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285A - 절단용 칼 - Google Patents

절단용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285A
KR20110116285A KR1020100035621A KR20100035621A KR20110116285A KR 20110116285 A KR20110116285 A KR 20110116285A KR 1020100035621 A KR1020100035621 A KR 1020100035621A KR 20100035621 A KR20100035621 A KR 20100035621A KR 20110116285 A KR20110116285 A KR 20110116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cutting
surface portion
curved surface
knif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환
Original Assignee
오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환 filed Critical 오정환
Priority to KR1020100035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6285A/ko
Publication of KR2011011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3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off slices one by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26B9/02Blades for hand kniv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ing edge, e.g. wav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용 칼에 관한 것으로, 절단용 칼의 양면에 지그재그로 방향 전환되는 형태가 반복 형성되는 굴곡진 웨이브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피절단물과 칼몸체가 접촉되는 모든 부분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피절단물이 절단용 칼의 표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칼의 내구성, 내식성 및 마모성이 좋아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절단용 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절단용 칼은, 칼몸체의 양 측면의 외면에 지그재그로 방향 전환되는 형태가 반복 형성되는 굴곡진 웨이브구조를 갖는 굴곡면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절단용 칼{Knife for cutting}
본 발명은 절단용 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용 칼의 양면에 지그재그로 방향 전환되는 형태가 반복 형성되는 굴곡진 웨이브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피절단물과 칼몸체가 접촉되는 모든 부분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피절단물이 절단용 칼의 표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칼의 내구성, 내식성 및 마모성이 좋아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절단용 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칼은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조리에 필요한 재료를 알맞은 크기로 썰 때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 주방기구 중의 하나이다.
도 1은 종래 조리용 칼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조리용 칼(10)은 통상 저면에 칼날부(12)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칼본체(14)와, 상기 칼본체(14)의 윗부분 후단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슴베(16)와, 상기 슴베(16)가 끼워져 고정되는 손잡이(18)로 이루어진다.
한편, 조리용 칼(10)을 이용하여 수분이 물기가 많이 함유된 음식재료를 써는 경우에 썰린 조각이 칼본체(14)의 바깥면에 달라붙게 되는데, 이와 같이 썰린 음식재료가 칼본체(14)의 바깥면에 달라붙는 경우 다음의 써는 동작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고, 썰린 음식재료가 바깥쪽으로 가지런히 눕혀지지 않기 때문에 보기에도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칼본체(14)의 측면에 단일 또는 다수의 관통공(20)을 형성하여 음식 재료를 썰때 상기 관통공(20)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썰린 조각이 칼본체(14)의 바깥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였다.
이 경우 관통공 이외의; 나머지 평면의 칼몸체(14)는 진공상태가 형성되어 식재료가 달라 붙는 현상을 억제하는 효율이 매우낮으며 특히, 칼본체(14)의 측면에 관통공(20)을 형성하더라도 과일이나 두부 또는 묵과 같이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거나 칼본체(14)의 높이보다 음식재료의 높이가 높은 경우나 관통공 보다 작은 식재료의 썰린 음식조각이 여전히 칼본체(14)의 바깥면에 달라붙게 되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용 칼의 양면에 지그재그로 방향 전환되는 형태가 반복 형성되는 굴곡진 웨이브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피절단물과 칼몸체에 공기의 유통을 원활히 하여 피절단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피절단물이 절단용 칼의 표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칼의 내구성, 내식성 및 마모성이 좋아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절단용 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단용 칼은, 칼몸체의 양 측면의 외면에 지그재그로 방향 전환되는 형태가 반복 형성되는 굴곡진 웨이브구조를 갖는 굴곡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칼몸체에 형성된 굴곡면부에 의해 피절단물 절단시 칼몸체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골곡면부는, 피절단물 절단시 양면 공기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칼몸체의 양측면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일체형의 굴곡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칼몸체의 양측면에 굴곡면부를 형성하되, 굴곡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절단용 칼의 양면에 지그재그로 방향 전환되는 형태가 반복 형성되는 굴곡진 웨이브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피절단물이 절단용 칼의 표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칼의 내구성, 내식성 및 마모성이 좋아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용 칼의 양면에 형성되는 공기홈에 의해 칼날과 가까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대형 피절단물을 정확하게 절단하기 쉬우며, 육류, 어류 등의 얇은 박형의 가공과 작은 식재료에도 용이한 효과가 있으므로 피절단물의 크기에 상관 없이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리용 칼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용 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용 칼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용 