하는 폭만큼 양측 방향으로 벌려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압시험에 필요한 다른 작업이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1)는, 승하강프레임(1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치프레임(2); 상기 장치프레임(2)의 후방측에 제공된 실린더장착대(4)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3); 상기 에어실린더(3)의 피스톤로드(3a)와 연결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판(5); 선단에 랙기어(8)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판(5)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랙기어로드(7); 상기 장치프레임(2)의 좌,우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브라켓(15); 상기 랙기어(8)와 맞물린 상태로 각각의 기어브라켓(15)상에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피니언기어(9); 상기 피니언기어(9)와 조립된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지그로드(10); 상기 지그로드(10)의 선단에 1/2로 각각 분할 설치되어 충수노즐(16)의 가이드 통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지그(1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Guide apparatus of a water filling nozzle for pressure test}
본 발명은 튜브형 용기의 내압시험을 위하여 튜브형 용기의 네크링을 따라 충수용(充水用) 노즐을 삽입시킴으로서 튜브형 용기의 내부에 물을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한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그로드의 선단에 구비된 가이드지그에 의하여 튜브형 용기의 네크링을 따라 충수노즐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충수노즐과 네크부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튜브형 용기에 대한 충수작업은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충수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지그로드를 요구하는 폭만큼 양측 방향으로 벌려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압시험에 필요한 다른 작업이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한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이나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각종 가스용기는 그 내부에 천연가스(Natural gas)나 질소 또는 산소 등이 일정한 압력으로 충전되는 튜브 형상의 용기로 제조되는 바, 이러한 가스용기는 고압가스를 저장하는 용기의 특성상 우수한 기밀성능 및 내압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대부분이 이음매 없는 금속용기로 제조되며, 가스용기의 제조 직후에는 내압시험과 같은 용기의 성능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스용기로 사용되는 튜브형 용기의 내압시험시에는 용기의 균열이나 팽창률 및 각종 이상유무를 고압수를 매개체로 하여 검사하게 되는 데, 용기의 내부에 물을 1차적으로 충진시킨 다음, 고압수 주입용 파이프라인을 이용하여 약 250 Kg/cm2 정도의 수압을 용기의 내부에 가함으로서, 용기의 외부로 누수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 및 주입된 수압으로 인한 용기의 팽창률과 기타 다른 여러 가지의 이상유무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튜브형 용기의 내압시험을 위해서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의 튜브형 용기에 물을 충진시키는 충수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충수작업을 위하여 튜브형 용기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용기의 입구가 되는 네크링을 따라 파이프 형상의 충수노즐을 하강 및 진입시키게 되는 데, 튜브형 용기의 네크링측으로 충수노즐을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파이프 형상으로 설치된 충수노즐이 쉽게 요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충수노즐이 요동하게 되면, 충수노즐과 네크링의 센터가 정확하게 일치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충수노즐을 네크링으로 진입시키기 이전에 충수노즐과 네크링이 자주 충돌함에 따라 해당 부품의 손상을 초래하게 됨은 물론이고, 충수노즐이 네크링에 걸려 튜브형 용기의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는 상황 또한 자주 발생하게 된다.
