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6245A -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6245A
KR20110116245A KR1020117021921A KR20117021921A KR20110116245A KR 20110116245 A KR20110116245 A KR 20110116245A KR 1020117021921 A KR1020117021921 A KR 1020117021921A KR 20117021921 A KR20117021921 A KR 20117021921A KR 20110116245 A KR20110116245 A KR 20110116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fixing
fixing memb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856B1 (ko
Inventor
타카아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1011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16L37/098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the flexible hook being progressively compressed by axial tensile loads acting o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16L37/11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to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과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있어서, 파이프의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파이프의 연결해제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1)가, 파이프(2)가 삽입·이탈되는 커넥터 본체(3)와, 커넥터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며, 파이프를 고정편(42, 42)에 의해 고정하는 고정부재(4)와, 고정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에 제공되는 조작편(43, 43)을 구비하며, 고정편은, 고정부재가 슬라이드 조작된 때에,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누름부(55)에 밀림으로써, 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상태로부터, 해당 파이프를 해방하는 해제상태로 탄성변형 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PIPE CONNECTING 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를 연결대상에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라스틱 호스와,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의 하우징에 설치된 관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호스가 접속되는 원통 슬리브와, 해당 원통 슬리브에 대해 연결위치와 연결해제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그 연결위치에 있어서 호스를 고정하는 아암이 설치된 저지장치를 갖춘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커넥터에서는, 저지장치의 아암은, 반경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저지장치가 연결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아암의 일단(一端) 측에 설치된 훅의 반경방향 내측의 오목부에 대해, 호스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리브가 끼워 맞춰짐과 아울러, 훅의 반경방향 외측의 경사면이 원통 슬리브에 있어서의 구멍의 내연(內緣)(반경방향 내측의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아암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휨(즉, 리브의 끼워 맞춤의 해제)이 방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저지장치를 연결위치로부터 연결해제위치로 이동시키면, 저지장치와 원통 슬리브의 상대이동(相對移動)에 의해, 원통 슬리브의 구멍에 대한 아암의 훅의 접촉이 해제됨과 아울러, 저지장치와 호스의 상대이동에 의해, 아암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어 확장하게 해서 훅이 리브를 넘어가, 훅의 오목부에 대한 리브의 끼워 맞춤이 해제된다.
일본 특허 제3107085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는, 연결을 해제할 때에, 아암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어 확장하게 해서 훅이 리브를 넘어가는 구성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큰 조작력이 필요하게 되어,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점에 관해,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연결을 해제할 때의 조작력을 경감하기 위해, 훅의 오목부의 일측면이 경사면으로서 형성되지만, 이 경사면은 오목부에 끼워 맞춰지는 리브를 고정하는 면이기도 하기 때문에,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게다가, 상기 종래의 커넥터는, 연결 및 연결해제 조작이 반복하여 실시됨으로써, 훅의 오목부 또는 호스의 리브에 변형과 파손이 생기면, 호스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며, 연결시에 파이프의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과 아울러, 파이프의 연결해제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킨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제1 발명은, 파이프(2)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1)로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이탈되는 커넥터 본체(3)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상기 파이프를 고정편(42, 42)에 의해 고정하는 고정부재(4)와, 상기 고정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에 제공되는 조작편(操作片)(43, 43)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부재가 슬라이드 조작된 때에,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제1 누름부(55)에 밀림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상태로부터, 해당 파이프를 해방하는 해제상태로 탄성변형 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제2 발명으로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부재의 기부(基部)(41)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삽입방향으로 연장시켜 설치되며, 그 자유단(自由端) 측이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제1 누름부에 올라앉는 것에 의해, 상기 해제상태로 탄성변형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3 발명으로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파이프의 이탈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規制部)(53)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접촉부(52)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고정상태로부터 상기 