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997A - 유리 기판용 용기 - Google Patents

유리 기판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997A
KR20110115997A KR1020117010802A KR20117010802A KR20110115997A KR 20110115997 A KR20110115997 A KR 20110115997A KR 1020117010802 A KR1020117010802 A KR 1020117010802A KR 20117010802 A KR20117010802 A KR 20117010802A KR 20110115997 A KR20110115997 A KR 20110115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bstrate
container
main body
side wall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3301B1 (ko
Inventor
요시오 히로베
신스케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5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63Clos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aining substrates other than wa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5Closed carriers
    • H01L21/67369Close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ock absorbing elements, e.g. retainers or cushions

Abstract

본 발명은, 잘못되어 낙하되는 등,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도, 유리 기판에 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용부 내에서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유리 기판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유리 기판용 용기를 제공한다. 저부(底部)(3) 및 상기 저부(3)를 에워싸는 측벽부(4)에 의해 발포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1)가 구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1) 내에, 유리 기판(X)을 수평으로 하여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가 형성되는 유리 기판용 용기에 있어서, 유리 기판(X)의 모서리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수용부(2)의 모서리부(2a)에, 유리 기판(X)의 일방향 및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지는 보강 부재(6, 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 기판용 용기{CONTAINER FOR GLASS SUBSTRATES}
본 발명은, 유리 기판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1개 또는 복수 개의 유리 기판을 수평으로 하여 수용하는 유리 기판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TV, 플라즈마 텔레비전 또는 유기 EL TV라는 박형(薄型)의 텔레비전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은, 더욱 대형화되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유리 기판은, 특히, 반송(搬送) 시의 충격 등에 의해 손상을 받기 쉽다. 따라서, 유리 기판용 용기로서, 유리 기판을 수직이 아니고, 수평으로 하여 수용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고, 유리 기판을 곤포(梱包)·반송하는 것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유리 기판을 수평으로 하여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폴리올레핀계 발포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유리 기판 반송용 트레이로서, 트레이의 수용부를 유리 기판이 수용되는 저부(底部)와 상기 저부를 에워싸는 측벽부로 구성한 유리 기판 반송용 트레이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것으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리 기판용 용기도 제안되어 있다. 상기 유리 기판용 용기는, 유리 기판(X)을 수평으로 하여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가 형성된 용기 본체(1')로서, 저부(3')와 상기 저부(3')를 에워싸는 측벽부(4')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용부(2')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1')의 측벽부(4')의 상단 개구부에 끼워맞추어지는 커버체(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유리 기판(X)은, 적어도 일편(一片)에 외부 접속용의 프린트 기판(X1)을 구비한다. 이 프린트 기판(X1)은, 강도적으로 취약하고, 유리 기판(X)이 수용부(2')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부(2') 내에서 저부(3')나 측벽부(4')와 접촉되지 않도록 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수용부(2')의 해당 개소에는, 저부(3')보다 스텝 다운(step down)된 퇴피 오목부(5')가 형성되고, 프린트 기판(X1)을 띄운 상태로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도 7 참조).
또한, 수용부(2')는, 그 내부에서 유리 기판(X)이 움직이지 않도록, 퇴피 오목부(5')를 제외하고, 유리 기판의 외형과 일치 내지 거의 일치하는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기판(X)의 모서리부를 구속(拘束)할 수 있도록, 수용부(2')는, 유리 기판(X)의 모서리부에 대응한 모서리부(2a')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에에서는, 유리 기판(X)은 사각형(직사각형)이므로, 모서리부(2a')는, 수용부(2')의 4개소에 설치되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 90° 내지 약 90°의 교차각을 두고 형성된다.
