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657A - 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657A
KR20110118657A KR1020117018308A KR20117018308A KR20110118657A KR 20110118657 A KR20110118657 A KR 20110118657A KR 1020117018308 A KR1020117018308 A KR 1020117018308A KR 20117018308 A KR20117018308 A KR 20117018308A KR 20110118657 A KR20110118657 A KR 20110118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nent
molding composition
styrene
maleic 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베버
시몬 실로
마르코 블린즐러
유르겐 데이닌거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10118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65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5/06Copolymers with vinyl 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은
a) 성분 A로서,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갖지 않는 1종 이상의 스티렌 공중합체 3 내지 79 중량%,
b) 성분 B로서, 전체 성분 B를 기준으로 0.1 내지 0.2 중량%의 트리아세톤디아민 (TAD) 말단기를 함유하는 1종 이상의 폴리아미드 15 내지 91 중량%,
c) 성분 C로서, 1종 이상의 충격-개질 고무 5 내지 50 중량%,
d) 성분 D로서, 전체 성분 D를 기준으로 1.9 내지 2.3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유도 단위를 갖는 스티렌 공중합체 1 내지 25 중량%,
e) 성분 E로서, 추가 고무 0 내지 40 중량%,
f) 성분 F로서, 1종 이상의 섬유성 또는 미립자 충전제 0 내지 50 중량%, 및
g) 성분 G로서, 추가 첨가제 0 내지 40 중량%
를 함유하며, 상기 성형 조성물은 0.1 중량% 미만의 프탈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성분 A 내지 D, 및 임의로 E 내지 G의 총량이 100 중량%이다.

Description

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THERMOPLASTIC MOLDING COMPOUNDS CONTAINING STYRENE COPOLYMERS AND POLYAMIDES}
본 발명은 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또한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물, 섬유 및 포일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로 구성되는 중합체 블렌드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다. 폴리아미드 및 스티렌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2원 (binary) 블렌드는 폴리아미드와, 예를 들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와의 비상용성으로 인해 매우 낮은 인성 (toughness) 값을 갖는다. 관능화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SAN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블렌드의 인성을 유의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생성물은 높은 내충격성, 양호한 유동성 및 화학적 내성과 같은 흥미로운 특성들을 갖는다. 특히 적합한 상용화제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말레산 무수물 삼원공중합체, 스티렌-N-페닐말레이미드-말레산 무수물 삼원공중합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이다. 폴리아미드의 아미노 또는 카르복시 말단기가 상기 언급된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의 관능기와 반응하여 스티렌 공중합체 상 및 폴리아미드 상 사이에서 상용성을 일으키는 공중합체를 계내 (in-situ) 생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개질된 경계면을 갖는 이러한 유형의 중합체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중합체 알로이 (alloy)로 지칭된다.
지금까지 공지된 스티렌 공중합체-폴리아미드 블렌드는 많은 적용 분야에서 불충분한 UV 내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올레핀계 이중 결합을 갖지 않는 충격 개질제를 사용하여 내후성 (weathering resistance)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 개질제의 사용은 더 높은 재료 비용뿐만 아니라 저온에서 노치 내충격성의 유의한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또다른 가능성은 HALS 안정화제와 같은 입체 장애 피페리딘 말단기를 갖는 폴리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처리 조건이 비우호적인 경우, 예를 들어 트리아세톤디아민 (TAD)을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의 사용은 저온에서 파괴 에너지 (fracture energy)의 감소를 유발한다.
WO 제2005/040281호에는 TAD 말단기를 갖는 폴리아미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말레산 무수물 삼원공중합체, 그래프트 고무, 및 종종 프탈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기술된 성형 조성물의 특성 프로필이 모든 적용 분야에 대해 이상적인 것은 아니다.
개선된 색견뢰도 (colorfastness) 및 양호한 유동성, 및 또한 상온 및 저온에서 양호한 내충격성, 및 또한 저온에서 개선된 파괴 에너지를 갖는 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 기재의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a) 성분 A로서,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갖지 않는 1종 이상의 스티렌 공중합체 3 내지 79 중량%,
b) 성분 B로서, 전체 성분 B를 기준으로 0.1 내지 0.2 중량%의 트리아세톤디아민 (TAD) 말단기를 갖는 1종 이상의 폴리아미드 15 내지 91 중량%,
c) 성분 C로서, 1종 이상의 충격-개질 고무 5 내지 50 중량%,
d) 성분 D로서, 전체 성분 D를 기준으로 1.9 내지 2.3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갖는 스티렌 공중합체 1 내지 25 중량%,
e) 성분 E로서, 추가 고무 0 내지 40 중량%,
f) 성분 F로서, 1종 이상의 섬유성 또는 미립자 충전제 0 내지 50 중량%, 및
g) 성분 G로서, 추가 첨가제 0 내지 40 중량%
를 포함하며, 0.1 중량% 미만의 프탈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성분 A 내지 D, 및 적절한 경우 E 내지 G의 총량은 100 중량%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성형 조성물은 언급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아미드 중 특정 TAD 말단기 함량을 말레산 무수물 단위를 포함하는 특정 분율의 스티렌 공중합체와 배합할 경우 본 발명의 이점이 유발됨을 발견하였다.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중 성분 A의 분율은 3 내지 79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 특히 14 내지 19 중량%이다.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B의 양은 15 내지 91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0 중량%, 특히 36 내지 53 중량%이다.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C의 양은 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중량%, 특히 28 내지 35 중량%이다.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D의 양은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 특히 4 내지 6 중량%이다.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E의 양은 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중량%, 특히 0 내지 17 중량%이다. 성분 E가 존재하는 경우, 최소량은 1 중량%이다.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F의 양은 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 중량%, 특히 0 내지 8 중량%이다. 성분 F가 존재하는 경우, 포함되는 최소량은 바람직하게는 0.1 중량%이다.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 G의 양은 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 중량%, 특히 0 내지 17 중량%이다. 성분 G가 존재하는 경우, 최소량은 0.1 중량%이다.