해제상태로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51)를 가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4 발명으로서, 상기 조작편은, 상기 고정부재의 기부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삽입방향으로 연장시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편이 해제상태에 있는 경우에, 그 자유단 측이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제2 누름부(24)에 올라앉는 것에 의해 탄성변형 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5 발명으로서, 상기 고정부재의 기부는 링 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고정편과 상기 조작편은, 상기 고정부재의 기부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연장시켜 설치됨과 아울러, 해당 고정편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며, 해당 조작편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6 발명으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는, 상기 고정편과 결합하는 결합구멍(23)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은, 상기 해제상태로 탄성변형 할 때에, 상기 결합구멍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7 발명으로서, 상기 제1 누름부가, 상기 결합구멍의 개구(開口)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조작된 고정부재의 고정편이,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제1 누름부에 밀림으로써, 고정상태로부터 해제상태로 탄성변형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파이프의 연결시에는, 그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과 아울러, 파이프의 연결해제시에는, 사용자는 파이프의 빼내기에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2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재가 슬라이드 조작된 때에, 고정편의 자유단 측(즉, 파이프를 고정하는 부위)을 파이프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용이하게 탄성변형 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편의 탄성회복력이, 고정편을 고정상태로 하는 측에 고정부재를 슬라이드 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정부재의 슬라이드에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제3 발명에 의하면, 고정편이 고정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제1 규제부에 의해 파이프의 이탈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제2 규제부에 의해 고정편의 탄성변형이 규제되기(즉, 제1 규제부의 규제가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때문에, 파이프의 연결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4 발명에 의하면, 조작편의 탄성회복력이, 고정편을 고정상태로 하는 측에 고정부재를 슬라이드 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정부재의 슬라이드에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 또한, 조작편의 탄성회복력은, 고정편이 초기상태로 되는 위치로 고정부재를 항상 되돌리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고정편이 탄성변형 한 상태로 유지되어 버리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크리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재의 고정편과 조작편을, 간이하면서 콤팩트한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 및 고정부재의 구성을 복잡화함이 없이, 고정편을 해제상태로 탄성변형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7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의 구성을 복잡화함이 없이, 제1 누름부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배면도(背面圖).
도 5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하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 4 중의 A-A선 조합(組合) 단면도.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하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 4 중의 A-A선 조합 단면도.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하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 4 중의 A-A선 조합 단면도.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하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 4 중의 A-A선 조합 단면도.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하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 4 중의 A-A선 조합 단면도.
도 10은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의 하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도 4 중의 A-A선 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에 대해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특히 단서가 없는 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 「상(上)」, 「하(下)」, 「전(前)」, 「후(後)」, 「좌(左)」, 및 「우(右)」는, 도 1에 나타내는 방향을 따라 정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1)에 대한 파이프(2)의 축을 따른 삽입방향(화살표 A방향)이 「전방(前方)」에 대응하고, 그 반대방향이 「후방(後方)」에 대응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이하, 단지 커넥터라고 한다.)(1)는, 유체수송용의 파이프(2)를 연결대상(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며, 파이프(2)가 삽입·이탈되는 커넥터 본체(3)와, 이 커넥터 본체(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며, 그 슬라이드 동작에 따라 파이프(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로 주로 구성된다.
파이프(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4)에 고정되는 전측(前側)의 플랜지부(11)와, 플랜지부(11)의 후방에 설치된 흔들림 방지용의 한 쌍의 볼록부(12)와, 후단(後端)에 설치된 호스접속부(13)를 갖추고 있다. 플랜지부(11)는, 환상부(環狀部)(11a)와, 이 환상부(11a)의 전측에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리브부(11b)를 가지고 있으며, 각(各) 리브부(11b)의 전면(前面)은, 파이프(2)의 외주면 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경사져 있다. 각(各) 볼록부(12)는, 각각 3개의 돌기(12a)를 가지고 있다. 호스접속부(13)에는, 유체수송용의 호스(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된다.
