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591Y1 -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 Google Patents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591Y1
KR200307591Y1 KR20-2002-0038762U KR20020038762U KR200307591Y1 KR 200307591 Y1 KR200307591 Y1 KR 200307591Y1 KR 20020038762 U KR20020038762 U KR 20020038762U KR 200307591 Y1 KR200307591 Y1 KR 200307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sophagus
surface adhesion
blade
ad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병
Original Assignee
정해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병 filed Critical 정해병
Priority to KR20-2002-0038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2Table-kn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채, 과일, 식품가공류, 기타의 수분이 많은 음식물을 절단할 때 칼날부의 표면에 절단물이 표면 응착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육류, 어류등과 같이 절단해야할 면적이 넓은 음식물을 절단할 때에도 표면응착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절단되는 각도에 따라 발생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시키도록 한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食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절단날이 형성된 금속재의 칼날부와, 손잡이부 구성되고,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을 절단할 때 표면응착을 방지하는 수단이 칼날부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형성된 식도에 있어서, 상기 표면응착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U자 모양을 거꾸로 한 형태의 돌기를 다수 개 돌출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돌기 부분에 의해 음식 조리 시 절단되는 재료가 표면응착 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갖는 식도(食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A kitchen knife having surface adhesion prevention means}
본 고안은 음식물을 절단하기 위한 식도(食刀)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야채, 과일, 등과 같이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을, 절단할 때 칼날부의 표면에 절단물이 응착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육류, 어류, 등과 같이 절단해야 할 면적이 넓은음식물을 절단할 때에도 표면응착 방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절단되는 각도에 따라 발생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시키도록 한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가정이나 음식점의 주방에는 음식물을 전용으로 절단하기 위한 식도가 구비되며 이러한 식도는 각종 야채, 과일, 육류, 어류, 식품가공류 등의 음식물을 조리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주방용품이다.
이와 같이 식도는 음식물의 조리와 직접적으로 관련되기 때문에 음식물의 수분에 의해 녹이나 표면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내식성 및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레스 재질 등으로 제작되며, 칼날부분이 극히 미세한 표면 거칠기를 갖도록 연마 처리된다.
상기된 식도는 수분이 함유된 야채 등의 음식물을 절단할 경우 절단된 조각의 면이 그 수분으로 인해 칼날부의 측면에 응착되어 사용자가 수시로 절단물을 떼어내야 하는 단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절단 물을 떼어내지 않고 계속 절단 행위를 수행할 경우에는 다음의 절단 부분을 정화하게 절단하기 어렵고, 절단물이 연속적으로 칼날 부분에 응착되어 먼저 절단된 절단물을 파손시키는 등의 결점이 발생 되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응착된 절단물을 떼어내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수행되어 조리시간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절단물을 수시로 떼어내는 과정에서 칼날에 사용자의 손이 베일 염려가 드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21464호(2000.06.15일자 출원, 명칭 : 엠보싱을 형성한 주방용 식도, 이하 기 출원 고안이라고 함)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상기된 기 출원 고안의 식도를 나타내며, 이 식도(10)는 