성분 E 내지 G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성분 A 내지 D의 가능한 최대량은 첨가되는 성분 E 내지 G의 최소량만큼 상응해서 감소하고, 따라서 총량은 항상 100 중량%이다.
성분 A
본 발명의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은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갖지 않는 1종 이상의 스티렌 공중합체를 성분 A로서 포함한다. 임의의 목적하는 적합한 공단량체가 공중합체 중 스티렌과 함께 존재할 수 있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또는 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고 문헌에 기술된 임의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또는 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 중 0.5 중량% 농도의 용액으로서 25 ℃에서 DIN 53727에 따라 측정한 -이 측정법은 또한 하기 언급된 모든 고유 점도 IV에 적용됨-) 혼합물의 고유 점도 IV가 85 mL/g 이하이기만 하면, 열가소성 매트릭스 M의 성분 A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성분 A는 5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 특히 65 내지 78 중량%의 스티렌, 및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 특히 22 내지 35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또한 0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 중량%, 특히 0 내지 3 중량%의 추가 단량체로 구성되고, 여기서 각각의 중량% 값은 성분 A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총합은 100 중량%이다.
추가로 바람직한 성분 A는 5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 특히 65 내지 78 중량%의 α-메틸스티렌, 및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 특히 22 내지 35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또한 0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 중량%, 특히 0 내지 3 중량%의 추가 단량체로 구성되고, 여기서 각각의 중량% 값은 성분 A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총합은 100 중량%이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한 성분 A는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상기 α-메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혼합물이다.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언급된 추가 단량체는 말레산 무수물이 아닌 공중합가능한 임의의 단량체이고, 예를 들어 p-메틸스티렌, tert-부틸스티렌, 비닐나프탈렌,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C1-C8-알킬 라디칼을 갖는 것들, N-페닐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성분 A의 공중합체를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유-라디칼 중합, 특히 유화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또는 벌크 중합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공중합체에는 고무가 없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은 성분 B로서, 전체 성분 B를 기준으로 0.1 내지 0.2 중량%의 트리아세톤디아민 (TAD) 말단기를 갖는 1종 이상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또한, 물질은 TAD 말단기를 갖는 폴리아미드와 TAD 말단기가 없는 폴리아미드의 혼합물일 수 있다. 존재하는 트리아세톤디아민 말단기의 총량이, 성분 B를 기준으로, 0.1 내지 0.2 중량%인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TAD 말단기의 양은 0.14 내지 0.18 중량%, 특히 0.15 내지 0.17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성분 B는 피페리딘 화합물인 TAD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말단기를 갖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또한, 성분 B로서, 2종 이상의 상이한 폴리아미드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기본 구조를 가지지만 동일한 말단기를 갖는 폴리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피페리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말단기를 갖고 동일한 기본 골격을 갖는 폴리아미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피페리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상이한 함량의 말단기를 갖는 폴리아미드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는 반복 아미드기가 중합체 주쇄의 본질적인 구성성분인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합성 장쇄 폴리아미드이다. 이러한 폴리아미드의 예로는 나일론-6 (폴리카프로락탐), 나일론-6,6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나일론-4,6 (폴리테트라메틸렌아디파미드), 나일론-5,10 (폴리펜타메틸렌아디파미드), 나일론-6,10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 나일론-7 (폴리에난토락탐), 나일론-11 (폴리운데카노락탐), 나일론-12 (폴리도데카노락탐)이 있다. 공지된 것과 같이, 이러한 폴리아미드는 나일론이라는 일반명이 있다.