일본공개특허 2002―353302호 공보
그러나, 용기 본체(1')는, 발포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중량물인 유리 기판(X)으로부터의 하중(荷重)에 따른 압축 작용을 받기 쉽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유리 기판(X, …)이 수용된 유리 기판용 용기가 잘못되어 낙하된 경우, 유리 기판(X, …)의 모서리부로부터의 하중이 수용부(2')의 모서리부(2a')에 집중되므로, 상기 모서리부(2a')가 변형되어, 상기 모서리부(2a')에 의한 구속이 풀린 유리 기판(X)이 수용부(2) 내에서 위치 어긋남을 일으켜, 최악의 경우, 유리 기판(X)의 프린트 기판(X1)이 수용부(2') 내에서 측벽부(4')와 접촉되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행해진 것이며, 잘못되어 낙하되는 등,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도, 유리 기판에 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용부 내에서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유리 기판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유리 기판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리 기판용 용기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며, 저부 및 상기 저부를 에워싸는 측벽부에 의해 발포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가 구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유리 기판을 수평으로 하여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는 유리 기판용 용기에 있어서,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수용부의 모서리부에, 유리 기판의 일방향 및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지는 보강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잘못되어 낙하되는 등,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는 것에 의해, 수용부의 모서리부에 대하여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져도, 그 하중은 보강 부재에 의해 분산되므로, 용기 본체를 구성하는 발포 수지 성형품에 압축 작용은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이에 의해, 유리 기판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용부 내에서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유리 기판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유리 기판용 용기는, 상기 보강 부재가, 유리 기판의 일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지는 한쪽 부분과, 상기 한쪽 부분과 직교 내지 거의 직교하고, 유리 기판의 다른 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지는 다른 쪽 부분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강 부재가 직교하는 2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짐으로써, 어느 방향으로부터 충격을 받았다고 해도, 그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상기 보강 부재의 한쪽 부분 및 다른 쪽 부분은, 각각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강 부재의 한쪽 부분이 유리 기판의 다른 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유리 기판의 일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지고, 보강 부재의 다른 쪽 부분이 유리 기판의 일방향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유리 기판의 다른 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유리 기판용 용기는, 상기 보강 부재가, 측벽부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착 오목부에 장착되고, 보강 부재의 내면과 측벽부의 내면이 면일치 내지 거의 면일치로 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리 기판의 외측 에지가 보강 부재의 내면 및 측벽부의 내면과 접촉하게 되므로, 분산 효과가 더욱 높아져, 더욱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잘못되어 낙하되는 등,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도, 그 충격은, 수용부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보강 부재에 의해 분산되어 완충되므로, 유리 기판에 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해 수용부의 모서리부가 변형되지 않고, 그러므로, 수용부 내에서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유리 기판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유리 기판용 용기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로서, (a)는, 보강 부재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 (b)는, 보강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유리 기판용 용기의 용기 본체의 평면도로서, (a)는 보강 부재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 (b)는 보강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유리 기판용 용기의 용기 본체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a)는 보강 부재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 (b)는 보강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유리 기판용 용기의 용기 본체에 유리 기판이 수용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유리 기판용 용기의 용기 본체의 주요부 확대 평면도로서, (a)~(c)는, 각각 보강 부재의 형태가 상이한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종래의 유리 기판용 용기 및 그 용기 본체 중에 수용되는 유리 기판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유리 기판용 용기의 용기 본체에 유리 기판이 수용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유리 기판용 용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유리 기판용 용기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와 커버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지만, 상이한 점은, 용기 본체에 있으므로, 주로 용기 본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용기 본체는, 도 1 내지 도 3에 그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특징이 되는 것은, 하중(荷重)이 집중되기 쉬운 수용부(2)의 모서리부(2a)가 보강되는 점이다. 저부(3) 및 상기 저부(3)를 에워싸는 측벽부(4)에 의해 용기 본체(1)가 구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1) 내에 유리 기판(X)을 수평으로 하여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가 형성되는 점, 그리고, 유리 기판(X)의 프린트 기판(X1)을 보호하기 위해 퇴피 오목부(5)가 수용부(2) 내에 형성되는 점은, 종래와 같다.
본 실시예에 관한 용기 본체(1)는, 사각형(직사각형)의 유리 기판(X)에 대응하며,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직사각형)을 이룬다. 즉, 저부(3)가 유리 기판(X)보다 큰 사각형(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저부(3)의 주위 에지부로부터 측벽부(4)가 상승하여, 측벽부(4)도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직사각형)을 이룬다. 수용부(2)는, 저부(3)의 상면과 측벽부(4)의 내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또한, 유리 기판(X)의 장변(長邊)측에 프린트 기판(X1)이 설치되는 경우, 수용부(2)의 퇴피 오목부(5)도 수용부(2)의 장변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퇴피 오목부(5)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내지 거의 직사각형이며, 수용부(2)의 장변측에 의해 저부(3)보다 스텝 다운된 부분이다. 그리고, 퇴피 오목부(5)는, 유리 기판(X)에 설치되는 프린트 기판(X1)의 개소에 따라 적절한 개소에 설치된다.