칼의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용 칼의 다른 일실시예의 코팅층 형성을 나타낸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칼몸체의 양 측면의 외면에 지그재그로 방향 전환되는 형태가 반복 형성되는 굴곡진 웨이브구조를 갖는 굴곡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용 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용 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단용 칼은 칼(100)의 양면에 지그재그로 방향 전환되는 형태가 반복 형성되는 굴곡진 웨이브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피절단물이 절단용 칼(100)의 표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칼(100)의 내구성, 내식성 및 마모성이 좋아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절단용 칼(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칼(100)은 칼몸체(120)가 구성되고, 상기 칼몸체(120)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칼날부(122)와 손잡이(110)로 구성된다.
상기 칼(100)은 통상적인 칼(100)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측면에는 칼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경사진 테이퍼지게 형성되면서 하단부에는 칼몸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단부로 갈수록 날카로운 칼날부(1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10)의 선단부에는 상기 칼몸체(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10)는 칼몸체(120)의 일체로 형성되어 칼몸체(120)의 상측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으므로, 손잡이(110)를 잡고 피절단물을 절단시 칼몸체(120) 전체에 균일하게 힘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손쉽게 피절단물을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칼몸체(120)는 양 측면의 외면에 지그재그로 방향 전환되는 형태가 반복 형성되는 굴곡진 웨이브구조를 갖는 굴곡면부(13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칼몸체(120)는 양면에 각각 굴곡 형상을 반복적으로 이루고 있는 것이다.
상기 칼몸체(120)에 형성되는 굴곡면부(130)는 굴곡진 웨이브 구조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굴곡진 깊이와 굴곡형성 수는 칼몸체(120)의 크기와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칼몸체(120)에 형성된 굴곡면부(130)에 의해 피절단물 절단시 칼몸체(120) 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굴곡면부(130)에 의해 피절단물 절단시 피절단물의 크기에 상관없이 붙음 방지효율이 높아 육류 또는 어류의 회 및 포 등을 아주 얇은 절단에 유용한다.
이것은, 상기 굴곡면부(130)는 피절단물 절단시 양면 공기홈(140)으로 형성되어 피절단물이 접촉되면서 절단될 때 피절단물이 밀착으로 붙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절단용 칼(100)은 칼몸체(120)의 양측에 형성된 굴곡면부(130)의 하단에는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칼날부(122)가 형성되면서 경사지게 연마되어 칼(100) 사용시 칼날부(122)에 의해 절삭되고 상부의 굴곡면부(130)에 의해 쉽게 칼(100)에서 분리가 가능하여 피절단물을 보다 적은 힘으로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피절단물 절단시 칼몸체(120)의 양측면에 형성된 굴곡면부(130)에 의해 피절단물을 강제로 떼어내게 되므로 칼날에 부착되는 종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절단용 칼(100)은 칼몸체(120)의 양측면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일체형의 굴곡면부(130)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스 작업은 절단용 칼(100) 형상을 고정패널에 내설하고, 양쪽 측면이 프레스에 의해 가압됨에 절단용 칼(100)의 굴곡면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단용 칼(100)의 굴곡면부(130)를 제작하게 되는 프레스의 간단한 작업으로 제품을 완성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용 칼(100)의 굴곡면부(130) 형성하기 위해 두드리는 단조작업으로 칼몸체(120)의 양측면을 웨이브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단용 칼(100)의 굴곡면부(130) 형성하기 위한 다른 일 실시예로 칼몸체(120) 형상을 연속 절곡법에 의한 연속벤딩으로 일체형의 굴곡면부(130)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금속 소재를 상·하형 단일의 금형을 프레스에 장착하여 연속으로 파이프를 벤딩 성형토록 하여 장치 설비비용과 인력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양질의 굴곡면부(130)을 양산할 수 있으며, 소재의 로스가 없어 자원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즉, 금속 소재를 프레스상에 장착되는 상형과 하형으로 이루어지는 벤딩장치에 피더로 자동 투입하여 순차적으로 벤딩하여 칼몸체(120)에 굴곡면부(130)을 벤딩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절단용 칼(100)의 굴곡면부(130) 및 칼날부(122) 등 절삭되는 부분에는 코팅층(150)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향균성 및 세척력을 향상시키며 칼의 내구성, 마모성을 우수하게 하여 절단용 칼(100)의 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단용 칼(100)의 코팅층(150)은 은나노 코팅층, 세라믹 코팅층 등으로 칼(10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코팅층(15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코팅층(150)을 갖는 절단용 칼(100)은 코팅층(150)으로 인해 마찰면이 줄어들게 되어 굴곡면부(130)의 기능과 함께 피절단물이 절단용 칼(100)에 달라 붙지 않게 되고, 내극성 및 마모성이 좋아져 칼(100)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청소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팅층(150)을 형성하는 은나노 코팅층 또는 세라믹 코팅층은 식중독, 이질 등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는 유해성 세균류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항균력을 포함함에 따라 절단용 칼(100)의 보관시 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매우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단용 칼(100)에 형성되는 코팅층(150)은 은나노 또는 세라믹 등과 같은 코팅층(150)을 형성하기 위해 적정량을 표면에 도포하게 된다.
이같이, 본 발명의 절단용 칼(100)의 양면에 지그재그로 방향 전환되는 형태가 반복 형성되는 굴곡진 웨이브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피절단물이 절단용 칼(100)의 표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칼(100)의 내구성, 내식성 및 마모성이 좋아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칼 110:손잡이
120:칼몸체 122:칼날부
130:굴곡면부 140:공기홀
150:코팅층