원칙적으로, 폴리아미드의 제조를 위한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디카르복실산 및 디아민으로부터 출발하는 중합은 아미노산으로부터 출발하는 중합과 같이 출발 단량체 또는 출발 올리고머의 아미노 및 카르복시 말단기가 서로 반응하여 아미드기와 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후, 중합체 물질로부터 물을 제거할 수 있다. 카르복사미드로부터 출발하는 중합은 출발 단량체 또는 출발 올리고머의 아미노 및 아미드 말단기가 서로 반응하여 아미드기와 암모니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후, 중합체 물질로부터 암모니아를 제거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출발 단량체 또는 출발 올리고머의 예로는
(1) C2-C20, 바람직하게는 C3-C18 아미노산, 예를 들어 6-아미노카프로산, 11-아미노운데칸산, 및 또한 그의 이량체, 삼량체, 사량체, 오량체 및 육량체,
(2) C2-C20 아미노산의 아미드, 예를 들어 6-아미노카프로아미드, 11-아미노운데칸아미드, 및 또한 그의 이량체, 삼량체, 사량체, 오량체 및 육량체,
(3) (3a) C2-C20, 바람직하게는 C2-C12 알킬렌디아민,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렌디아민 또는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3b) C2-C20, 바람직하게는 C2-C14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세바신산, 데칸디카르복실산 또는 아디프산의 반응 생성물, 및 또한 이들 반응 생성물의 이량체, 삼량체, 사량체, 오량체 및 육량체,
(4) (3a)와 (4b) C8-C20, 바람직하게는 C8-C12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의 반응 생성물, 및 또한 이들 반응 생성물의 이량체, 삼량체, 사량체, 오량체 및 육량체,
(5) (3a)와 (5b) C9-C20, 바람직하게는 C9-C18 아릴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클로라이드, 예를 들어 o-, m- 또는 p-페닐렌디아세트산의 반응 생성물, 및 또한 이들 반응 생성물의 이량체, 삼량체, 사량체, 오량체 및 육량체,
(6) (6a) C6-C20, 바람직하게는 C6-C10 방향족 디아민, 예를 들어 m- 또는 p-페닐렌디아민과 (3b)의 반응 생성물, 및 또한 이들 반응 생성물의 이량체, 삼량체, 사량체, 오량체 및 육량체,
(7) (7a) C7-C20, 바람직하게는 C8-C18 아릴 지방족 디아민, 예를 들어 m- 또는 p-크실릴렌디아민과 (3b)의 반응 생성물, 및 또한 이들 반응 생성물의 이량체, 삼량체, 사량체, 오량체 및 육량체, 및
(8) C2-C20, 바람직하게는 C2-C18 아릴 지방족 또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락탐, 예를 들어 에난토락탐, 운데카노락탐, 도데카노락탐 또는 카프로락탐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및
또한 이들 출발 단량체 또는 출발 올리고머의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이 있다.
중합하여 폴리아미드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4,6, 나일론-5,10, 나일론-6,10, 나일론-7, 나일론-11 또는 나일론-12, 특히 나일론-6 또는 나일론-6,6을 제공하는 출발 단량체 또는 출발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트리아세톤디아민 (TAD) 말단기는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으로부터 유도된다. TAD는 아미노 또는 카르복시 기에 의해 폴리아미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관련된 화합물은 4-카르복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 B의 제조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거나 또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출발 단량체의 중합 또는 축중합은, 예를 들어 피페리딘 화합물의 존재 하에 통상의 공정 조건 하에서 실시할 수 있고, 반응은 연속식 또는 배치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피페리딘 화합물을 또한 폴리아미드의 제조에 보통 사용되는 일 유형의 쇄 조절기와 배합할 수 있다. 적합한 공정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WO 제95/28443호, WO 제99/41297호 또는 DE-A 제198 12 135호에서 발견된다. TAD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아미드-형성기 R7의 반응에 의해 폴리아미드에 결합된다. 입체 장애는 피페리딘 고리계의 2차 아미노기가 여기에서 반응하는 것을 막는다.
또한, 2종 이상의 상기 언급된 단량체 또는 그의 성분을 함께 중축합하여 제조된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아디프산,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또는 카프로락탐, 테레프탈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방향족 코폴리아미드는 테레프탈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40 내지 90 중량% 포함한다. 적은 분율의 테레프탈산,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전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10 중량% 이하를 이소프탈산 또는 다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기가 파라-위치에 있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할 수 있다.
반-방향족 폴리아미드는 노난디아민 및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유도되는 나일론-9,T이다.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단량체로는 시클릭 디아민,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V의 시클릭 디아민이 있다.
<화학식 V>
Figure pct00001
상기 식 중,
R1은 수소 또는 C1-C4-알킬기이고,
R2는 C1-C4-알킬기 또는 수소이고,
R3은 C1-C4-알킬기 또는 수소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아민 V은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메탄,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2,2-프로판 또는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2,2-프로판이다.
언급할 수 있는 다른 디아민 V은 1,3- 또는 1,4-시클로헥산디아민 또는 이소포론디아민이다. 반-방향족 코폴리아미드는 테레프탈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와 함께,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 및/또는 아디프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포함한다.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의 분율은 최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특히 25 내지 40 중량%인 반면, 아디프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의 분율은 최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 특히 35 내지 55 중량%이다.
또한, 코폴리아미드는 ε-카프로락탐의 단위뿐만 아니라 아디프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의 단위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향족 기가 없는 단위의 분율이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이 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 및 아디프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의 비율에 대한 어떠한 특별한 제한도 없다.