측벽부(4)의 상단부는, 외면측이 단차형(段差形)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내면측이 단차형으로 되어 있는 커버체(10)의 하단부가 측벽부(4)의 상단부에 끼워맞추어지고, 이로써, 커버체(10)가 용기 본체(1)의 측벽부(4)의 상단 개구부에 끼워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본체(1) 및 커버체(10)는 평면에서 볼 때 같은 형상을 가지고, 그러므로, 용기 본체(1)에 커버체(10)가 끼워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1)의 측벽부(4)의 외면과 커버체(10)의 외측면은 면일치 내지 거의 면일치로 된다.
수용부(2)는, 유리 기판(X)을 복수 개 중첩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각각의 사이에는, 유리 기판(X)의 면을 보호하는 보호용의 필름(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됨], 이들 기판(X)과 커버체(10)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측벽부(4)의 높이 치수가 설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유리 기판용 용기는, 복수 개를 상하로 중첩시키고, 이들을 모아서 결속시키도록 한 사용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유리 기판용 용기가 서로 옆으로 어긋나서는 안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커버체(10)의 상면 또는 용기 본체(1)의 하면의 한쪽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상기 볼록부가 걸어맞추어지는 오목부를 형성하고, 옆으로 어긋나는 것에 대한 대책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1)는[커버체(10)도 그렇지만], 발포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의 발포성 입자를 몰드 내에서 성형함으로써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발포성 스티렌 개질(改質)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스티렌 개질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에 스티렌계 단량체를 함침(含浸) 중합하여 얻어진 것이며, 스티렌 개질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스티렌 개질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스티렌 성분의 비율은 40~9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8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5~75 중량%이며, 발포 배율은 3~60 배가 바람직하다. 발포성 스티렌 개질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에 의한 성형품은, 같은 발포 배율의 폴리프로필렌계 발포 수지 성형품에 비해 강도가 있고, 또한 수축율이 작아, 치수 정밀도도 양호하다. 따라서, 치수 상의 불균일이 적다. 또한, 폴리스티렌계 발포 수지 성형품에 비하여, 마찰 등에 의한 분진(粉塵)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비교적 중량물인 유리 기판(X)으로부터의 하중에 따른 압축 작용의 영향은 무시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용부(2)의 모서리부(2a)를, 용기 본체(1)를 구성하는 소재와는 상이한 별개의 부재에 의해 보강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L자형의 보강 부재(6)나 플레이트형의 보강 부재(7)를 수용부(2)의 모서리부(코너부)(2a)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의 (a), 도 2의 (a) 및 도 3의 (a)는, 보강 부재(6)나 보강 부재(7)가 수용부(2)의 모서리부(2a)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의 (b), 도 2의 (b) 및 도 3의 (b)는, 보강 부재(6)나 보강 부재(7)가 수용부(2)의 모서리부(2a)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퇴피 오목부(5)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모서리부(2a)에는, L자형의 보강 부재(6)가 사용되는 한편, 퇴피 오목부(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모서리부(2a)에는, 플레이트형의 보강 부재(7)가 사용된다.
L자형의 보강 부재(6)는, 플레이트형의 한쪽 부분(6a)과 동일하게 플레이트형의 다른 쪽 부분(6b)이 직교 내지 거의 직교하도록 되어있고, 한쪽 부분(6a)이 저부(3)와 퇴피 오목부(5)의 경계를 따라 배치되고, 다른 쪽 부분(6b)이 퇴피 오목부(5)와 교차하는 측벽부(4)를 따라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부(2)의 모서리부(2a)에서의 측벽부(4)가 두께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고,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의 모서리부(2a)에서의 측벽부(4) 및 퇴피 오목부(5)가 보강 부재(6)의 단면 형상을 이루어 깊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어 형성된 장착 오목부(2a')에 보강 부재(6)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보강 부재(6)는, 한쪽 부분(6a) 및 다른 쪽 부분(6b)의 각각의 외면이 두께 방향의 장착 오목부(2a')에 구속되고, 또한 한쪽 부분(6a) 및 다른 쪽 부분(6b)의 하단이 깊이 방향의 장착 오목부(2a')에 구속되어, 용기 본체(1)로부터 뜻하지 않게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또한, 두께 방향의 장착 오목부(2a')의 깊이는, 보강 부재(6)의 다른 쪽 부분(6b)의 두께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보강 부재(6)가 장착 오목부(2a')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보강 부재(6)의 다른 쪽 부분(6b)의 내면과 측벽부(4)의 내면이 면일치 내지 거의 면일치로 된다. 또한, 깊이 방향의 장착 오목부(2a')의 깊이는, 한쪽 부분(6a) 및 다른 쪽 부분(6b)의 상단이 측벽부(4)의 상단과 면일치 내지 거의 면일치로 되도록 설정된다.