좌, 우표면 중 적어도 어느 한 표면을 선택하여 칼날부분과 인접된 수평위치에 일정한 간격과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엠보싱을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식도(10)는 주로 수분이 많이 함유된 엽채소 등과 절단하기 쉬운 연질인 재료를 절단할 때 절단된 재료가 돌출된 엠보싱(11)에 의해 표면응착 되지 않고 식도(10)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상기된 기 출원 고안은 엽채소 등의 절단이 쉬운 연질인 재료를 절단할 때에는 돌기에 의해 표면응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겠으나, 절단면이 넓거나 과일이나 떡종류 등의 약간의 견고성이 있는 음식물을 절단할 때에는 절단날에 가깝게 형성된 엠보싱(11)에 의해 칼날부가 재료에 쉽게 삽입이 되지 않아 절단이 용이하지 않고, 식도의 폭에 비해 넓은 절단면을 갖는 육류, 어류, 식품가공류 등을 절단할 때에 육질인 것은 수분기가 있는 관계로 엠보싱(11) 저면을 덮어 여전히 칼날부의 표면에 표면 응착됨으로써 상기된 표면응착 방지 효과를 기대하기 위한 사용범위가 좁아지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특히, 이와같은 현상은 칼날부를 눕혀 절단할 때 그 문제점이 보다 가중 되는데, 상측에서 하측으로 절단하는 힘에 비해 약한 힘이 가해지는 눕혀 절단하는 행위는 육류, 어류 등의 육질을 절단(혹은 '떠낸다' 라고 도 함)할때 육류 및 어류가 상기에 엠보싱(11)면과 칼날부의 전체면 을 덮어 수분에 의한 마찰력이 가중됨으로 인해 칼날의 삽입이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된 음식물을 눕혀 절단하는 행위에 많은 힘과 시간이 소모됨은 필연적이게 되며, 절단면이 균일하지 않아 보다 고급화된 음식 조리를 저해하는 요인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절단되는 음식물이 표면 응착되는 현상을 방지한다는 취지에서 그 기능 수행되는 음식물의 적용범위가 확대되도록 하고, 칼날을 눕혀 절단하는 행위가 보다 수월해지도록 한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이하 식도라 칭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기 출원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식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식도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상태의 확대사시도
도 6은 단면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의한 부호의 설명>
20 : 식도 21 : 칼날부
23 : 절단날 30 : 응착방지 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의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돌기가 형성된 금속재의 칼날부와, 손잡이부로 구성되고,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을 절단할 때 표면응착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칼날부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형성된 식도에 있어서, 상기 표면응착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U자 모양을 거꾸로 한 형태를 칼날부(21) 일정부분(26)에 다수 개 돌출 형성한다.
이런 U자 모양을 거꾸로 한 형태의 돌기가 손잡이 부(22)에서 칼끝(25)측으로 갈수록 , 칼날부(21) 폭에 따라 돌기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형식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의 칼날부(21) 면에 대한 라운드 각도(R)는 3도내지 25도의 각도로 칼날부(21)면에 부드럽게 라운딩 된다.
상기 응착방지 돌기 중심선(M)은 절단날(23)과의 수직(C)이 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특징의 구성이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식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도2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식도(20)는 스테인레스 등의 내식성과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는 칼날부(21)와, 사용자가 손으로 쥐기위한 손잡이부(22)와 음식물(0)을 절단할 때 음식물(0)이 표면 응착됨을 방지하는 응착방지 돌기(30)로 이루워진다.
상기 칼날부(21)는 일측 단면이 음식물을 절단하기 위한 단면상 첨단 형성되는 절단날(23)을 포함하여, 상기 손잡이부(22)는 칼날부(21)의 일측에 주로 목재나 합성수지 재로 제작되어 결합된다.
상기 응착방지 돌기(30)는 절단날(23) 상측의 칼날부(21)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U자 모양을 거꾸로 한 형태를 다수 개 배열 돌출 형성되는데, 손잡이부(22)에서 칼끝(25)으로 갈수록, 이와 같이 배열된 돌기(30)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고, 따라서 그 돌기(30)간의 간격(S)도 점차 좁아지는 형식으로 일정배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30)의 칼날부(21) 면에 대한 라운드 각도는 3도내지 35도각도로부드럽게 라운딩 된다.