많은 적용분야에서 특히 이로운 것으로 증명된 물질은 테레프탈산 및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 50 내지 80 중량%, 특히 60 내지 75 중량% 및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 2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중량%를 갖는 폴리아미드이다.
예를 들어, 반-방향족 코폴리아미드는 EP-A 제129 195호 및 EP-A 제129 196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트리아민 단위, 특히 디헥사메틸렌트리아민 단위의 함량이 0.555 중량% 미만인 반-방향족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트리아민 함량이 0.3 중량% 이하인 반-방향족 폴리아미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융점이 200℃를 초과하는 선형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폴리아미드는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 및 폴리카프로락탐, 및 또한 나일론-6/6,T 및 나일론-6,6/6,T, 및 또한 공단량체로서 시클릭 디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이다. 폴리아미드의 상대 점도는 일반적으로, 23 ℃에서 96% 농도의 황산 중 1 중량% 농도의 용액에서 측정하여 2.0 내지 5이고, 이는 약 15000 내지 45000의 (수평균) 분자량에 상응한다. 상대 점도가 2.4 내지 3.5, 특히 2.5 내지 3.4인 폴리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승온에서 1,4-디아미노부탄과 아디프산의 축합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폴리아미드 (나일론-4,6)를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폴리아미드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EP-A 제38 094호, EP-A 제38 582호 및 EP-A 제39 524호에 기재되어 있다.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은 성분 C로서 충격-개질 고무, 특히 그래프트 고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그래프트 고무는 또한 다중 쉘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코어-쉘 고무이다. 폴리아미드에 적합한 통상의 충격 개질제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의 인성을 증가시키는 고무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본질적인 특징을 갖는다. 즉, 유리전이온도가 -10 ℃ 미만, 특히 -30 ℃ 미만인 엘라스토머 부분을 포함하고, 폴리아미드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1종 이상의 관능기를 포함한다. 적합한 관능기의 예로는 카르복실산 기, 카르복실산 무수물 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 카르복사미드 기, 카르복시미드 기, 아미노 기, 히드록시 기, 에폭시 기, 우레탄 기 및 옥사졸린 기가 있다.
블렌드의 인성을 증가시키는 고무의 예로서 다음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관능기로 각각 그래프팅된 EP 고무 또는 EPDM 고무. 적합한 그래프트 시약의 예로는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아크릴산,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이러한 단량체는 또한 용융물 또는 용액 중에서, 적절한 경우 자유-라디칼 발생제, 예를 들어 큐멘 히드로퍼옥시드의 존재 하에, 중합체 상에 그래프팅될 수 있다.
또한,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언급할 수 있다. α-올레핀은 보통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이다. 적합한 것으로 증명된 공단량체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부탄올 또는 에틸 헥산올로부터 유도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및 또한 반응성 공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또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또한 비닐 에스테르, 특히 비닐 아세테이트이다. 다양한 공단량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적합한 것으로 증명된 물질은 에틸렌과 에틸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및/또는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이다.
400 내지 4500 bar의 압력에서 고압 공정 중에 또는 공단량체를 폴리-α-올레핀 상에 그래프팅하여 공중합체를 생산할 수 있다.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α-올레핀의 분율은 일반적으로 99.95 내지 55 중량%이다.
적합한 엘라스토머의 추가 군은 코어-쉘 그래프트 고무이다. 코어-쉘 그래프트 고무는 유화액 중 생산되고 적어도 1종의 경질 구성성분 및 1종의 연질 구성성분으로 구성되는 그래프트 고무이다. 경질 구성성분은 보통 유리전이온도가 25℃ 이상인 중합체이고, 연질 구성성분은 보통 유리전이온도가 0℃ 이하인 중합체이다. 이들 생성물은 하나의 코어와 하나 이상의 쉘로 구성되는 구조를 갖고, 이러한 구조는 단량체 첨가 순서의 결과이다. 연질 구성성분은 특히 부타디엔, 이소프렌,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실록산, 및 적절한 경우 추가의 공단량체로부터 유도된다. 적합한 실록산 코어를, 예를 들어 시클릭 올리고머 옥타메틸테트라실록산 또는 테트라비닐테트라메틸테트라실록산, 또는 테트라비닐테트라메틸테트라실록산으로부터 생산할 수 있다. 이들을 개환 양이온 중합 반응으로, 바람직하게는 술폰산의 존재 하에, γ-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과 반응시켜 연질 실록산 코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수분해성 기, 예를 들어 할로겐 또는 알콕시 기를 갖는 실란, 예를 들어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또는 페닐트리메톡시실란의 존재 하에 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실록산을 가교시킬 수 있다. 언급할 수 있는 적합한 공단량체의 예로는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하나 초과의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가교 또는 그래프트-활성 단량체, 예를 들어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비닐벤젠,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가 있다. 경질 구성성분은 특히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부터 유도되고, 열거할 수 있는 바람직한 공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바람직한 코어-쉘 그래프트 고무는 연질 코어 및 경질 쉘, 또는 경질 코어, 제1 연질 쉘 및 하나 이상의 추가의 경질 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관능기, 예를 들어 카르보닐 기, 카르복실산 기, 무수물 기, 카르복사미드 기, 카르복시미드 기,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 아미노 기, 히드록시 기, 에폭시 기, 옥사졸린 기, 우레탄 기, 우레아 기, 락탐 기 또는 할로벤질 기를 혼입시킬 수 있고,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적합하게 관능화된 단량체를 최종 쉘의 중합 중에 첨가하여 달성된다. 관능화된 적합한 단량체의 예로는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의 모노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ter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비닐옥사졸린이 있다.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의 분율은 일반적으로 코어-쉘 그래프트 고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5 중량%이다. 연질 구성성분 대 경질 구성성분의 중량 비율은 일반적으로 1:9 내지 9:1,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8:2이다.