한편, 플레이트형의 보강 부재(7)는, 퇴피 오목부(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모서리부(2a)로서, 퇴피 오목부(5)와 교차하는 측벽부(4)를 따라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부(2)의 모서리부(2a)에서의 측벽부(4)가 두께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고, 또한 L자형의 보강 부재(6)와 마찬가지로, 수용부(2)의 모서리부(2a)에서의 측벽부(4)가 보강 부재(7)의 단면(斷面) 형상을 이루어 깊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어 형성된 장착 오목부(2a'')에 보강 부재(7)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보강 부재(7)는, 외면이 두께 방향의 장착 오목부(2a'')에 구속되고, 또한 하단이 깊이 방향의 장착 오목부(2a'')에 구속되어 용기 본체(1)로부터 뜻하지 않게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또한, 두께 방향의 장착 오목부(2a'')의 깊이는, 보강 부재(7)의 두께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보강 부재(7)가 장착 오목부(2a'')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보강 부재(7)의 내면과 측벽부(4)의 내면이 면일치 내지 거의 면일치로 된다. 또한, 깊이 방향의 장착 오목부(2a'')의 깊이는, 보강 부재(7)의 상단이 측벽부(4)의 상단과 면일치 내지 거의 면일치로 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보강 부재(6, 7)가 장착 오목부(2a', 2a'')에 장착되는 결과, 보강 부재(6)의 한쪽 부분(6a)은, 수용부(2)의 폭 방향(본 발명에 관한 「일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보강 부재(6)의 다른 쪽 부분(6b) 및 보강 부재(7)는, 수용부(2)의 길이 방향(본 발명에 관한 「다른 방향」)과 직교하는 배치로 된다. 이와 같은 배치, 즉 보강 부재(6)의 한쪽 부분(6a)과 보강 부재(6)의 다른 쪽 부분(6b) 및 보강 부재(7)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은, 유리 기판(X)의 크기와 일치 내지 유리 기판(X)의 크기보다 약간 큰 영역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유리 기판(X) 각각의 모서리부에, 보강 부재(6) 또는 보강 부재(7)가 배치되는 상태로 된다(도 4 참조).
또한, 보강 부재(6, 7)는, 유리 기판(X)보다 연성(軟性)이며, 용기 본체(1)보다 강성(剛性)을 가지는 것이며, 천연 고무나, 임의의 수지 성형품을 채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성형품이나 발포 수지 성형품을 예로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에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락트산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스티렌과 폴리에스테르와의 복합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용부(2)의 모서리부(2a)에 대하여 유리 기판(X)의 모서리부로부터 하중이 가해져도, 그 하중은 보강 부재(6, 7)에 의해 분산되므로, 용기 본체(1)를 구성하는 발포 수지 성형품에 압축 작용은 쉽게 생기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기판(X)의 폭 방향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X)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보강 부재(6)의 한쪽 부분(6a)이 유리 기판(X)의 모서리부로부터의 하중을 완화하고, 유리 기판(X)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X)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보강 부재(6)의 다른 쪽 부분(6b) 및 보강 부재(7)가, 유리 기판(X)의 모서리부로부터의 하중을 완화시킨다.