커넥터 본체(3)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4)가 수용되는 후측(後側)의 통 형상부(21)와, 이 통 형상부(21)의 전단에 설치된 호스접속부(22)를 갖추고 있다. 커넥터 본체(3)는, 상하 및 좌우로 거의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통 형상부(21)는, 그 상하벽(上下壁)에 개구(23)가 각각 형성되고 있으며, 그 좌우측벽(左右側壁)에는 외측을 향해 누름부(24)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측벽의 후방 가장자리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편(43, 43)의 기단부(基端部)(링부(41)와의 연결부위)가 끼워 맞춰지는 잘림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호스접속부(22)에는, 파이프(2)의 연결대상이 되는 유체수송용의 호스(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된다. 도 6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2)가 삽입·이탈되는 커넥터(1)의 삽입구멍(26)에는, 유로(流路)를 밀봉하기 위한 O링(31)과, 이 O링(31)을 삽입구멍(26) 내에 고정하는 원통형의 부시(32)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재(4)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기부(基部)를 이루는 환상의 링부(41)와, 이 링부(4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시켜 설치된 상하 한 쌍의 고정편(42, 42)과, 링부(4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시켜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조작편(43, 43)과, 조작편(43, 43)의 내측에 있어서 링부(4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시켜 설치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편(44, 44)을 갖추고 있다. 고정편(42, 42)은, 조작편(43, 43) 사이의 스페이스의 거의 중간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외면(外面)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외측고정턱(51)과, 그 내면으로부터 돌출설치된 내측고정턱(제1 규제부)(53)을 가지고 있다. 조작편(43, 43)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들추어서 고정부재(4)의 슬라이드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며, 그 외면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요철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가이드편(44, 44)은, 커넥터 본체(3)에 있어서의 통 형상부(21)의 좌우측벽의 두께와 동등한 간격으로써 조작편(43, 43)에 각각 대향배치(對向配置)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4)가 커넥터 본체(3)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고정편(42, 42)은, 커넥터 본체(3)의 내측에 배치되며, 그 선단 측이 커넥터 본체(3)의 개구(23)로부터 노출한다. 또한, 고정부재(4)는, 커넥터 본체(3)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배치된 조작편(43, 43)과 가이드편(44, 44)에 의해, 통 형상부(21)의 좌우측벽에 있어서의 누름부(24)의 후방의 피협지부(被挾持部)(50)를 협지한 상태에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 동작 등에 있어서의 고정부재(4)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커넥터(1)와 파이프(2)의 결합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서 도 10은, 파이프(2)를 커넥터(1)에 결합한 후, 그 결합을 해제하는 일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도 5는 파이프(2)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에서 도 8은 파이프(2)의 결합이 완료할 때까지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9 및 도 10은 파이프(2)의 결합이 해제될 때까지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2)가 결합되기 전의 커넥터(1)에서는, 고정부재의 고정편(42, 42)은 탄성변형 하고 있지 않은 초기상태에 있으며, 그 외측고정턱(51)의 후면(51a)(도 6 참조)이, 커넥터(1)의 개구(23)의 후방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접촉부(52)의 전면(前面)(52a)(도 6 참조)에 접촉한 상태에 있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4)는,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도 5에 나타내는 후퇴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조작편(43, 43)도 마찬가지로 탄성변형 하고 있지 않은 초기상태에 있으며, 그 선단은, 커넥터 본체(3)로부터 돌출설치된 누름부(24)의 후단 측의 이음매 부분에 접촉해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 본체(3)의 삽입구멍(26)에 삽입된 파이프(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1)에 있어서의 리브부(11b)의 경사진 전면(前面)이, 고정부재(4)에 있어서의 고정편(42, 42)의 내측고정턱(53)의 경사진 후면에 미끄럼 접촉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4)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하고, 고정편(42, 42)은, 파이프(2)의 플랜지부(11)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밀려, 서서히 탄성변형 하여 외측으로 벌어진다.