특히, 튜브형 용기의 네크링 내주면에는 각종 밸브의 설치를 위한 나사부가 제공되는 데, 충수노즐과 네크링의 센터가 어긋난 상태로 충수노즐이 네크링으로 삽입될 경우, 충수노즐의 하단부가 네크링의 나사부를 손상시킬 우려 또한 높게 되며, 이와 같이 네크링의 나사부가 손상되면, 각종 밸브의 체결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는 한편, 밸브의 체결부위를 통한 가스의 누설위험 역시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인 이상의 작업자를 내압시험장치의 주변에 상주시킴으로서, 충수노즐이 튜브형 용기의 네크링을 따라 안전하고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이를 관찰 및 조정시켜야 하는 바, 이로 인하여 튜브형 용기의 내압시험을 자동화시켜 인건비를 절감시키는 측면에서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는, 장치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된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작동에 의하여 한 쌍의 지그로드가 장치프레임의 전방측에서 각운동되도록 하고, 상기 지그로드의 선단에는 1/2로 분할된 상태의 충수노즐용 가이드통로가 형성된 가이드지그를 설치함으로서, 충수작업시에는 각각의 가이드지그가 밀착된 상태로 충수노즐의 가이드통로를 제공토록 함에 따라, 튜브형 용기의 네크링으로 충수노즐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충수노즐과 네크부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튜브형 용기에 대한 충수작업은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충수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지그로드를 요구하는 폭만큼 양측 방향으로 벌려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압시험에 필요한 다른 작업이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내압시험의 자동화 및 이에 따른 인건비 절감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는, 승하강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치프레임; 상기 장치프레임의 후방측에 제공된 실린더장착대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 상기 에어실린더의 피스톤로드와 연결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판; 선단에 랙기어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판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랙기어로드; 상기 장치프레임의 좌,우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브라켓; 상기 랙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각각의 기어브라켓상에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조립된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지그로드; 상기 지그로드의 선단에 1/2로 각각 분할 설치되어 충수노즐의 가이드 통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지그;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는, 상기 가이드지그의 상측 내주면에 충수노즐의 가이드 통로가 되는 노즐삽입구멍용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그의 하측 내주면에는 튜브형 용기의 네크링이 삽입되는 네크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치프레임의 후방 외측면에는 슬라이드판을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드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장치프레임의 좌,우 외측면에는 랙기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어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충수노즐을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파이프 형상의 충수노즐이 요동하여 충수노즐과 네크링의 센터가 다소 어긋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각각의 가이드지그에 형성된 테이퍼부 및 노즐삽입구멍에 의하여 튜브형 용기의 네크링을 통한 충수노즐의 삽입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수행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충수노즐이 튜브형 용기의 네크링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충수노즐이 네크링으로 삽입되지 못하여 충수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 또한 방지할 수 있으며, 네크링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각종 밸브의 체결력을 충분히 확보토록 하는 한편, 밸브의 체결부위를 통한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데에도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충수노즐에 의한 충수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각각의 지그로드를 요구하는 폭만큼 좌,우측 방향으로 벌려 놓을 수 있기 때문에, 내압시험을 위한 다른 작업이 가이드장치에 의하여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내압시험의 자동화 및 이에 따른 인건비 절감을 이루어낼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발췌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가 내압시험장치에 적용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승하강프레임(1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치프레임(2)을 기초로 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치프레임(2)은 도면상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승하강프레임(14)의 형상에 맞추어 장치프레임(2)의 외관 형상은 임의대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승하강프레임(14)의 좌,우 외측에는 가이드레일(14a)이 설치되는 한편, 장치프레임(2)의 좌,우 내측면에는 승하강프레임(14)의 가이드레일(14a)이 삽입되어 가이드장치(1)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대(2a)가 설치되며, 승하강프레임(14)에 제공되는 가이드레일(14a) 및 장치프레임(2)에 제공되는 가이드대(2a) 또한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의 가이드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 상기 장치프레임(2)의 후방측에는 브라켓 형상의 실린더장착대(4)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실린더장착대(4)에는 피스톤로드(3a)가 전방측을 향하도록 에어실린더(3)가 조립 설치되며, 상기 에어실린더(3) 대신에 유압실린더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1)는 큰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므로 에어실린더(3)를 적용하는 것이 보다 더 경제적이다.