상기 응착방지 돌기(30)의 중심선(M)은 절단날(23)과의 수직(C)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응착방지 돌기를 돌출 시키는 방향은 양측 중 어느 측이라도 무방하지만 오른손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았다고 가정할 경우 도 6의 실시 예와 같이 칼날부(21) 상측 즉, 칼등(24)측으로 갈수록 돌기(30)를 굵게 하고, 하측 즉, 절단날(23)측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고 첨단 형성되어 절단되는 음식물(0)이 이러한 돌기(23)의 변부에 의해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기(30)의 돌출 되는 경사정도(R)는 칼날면에 대해 자연스런 경사정도가 되도록 하는데 3도 내지 35도 가량으로 부드럽게 라운드 형성된다. (식도의 용도와 설정되는 칼날의 크기에 따라 돌출 돌기의 칼날부면에 대한 경사정도는 가변가능)
상기 한정된 경사정도(각도) 수치는 3도 이하의 경사정도(R)를 가질 경우에는 절단면이 작거나 일정 종류의 야채 또는, 연질인 재료를 절단할 때에는 표면응착이 방지되기는 하치만 육류, 어류, 식품가공류 등의 절단면이 넓거나 수분기가 많은 재료를 썰 때에는 돌출 높이가 너무 작아 표면응착을 방지하기 미흡했다.
이에 반하여, 35도 이상의 경사정도(R)는 그 돌출 높이가 너무 과도하여 재료에 따라 절단된 재료를 파손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3도 내지 35도의 경사정도를 유지함이 적당하다.
그리고, 상기된 응착방지 돌기(30)를 굴곡 형성할 때 소정의 형태는 도면에서와 같이 라운드 형성되도록 한 것인데, 그 형태는, 사각형태, 삼각형태, 등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썰 재료에 따라 절단면이 응착방지 돌기(30)와 접촉되므로 절단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라운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라운드 형성된 U자 모양을 거꾸로 한 형태의 돌기는 절단날(23)측보다 도면상 그 상측인 칼등(24)측으로 갈수록 점차 굵어지는 형태로 돌출 형성하여 절단날(23)의 삽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측인 칼등(24)측으로 갈수록 굵게 형성되는 돌기(30)들의 변부에 잘려진 음식물(0)이 유도되어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상기와 같은 응착방지 돌기(30)가 절단물(0)을 절단하는 상태의 예시도로 써, 동 도면에 의하면 상기된 U자 모양을 거꾸로 한 형태의 응착방지 돌기(30) 하나하나는 절단날(23)과 수직(C)상태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보편적으로 식도 (2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칼날부를 대략 10∼30도 내외의 각도로 경사지게 사용하는 이유로 칼날부(21)가 응착방지 돌기(30)의 경사선상(상기 돌기의 변 부분)을 따라 절단물이 부드럽게 유도되어 외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단 효율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됨에 따라 절단 효율이 높아짐은 일반적으로 칼은 상측에서 힘을 가압하여 전면으로 슬라이딩시켜야 질긴 음식물(0)이 잘 절단되는 현상에 기인하여, 사용자가 단순히 절단날(23)을 일측 방향으로 가압 하기만 해도 칼날부가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어 가압력에 슬라이딩 작용이 더해져 절단 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된 것과 같이 구성된 식도(21)는 절단되는 음식물(0)이 응착방지돌기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 칼날부(21)의 표면에 응착됨이 방지되고 특히,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칼날부(21)의 폭보다 넓은 육류, 어류, 식품가공류 등 연질의 음식물을 가공할 때에도 절단물(0:음식물의 절단물이므로 0의 부호기재)이 응착방지 돌기(30)의 경사 돌출된 면에 의해 유도되어 표면응착이 방지된다.
또한, 식도(20)를 상기와 같은 음식물(0)에 대해 칼날부(21)를 눕혀 절단행위를 수행할 때, 절단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해 경사가 되는 돌기(30) 굵기를, 먼저 삽입 절단되는 절단날(23)측은 뾰족하고 가늘게 하고, 칼등(24)측으로 갈수록 점차 굵게하여 형성된 응착방지 돌기(30)들의 변부에 의해 일측으로 슬라이딩 유도되어 가하는 절단력에 비해 높은 절단효율을 얻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된 작용은 칼날부(21)를 눕힌 상태에서 음식물(0)을 절단할 때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단위 절단력에 비해 보다 높은 절단 효율이 발현됨은 상기된바와 같다.