또한, 이때, 고정부재(4)의 고정편(42, 42)은, 외측(도 5에서는 상측)을 향해 비스듬히 굴곡진 선단부(54)가, 커넥터(1)의 개구(23)의 전방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누름부(제1 누름부)(55)의 상면(55a)에 미끄럼 접촉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누름부(55)의 상면(55a)은, 선단부(54)의 하면(54a)과 거의 동일한 각도로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고정편(42, 42)은, 그 선단 측(자유단 측)이 누름부(55) 상에 올라앉도록 탄성변형 한다.
게다가, 이때, 고정부재(4)의 조작편(43, 43)은, 그 선단부(61)가,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진 누름부(제2 누름부)(24)의 후면(24a)에 미끄럼 접촉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조작편(43, 43)은, 그 선단 측(자유단 측)이 누름부(24) 상에 올라앉도록 탄성변형 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4)는, 파이프(2)가 커넥터 본체(3)에 삽입될 때에, 그 파이프(2)에 밀리는 것에 의해 누름부(55)를 향해 슬라이드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파이프(2)를 커넥터 본체(3)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고정편(42, 42)을 해제상태로 탄성변형 시킬 수 있으며,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그 후, 파이프(2)가 도 6의 상태로부터 더욱더 삽입되어, 그 플랜지부(11)가 내측고정턱(53)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누름부(55) 상에 올라앉은 고정편(42, 42)은, 파이프(2)의 삽입·이탈을 저해하지 않는 해제상태로 된다. 이때, 탄성변형 한 고정편(42, 42)은, 그 선단부(54)의 하면(54a)이 커넥터(1)의 누름부(55)의 상면(55a)에 미끄럼 접촉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탄성회복력은, 고정부재(4)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파이프(2)의 삽입을 멈추면, 고정부재(4)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편(43, 43)의 탄성변형이 회복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때, 누름부(24)에 올라앉은 상태에 있던 조작편(43, 43)은, 고정부재(4)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그 선단부(61)가 커넥터 본체(3)의 누름부(24)의 후면(24a)에 미끄럼 접촉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조작편(43, 43)의 탄성회복력은, 고정편(42, 42)과 마찬가지로 고정부재(4)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조작편(43, 43)의 변형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편(42, 42)의 탄성변형이 회복한 후도 완전하게는 회복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후, 고정부재(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편(43, 43)의 탄성변형이 회복하는 후퇴위치까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1)에 대한 파이프(2)의 결합이 완료한다.
이 결합완료상태에서는, 파이프(2)의 플랜지부(11)에 있어서의 환상부(11a)의 후면이, 고정편(42, 42)의 내측고정턱(53)의 전면(前面)에 접촉한 상태에 있으며, 이에 의해, 파이프(2)의 이탈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때, 고정편(42, 42)은, 도 5에 나타낸 초기상태와 마찬가지의 탄성변형 하고 있지 않은 고정상태에 있으며, 그 외측고정턱(51)의 후면이, 다시 커넥터(1)의 접촉부(52)의 전면(前面)에 접촉한 상태에 있다. 이에 의해, 파이프(2)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이때, 파이프(2)의 볼록부(12)에 있어서의 각(各) 돌기(12a)는, 고정편(42, 42) 또는 가이드편(44, 44)의 내면에 밀접한 상태로 되며, 이에 의해, 파이프(2)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이 결합완료상태에 있어서, 파이프(2)의 이탈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는, 고정편(42, 42)에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고정부재(4)는, 고정편(42, 42)의 외측고정턱(제2 규제부)(51)의 후면(51a)(도 6 참조)과, 외측고정턱(51)의 후측의 이음매 부분에 이어지는 접촉면(71)(도 6 참조)으로 구성되는 직각면(直角面)이, 커넥터(1)의 접촉부(52)의 하측의 모서리 부분에 접촉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고정편(42, 42)의 휨이 억제되어, 파이프(2)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8에 나타내는 결합완료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작편(43, 43)을 손가락으로 들추어, 고정부재(4)를 파이프(2)와 함께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4)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시 해제상태로 되어, 사용자는, 파이프(2)를 이탈방향으로 용이하게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조작편(43, 43)으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도 7 및 도 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정부재(4)는, 고정편(42, 42) 및 조작편(43, 43)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다시 도 5에 나타낸 파이프(2)가 결합되기 전의 초기상태로 돌아온다.