또한, 보강 부재(6, 7)는, 탄성을 가지므로, 유리 기판(X)에 직접 접촉되어도, 유리 기판(의 끝 에지부)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보강 부재(6, 7)는, 용기 본체(1)에 착탈(着脫) 가능하므로, 두께가 줄어들거나 마모되거나 하면,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리 기판용 용기로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단, 그와 같은 사상(事象)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면, 보강 부재(6, 7)는, 접착 등에 의해 장착 오목부(2a', 2a'')에 고착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 관한 유리 기판용 용기에 의하면, 잘못되어 낙하되는 등,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도, 완충 작용을 가지는 보강 부재(6, 7)에 의해 유리 기판(X)에 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유리 기판(X)의 모서리부로부터 받는 하중에 의해 수용부(2)의 모서리부(2a)가 변형되지 않고, 그러므로, 수용부(2) 내에서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유리 기판(X)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퇴피 오목부(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모서리부(2a)에 장착되는 보강 부재(7)는, 플레이트형이지만, 퇴피 오목부(5)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모서리부(2a)에 장착되는 보강 부재(6)와 마찬가지로, L자형의 것의, 즉 유리 기판(X)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직교하는 2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지는 형상의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유리 기판(X)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직교하는 2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지는 형상도 L자형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T자형의 보강 부재(6')라도 된다. 이 경우, 다른 쪽 부분(6b')이 한쪽 부분(6a')의 도중 부분과 접속되도록, 양자가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도 5의 (b)에 나타낸 보강 부재(6'')도 T자형이다. 이 경우에는, 다른 쪽 부분(6b'')의 타단이 접혀, 도중 부분에서 직각 내지 대략 직각으로 더 접히도록, 양자가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반대로, 유리 기판(X)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직교하는 2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지는 것이 아니고, 플레이트형의 보강 부재(7)와 동일한 구조라도 된다. 단, 이 경우,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 부재(6''')를 보강 부재(7)와 직교 내지 거의 직교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보강 부재(6''')가 유리 기판(X)의 폭 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지고, 보강 부재(7)가 유리 기판(X)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1)에 커버체(10)가 끼워맞추어져 장착되도록 되어 있지만, 커버체(10)는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를 트레이형으로 형성하고,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용기 본체를 중첩시키면, 상부의 용기 본체의 저부가 하부의 용기 본체의 커버체를 대신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1: 용기 본체
2: 수용부
2a: 모서리부
2a': 장착 오목부
2a'': 장착 오목부
3: 저부
4: 측벽부
5: 퇴피 오목부
6, 6', 6'', 6''': 보강 부재
6a, 6a', 6a'', 6a''': 한쪽 부분
6b, 6b', 6b'': 다른 쪽 부분
7: 보강 부재
X: 유리 기판
X1: 프린트 기판

Claims (4)

  1. 저부(底部) 및 상기 저부를 에워싸는 측벽부에 의해 발포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본체가 구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유리 기판을 수평으로 하여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는 유리 기판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의 모서리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상기 수용부의 모서리부에, 상기 유리 기판의 일방향 및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다른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지는 보강 부재가 배치되는, 유리 기판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유리 기판의 일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지는 한쪽 부분과, 상기 한쪽 부분과 직교 내지 거의 직교하고, 상기 유리 기판의 다른 방향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가지는 다른 쪽 부분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한쪽 부분 및 다른 쪽 부분은, 각각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되는, 유리 기판용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착 오목부에 장착되고, 상기 보강 부재의 내면과 상기 측벽부의 내면이 면일치 내지 거의 면일치로 되는, 유리 기판용 용기.
KR1020117010802A 2009-02-16 2010-02-08 유리 기판용 용기 KR101573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2752A JP5227827B2 (ja) 2009-02-16 2009-02-16 ガラス基板用容器
JPJP-P-2009-032752 2009-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997A true KR20110115997A (ko) 2011-10-24
KR101573301B1 KR101573301B1 (ko) 2015-12-01

Family

ID=4256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802A KR101573301B1 (ko) 2009-02-16 2010-02-08 유리 기판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227827B2 (ko)
KR (1) KR101573301B1 (ko)
CN (1) CN202089455U (ko)
TW (1) TWI476134B (ko)
WO (1) WO201009292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20Y1 (ko) * 2012-11-29 2014-07-31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KR101461011B1 (ko) * 2012-06-29 2014-11-13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곤포재 및 곤포체