상기 에어실린더(3)의 피스톤로드(3a)에는 에어실린더(3)의 작동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판(5)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판(5)의 좌,우측단에는 장치프레임(2)을 사이에 두고 전방측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랙기어로드(7)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랙기어로드(7) 선단부에는 랙기어(8)가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랙기어(8)는 그 기어부가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프레임(2)의 좌,우 외측면에는 기어구동수단의 설치 및 보호를 위한 기어브라켓(15)이 조립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기어브라켓(15)에는 랙기어(8)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9)가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기어(9)는 그 기어축(9a)이 기어브라켓(15)을 관통한 상태로 기어브라켓(15) 외측의 베어링(15a)과 조립 설치됨으로서, 랙기어(8)에 의한 피니언기어(9)의 회전을 기어브라켓(15)이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면상 장치프레임(2)의 좌,우 외측면에 2개의 기어브라켓(15)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조립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충수작업 또는 내압시험시 사용되는 물이 가이드장치(1)의 기어구동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기어구동부의 부식을 방지토록 한 것이며, 장치프레임(2)의 좌,우 외측면에 각각 하나의 기어브라켓(15)만을 설치하더라도 랙기어(8)에 의한 피니언기어(9)의 회전작동은 충분히 안정적으로 수행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어브라켓(15)상에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피니언기어(9)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지그로드(10)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지그로드(10) 선단부에는 가이드지그(11)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지그(11)가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는 충수노즐(16)의 삽입을 위한 가이드 통로가 1/2씩 분할된 상태로 각각의 대향면에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통로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도 2의 부분확대도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지그(11)의 상측 내주면을 따라서는 노즐삽입구멍(12)용 테이퍼부(11a)가 형성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지그(11)의 하측 내주면에는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이 삽입되는 네크삽입부(11b)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가이드지그(11)를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테이퍼부(11a)에 의하여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충수노즐(16)의 가이드 통로 및 노즐삽입구멍(12)이 상부측에 제공됨과 동시에, 상기 네크삽입부(11b)에 의해서는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을 노즐삽입구멍(12)과 동일한 센터를 이루도록 삽입시킬 수 있는 공간이 하부측에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그로드(10)는 그 후단부측의 조립단부(10a)가 피니언기어(9)의 상,하부면과 조립 설치되는 한편, 장치프레임(2)의 전방측을 향하여 지그재그식으로 굴곡되는 막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이드지그(11)를 밀착시켜 충수노즐(16)의 가이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면, 지그로드(10)와 피니언기어(9)와의 연결방식 및 지그로드(10) 자체의 형상은 임의대로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1)는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을 따라 충수노즐(16)을 정확하게 삽입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상기 에어실린더(3)에 의한 랙기어(8)의 전,후방 이동 및 이를 기초로 하는 피니언기어(9)의 회전과 지그로드(10)의 각운동을 정확하게 수행토록 함으로서, 가이드지그(11)가 보다 더 정확한 위치에 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치프레임(2)의 후방 외측면에는 슬라이드판(5)을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드판(5)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6)이 설치되고, 상기 장치프레임(2)의 좌,우 외측면에는 랙기어(8)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어레일(2b)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봉(6)이 슬라이드판(5)을 관통하는 부분에는 볼부쉬베어링(5a)이 조립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판(5)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가이드봉(6) 대신에 슬라이드판(5)과 실린더장착대(4)의 사이에 레일식 가이드구조를 적용시킬 수도 있고, 랙기어(8)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기어레일(2b) 대신에 랙기어로드(7)의 이동을 안내하는 볼부쉬베어링을 장치프레임(2)의 좌,우 외측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1)를 승하강프레임(14)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프레임(2)의 일측(도면상 좌측) 하단에 승하강지지대(13) 및 승하강로드(18)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승하강로드(1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잭(19)의 이송스크류와 조립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승하강지지대(13)와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크류잭(19)의 작동에 의하여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1)가 승하강프레임(14)을 따라 일정폭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수노즐(16)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이 되는 노즐실린더(26) 또한 상기 승하강지지대(13)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1)와 함께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승하강지지대(13) 및 승하강로드(18)를 포함하는 스크류잭(19) 뿐만 아니라, 충수노즐(16)용 노즐실린더(26) 또한 본 발명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대표적인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1)를 한정하는 구성요소가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며, 