폴리아미드의 인성을 증가시키는 이러한 유형의 고무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EP-A 제208 187호에 기술되어 있다.
적합한 충격 개질제의 또다른 군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의 군이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일반적으로 폴리(알킬렌) 에테르 글리콜로부터 유도되는 장쇄 분절 및 저분자량 디올 및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쇄 분절을 포함하는 분절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이다. 이러한 유형의 생성물은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고, 문헌, 예를 들어 US-A 제3 651 014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상응하는 제품은 하이트렐 (Hytrel)® (듀폰 (Du Pont)), 아르니텔 (Arnitel)® (아크조 (Akzo)) 및 펠프렌 (Pelprene)® (토요보 (Toyobo Co. Ltd.))으로 구입 가능하다.
물론 다양한 고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질이 에틸렌계 불포화 탄화수소 잔기 (올레핀계 이중 결합)를 포함하지 않는 그래프트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ASA 고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경질 상의 중합은 부수적인 양의 그래프트되지 않은 부분을 생산한다. 이것은 경질 상으로 계산된다. 또한, 다양한 고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되는 고무들의 연질 상 부분은 5 중량%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은 성분 D로서, 전체 성분 D를 기준으로 1.9 내지 2.3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갖는 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2 중량%, 특히 약 2.1 중량%이다.
성분 D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말레산 무수물 삼원공중합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삼원공중합체 중 아크릴로니트릴의 분율은, 전체 삼원공중합체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 특히 20 내지 25 중량%이다. 잔류물을 스티렌으로 구성된다.
공중합체의 몰질량 Mw은, 테트라히드로푸란 (THF)를 용리액으로 사용하고 폴리스티렌으로 보정하여 GPC로 측정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30000 내지 5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250000 g/mol, 특히 70000 내지 200000 g/mol이다.
공중합체를 상응하는 단량체의 자유-라디칼-생성 중합에 의해 생산할 수 있다. 생산 공정은, 예를 들어 WO 제2005/040281호 10쪽 31줄 내지 11쪽 8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또한, 스티렌-N-페닐말레이미드-말레산 무수물 삼원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EP-A 제0 784 080호, 및 또한 DE-A 제100 24 935호 및 DE-A 제44 07 485호에 기술된 내용 (성분 B에 대해서 명세서 6쪽 및 7쪽에 기술함)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은 성분 E로서 성분 C와 다른 추가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프트 고무를 성분 C로 사용하면, 성분 E는 그래프트 고무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특히 성분 C로서 그래프트 고무가 없는 경우, 성분 E를 생략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고무의 예로는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관능화된 EP 고무 또는 SEBS 블록 고무가 있다. 성분 E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위해서는, 성분 E가 기술되어 있는 DE-A 제195 26 855호 10쪽 11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은 성분 F로서 1종 이상의 섬유성 또는 미립자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성 충전제 또는 섬유성 강화 물질로는 탄소 섬유, 칼륨 티타네이트 위스커 (whisker), 아라미드 섬유, 및 특히 유리 섬유가 바람직하다.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매트릭스 물질과의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사이징제 및 커플링제를 유리 섬유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되는 탄소 섬유 및 유리 섬유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6 내지 20 ㎛ 범위이다. 유리 섬유가 혼입되는 형태는 짧은 유리 섬유 또는 연속-필라멘트 스트랜드 (조방사 (roving))의 형태이다. 최종 사출 성형물에서 유리 섬유의 평균 길이는 0.08 내지 0.5 mm 범위가 바람직하다.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가 사용되는 형태는 직포, 매트 또는 유리 실크 조방사의 형태이다.
적합한 미립자 충전제는 무정형 실리카,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초크), 분말 석영, 운모, 활석, 장석, 유리 구슬, 및 특히 칼륨 실리케이트, 예를 들어 규회석 및 카올린 (특히 소결된 카올린)이다.
특히 바람직한 충전제의 조합은 유리 섬유 및 규회석으로 구성된 조합이다.
추가 첨가제를 성분 G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로는 난연제, 염료, 안료 또는 안정화제, 예를 들어 열 안정화제 또는 UV 안정화제, 및 또한 윤활제 또는 이형 보조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열가소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서 성분 A 내지 D, 및 적절한 경우 E 내지 G를 임의의 목적하는 순서로 서로 혼합한다.