KR101461013B1 (ko) * 2012-06-29 2014-11-13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곤포재 및 곤포체
KR101497422B1 (ko) * 2013-10-22 2015-03-02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슬롯
KR20160003488U (ko) * 2015-03-31 2016-10-10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곤포재 및 곤포체
KR101687758B1 (ko) * 2016-06-24 2016-12-19 (주) 다쓰테크 유연기판 또는 유리기판 위에 도금하기 위한 전기 도금장치용 스테이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0816B (zh) * 2010-08-24 2012-04-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包装缓冲装置
JP5826569B2 (ja) * 2011-09-12 2015-12-0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板状体の搬送用容器
TWI432367B (zh) * 2012-04-13 2014-04-01 Au Optronics Corp 緩衝包裝盒
CN102616488B (zh) * 2012-04-13 2014-04-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玻璃包装盒
US8777007B2 (en) 2012-04-13 2014-07-1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Packaging box for liquid crystal glass
TWI462211B (zh) * 2012-06-29 2014-11-21 Au Optronics Corp 承載裝置與承載裝置及被載物之組合
CN102849355B (zh) * 2012-09-26 2015-02-2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玻璃面板包装结构
TWI447054B (zh) * 2012-10-09 2014-08-01 Au Optronics Corp 箱體及裝載顯示面板的箱體
CN102923394B (zh) * 2012-10-17 2016-03-3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容纳板体的包装箱
TWI561443B (en) * 2012-11-30 2016-12-11 Au Optronics Corp Packing box
CN103204291B (zh) * 2013-04-19 2015-09-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包装装置
TWM477042U (en) * 2013-12-05 2014-04-21 Sekisui Plastics Co Ltd Reinforcing member and panel transportation vessel
CN103723386B (zh) * 2014-01-08 2016-03-16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面板承载箱
CN104185415B (zh) * 2014-08-21 2018-01-16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基板定位承载装置、基板组立系统及基板组立方法
CN104401598B (zh) * 2014-10-31 2017-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包装装置
US11008150B2 (en) * 2016-05-18 2021-05-18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Storage container
WO2018016077A1 (ja) * 2016-07-22 2018-01-25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収納容器
JP6357218B2 (ja) * 2016-12-28 2018-07-11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梱包材および梱包体
KR20220022003A (ko) 2020-08-14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1932B2 (ja) * 2003-09-16 2010-12-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収納ケース
TWM326523U (en) * 2007-08-08 2008-02-01 Ynidyi Entpr Co Ltd Packaging box for LCD panel with enhanced buffering func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011B1 (ko) * 2012-06-29 2014-11-13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곤포재 및 곤포체
KR101461013B1 (ko) * 2012-06-29 2014-11-13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곤포재 및 곤포체
KR200473820Y1 (ko) * 2012-11-29 2014-07-31 주식회사 삼일이노팩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티로폼 포장재
KR101497422B1 (ko) * 2013-10-22 2015-03-02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슬롯
KR20160003488U (ko) * 2015-03-31 2016-10-10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곤포재 및 곤포체
KR101687758B1 (ko) * 2016-06-24 2016-12-19 (주) 다쓰테크 유연기판 또는 유리기판 위에 도금하기 위한 전기 도금장치용 스테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27827B2 (ja) 2013-07-03
JP2010189013A (ja) 2010-09-02
CN202089455U (zh) 2011-12-28
TW201041788A (en) 2010-12-01
KR101573301B1 (ko) 2015-12-01
TWI476134B (zh) 2015-03-11
WO2010092920A1 (ja)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5997A (ko) 유리 기판용 용기
US11279544B2 (en) Container
JP2009269610A (ja) 板状体の搬送用容器
US8132771B2 (en) Portable spacing member
CN200974674Y (zh) 包装盒
JP2014009020A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US20120031807A1 (en) Shock Absorbing Member and Shock Absorbing Structure
KR20140005270U (ko) 패널 반송용 용기
JP5649923B2 (ja) 板状体の搬送用容器
US11117729B2 (en) Container with parallelprotection members
US11091308B2 (en) Container
JP2011246170A (ja) 板状体の搬送用容器
JP6357218B2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KR200476256Y1 (ko) 판상체 반송 용기
JP2010215262A (ja) ガラス基板の搬送容器
KR200490607Y1 (ko) 패널 반송 용기
JP5190891B2 (ja) コンテナ用インナー及びインナー付きコンテナ
JP3201500U (ja) 梱包材及び梱包体
JP2011162235A (ja) 板状体搬送用ボックス
WO2018211667A1 (ja) 容器
TWI432367B (zh) 緩衝包裝盒
KR200477851Y1 (ko) 보강 부재 및 패널 반송 용기
US11840390B2 (en) Container
JP2016155568A (ja) 梱包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梱包材
TWM526999U (zh) 板狀體之運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