도면부호 7a는 각각의 랙기어로드(7)를 슬라이드판(5)과 연결 및 조립시키기 위한 헤드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압시험장치(20)에 적용되어 튜브형 용기(17)에 대한 충수작업시 충수노즐(16)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의 튜브형 용기(17)가 이송컨베이어(21)를 따라 클램핑장치(22)측으로 이송되면, 상기 클램핑장치(22)의 클램핑지그(22a)가 튜브형 용기(17)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게 되며, 이와 같이 클램핑장치(22)에 의하여 클램핑된 튜브형 용기(17)를 푸싱실린더(23)에 의하여 클램핑장치(22)와 함께 직립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1)에 설치된 에어실린더(3)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3a)가 도면상 후방측으로 들어가도록 하면, 피스톤로드(3a)와 연결된 슬라이드판(5) 및 랙기어로드(7)에 의하여 슬라이드판(5)과 연결된 랙기어(8)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서, 각각의 랙기어(8)와 맞물린 피니언기어(9)가 기어브라켓(15)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피니언기어(9)가 회전하게 되면, 최초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만큼 벌어져 있던 지그로드(10)가 피니언기어(9)와 함께 각운동하여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모이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각각의 지그로드(10) 선단에 설치된 가이드지그(11)가 밀착되어 충수노즐(16)용 가이드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1)는 스크류잭(19)에 의하여 내압시험을 수행하고자 하는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이 위치하는 높이에 맞추어 미리 세팅되어져 있기 때문에, 가이드지그(11)의 네크삽입부(11b)에 네크링(17a)이 삽입된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노즐실린더(26)를 작동시켜 충수노즐(16)을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측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충수노즐(16)을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측으로 하강시키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수노즐(16)의 하단부가 가이드지그(11)의 상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테이퍼부(11a)를 따라 노즐삽입구멍(12)으로 안내된 다음, 노즐삽입구멍(12)과 동일한 센터에 위치하고 있는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을 따라 튜브형 용기(17)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충수노즐(16)의 삽입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파이프 형상으로 매달린 충수노즐(16)을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충수노즐(16)이 요동하여 충수노즐(16)과 네크링(17a)의 센터가 다소 어긋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테이퍼형의 오목한 통로를 구비하는 가이드지그(11)에 의하여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을 통한 충수노즐(16)의 삽입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충수노즐(16)이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충수노즐(16)이 네크링(17a)으로 삽입되지 못하여 충수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 또한 방지할 수 있으며, 네크링(17a)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각종 밸브의 체결력을 충분히 확보토록 하는 한편, 밸브의 체결부위를 통한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을 따라 충수노즐(16)을 삽입시킨 다음, 상기 충수노즐(16)을 통하여 튜브형 용기(17)의 내부에 물을 충진시키는 충수작업이 완료되면, 미도시된 센서가 노즐실린더(26)를 작동시켜 충수노즐(16)을 상승시킴으로서 충수노즐(16)이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는 동시에, 전환기구(27)를 작동시켜 충수노즐(16)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젖혀 놓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1)에 설치된 에어실린더(3)가 작동됨으로서 피스톤로드(3a)가 도면상 전방측으로 밀려 나오게 되면, 피스톤로드(3a)와 연결된 슬라이드판(5) 및 랙기어로드(7)에 의하여 슬라이드판(5)과 연결된 랙기어(8)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서, 각각의 랙기어(8)와 맞물린 피니언기어(9)가 기어브라켓(15)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피니언기어(9)가 회전하게 되면, 각각의 피니언기어(9)와 연결된 지그로드(10)가 피니언기어(9)와 함께 좌,우측 방향으로 각운동함으로서, 각각의 지그로드(10)가 가상선으로 도시된 최초의 상태로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실린더(29)와 체인로프(29a)를 사용하여 브라켓(28b)에 매달린 탈고착장치(28)를 승하강프레임(14)을 따라 하강시킴으로서, 상기 탈고착장치(28)를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과 결착시킨 다음, 튜브형 용기(17)를 탈고착장치(28)와 함께 하강시켜 튜브형 용기(17)를 수조(24)의 내부로 장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튜브형 용기(17)를 수조(24)의 내부로 장입시키는 한편, 탈고착장치(28)의 덮개판(28a)이 덮개클램퍼(25)에 의하여 수조(24)와 함께 클램핑되도록 한 다음, 탈고착장치(28)의 내부에 구비된 고압수 주입용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튜브형 용기(17)의 내부에 고압수의 압력을 인가시킴으로서, 튜브형 용기(17)의 내압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내압시험은 고압수의 압력에 의하여 용기의 외부로 누수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 및 주입된 수압으로 인한 용기의 팽창률과 기타 다른 여러 가지의 이상 유무를 수조(24)에 채워진 물의 수위증감을 통하여 검사하는 과정이 되며, 내압시험이 완료된 용기는 탈고착장치(28)와 함께 수조(24)로부터 상승시킨 다음, 탈고착장치(28)와 분리시켜 배수 및 건조장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1)에 의하면, 충수노즐(16)에 의한 충수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각각의 지그로드(10)를 요구하는 폭만큼 좌,우측 방향으로 벌려 놓을 수 있기 때문에, 탈고착장치(28)를 이용한 튜브형 용기(17)의 승하강작업과 같은 내압시험을 위한 다른 작업이 가이드장치(1)에 의하여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이송컨베이어(21)로부터 이송되어져 오는 튜브형 용기(17)를 직립시켜 충수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부터, 튜브형 용기(17)의 내부에 고압수를 주입시켜 내압시험을 수행하는 작업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자동화를 기초로 하여 인건비의 절감 또한 이루어낼 수 있는 것이다.