상기 구성의 커넥터(1)는, 슬라이드 조작된 고정부재(4)의 고정편(42, 42)이, 커넥터 본체(3)에 형성된 누름부(55)에 밀림으로써, 고정상태로부터 해제상태로 탄성변형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파이프(2)의 연결시에는, 그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과 아울러, 파이프(2)의 연결해제시에는, 사용자는 파이프(2)를 빼내기에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재(4)가 슬라이드 할 때에, 고정편(42, 42)의 자유단 측이, 커넥터(1)의 누름부(55)의 경사진 상면(55a)을 올라앉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내측고정턱(53)을 파이프(2)의 플랜지부(11)로부터 용이하게 이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편(42, 42)의 탄성회복력이, 고정부재(4)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고정부재(4)의 후방으로의 슬라이드에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진다. 게다가, 고정부재(4)가 슬라이드 할 때에, 조작편(43, 43)의 자유단 측이, 커넥터(1)의 누름부(55)의 경사진 후면(24a)을 올라앉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조작편(43, 43)의 탄성회복력도, 고정편(42, 42)과 마찬가지로 고정부재(4)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성이 보다 높아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정부재(4)를 후퇴위치로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스프링 등의 부재는 불필요해져,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파이프의 연결대상은, 상기와 같은 호스접속부에 접속되는 호스로 제한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호스접속부를 형성하지 않고, 파이프의 연결대상이 될 수 있는 기기의 하우징 등의 일부로서 커넥터 본체를 형성해도 좋다.
1 커넥터
2 파이프
3 커넥터 본체
4 고정부재
11 플랜지부
12 볼록부
13 호스접속부
21 통 형상부
22 호스접속부
23 개구
24 누름부
26 삽입구멍
41 링부
42 고정편
43 조작편
44 가이드편
50 피협지부
51 외측고정턱
52 접촉부
53 내측고정턱
54 선단부
55 누름부
61 선단부
71 접촉면

Claims (7)

  1. 파이프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로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이탈되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며, 상기 파이프를 고정편에 의해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슬라이드 조작에 제공되는 조작편
    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부재가 슬라이드 조작된 때에,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제1 누름부에 밀림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상태로부터, 해당 파이프를 해방하는 해제상태로 탄성변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부재의 기부(基部)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삽입방향으로 연장시켜 설치되며, 그 자유단(自由端) 측이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제1 누름부에 올라앉는 것에 의해, 상기 해제상태로 탄성변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파이프의 이탈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規制部)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접촉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고정상태로부터 상기 해제상태로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편은, 상기 고정부재의 기부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삽입방향으로 연장시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편이 해제상태에 있는 경우에, 그 자유단 측이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제2 누름부에 올라앉는 것에 의해 탄성변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기부는 링 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고정편과 상기 조작편은, 상기 고정부재의 기부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연장시켜 설치됨과 아울러, 해당 고정편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며, 해당 조작편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는, 상기 고정편과 결합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은, 상기 해제상태로 탄성변형 할 때에, 상기 결합구멍으로부터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름부가, 상기 결합구멍의 개구(開口) 가장자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KR1020117021921A 2009-03-23 2010-03-18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KR101305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70657 2009-03-23
JP2009070657A JP5306868B2 (ja) 2009-03-23 2009-03-23 パイプ連結用コネクタ
PCT/JP2010/001951 WO2010109828A1 (ja) 2009-03-23 2010-03-18 パイプ連結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245A true KR20110116245A (ko) 2011-10-25
KR101305856B1 KR101305856B1 (ko) 2013-09-06