상기된 것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식도(21)는, 응착방지 돌기(30)를 절단날(23)의 양측 중 어느 일측면에 형성할 수 있어 응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식도(21)는 과도 및 여러 휴대용 칼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됨이 당연하겠으며, 따라서, 상기된 구성 및 작용은 과도 및 휴대용 칼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야채, 과일 등과 그 외 수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은 물론 칼날부의 폭보다 큰 육류, 어류 등의 육질류, 식품가공류 등과 여타 다른 음식물 등의 재료를 절단, 조리할 때에도 표면응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에 대해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확대시킴에 따라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음식물에 대해 칼날을 눕힌 상태로 절단할 때 가해져야하는 힘을 적게 소모할 수 있도록 하여 절단행위가 수월해지도록 하며, 칼날부(21)의 돌기(30)들을 절단날(23)측은 가늘어지며 뾰족하게 형성하고 칼등(24)측으로 갈수록 점차 굵어지게 형성된 응착방지 돌기(30)들의 변부에 의해 절단하는 경사도가 유지되도록 하여 수월한 절단행위와 더불어 절단면이 상태가 우수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고급화된 조리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4)

  1. 절단날이 형성된 금속재의 칼날부와 손잡이부로 구성되고,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을 절단할 때 표면응착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칼날부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형성된 식도에 있어서,
    상기 표면응착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절단날(23) 상측 칼날부(21)면의 일정부분(26)에 U자 모양을 거꾸로 한 형태의 돌출돌기(30)를 다수 개 배열 형성하여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착방지 돌기(30)는 손잡이부(22)에서 칼끝(25)으로 갈수록, 이와 같이 배열된 돌기(30)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고, 따라서 그 돌기(30)들간의 간격(S)도 점차 좁아지는 형식으로 배열 돌출 형성하여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착방지 돌기(30)의 각각의 칼날부(21)면에 대한 경사정도(R)는 3도 내지 35도의 각도(경사정도)로 칼날부(21)면에 부드럽게 라운딩 되는 특징이 있는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응착방지 돌기(30) 하나 하나의 중신선(M)은 절단날(23)과의 수직(C)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KR20-2002-0038762U 2002-12-24 2002-12-24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KR200307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762U KR200307591Y1 (ko) 2002-12-24 2002-12-24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762U KR200307591Y1 (ko) 2002-12-24 2002-12-24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591Y1 true KR200307591Y1 (ko) 2003-03-17

Family

ID=4933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762U KR200307591Y1 (ko) 2002-12-24 2002-12-24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5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88582A1 (en) Corn scraper
JP3172843U (ja) おろし器
US6044566A (en) Plastic knife
WO1986004292A1 (en) Food preparation apparatus
US20100263212A1 (en) Culinary Utensil
US5297345A (en) Slicing knife with non-stick blade
US20100162906A1 (en) Food peeler
US5732616A (en) Device for separating moist, fatty ground meat
JP3172844U (ja) おろし器
US20160331173A1 (en) Cooking tool having edge of zigzag shape, cooking method, and foodstuff
KR200307591Y1 (ko)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KR200305186Y1 (ko)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JP5891338B1 (ja) ジグザク形状の刃を備える調理器具、調理方法、食材
KR200293518Y1 (ko)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KR200293528Y1 (ko)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US8661958B2 (en) Device for manually perforating a sheet of aluminum foil and a method of use
KR200293525Y1 (ko)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KR200298460Y1 (ko)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KR200306080Y1 (ko)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KR200276585Y1 (ko) 표면응착 방지수단을 갖는 식도
JP6560782B2 (ja) 刃部材、及び刃部材を備えた調理器具
AU2914492A (en) Kitchen knife
US7226012B2 (en) Grater disc
US20070119058A1 (en) Butter slicer and spreader
JP3199663U (ja) 交換可能な刃台を備える調理用スライ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