1 : 가이드장치 2 : 장치프레임 2a : 가이드대
2b : 기어레일 3 : 에어실린더 3a : 피스톤로드
4 : 실린더장착대 5 : 슬라이드판 5a : 볼부쉬베어링
6 : 가이드봉 7 : 랙기어로드 7a : 헤드부
8 : 랙기어 9 : 피니언기어 9a : 기어축
10 : 지그로드 10a : 조립단부 11 : 가이드지그
11a : 테이퍼부 11b : 네크삽입부 12 : 노즐삽입구멍
13 : 승하강지지대 14 : 승하강프레임 14a : 가이드레일
15 : 기어브라켓 15a : 베어링 16 : 충수노즐
17 : 튜브형 용기 17a : 네크링 18 : 승하강로드
19 : 스크류잭 20 : 내압시험장치 21 : 이송컨베이어
22 : 클램핑장치 22a : 클램핑지그 23 : 푸싱실린더
23a : 피스톤로드 24 : 수조 25 : 덮개클램퍼
26 : 노즐실린더 27 : 전환기구 28 : 탈고착장치
28a : 덮개판 28b : 브라켓 29 : 승하강실린더
29a : 체인로프

Claims (3)

  1. 튜브형 용기(17)의 내압시험을 위하여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을 따라 충수노즐(16)을 삽입시키도록 하는 가이드장치(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장치(1)는,
    승하강프레임(1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치프레임(2);
    상기 장치프레임(2)의 후방측에 제공된 실린더장착대(4)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3);
    상기 에어실린더(3)의 피스톤로드(3a)와 연결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판(5);
    선단에 랙기어(8)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판(5)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랙기어로드(7);
    상기 장치프레임(2)의 좌,우 외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기어브라켓(15);
    상기 랙기어(8)와 맞물린 상태로 각각의 기어브라켓(15)상에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피니언기어(9);
    상기 피니언기어(9)와 조립된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지그로드(10);
    상기 지그로드(10)의 선단에 1/2로 각각 분할 설치되어 충수노즐(16)의 가이드 통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지그(1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지그(11)의 상측 내주면에는 충수노즐(16)의 가이드 통로가 되는 노즐삽입구멍(12)용 테이퍼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지그(11)의 하측 내주면에는 튜브형 용기(17)의 네크링(17a)이 삽입되는 네크삽입부(1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프레임(2)의 후방 외측면에는 슬라이드판(5)을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드판(5)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6)이 설치되고,
    상기 장치프레임(2)의 좌,우 외측면에는 랙기어(8)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어레일(2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
KR1020100039040A 2010-04-27 2010-04-27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 KR101138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040A KR101138007B1 (ko) 2010-04-27 2010-04-27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040A KR101138007B1 (ko) 2010-04-27 2010-04-27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373A true KR20110119373A (ko) 2011-11-02
KR101138007B1 KR101138007B1 (ko) 2012-04-20

Family

ID=4539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040A KR101138007B1 (ko) 2010-04-27 2010-04-27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00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8251A (zh) * 2014-08-20 2014-12-17 中银(宁波)电池有限公司 一种无下冲组装机构
CN105092188A (zh) * 2015-08-28 2015-11-25 高精科技(苏州)有限公司 清洁喷头密封性检测装置
CN108953837A (zh) * 2018-03-23 2018-12-07 宁波中惠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适应不同直径管道的检测装置