성분들을 혼합하는 순서는 목적하는 대로이다. 예를 들어, 출발 성분들을 통상의 혼합 기기, 예를 들어 스크류-기반 압출기, 바람직하게는 트윈-스크류 압출기, 또는 브라벤더 (Brabender) 혼합기 또는 밴버리 (Banbury) 혼합기, 또는 혼련기에서 혼합한 후, 이들을 압출하여 성형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다. 압출물을 냉각시키고 분쇄한다. 성분들의 혼합 순서는 다양할 수 있고, 따라서 2 또는, 적절한 경우, 3가지 성분을 먼저 혼합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성분을 함께 혼합할 수도 있다.
혼합물의 최대 균질도를 얻기 위해서는 집중 혼합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서 요구되는 평균 혼합 시간은 일반적으로 24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45 내지 290℃의 온도에서 0.2 내지 30분이다. 압출물을 일반적으로 냉각시키고 분쇄한다.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은 특히 -30℃에서의 개선된 분열 에너지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은 성형 침착물의 형성 경향이 덜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을 성형물, 섬유 및 포일의 생산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성형물의 생산에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성형물은 자동차 부품 또는 전기 설비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은 고유의 색을 거의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엷은 색을 갖는 성형물의 생산에 있어서 특히 유리하고, 사출 성형에 의한 처리 중 텍스쳐링 (texturing)이 일어나지 않고, 일어나더라도 매우 근소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로 구성된 성형물, 섬유 및 포일을 제공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한다.
<실시예>
성형 조성물의 생산 및 시험
DIN 53 727에 따라 96 중량% 황산 중 0.5 중량% 농도의 용액 상에서 폴리아미드의 고유 점도를 측정하였다. 25℃에서 0.5 중량% 농도의 DMF 용액 중에서 스티렌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의 고유 점도를 측정하였다.
비켓 (Vicat) 연화점으로 표본의 내열성을 측정하였다. 49.05 N의 힘 및 시간당 50K씩 온도 상승을 이용하여 DIN 53 460에 따라 ISO 표본에 대해 비켓 연화점을 측정하였다.
생성물의 노치 내충격성을 ISO 179 1eA에 따라 ISO 표본 상에서 측정하였다.
ISO 1133에 따라 240℃에서 5 kg의 부하로 유동성을 측정하였다. 제노테스트 에이징 (Xenotest aging) 1000 시간 후 시각적으로 표본의 색을 측정하고, 1 (변색 없음) 내지 5 (심하게 황색으로 됨)로 분류하였다.
ISO 6603에 따라 -30℃에서 시트 (60×60×3 mm3) 상에서 파괴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총 에너지 Wt를 사용하였다.
성형 조성물의 방출 경향은 VDA 277에 따라 총 C 방출율로 측정하였다.
성분 A
75 중량%의 스티렌 및 25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하고 (25℃에서 0.5 중량% 농도의 DMF 용액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가 80 mL/g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성분 B 1
사용된 폴리아미드 B 1은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수득하고 (96% 농도의 황산 중 0.5 중량%의 농도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가 150 mL/g인 나일론-6을 포함하였다 (예를 들어, 울트라미드 (Ultramid)® B 3).
성분 B 2
사용된 폴리아미드 B 2는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 수득하고 (96% 농도의 황산 중 0.5 중량%의 농도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가 130 mL/g이고 0.16 중량% 분율의 트리아세톤디아민을 갖는 나일론-6을 포함하였다.
성분 B V
하기 재료들을 250 L 오토클레이브에 계량 투입하였다: 카프로락탐 50 kg, 탈이온수 810 g, 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TAD) 1.25 kg.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27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상기 조건 하에 30분간 유지한 후, 압력을 천천히 감소시켰다. 전환율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반응 혼합물을 진공 (약 600 mbar)에 90분간 두었다. 이후, 반응 생성물을 반응 용기로부터 배출하고 펠렛화하였다. 수득한 펠렛을 90℃로 가열한 물로 추출한 후, 건조시켰다. 생성된 폴리아미드의 고유 점도는 53 mL/g이었고, TAD의 분율은 2.3 중량%이었다.
성분 C 1
코어 중 62 중량%의 폴리부타디엔, 및 75 중량%의 스티렌 및 25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로 구성되는 38 중량%의 그래프트 쉘을 사용한 그래프트 고무. 평균 입자 크기는 약 400 nm이었다.
성분 C 2
코어 중 70 중량%의 폴리부타디엔, 및 75 중량%의 스티렌 및 25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로 구성되는 30 중량%의 그래프트 쉘을 사용하는 그래프트 고무. 평균 입자 크기는 약 370 nm이었다.
성분 DV 1
사용된 성분 DV 1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말레산 무수물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였고, 그 구성비는 74.5/24.5/1.0 (중량%)이고, 고유 점도는 66 mL/g이었다.