Family

ID=4278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921A KR101305856B1 (ko) 2009-03-23 2010-03-18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96037B2 (ko)
EP (1) EP2413013B1 (ko)
JP (1) JP5306868B2 (ko)
KR (1) KR101305856B1 (ko)
CN (1) CN102362114B (ko)
WO (1) WO20101098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945A (ko) * 2016-11-02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퀵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8645B2 (en) * 2010-11-19 2016-12-27 Kongsberg Automotive Ab Device for coupling a tube to a housing
EP2481966A1 (en) 2011-02-01 2012-08-01 Uponor Innovation AB Clamping ring
JP5772543B2 (ja) * 2011-11-24 2015-09-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装置及び吸気ダクト装置
JP5868207B2 (ja) * 2012-02-15 2016-02-24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US10359139B2 (en) 2012-04-05 2019-07-23 Medline Industries, Inc. Connector
USD757259S1 (en) * 2012-04-05 2016-05-24 Medline Industries, Inc. Female portion of a connector
DE102012106925A1 (de) * 2012-07-30 2014-06-12 Contitech Schlauch Gmbh Schnellverbindungsanordn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r Medienleitung mit einem Stutzen
DE102012107463A1 (de) * 2012-08-15 2014-06-12 Contitech Schlauch Gmbh Schnellverbindungsanordn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r Medienleitung mit einem Stutzen
EP2728236B1 (de) * 2012-11-05 2017-04-19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Schnellkupplung
CN103217747B (zh) * 2013-03-04 2015-04-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纤连接器分线装置
US9410648B2 (en) * 2013-03-14 2016-08-09 Michael A. Jupe Remote cam-lock coupling actuator and discharge containment device
US9203199B2 (en) * 2013-03-15 2015-12-01 Aqua Products, Inc. Waterproof separable swivel connector
DE102014107655A1 (de) * 2014-05-30 2015-12-03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für Fluidleitungen mit innenliegender Adapterhülse"
JP6367619B2 (ja) * 2014-06-27 2018-08-01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連結装置
US9657656B2 (en) * 2014-08-27 2017-05-23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Idle air control valve for use in a small engine and having a protective shroud with valve seat
US11506316B2 (en) 2017-03-06 2022-11-22 Ipex Technologies Inc. Releasable connect/disconnect fitting connection
CA2960023C (en) * 2017-03-06 2023-08-08 Ipex Technologies Inc. Releasable connect/disconnect fitting connection
CN107816590A (zh) * 2017-12-01 2018-03-20 重庆溯联汽车零部件有限公司 冷却管快速接头
JP6989167B1 (ja) * 2020-07-20 2022-01-05 株式会社ニチリン スナップフィット係合コネクタ
WO2023013688A1 (ja) * 2021-08-06 2023-02-09 三桜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9903A (en) * 1969-08-07 1971-03-09 Sealectro Corp Coaxial connector with axial interlock
JPS5217128Y2 (ko) * 1972-05-24 1977-04-18
JPS5217128U (ko) 1975-07-22 1977-02-07
IT1086546B (it) * 1977-05-23 1985-05-28 Uniflex Spa Giunto per tubi flessibili ad aggancio e sgancio rapido
IT8534836V0 (it) * 1985-04-02 1985-04-02 Gf Srl Raccordo ad innesto rapido per tubi flessibili in genere
JPS62177223A (ja) * 1986-01-28 1987-08-04 Mitsubishi Heavy Ind Ltd 炭素繊維の紡糸連続取出し方法
US4660803A (en) * 1986-02-26 1987-04-28 Suncast Corporation Quick coupling connector for connecting flexible liquid conduits
JPS62177223U (ko) * 1986-04-24 1987-11-11
JPH0217291A (ja) * 1988-03-17 1990-01-22 Max Pasbrig 管、ホース、棒等の分離可能な結合装置
IT1220749B (it) * 1988-05-04 1990-06-21 Uniflex Utilime Spa Innesto rapido per la giunzione scioglibile di tubi
ES2047873T3 (es) * 1989-05-29 1994-03-01 Autobrevets Dispositivo para el acoplamiento estanco de un tubo y de una conduccion tubular flexible.