CN110274729A (zh) * 2019-06-26 2019-09-24 中日龙(襄阳)机电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多关节用自动快换夹具托盘快速检查装置
CN114414228A (zh) * 2021-12-31 2022-04-29 西安航天动力研究所 喷嘴自动液流试验装置
CN115753063A (zh) * 2022-11-29 2023-03-07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广州局 用于检测换流站阀塔冷却支路导通状况的检测装置
CN116773101A (zh) * 2023-08-18 2023-09-19 山东罗科尔德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消防栓安全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443B1 (ko) * 2000-08-14 2002-11-18 국방과학연구소 유독액상물질용 안전처리설비
KR100876585B1 (ko) * 2007-05-22 2008-12-31 에스제이엠앤비 주식회사 음료 자동주입장치
KR100950583B1 (ko) * 2008-06-30 2010-04-01 주식회사 엠엘씨 로봇을 이용한 튜브형 금속용기의 자동 내압시험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8251A (zh) * 2014-08-20 2014-12-17 中银(宁波)电池有限公司 一种无下冲组装机构
CN105092188A (zh) * 2015-08-28 2015-11-25 高精科技(苏州)有限公司 清洁喷头密封性检测装置
CN108953837A (zh) * 2018-03-23 2018-12-07 宁波中惠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适应不同直径管道的检测装置
CN108953837B (zh) * 2018-03-23 2020-10-27 宁波中惠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适应不同直径管道的检测装置
CN110274729A (zh) * 2019-06-26 2019-09-24 中日龙(襄阳)机电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多关节用自动快换夹具托盘快速检查装置
CN110274729B (zh) * 2019-06-26 2021-05-04 中日龙(襄阳)机电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多关节用自动快换夹具托盘快速检查装置
CN114414228A (zh) * 2021-12-31 2022-04-29 西安航天动力研究所 喷嘴自动液流试验装置
CN115753063A (zh) * 2022-11-29 2023-03-07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广州局 用于检测换流站阀塔冷却支路导通状况的检测装置
CN115753063B (zh) * 2022-11-29 2024-03-08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广州局 用于检测换流站阀塔冷却支路导通状况的检测装置
CN116773101A (zh) * 2023-08-18 2023-09-19 山东罗科尔德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消防栓安全检测装置
CN116773101B (zh) * 2023-08-18 2023-10-27 山东罗科尔德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消防栓安全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007B1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007B1 (ko) 내압시험용 충수노즐의 가이드장치
KR101727723B1 (ko) 고무장갑 제조용 침지장치
JP4008011B2 (ja) 充填装置
CN106926210A (zh) 一种多向运动电力设备检修台
CN201497614U (zh) 自动在线式壳体试漏机
CN105331373A (zh) 一种修理焦炉炉门用的分体式旋转起落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163866A (zh) 用于汽车燃油箱密封性检测设备
CN202599628U (zh) 阀门翻转潜水式测试机
CN103836026A (zh) 一种伸臂油缸试验装置及其液压控制系统
CN207536160U (zh) 一种润滑油灌装机
CN202442847U (zh) 钢质无缝气瓶气密试验机
CN207205171U (zh) 大规格锚链环弯环成形辅助装置
CN109449364A (zh) 真空注液装置
CN111473926A (zh) 歧管气密性检测设备
CN201464131U (zh) 钢管水下气压试验机
CN218035536U (zh) 一种钢管气密性检测装置
CN107238469A (zh) 一种发动机缸体浸渗实验用装置
CN210825378U (zh) 一种农药包装用的全自动活塞式灌装机
KR102550524B1 (ko) 압력용기의 내압시험장비
CN210665268U (zh) 一种便于上部合页静态荷载试验的设备
CN204727242U (zh) 气瓶快速安全卸车装置
CN107442739A (zh) 大规格锚链环弯环成形辅助装置及使用方法
CN208763014U (zh) 一种便于运输的带有折叠导轨的打桩机
CN206960065U (zh) 一种用于引导轮检测的水密试验装置
CN103967511B (zh) 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