성분 DV 2
사용된 성분 DV 2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말레산 무수물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였고, 그 구성비는 74.6/23.7/1.7 (중량%)이고, 고유 점도는 67 mL/g이었다.
성분 D 3
사용된 성분 D 3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말레산 무수물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였고, 그 구성비는 74.4/23.5/2.1 (중량%)이고, 고유 점도는 66 mL/g이었다.
성분 DV 4
사용된 성분 DV 4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말레산 무수물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하였고, 그 구성비는 74.6/23.5/2.9 (중량%)이고, 고유 점도는 66 mL/g이었다.
성분 F
폴리우레탄 사이징제가 있는 쵸핑된 유리 섬유. 섬유 직경은 14 ㎛이었다.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의 생산
성분들을 240 내지 260℃의 용융 온도에서 트윈-스크류 압출기에서 혼합하였다. 용융물을 수조로 통과시키고 펠렛화하였다.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열거하였다.
Figure pct00002
본 발명의 성형 조성물은 개선된 유동성 및 색견뢰도를 가졌다. 선행 기술과 비교하여, -30℃에서 현저하게 개선된 파괴 에너지를 갖는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었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생성물은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C 방출율을 가졌다.

Claims (11)

  1. a) 성분 A로서,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갖지 않는 1종 이상의 스티렌 공중합체 3 내지 79 중량%,
    b) 성분 B로서, 전체 성분 B를 기준으로 0.1 내지 0.2 중량%의 트리아세톤디아민 (TAD) 말단기를 갖는 1종 이상의 폴리아미드 15 내지 91 중량%,
    c) 성분 C로서, 1종 이상의 충격-개질 고무 5 내지 50 중량%,
    d) 성분 D로서, 전체 성분 D를 기준으로 1.9 내지 2.3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갖는 스티렌 공중합체 1 내지 25 중량%,
    e) 성분 E로서, 추가 고무 0 내지 40 중량%,
    f) 성분 F로서, 1종 이상의 섬유성 또는 미립자 충전제 0 내지 50 중량%, 및
    g) 성분 G로서, 추가 첨가제 0 내지 40 중량%
    를 포함하며, 0.1 중량% 미만의 프탈산 무수물을 포함하고, 성분 A 내지 D, 및 적절한 경우 E 내지 G의 총량이 100 중량%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D가 2.0 내지 2.2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갖는 성형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성분 D가 약 2.1 중량%의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갖는 성형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탈산 무수물을 포함하지 않는 성형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가 0.14 내지 0.18 중량%의 트리아세톤디아민 (TAD) 말단기를 갖는 성형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말레산 무수물 (MA) 삼원공중합체인 성형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인 성형 조성물.
  8. 성분 A 내지 D, 및 적절한 경우 E 내지 G를 임의의 목적하는 순서로 서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성형물, 포일 또는 섬유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의 용도.
  10. 제9항에 있어서, 성형물이 자동차 부품 또는 전기 설비의 일부인 것인 용도.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로 구성된 성형물, 섬유 또는 포일.
KR1020117018308A 2009-02-06 2010-01-29 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KR201101186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2295 2009-02-06
EP09152295.3 2009-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657A true KR20110118657A (ko) 2011-10-31

Family

ID=4169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308A KR20110118657A (ko) 2009-02-06 2010-01-29 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319550A1 (ko)
EP (1) EP2393877B1 (ko)
KR (1) KR20110118657A (ko)
WO (1) WO2010089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50381T1 (de) * 2007-06-22 2012-04-15 Basf Se Formmassen enthaltend polyarylether mit verbesserter oberflächenqualität
BRPI0812910A2 (pt) * 2007-06-28 2014-12-09 Basf Se Composição termoplástica de moldagem, processo para preparação de composições termoplásticas de moldagem, moldado, e, uso das composições termoplásticas de moldagem.
DE502008002825D1 (de) * 2007-08-15 2011-04-21 Basf Se POLYESTERMISCHUNG MIT VERBESSERTER FLIEßFÄHIGKEIT UND GU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CN102264798B (zh) * 2008-10-23 2014-01-15 巴斯夫欧洲公司 支化聚芳醚和含所述醚的热塑性模塑材料
KR101812934B1 (ko) * 2009-02-06 2018-01-30 스티롤루션 유럽 게엠베하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 기재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KR101821534B1 (ko) 2009-04-03 2018-01-23 바스프 에스이 염소 저함유 폴리비페닐 술폰 중합체의 제조 방법
ATE517149T1 (de) * 2009-05-11 2011-08-15 Basf Se Verstärkte styrolcopolymere
JP5797643B2 (ja) 2009-06-08 2015-10-21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ポリアリーレンエーテルブロックコポリマーの製造方法
DE102009025537A1 (de) 2009-06-19 2010-12-30 Basf Se Copolyamide
WO2011003900A2 (de) 2009-07-08 2011-01-13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verbundwerkstoffen aus polyamid 6 und copolyamiden aus polyamid 6 und polyamid 12
MY162228A (en) 2009-08-20 2017-05-31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low-halogen polybiphenylsulfone polymers
CN102639620B (zh) 2009-11-20 2014-01-22 巴斯夫欧洲公司 含有微珠的树脂泡沫
US20110178205A1 (en) 2010-01-18 2011-07-21 Martin Weber Proces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based on styrene copolymers and polyamide with improved toughness
US20110218294A1 (en) * 2010-03-05 2011-09-08 Basf Se blends of polyarylene ethers and polyarylene sulfides
ES2555128T3 (es) * 2010-11-18 2015-12-29 Styrolution Europe Gmbh Masas de moldeo termoplásticas a base de copolímeros de estireno y poliamidas;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y su utilización
WO2013104528A1 (de) * 2012-01-11 2013-07-18 Styrolution GmbH Witterungsstabil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basis von styrolcopolymeren und polyamiden mit verbesserter zähigkeit
WO2018046582A1 (de) 2016-09-08 2018-03-15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Thermoplastische polymerpulver für das selektive lasersintern (sl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1014A (en) 1969-07-18 1972-03-21 Du Pont Segmented thermoplastic copolyester elastomers
NL8001763A (nl) 1980-03-26 1981-10-16 Stamicarbon Bereiding van polytetramethyleenadipamide.