Claims (6)

  1. 칼몸체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칼날부와 손잡이로 구성된 절단용 칼에 있어서,
    상기 칼몸체의 양 측면의 외면에 지그재그로 방향 전환되는 형태가 반복 형성되는 굴곡진 웨이브구조를 갖는 굴곡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용 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몸체에 형성된 굴곡면부에 의해 피절단물 절단시 칼몸체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용 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곡면부는,
    피절단물 절단시 양면 공기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용 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몸체의 양측면을 프레스로 가압하여 일체형의 굴곡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용 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몸체 형상을 연속벤딩으로 일체형의 굴곡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용 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몸체의 양측면에 굴곡면부를 형성하되, 굴곡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용 칼.
KR1020100035621A 2010-04-19 2010-04-19 절단용 칼 KR20110116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621A KR20110116285A (ko) 2010-04-19 2010-04-19 절단용 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621A KR20110116285A (ko) 2010-04-19 2010-04-19 절단용 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285A true KR20110116285A (ko) 2011-10-26

Family

ID=45030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621A KR20110116285A (ko) 2010-04-19 2010-04-19 절단용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62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804Y1 (ko) * 2016-09-26 2017-03-22 존 중원 김 붙음 방지 주방용 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804Y1 (ko) * 2016-09-26 2017-03-22 존 중원 김 붙음 방지 주방용 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2843U (ja) おろし器
US20100212166A1 (en) Hydro-tension releasing knife blade
JP5997753B2 (ja) 調理器具
KR20090007796U (ko) 다용도 칼
KR20110116285A (ko) 절단용 칼
CN201320765Y (zh) 一种切割刀具
CN203427050U (zh) 一种省力菜刀
CN202462416U (zh) 防粘菜刀
CN111300493A (zh) 一种防真空不粘锯刀及其加工工艺
CN111086030A (zh) 防粘菜刀
CN211299663U (zh) 一种蔬菜刨
CN205364029U (zh) 一种可弯曲切片器
KR102261307B1 (ko) 재료 붙음 방지용 부엌칼
CN201578100U (zh) 两用食品擦子
CN2294821Y (zh) 省力菜刀
CN215127706U (zh) 一种砧板
CN201365851Y (zh) 切菜器
CN201645501U (zh) 多功能餐刀
CN205521508U (zh) 一种多功能菜刀
CN202505175U (zh) 方便菜板
CN201198142Y (zh) 一种菜刀
CN203622460U (zh) 一种多功能刀具
JPH0625264Y2 (ja) 包 丁
CN201357436Y (zh) 一种组合菜刀
KR200307591Y1 (ko)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