AU7438891A (en) 1991-04-29 1992-10-15 Kabushiki Kaisha Harmo Sogo Kenkyujo Tubing joint
DE4413346C1 (de) 1994-04-18 1995-08-17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JP2706629B2 (ja) * 1994-12-28 1998-01-28 株式会社日本ピスコ 管継手
DE19540279A1 (de) * 1995-10-28 1997-04-30 Balfo Verwaltungs Anstalt Anschlußstück für Profilrohre, Profilstutzen, Wellschläuche oder dergleichen Stränge
JPH09152078A (ja) * 1995-11-28 1997-06-10 Kunimori Kagaku:Kk 弾性管継手
JP3938798B2 (ja) 1996-11-20 2007-06-2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5823508A (en) * 1996-12-20 1998-10-20 Itt Automotive, Inc. One piece quick connect
DE19831897C2 (de) * 1998-07-16 2000-07-06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JP2000310383A (ja) * 1999-04-28 2000-11-07 Nippon Pisuko:Kk 管継手
JP3386406B2 (ja) * 1999-04-28 2003-03-17 株式会社日本ピスコ 管継手
AU781158B2 (en) 2000-04-19 2005-05-12 Flexicon Limited Connection device
FR2808862B1 (fr) * 2000-05-10 2002-07-19 Legri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d'un embout a un organe
JP2002022082A (ja) * 2000-07-05 2002-01-23 Shinsei Kogyo Kk 管継手
US6467816B1 (en) * 2001-08-21 2002-10-22 Huang-Fu Huang Water pipe joint
JP3678364B2 (ja) * 2002-02-18 2005-08-03 イートン・フルイド・コネクタース・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油圧ダクトを接続する管継手
JP4264937B2 (ja) * 2003-07-09 2009-05-20 Smc株式会社 チャック及び管継手
FR2863683B1 (fr) * 2003-12-10 2006-02-17 Legri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instantane
GB2412416B (en) * 2004-03-22 2008-04-16 Tokai Rubber Ind Ltd Quick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945A (ko) * 2016-11-02 2018-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퀵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62114A (zh) 2012-02-22
JP2010223319A (ja) 2010-10-07
EP2413013A4 (en) 2014-03-05
US20120080880A1 (en) 2012-04-05
KR101305856B1 (ko) 2013-09-06
WO2010109828A1 (ja) 2010-09-30
CN102362114B (zh) 2014-03-12
EP2413013B1 (en) 2017-08-02
EP2413013A1 (en) 2012-02-01
JP5306868B2 (ja) 2013-10-02
US8696037B2 (en) 201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856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KR101421857B1 (ko) 커넥터
JP4623371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KR101586535B1 (ko) 커넥터
EP3002494B1 (en) Button latch with integrally molded cantilever springs
KR101795202B1 (ko) 커넥터
US9377144B2 (en) Release tool for quick connector
JP2008528899A (ja) 2つの要素の結合装置
JP5885372B1 (ja) コネクタ
KR101295969B1 (ko) 파이프 연결용 커넥터
JP6043108B2 (ja) コネクタ
JP5329339B2 (ja) コネクタ
JP5941772B2 (ja) コネクタ
JP2012190707A (ja) コネクタ
WO2012096143A1 (ja) パイプコネクタ
KR101788931B1 (ko) 커넥터
CN114593297B (zh) 快速连接器
JP4713094B2 (ja) 管継手
JP4601996B2 (ja) 管継手
KR101810296B1 (ko) 커넥터
KR20210002134U (ko) 검증기 기구를 갖는 퀵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