NL8001762A (nl) 1980-03-26 1981-10-16 Stamicarbon Bereiding van voorwerpen op de basis van polyamide.
NL8001764A (nl) 1980-03-26 1981-10-16 Stamicarbon Bereiding van hoogmoleculair polytramethyleenadipamide.
DE3321581A1 (de) 1983-06-15 1984-12-20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polyamiden
DE3321579A1 (de) 1983-06-15 1984-12-20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polyamiden
DE3524234A1 (de) 1985-07-06 1987-01-08 Bayer Ag Neue pfropfpolymerisate und deren abmischungen mit polyamiden
DE4407485A1 (de) 1994-03-07 1995-09-14 Basf Ag Formmasse auf der Grundlage von Polyarylenethern
CN1066755C (zh) 1994-04-15 2001-06-06 巴斯福股份公司 固有对光和热稳定的聚酰胺、其制备方法和应用
DE19526855A1 (de) 1995-07-22 1997-01-23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arylenethern mit Anhydridendgruppen
BE1009904A3 (nl) 1995-12-29 1997-10-07 Dsm Nv Rubber gemodificeerde polyamide polymeersamenstelling.
AR018063A1 (es) 1998-02-13 2001-10-31 Basf Se Poliamida inherentemente estabilizada frente a la luz y al calor y metodo para su obtencion.
DE19812135A1 (de) 1998-03-20 1999-09-23 Basf Ag Inhärent licht- und hitzestabilisierte Polyamide mit verbesserter Naßechtheit
DE10024935A1 (de) 2000-05-19 2001-11-22 Bayer Ag Witterungsstabile Polymerblends
WO2005040281A1 (en) 2003-10-10 2005-05-06 Basf Aktiengesellschaft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DE102004059241A1 (de) * 2004-12-08 2006-06-14 Basf Ag Schlagzäh-modifizier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Basis vinylaromatischer Copolymere und Polyamid
EP2121833B1 (de) * 2007-02-19 2010-10-06 Basf Se Formmassen mit reduzierter anisotropie der schlagzähigkeit
KR101812934B1 (ko) * 2009-02-06 2018-01-30 스티롤루션 유럽 게엠베하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 기재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US20110178205A1 (en) * 2010-01-18 2011-07-21 Martin Weber Process for producing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based on styrene copolymers and polyamide with improved tough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3877A1 (de) 2011-12-14
WO2010089245A1 (de) 2010-08-12
US20110319550A1 (en) 2011-12-29
EP2393877B1 (de)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8657A (ko) 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KR101812934B1 (ko) 개선된 내후성을 갖는 스티렌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 기재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KR101197943B1 (ko) 스티롤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성형물
US8877888B2 (en) High-flow polyamides
KR101579985B1 (ko) 내충격성 관련 비등방성이 감소된 성형 화합물
KR19990066966A (ko) 폴리아마이드 및 당해 폴리아마이드의 제조 방법및 당해 폴리아마이드를 함유한 조성물
KR102031756B1 (ko)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1010 및 폴리아미드 10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 66을 포함하는 조성물
US20030181582A1 (en) Weather-resistant polymer blends
JP5086333B2 (ja) 高流動性ポリアミド
US9546271B2 (en) Weather-proof thermoplastic moulding compounds with improved toughness on the basis of styrene copolymers and polyamides
JP6895322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US20070106022A1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JP2004503648A (ja) 変性ポリアミド、これらのポリアミドを主体とする組成物及びこれらを得るのに有用である高分子化合物
JP6895321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NZ233817A (en) Polyamide compositions comprising polyglutarimide and an impact modifier which comprises core/shell polymer having a core of at least 50 weight percent butadiene and/or alkylacrylate
JPH04222864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2631891B2 (ja) 耐衝撃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29855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4202469A (ja)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樹脂組成物
JPS63170459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